존 보글

 

[image]
John Clifton Bogle[1]
1929년 5월 8일 ~ 2019년 1월 16일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경제학 학사.
뱅가드그룹 설립자 및 회장
1. 개요
2. 투자관
3. 저서


1. 개요


1929년에 미국 뉴저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은 대공황 시기에 경제적 타격을 많이 받아서 매우 빈곤한 가정형편이었다. 이에 비관한 아버지는 알콜중독에 빠졌으며 이혼까지 했다. 하지만 일찍이 총명했던 존 보글은 지역 명문고인 블레어 아카데미를 졸업한 뒤 1951년 프린스턴 대학교 경제학과를 우등으로 졸업했다. 대학 졸업 논문으로 세계 최초의 뮤추얼 펀드에 관한 논문인 <투자 회사의 경제적 역할>(The Economic Role of the Investment Company)을 썼다. 대학 졸업 후 당시 펀드 업계 거부인 월터 모건이 이끄는 웰링턴 매니지먼트에 입사하여 23년간 일했다. CEO 자리까지 올라갔지만 인수합병 실패의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났다. 세계 최대 인덱스 펀드 운용사인 뱅가드그룹1974년에 설립했다. 1975년에 최초의 인덱스 펀드 뱅가드 500을 대중에 소개했다. 설립 초기에는 바보같은 펀드를 판매한다며 사람들에게 비웃음을 당했지만 지금은 기존 펀드 최강자인 피델리티를 뛰어넘었다고 평가받고 있다.[2] 회장직에서 물러난 후 말년에는 명예회장, 계열사의 리서치 센터장 등을 역임했다. 그가 출연한 영상이나 칼럼을 블로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역설적으로 그의 아들은 중소형주 펀드를 운용하는 액티브 펀드매니저이다. 그의 펀드는 시장 수익률을 상회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다.
워렌 버핏 회장은 버크셔 해서웨이 2016년 연례서한에서 '''"존 보글은 미국 투자자들의 영웅입니다"''', 2017년 연레주총에서 '''"투자자를 위해 가장 많은 일을 한 사람을 기리는 조각상이 세워진다면 그건 바로 존 보글이야합니다"'''라며 그를 극찬했다.
이전 서술에선 존 보글이 투자하는 나라는 미국 밖에 없으며, 특히 중국이나 한국 같이 자국 내 주식을 신뢰하지 못하는 나라를 '''10년 후의 미래조차 없는 나라'''라고 했다는 서술이 있는데, 이는 출처를 찾아 볼 수 없는 뜬소문이며, 존 보글이 세운 뱅가드그룹의 행보만 봐도 2012년에는 한국 지수를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분류하기 위해 MSCI를 팔고 FTSE로 갈아탔으며, 2020년에 홍콩보안법이 통과되어 홍콩의 안보가 위협받자, 뱅가드는 오히려 아시아 본사를 홍콩에서 상하이로 옮겼지 철수하지 않은 점으로 보아 더욱 신빙성이 낮다.

2. 투자관


보글 회장은 투자에서 '''단순함과 상식'''을 중요시하는데, 8가지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저가 인덱스 펀드를 골라라.
  2. 자문 추가 비용을 심사숙고해라.
  3. 과거 펀드 실적을 과대평가하지 마라.
  4. 과거 실적으로 일관성과 리스크를 판단해라.
  5. 스타[3]들을 조심해라.
  6. 자산 규모를 조심해라.
  7. 펀드를 너무 많이 갖지 마라.
  8. 펀드 포트폴리오를 사라 - 그리고 붙들고 있어라.
그 외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 도넛보다는 베이글을 먹어라 - 이 말의 뜻은 도넛과 같이 달콤한 단기 투자보다는 맛은 없지만 영양분은 풍부한 정석투자 같은 베이글을 선호하라는 뜻이다.
  • 펀드는 낮은 수수료, 낮은 회전율을 갖춰야 한다. 연 수수료가 주식펀드[4]는 0.75%보다 낮아야 하며 채권펀드는 0.5%보다 낮아야 한다.
  • 액티브 펀드에 투자하는 것은 바보같은 일이며, 액티브 펀드가 시장보다 높은 수익률을 장기간 기록할 거라고 생각하는 것도 바보같은 일이다.
  • 수많은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개별 종목의 리스크를 완전히 제거하고 오직 시장 리스크만을 남겨 놓아야 한다.
  • 오늘 뜨거운 종목이 내일도 뜨거운 경우는 거의 없다. 장기적으로 주식시장은 내재 가치에 회귀한다. 군중을 따라가지 마라.
  • 시간은 투자자의 친구이지만 충동은 적이다.
  • 우연히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는 있다. 하지만 1년에 10% 이상의 수익률을 기대해서는 안된다. 역사적으로 연평균 수익률이 10%를 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 20%의 손실을 감내할 수 없다면 주식에 투자해서는 안된다.
  • 주식은 배당이 있고 채권은 이자가 있지만 통화, 원자재는 그런 것이 없으므로 반드시 투기적인 매매가 발생하게 된다. 통화, 원자재 투자는 일반 투자자가 아닌 전문 트레이더만 접근하는 것이 좋다.
  •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겠다면 전체 시장에 투자하는 펀드를 사야지 개도국, 업종, 원자재 또는 레버리지나 인버스 펀드에 투자해서는 안된다.
  • ETF는 투자자가 잦은 매매를 하도록 유혹한다는 단점이 있다.

3. 저서


  • (1994)
  • (1999) - 승자의 게임[5]
  • (2000) - 투자의 정석
  • (2007) - 모든 주식을 소유하라[6]
  • (2012)[7]

[1] 방송에서는 그냥 편의상 Jack이라고 부를 때가 많다[2] 뱅가드그룹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엑슨모빌, 존슨앤드존슨, GE, AT&T, P&G, JP모건 체이스, 버라이즌, 화이자, 쉐브론, 디즈니, 펩시, 필립 모리스, 비자카드, AMD, 인텔, CISCO, 뱅크 오브 아메리카, 길리어드 사이언스, 알트리아, 씨티은행, 앨러간, 메드트로닉, 맥도날드, CVS헬스, 암젠, 월마트, 슐룸베르거, 애브비, 나이키, 셀진, 허니웰, 퀄컴, 유나이티드 테크놀러지, 월그린스, UPS, 코스트코, 몬델리즈, US뱅코프, AIG, 로스컴퍼니, 사이몬 프로퍼티, 애보트, 다우케미컬, 타임 워너, 포드, 킴벌리클라크, 메트라이프, 페이팔, 제네럴 모터스, 크로거, 뱅크오브뉴욕멜런, 델타 항공, 페덱스, 프루덴셜, 야후, 콘아그라, 닥터페퍼, 언더아머, 메이시백화점, 익스피디아, 월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웨스턴 디지털, 할리 데이비슨 등등 대부분의 미국 대기업의 최대 주주이다.[3] 스타 뮤추얼 펀드 매니저 등.[4] 해외펀드 포함[5] 2002년 워렌 버핏이 주주 서한에서 추천한 책.[6] 2014년 워렌 버핏이 주주 서한에서 추천한 책.[7] 2012년 워렌 버핏이 주주 서한에서 추천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