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경제

 



핀란드의 경제 정보
[image]
[image]
인구
550만 명#
2016년, 세계 111위
경제 규모(명목 GDP)
2,391억 8,600만 달러
2016년, 세계 42위
경제 규모(PPP)
2,299억 5,000만 달러
2016년, 세계 62위
GDP 성장률
0.90%
2016년, 세계 156위
1인당 명목 GDP
49,845 달러
2018년, 세계 14위
1인당 PPP
41,812 달러
2016년, 세계 29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63.84%
2016년, 세계 59위
고용률
69.0%
2016년, OECD 17위#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Aa1'''
2016년, '''2등급''' #
피치 국가 신용등급
'''AA+'''
2016년, '''2등급'''
S&P 국가 신용등급
'''AA+'''
2014년. '''2등급'''
1. 개요
2. 수출 구조
3.1. 파이낸셜 타임즈 500: 세계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에 들어간 핀란드 기업
4. 농업
5. 공업
5.1. 전자·부품
5.1.1. 스마트폰
5.1.1.1. 노키아 몰락과 '잃어버린 시대'[1]
5.2. 정보·컴퓨터
5.3. 장비·공구
5.4. 제지·섬유
6. 관련 항목


1. 개요


핀란드는 제조업으로 경제부국이 된 나라이다. 노르웨이는 석유와 천연가스에 경제의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고, 덴마크 역시 천연가스의 혜택을 상당히 보고 있는 반면, 핀란드는 외국에 수출할 자원이 딱히 없기 때문이다. 굳이 자원을 찾자면 제지 산업을 뒷받침할 풍부한 삼림 정도가 있을 뿐이다. 13년 기준 핀란드의 G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7%로 이는 후발 고소득 국가를 제외하면 독일, 일본과 함께 OECD 국가들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노키아가 사라지고 경기침체가 심각해진 현 상황에서 복지 정책들을 상당수 폐지하는 대신 기본 소득제를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사실 핀란드의 경제 위기는 2010년대에 와서 처음 맞은 건 아니다. 1980년대 중후반에 '''카지노 경제(kasinotalous)'''라 불리는 거대한 거품 경제가 형성되었다가, 1990-91년경 옆나라 스웨덴의 불황, 소련 붕괴 등과 맞물려 꺼지면서 실업률이 20% 가까이 올라가는, 지금보다 훨씬 더 강도가 강했던 최악의 경제 위기를 겪은 적이 있다.

2. 수출 구조


[image]
2012년의 핀란드 수출구조, 파란색이 제조업, 붉은색이 건색재료-장비산업, 회색은 미분류, 주황색은 펄프-종이 관련 산업, 보라색은 의료-화학관련 산업 [2]

3. 핀란드기업



3.1. 파이낸셜 타임즈 500: 세계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에 들어간 핀란드 기업


(2014/9/30) 세계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파이낸셜 타임즈 500)에 들어가는 핀란드의 2개 기업[3]
핀란드 국내 순위
기업
업종
2014년 9월 시가총액(단위: 100만달러)
1위
Nokia
Technology hardware & equipment
31,955.8
2위
Sampo
Nonlife insurance
27,105.6

4. 농업



5. 공업


노키아가 추락한 이후로 좋지 않은 편이다

5.1. 전자·부품



5.1.1. 스마트폰


한때 전 세계 휴대전화 시장점유율 1위였지만 안드로이드폰 위주의 시장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몰락한 '''노키아'''가 이 나라 회사다. 영화 '트랜스포머'를 보면 노키아 핸드폰 보고 일본제라고 하는 무개념 발언을 볼 수 있는데(물론 바로 수정당하지만), 미국인들의 일본제품에 대한 태도라든가, 무식성이라든가 하는 부분에 대한 풍자적 개그. 핀란드의 혹독한 날씨 때문에 '''등하교 중에''' 눈에 파묻히거나 조난당했을 때 쓰라고 애들 한테까지 휴대폰을 사주는 바람에 노키아가 한동안 세계적인 휴대폰 회사로 클 수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리눅스로 전 세계 정복을 계획하고 있는 리누스 토르발스는 핀란드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다.
그 외에,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스마트폰용 인기게임 앵그리버드를 만든 로비오, 21세기에 홍콩 느와르의 맛을 완벽히 살려낸 게임 맥스 페인 시리즈를 만든 레메디 엔터테인먼트, 클래시 오브 클랜클래시 로얄을 만든 슈퍼셀 역시 핀란드 회사.
또한 등산용 시계 메이커로 아는 사람은 아는 SUUNTO 또한 핀란드 회사다.
핀란드는 산학협동 체계가 잘 갖춰져 현재와 같은 IT강국이 될 수 있었다.

5.1.1.1. 노키아 몰락과 '잃어버린 시대'[4]

[image]
이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 빌빌대는 유로존 전체에 비해서도 유독 혼자 죽쑤고 있어서 북유럽에서 유일하게 '''픽시트(Fixit)'''를 할 나라란 소리까지 나온 바 있다.(#)
노키아의 휴대전화 사업부가 몰락하고 MS에 매각하는 굴욕까지 겪자, 기록적인 -7% GDP 감소를 기록하는 등 핀란드 경제는 휘청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남유럽권, 네덜란드 등과 더불어 몇 년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겪었다. 아이슬란드[5]등 타 북유럽 국가들은 2000년대 이후에도 독자적인 통화를 유지했기 때문에 타격을 거의 받지 않거나 혹은 타격을 크게 입더라도 어느정도 회복이 가능하지만 핀란드의 경우 혼자 유로를 쓰는 상황이므로 장기적으로 볼 때 시한폭탄이 될 수 밖에 없는 상황. 2014년 7월 핀란드의 경제 '''전망'''은 부정적으로 강등되었으며 핀란드의 총리는 스티브 잡스가 핀란드의 일자리를 빼앗았다는 인터뷰를 했다..[6] 그리고 2014년 10월 결국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에서 신용등급을 AA+로 강등해버렸다. 강등된 이후의 전망도 '부정적'으로 대외적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로비오의 앵그리버드가 반짝했지만 노키아의 빈 자리를 메꿔줄 수준은 아니었고, 그 로비오마저도 게임의 인기가 식어버리자 2014년과 2015년 정리해고를 했다. 2016년 3월 들어 국제신용평가사 피치 또한 핀란드의 신용등급을 내렸다. # 그리고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러시아에 대한 농산물 금수 조치까지 취해지니 견디지 못한 농민들이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역설적으로, 양대 신용평가사들이 등급을 모두 내린 2016년경부터 핀란드의 경제성장률은 '''다시 플러스로 반등''', 1.9%로 조금 올라갔으며, 2017년 상반기에는 3%의 성장률을 기록하여 다시 청신호가 켜질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을 보여주었다. 노키아도 휴대폰 사업부가 몰락하고 본사도 초라한(?) 곳으로 이전하는 등의 굴욕은 겪었지만 회사 자체는 아직도 살아있다. 노키아는 '브리지 프로그램'이란 이름으로 해고된 옛 직원들에게 재취업이나 창업을 지원해주고 있으며 네트워크 관련 장비와 헬스케어 사업을 밀어나가고 있다.[7][8]

5.2. 정보·컴퓨터


이밖에도 리눅스의 개발자인 리누스 토르발즈가 핀란드인이기에 과거부터 소프트웨어 분야 산업이 많이 발전되어있다 최근에 와서는 게임 회사들이 유명한 편이다 대표적인 게임사로는 앵그리버드로 유명한 로비오나 클래시 오브 클랜으로 유명한 슈퍼셀, 퀀텀브레이크로 유명한 레메디 엔터테인먼트 등이 있다

5.3. 장비·공구


혹독한 환경 때문인지 옆나라 스웨덴처럼 트럭을 잘 만든다. 유명한 트럭 메이커이자 방위산업체인 시수(Sisu Auto)가 핀란드 기업이다.[9]
세계적인 승강기 업체인 코네(KONE)도 핀란드 기업이다.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무빙워크등을 만든다. 티센크루프, 오티스등과 함께 이 바닥에서는 유명한 기업이다.

5.4. 제지·섬유


침엽수림이 널리 퍼져있기 때문에 입업, 펄프업도 발달해있으며 제지산업도 발전되어있다

6. 관련 항목



[1] 이 표현의 출처는 이곳[2] http://en.wikipedia.org/wiki/Finland[3] http://im.ft-static.com/content/images/e563a0fa-4e14-11e4-adfe-00144feab7de.xls[4] 이 표현의 출처는 이곳[5]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MKTP.KD.ZG 얘네는 2010년 이후 +로 반등했다.[6] 정확히는 노키아뿐만 아니라 전자책으로 인해 제지업 등 임업까지 같이 몰락하게 만들었다는 발언도 했다(...)[7] 한경BUSINESS 2017-10-11 "통신장비·헬스케어로 부활한 노키아"[8] IT동아 "[르포: 노키아쇼크 극복한 핀란드를 배우다\] 언제나 변해왔다, 노키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9] 한국에도 잠깐 수입되었다가 인기가 없어서 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