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르성게
[clearfix]
1. 정보
2. 소개
8세대에서 새로 추가된 포켓몬으로 모티브는 성게. 왠지 시무룩해 보이는 세모 눈동자와 어딘가 묘하게 생긴 노란색 주둥이가 특징이다.[1]
처음 유출되었을 때에는 동그란 몸매와 몸에 나 있는 가시 때문에 리전 폼 해무기 혹은 그 진화형이라는 추측이 많았으나, 나중에 해무기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개별 포켓몬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참고로 해무기 역시 본작에서 등장한다.
소드 실드 양 쪽 모두에서 등장하지만, 문제는 극악한 출현률. 9번 도로에서 '''5%'''라는 낮은 확률로 출현한다. 그나마 전기타입인 덕분에 정전기 특성인 포켓몬을 선두에 두면 쉽게 조우할 수 있다. 라이벌 호브가 사용하는 포켓몬 중 하나.
릴리요, 아말도, 독개굴, 저리더프, 메더, 칼라마네로에 뒤를 이어 수생생물이 모티브이지만 물타입이 붙지 않는 케이스이다. 그러면서도 메더처럼 물타입 공격기술은 제대로 배우는 것이 특징.
3. 스토리
자력기로 HP회복, 스파크->찌리리따끔따끔, 물대포->거품광선, 독찌르기 등 4칸을 채울 정도의 기술폭은 충분히 나온다. 기술머신까지 합쳐주면 보복, 리벤지 등 배울 기술이 좀 더 늘어나고, 레코드까지 가면 좀 더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다만 스피드가 15로 너무 느리고, 물리가 특수보다 조금 높은 쌍두형임에도 물 타입 기술은 모두 특수기라 레코드가 강제된다. 기습은 유전기이므로 스토리만으로 스피드를 보완하기가 쉽지는 않고, 일렉트릭메이커는 숨겨진 특성이라 와일드에리어 노가다를 돌아야 한다. 물 기술로 땅 타입을 견제할 수는 있지만 그 땅 타입 포켓몬들보다도 느리기 때문에, 자속 지진을 쓰는 포켓몬 앞에서는 얌전히 빼자.
스토리에서는 라이벌인 호브가 사용한다. 성게니까 물타입이겠지 싶지만 의외로 전기타입. 내구는 중간은 가지만 HP가 낮아서 고화력 1배로도 충분히 상대가 가능하다.
4. 대전
저리더프처럼 물 속에 사는 생물이 모티브임에도 타입은 단일 전기다. 방어 상성이 매우 좋은데다가, 약점을 찔리며 동시에 전기 0배인 땅 타입에게 대항할 수 있는 물 타입 기술을 배우기 때문에 트릭룸에서는 저항할 수 있다.
종족치를 보자면 저속 쌍두형. 공격과 특수공격이 비슷하고, 스피드는 원래 바닥이라 용감/냉정 성격을 채용할 수 있으니 원하는 대로 굴릴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격 101이 '''8세대 전기 타입 공격 1위'''에 해당하고, 후술할 일렉트릭메이커에 의해 실제 화력은 더욱 높다. 다만 와일드볼트를 배우지 못해 가장 강한 물리 자속기가 찌리리따끔따끔으로 그치는 것이 아쉬운 점.[3] 그 외 단점은 체력으로, 방어랑 특수방어는 양호하지만 체력이 낮아서 실질 내구는 떨어진다.
물리 쪽의 경우에는 찌리리따끔따끔을 배울 수 있어서 자속기 걱정은 문제 없고, 독찌르기, 보복, 지옥찌르기, 아쿠아브레이크, 기습, 자폭[4] 등 강력한 비자속기들을 많이 배운다. 특수 쪽은 자속기로는 10만볼트와 번개, 라이징볼트를 배우고, 서브웨폰으로는 하이드로펌프, 파도타기, 열탕, 베놈쇼크, 병상첨병을 배운다. 보조기는 압정뿌리기, 독압정, 추억의선물, 전기자석파, HP회복, 일렉트릭필드 등을 배운다.[5] 실전에서 좋은 기술이 많고, 상술했듯이 스피드가 낮아 스피드 하락 성격을 채용하고 쌍두형으로 굴릴 수도 있으니 활용할 수 있는 형태는 많을 것이다.
특성 일렉트릭메이커와 베놈트랩, 독압정, 압정뿌리기, 경혈찌르기[더블배틀] , 헤롱헤롱, 전기자석파, 열탕, 추억의선물을 활용해 기점 마련 서포터로 사용할 수 있다. 살짝 애매한 공격력 때문에 쌍두 딜러로 차별화가 어렵고, 독압정, 압정뿌리기를 깔고 추억의선물로 상대를 엿먹인 다음에 퇴장할 수 있는 훌륭한 포켓몬이기에 필드 깔이 서포터로 쓰는 것도 추천한다.
특성은 둘 다 실용성이 좋다. 피뢰침은 전기에 약한 포켓몬을 보호하는 동시에 찌르성게의 특공을 올릴 수 있는데, 공격이 더 높긴 하지만 특공도 91이나 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특수형으로 키우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하지만 숨겨진 특성이 '''일렉트릭메이커'''인데, 카푸꼬꼬꼭과 함께 일렉트릭메이커를 보유한 유이한 포켓몬이다. 일렉트릭필드 보정을 받은 공격 풀보정 아이템 미장착 찌리리따끔따끔의 결정력이 26,208이며, 특공 풀보정 아이템 미장착 10만볼트의 결정력은 27,553, 라이징볼트의 2배 적용 결정력은 '''42,861'''가 나온다.
일단 카푸꼬꼬꼭에 비하면 스피드가 너무 느리기에, 일반적인 파티에서는 대체로 일렉트릭필드를 깐 뒤 후공으로 강력한 전기 공격을 먹인 후 기습으로 마무리하여 1인분을 노리는 단순한 전략 정도만 가능하다. 따라서 제대로 써먹으려면 트릭룸 파티의 전기 타입 딜러로 써먹는 것이 좋다. 트릭룸에서는 20족도 모두 제치고 선공권을 보장받으며, 찌리리따끔따끔에 붙어있는 30% 풀죽음의 효과도 크게 누릴 수 있다. 어차피 스피드를 깎으므로 공격과 특수 중 한쪽에 몰빵하고 체력을 최대로 보정하면 나름 딜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공격/특공 중 보정하지 않은 쪽의 기술도 하나 정도는 써먹을 만하다.
비록 냉동빔은 배울 수 없지만, 아쿠아브레이크, 하이드로펌프, 파도타기 등 물 타입 견제기를 배울 수 있어 땅 타입 견제가 가능하므로 다른 전기 타입에 비해서 형편이 좋은 편이다. 다만 대다수의 전기 포켓몬이 고전할 수 밖에 없는 물/땅 타입에게는 찌르성게도 별 수 없다. 풀 타입 포켓몬 혹은 하다못해 풀 타입 견제기를 배워 이들을 견제할 수 있는 포켓몬은 필수이다.[6]
5. 국가별 명칭
[1] 주둥이가 노란색인 이유는 실제 성게 살이 노란색이라 그런 듯하다.[2] 수면기 미보유 팀 한정.[3] 다만 기본 체력이 낮은 만큼 반동기인 와일드볼트의 위험도 크고, 찌리리따끔따끔도 상당히 강력한 기술이라서 와일드볼트의 부재가 그리 큰 단점은 아니다.[4] 대폭발은 못 배운다.[5] 이 중 전기자석파는 병상첨병과 연계 가능, 독압정은 병상첨병과 베놈쇼크 둘 다 연계 가능하다.[더블배틀] [6] 사실 얘가 냉동빔을 배웠으면 트릭룸에선 약점이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7] Pinc'''h'''urchin으로 잘못 쓰이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