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

 


[image]
'''지하철역(센트럴파크역)'''
[image]
'''지하차도(우장춘지하차도)'''
1. 개요
2. 관념
2.1. 과거
2.2. 오늘날
3. 떡밥
4. 관련 문서
5. 지하를 무대로 한 작품

/ Underground, Basement
[clearfix]

1. 개요


말 그대로 땅의 아랫쪽을 의미하는 단어. 반댓말은 지상이다.


2. 관념



2.1. 과거


하늘 위의 세계가 '높다' '밝다' '넓다' 등의 의미의 유추가 가능해서 하늘 위의 세계가 긍정적인 의미로 취급된 반면, 땅 아래의 세계는 '낮다' '어둡다' '좁다' 등의 의미가 유추가 되어서 땅 아래의 세계는 부정적인 의미로 취급된 경우가 많았다. 천국('''天'''國)과 지옥('''地'''獄)이라는 단어만 봐도 사람들이 두 세계를 어떻게 생각하였었는지에 대한 답은 나온다.
아무튼 낮은 존재로 취급되는 땅 보다 아래에 있는 지하는 더더욱 안좋은 곳으로 취급되어서 부정적인 존재로 취급되었었다. 뭣보다 사람이 죽으면 땅 속에 묻는 인간사회의 장례특성상 "땅 속 = 망자들의 세계"라는 인식이 강하였다. 각종 신화에서 인안나의 명계 하강, 오르페우스 신화, 페리이토스페르세포네 납치 시도와 같이 지하세계로 내려가는 에피소드는 대부분 당사자나 주변인에게 좋지 않은 결말로 끝나게 되는데, 이는 죽음을 되돌릴 수 없는 것은 자연의 순리이니 거스르지 말라고 경고하는 의미이다. 즉, 문화권을 막론하고 지하는 되도록이면 접근을 금해야할 곳이 되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해서 고전 건축물들의 경우 높은 계급층은 대체로 높은 장소(= 하늘과 가까운 곳)에서 거주하는 일이 많았고, 반대로 낮은 계급층은 대체로 낮은 장소(= 땅과 가까운 곳)에서 거주하는 일이 많았다. 이는 높은 건물과 낮은 건물의 건축비, 시간, 공간 등의 '재력' 차이도 있지만 무엇보다 '''높은 사람답게 높은 곳에 살아야 한다'''는 상징적인 의미 또한 있었다.[1] 그러나 제일 윗층에 위치한 다락방이라는 예외도 있다. 17-19세기까지의 고전 건축물들의 설계를 보면 지하와 다락방은 하인들이 쓰는 공간이고, 주인 일가는 그 사이에서 사는게 일반적이었다.
그나마 지하가 긍정적인 관념으로 쓰일 때는 땅에 묻힌 씨앗에서 연상되는 새로운 생명의 근원과 작물이 나고 자라 수확되는, 즉 죽음과 새로운 삶의 순환을 나타낼 때이다. 주로 농업이 주된 생산 수단이었던 농경 사회에서 통용되던 관념으로, 이에 해당되는 에피소드로는 인안나의 명계 하강과 페르세포네 설화 등이 있다. 하지만 이 두 설화에서 당사자들은 여전히 큰 시련을 겪는데, 새로운 삶이 탄생하기 이전에는 여전히 죽음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2.2. 오늘날


현대사회에서 지하에 대한 인식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게 되었다. 토목업의 발달로 지하를 지상 못지않게 개간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지하는 인류에게 유용한 공간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지상의 경우 결국 공간의 한계성이 분명히 존재해서 언젠가는 더 이상 개간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지하는 충분한 자금과 기술력만 뒷받침된다면 지상보다 훨씬 더 넓고 크게 활용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서 지상보다 공간적 측면에서 유용한 구석이 많다.
그리고 지하 설비의 특성상 국가나 기업 단위의 대규모 통제가 없으면 개간이 힘들기에 그렇게 확보된 지하공간은 운용 목적이 확실하고 관리가 잘 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가장 유용한 지하 공간인 '''지하철'''이 있으며, 지하로 다니도록 만든 길인 지하도지하차도도 있다.
다만 오늘날에도 지하 공간을 마냥 확장할 수는 없다. 고층 건물의 경우 일정 수준의 지하 공간을 지주 역할로써 필요로 하게 되어 다른 시설이 들어설 공간을 잡아먹으며, 지하를 굴착하고 시설을 세우면 지하수의 침출로 인해 싱크홀이 발생할 가능성도 커지게 된다.
지하는 한편으로는 여전히 위험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흔히 지하실을 소재로 한 각종 괴담 등이 지하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비주류를 뜻하는 '언더그라운드' 또한 지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보여주는 사례. 특히 폐소공포증 환자들은 지하를 상당히 꺼리는 경향이 강하며; 창문이 없다거나, 지하에 미로처럼 방이 여럿 겹쳐 있다거나 물건이 빼곡히 쌓여 있는 상황이라면 훨씬 심해진다. 그래도 상가와 아파트, 주상복합 등은 관리를 잘하기 때문에 햇빛을 못 받는 걸 제외하면 단점은 없다.

3. 떡밥


지하에도 또다른 세계가 있다는 설이 있다. '하늘 위의 세계'(천상 왕국)처럼 인간이 만들어낸 허구의 공간이다. 이에 관해서는 지구공동설 문서로.
일본 창작물에서는 '지저'(地底)라고 해서 외계인, 초고대문명 세력들이 꽤 나온다. 아주 보편적인 소재는 아니고 다소 매니악한 감이 있다. 지구공동설까지는 아니고 약간 지하에 사람들이 좀 모여사는 식이다.

4. 관련 문서


주택 내 지하 공간에 관한 내용은 지하실 문서를, 대한민국의 주거 공간에 관해서는 반지하 문서로.

5. 지하를 무대로 한 작품



[1] 실제로 지금도 강남구타워팰리스라든지 해운대구엘시티 등 고급 아파트들은 대한민국에서도 굉장히 높은 아파트들이고 재벌들이 많이 살고 있다. 단, 옥탑방이나 달동네는 높은 데 있으면서도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