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고사

 


1. 개요
2. 여담
3. 관련 문서


1. 개요


'''中間考査, Midterm exam(ination)'''
말 그대로 학기 중간에 치르는 시험. 학기당 2회 시험인 경우, 1차 정기고사라고도 한다.
초등학교는 전교생 모두 현재는 폐지 상태이고[1], 중학교[2], 고등학교, 대학교를 막론하고 매년 두 번씩 겪는 것.
위에 쓴 것처럼 학기 중간에 치르며, 보통은 1학기는 4월 말이나 5월 초에 치며, 2학기는 9월 말이나 10월 초에 치나,[3] 중3이나 고3은 입시 준비 차원에서 8월 말이나 9월 초에 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기말고사와 함께 학기 성적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험이다. 다만, 기말고사의 존재감이 너무 커서 성적 반영이 중간/기말 각각 같은 경우에도 기말고사보다 하찮게 보는 시선이 매우 많다(...).
그 이유로 몇 가지를 들자면...
  1. 수업 일수가 적은 과목의 경우에는 기말고사만 보는 경우가 있어 중간고사가 기말고사보다 과목 수가 적은 경우가 많다.[4] 단 중3 2학기는 얄짤없이 다 보거나 예체능을 중간고사 때 미리 본다.[5]
  2. 중간고사가 기말고사보다 시험범위가 적은 경우가 많다.[6]
대부분의 학생들은 중간고사를 날려먹을 경우 주로 기말고사를 잘 봐서 성적을 만회하겠다고 결심한다. 하지만 종종 중간고사 범위를 공부해야 기말고사 문제를 풀 수 있다든가, 중간고사 범위가 기말고사에도 들어가는 악랄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중간고사 공부를 하지 않은 학생들은 멘탈이 깨지며 기말고사까지 망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중간고사든 기말고사든 꾸준히 공부해야 성적이 잘 나온다는 것을 명심하자.
2018년부터 중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중학교에선 기말고사와 함께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다. 기사.
울산 초등학교 1~4학년 중간 · 기말고사 폐지
중고등학교에서는 중간고사 보는 날에는 점심급식을 먹고 바로 귀가[7]시키며, 보충수업, 야간자율학습 역시 실시하지 않는다.
대학의 경우 대부분, 시험 문제를 다 풀면 시험 종료시간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제출만 하고 바로 나가면 된다.[8] 당일 과목을 모두 치르면 그냥 귀가하면 된다. '''초중고 때 시험처럼 시험 시간과 양에 대한 대체적인 룰이 없고, 그냥 교수 재량이라는 게 특징.''' 문과 시험의 경우 몇 시간씩 주고 아는 만큼 쓰고 가라고 하기도 하고(시험 범위도 진짜로 '배운 데서 안 배운 데까지'에다 문제 유형도 논술형), 토목과 시험의 경우 좀 특이한 경우지만 무박 3일 72시간 동안 시험을 치르는 학과도 있었다. 사례. 학과 및 전공마다 좀 다르겠지만 대체로 객관식 시험이 드물고 이름이랑 학번, 학과 적는 칸 말고는 아무것도 없는 백색 종이에 문제 적고 답 적고 원맨쇼를 해나가야 한다. 중고등 6년 동안 OMR컴퓨터용 사인펜에 익숙해져 있었던 신입생들의 멘탈을 터트리는 주범. 또한 중간고사 시간표가 따로 정해지는 중고등학교와는 다르게 해당 수업시간에 시험을 본다. 대학은 수강신청에 따른 학생별 시간표가 다 달라서 시간표 중복 문제가 날 수 있기 때문.[9] 그리고 한 학기가 15주이므로 대게 8주차에 치르지만, 휴강이나 기타 사정으로 1~2주 미뤄서 치는 경우도 있다.
중간고사가 없고 레포트나 퀴즈로 대체하는 강의도 존재한다.
대학원은 전공에 따라 다르지만 중간고사가 없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 대학원 특성상 교수의 재량권이 많고 학점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10] 중간고사는 물론 기말고사도 없는 과목도 꽤 많다. 중간고사가 없는 경우 중간고사 기간에 그냥 강의를 진행하기도 하며, 일부 과목의 경우 그냥 휴강을 하기도 한다. 기말 텀페이퍼가 있는 과목이라면 이 기간에 기말 텀페이퍼에 대한 연구 계획서(프로포절)를 작성한다. 대신 대학원생에게는 매 시간마다 '''논문이라는 시험보다 더욱 악랄한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2. 여담


  • 2020학년도 1학기에는 개학 연기등교 개학 일정으로 인하여, 학교별로 등교 개학 후 중간고사를 보게 되는 바람에 등교가 5월 말, 6월 초라서 부득이하게 모의고사 전후로 중간고사를 봐야 한다. 이 때문에 모의고사 며칠 전에 중간고사를 보게 되거나 모의고사 직후에 중간고사를 보게 되는 학교들이 많다. 혹은 없애는 학교도 중학교를 중점적으로 있다.[11]

3. 관련 문서



[1] 2020학년도부터는 전국 학교에 있는 지필고사가 모두 폐지됐지만 일부 사립 초등학교는 중간고사와 모든 지필고사를 시행한다.[2] 중학교 1학년 생은 자유학기제 또는 자유학년제의 실시로 지필고사를 아예 치르지 않을 수도 있다.[3] 따라서 추석 연휴 직후에 중간고사가 시작하거나 개천절이 시험 기간에 끼거나 전후인 경우가 많아서 놀지 못하게 한다. 다만, 연휴 직후 시험이 잘 안쳐지는 경우가 많은 걸 학교도 알기때문에 내신이 가장 중요한 고등학교는 연휴가 1주는 지난 후에 치도록 하거나 연휴 전날까지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4] 주로 예체능 과목이 해당된다. 다만 이 경우 예체능은 시험을 아예 안 친다고 생각하는 몇몇 학생들은 수업 제대로 듣지 않았다가 기말고사에 망치는 경우가 발생한다(...).[5] 물론 예체능 지필을 전혀 실시하지 않고 수행평가로만 평가하는 학교도 있다. 한 발짝 더 내딛어서 기술가정이나 제2외국어까지도.[6] 기말고사는 전 범위를 볼 수는 있더라도 중간고사는 그 이전까지 배운 내용들만 시험범위에 넣을 수 있다.[7] 점심급식을 아예 실시하지 않고 바로 귀가시키는 학교도 많이 있다.[8] 단, 감독관이나 응시 과목(특히 교양수학)에 따라 시험 시작 후 일정 시간 지나야 퇴실 가능한 경우도 있다.[9] 참고로 타 과목과 시험시간표가 중복되어 시험을 볼 수 없다면 교수에게 양해를 구하고, 별도로 시간을 내어 추가시험을 볼 수 있다. 추가시험을 본 경우 보통 성적이 B+를 넘을 수 없도록 하고 있지만, 위 사유로 인한 추가 시험은 예외이다.[10] 대학원의 성적평가는 100% 절대평가라서 그냥 교수 마음대로 성적을 부여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논문과 연구에 매진하라는 의미에서 하라는 것만 다 해도 최소 B- 이상은 준다.[11] 이 경우 중간고사는 수행평가로 대체되거나, 기말고사를 전 범위로 보고, 중간고사 반영 비율까지 합쳐서 반영하게 된다.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