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카드
[image]
'''현금카드'''(現金-)는 은행, 증권사 등 금융기관에서 발급하는 카드 종류이다.
ATM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현금을 간편하게 찾을 용도로 발급되는 카드다. 과거에는 CD카드, 캐시카드나 현금인출카드라고 불렀으나, 최근에는 그냥 현금카드라고 통칭하는 듯하다. 증권사에서 발급하는 것은 따로 증권카드, CMA카드라고도 부른다. 카드 한 장으로 현금 및 수표 입금/출금, 계좌간 송금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업무처리 과정에서 인건비가 들지 않기 때문에 창구 수수료보다 싼 수수료를 낸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결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순수 현금카드를 발급받기보다 해외 ATM 이용이 가능한 국제현금카드나 직불카드, 결제 기능이 있는 체크카드, 신용카드[1] 를 발급받고, 거기에다 현금카드를 탑재하는 상품이 많다. 일례로, 국민은행[2] 은 순수 현금카드 발행이 중단되어서, "현금카드를 발급하려고 왔어요."라고 요청하면 "저희 은행은 체크카드만 발행해요"라는 대답을 들을 것이니, myQ카드를 2,000원만 납부하고 발급받으면 되고, KB Star Club 고객 이거나 전자통장 기능까지 포함시켜달라고 요청해야 무료로 발급 가능하다.
순수 현금카드는 발급시 카드 '''발급 수수료'''를 내야 하는데, 대개 2,000원 정도 받는다.선불교통카드가 장착된 것을 선택하면 4,000원 정도를 받는 경우도 있다. 단,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은 현금카드 발급 수수료가 없다. 그리고 농협은 발급수수료가 1000원이다..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에는 별도의 발급 수수료가 없는 까닭에[6] 굳이 현금카드를 받고 싶다고 말하면 은행 텔러가 이상한 눈빛으로 쳐다본다(...)
신용카드에 현금카드 기능을 탑재하는 것은 카드겸영 은행, 금융지주회사 계열 전업계 신용카드사는 계열은행계좌에 대해서는 전산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있어서 무조건 가능하다.[7] 그러나 타행 계좌를 결제 계좌로 등록하는 것은 가능하긴 하지만, 신용카드사의 전산시스템 이용에 제약이 많다.[8] 특히 좁은 의미의 전업계 신용카드사(롯데, 삼성, 현대)는 극히 예외[9] 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신용·체크카드에 현금카드 탑재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현대 체크카드는 농협을 제외한 모든 1금융권 은행의 현금카드를 탑재할 수 있다.
은행에 따라 계좌 비밀번호와 현금카드[10] 비밀번호가 같을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업은행은 현금카드용 비밀번호가 따로 없지만[11] , 신한은행이나 우체국, NH농협은행은 계좌 비밀번호와 현금카드 비밀번호가 별개다[12] .
물론 창구에서야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라고 정확히 말해주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흘려듣기만 하고서는 계좌/현금카드/신용(체크)카드 비밀번호를 전부 다 같은 번호로 해서 이 사실을 모르는 일이 태반이고, 비밀번호를 변경할 때나 이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일례로, 계좌 비밀번호를 뱅킹에서 바꿨는데 ATM에서 새 비밀번호를 입력하고선 틀렸다고 뜨는 걸 보고서야 당황하고, 뻑나간 후 은행 창구를 찾아간 뒤에야 이 사실을 알게 된다(...) 또 신한은행 ATM에서는 각종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메뉴가 있는데, 계좌 암호와 현금카드 암호 메뉴가 따로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년경 농협중앙회 및 농축협 계좌에 대해 현금카드와 계좌의 비밀번호를 의무적으로 다르게 정해야 했다가 오만가지 욕을 다 먹고 그 제한이 풀렸던 적도 있다.'''
처음 국내에 도입되었을 적에는 일본 JIS 규격의 현금카드를 이용했지만, 1980년대 중반에 국제 표준인 ISO 규격이 추가되자 1990년대 중반에 ISO 규격으로 바뀌었다. IC는 2005년을 전후로 전면에는 IC 칩, 후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같이 부착하여 발급하고 있지만, 후면에 마그네틱선이 없이 IC칩만 있는 카드도 있다. 뒷면에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있어도 현금카드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 일도 빈번하다.[13]
2013년 2월 이후 마그네틱 전용 카드의 보안 문제로 인한 금융감독원의 정책으로 인해 마그네틱 전용카드의 ATM 사용이 일정부분 제한된다. 우선 2013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는 영업시간 내 사용이 제한되며, 2014년 2월 3일 이후에는 ATM에서의 사용이 전면 제한된다.[14][15] 각종 금융기관에서는 이걸 빌미로 돈도 안 되고 유지하기도 귀찮은 직불카드의 발급을 중단한 상태며, 이어서 수많은 알짜 신용/체크카드 상품을 '''숙청'''하고 있는 상황. 이미 NH농협은행, 부산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한국산업은행에서는 IC 전용 현금카드로 발행하고 있다. 체크카드나 신용카드의 결제 기능과는 일단 관계없다.
2011년 하반기 신용카드 수수료가 여론의 뭇매를 맞자, 금융 당국에서 2012년 12월부터 현금카드를 이용해 결제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버렸다. 분명한 사실은, 이건 직불카드가 아니고 직불카드와 별개라는 점이다.
금융IC카드뿐만 아니라 현금카드가 탑재된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로도 이용할 수 있다. 소득공제율은 직불카드 및 직불형 신용카드와 동일하게 30%다. 가맹점 수수료율은 직불카드와 비슷하게 1% 내외라고 한다. 현금카드 결제 서비스를 가장 처음 도입한 가맹점은 신세계/이마트(...) 신세계그룹 계열에서는 현금카드로 결제시 신세계포인트를 0.5%(이마트 기준) 적립해 준다. 신한은행의 직불카드를 이용하면 이마트에서 1%, 신세계백화점에서 1.5% 적립해 준다.
하지만 신용카드처럼 의무가맹 제도를 마련하지 않고 계속 술에 물 탄 듯 홍보할 거면, 현금카드 가맹점 결제 제도 또한 직불카드와 똑같이 유야무야될 것이라는 의견이 중론이다.
2015년 4월 1일부터는 일부 가맹점에 한해 결제 금액의 0.5%를 즉시 캐쉬백해 주고 있다. 캐쉬백 대상 가맹점은 다음과 같다.(http://www.kftc.or.kr/kftc/pr/EgovkftcPrDetail.do 대표적으로는 다이소가 있다. 다이소는 체크카드 결제시 현금카드로 우선결제하고 있다.
국제현금카드 관련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휴대전화로도 현금카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UbiTouch로 휴대폰 USIM에 현금카드를 심을 수 있'''었'''다. 이후 뱅크월렛으로 서비스가 확대되나 싶더니, 이게 웬걸, 몇 달 안 가 모바일현금카드 발급이 '시스템 점검중' 따위의 메시지를 띄우며 발급이 중단되다시피 되었다.
결국 2016년 7월, 유비터치와 뱅크월렛 서비스가 공식 종료되었다. 기존 발급자들만 사용 가능하며, 당연하지만 발급받았던 USIM을 폐기하면 더 이상 사용 불가.
2016년 현재는 삼성 페이에 모바일 현금카드 기능이 일부 구현되어 이용할 수 있고, 국민은행 등 몇몇 은행에서는 HCE 기반 모바일 현금카드를 서비스하고 있긴 한데… SIM SE(NFC USIM) 기반에 비해 단말기 제약은 줄어들었지만[17] , 이외의 부분에선 유비터치에 비해 제약[18] 이 심해졌다.
선불교통카드가 달린 현금카드는 우리은행(캐시비)과 NH농협은행(티머니, 팝카드, 캐시비)에서만 발행 중이다. 한때 나왔던 신한은행의 스마트원 티머니 현금카드는 수도권 소재 지점에서만 발급이 가능하고, 2008년 10월에 출시된 관계로 스마트원에 달린 스마트 티머니는 ONE card, All pass 규격이 아니고 구형 티머니이다(현재는 나오지 않음). 우리은행은 캐시비가 호환되지 않는 지역(예:대전광역시) 외의 모든 지역 지점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전국호환 캐시비(One card, All pass)가 탑재되어 있다. 각각 티머니와 캐시비의 사용 권역에 맞춰 사용이 가능하다. NH농협은행은 액세서리형 RF 현금카드인 채움 오토패스에 캐시비(이비카드)가 달려 있고, IC현금카드에 티머니 혹은 팝카드 사양이 있는데 주로 서울 쪽 지점에 있으니 미리 지점에 전화로 재고 여부를 문의해야 한다. 물론 2014년 이전에 나온 것들이라 둘 다 구형이다.
그 외에는 전자화폐인 K-Cash를 장착해서 나오는 현금카드도 있다. 전술한 우리은행은 선불교통카드 선택시 K-Cash가 달린 것으로 나온적이 있었으나, K-Cash 단종이후에는 2014년부터 신형 캐시비로만 나오고 있다.
1. 개요
'''현금카드'''(現金-)는 은행, 증권사 등 금융기관에서 발급하는 카드 종류이다.
ATM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현금을 간편하게 찾을 용도로 발급되는 카드다. 과거에는 CD카드, 캐시카드나 현금인출카드라고 불렀으나, 최근에는 그냥 현금카드라고 통칭하는 듯하다. 증권사에서 발급하는 것은 따로 증권카드, CMA카드라고도 부른다. 카드 한 장으로 현금 및 수표 입금/출금, 계좌간 송금 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업무처리 과정에서 인건비가 들지 않기 때문에 창구 수수료보다 싼 수수료를 낸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결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순수 현금카드를 발급받기보다 해외 ATM 이용이 가능한 국제현금카드나 직불카드, 결제 기능이 있는 체크카드, 신용카드[1] 를 발급받고, 거기에다 현금카드를 탑재하는 상품이 많다. 일례로, 국민은행[2] 은 순수 현금카드 발행이 중단되어서, "현금카드를 발급하려고 왔어요."라고 요청하면 "저희 은행은 체크카드만 발행해요"라는 대답을 들을 것이니, myQ카드를 2,000원만 납부하고 발급받으면 되고, KB Star Club 고객 이거나 전자통장 기능까지 포함시켜달라고 요청해야 무료로 발급 가능하다.
- 현금카드 발급사 :(!는 현금카드 위주) 산업은 무료이며, !농협(1,000원)[3] .우리[4] , 하나, 기업, 대구[5] , !전북, !광주, 부산, 경남, 우체국, SC, !저축, 새마을, 증권사, !산림조합,!수협,(!신협은 미확인)
2. 발급시 주의할 점
순수 현금카드는 발급시 카드 '''발급 수수료'''를 내야 하는데, 대개 2,000원 정도 받는다.선불교통카드가 장착된 것을 선택하면 4,000원 정도를 받는 경우도 있다. 단,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은 현금카드 발급 수수료가 없다. 그리고 농협은 발급수수료가 1000원이다..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를 발급할 때에는 별도의 발급 수수료가 없는 까닭에[6] 굳이 현금카드를 받고 싶다고 말하면 은행 텔러가 이상한 눈빛으로 쳐다본다(...)
신용카드에 현금카드 기능을 탑재하는 것은 카드겸영 은행, 금융지주회사 계열 전업계 신용카드사는 계열은행계좌에 대해서는 전산 시스템이 최적화되어 있어서 무조건 가능하다.[7] 그러나 타행 계좌를 결제 계좌로 등록하는 것은 가능하긴 하지만, 신용카드사의 전산시스템 이용에 제약이 많다.[8] 특히 좁은 의미의 전업계 신용카드사(롯데, 삼성, 현대)는 극히 예외[9] 를 제외하고는 원칙적으로 신용·체크카드에 현금카드 탑재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현대 체크카드는 농협을 제외한 모든 1금융권 은행의 현금카드를 탑재할 수 있다.
은행에 따라 계좌 비밀번호와 현금카드[10] 비밀번호가 같을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산업은행은 현금카드용 비밀번호가 따로 없지만[11] , 신한은행이나 우체국, NH농협은행은 계좌 비밀번호와 현금카드 비밀번호가 별개다[12] .
물론 창구에서야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라고 정확히 말해주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흘려듣기만 하고서는 계좌/현금카드/신용(체크)카드 비밀번호를 전부 다 같은 번호로 해서 이 사실을 모르는 일이 태반이고, 비밀번호를 변경할 때나 이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일례로, 계좌 비밀번호를 뱅킹에서 바꿨는데 ATM에서 새 비밀번호를 입력하고선 틀렸다고 뜨는 걸 보고서야 당황하고, 뻑나간 후 은행 창구를 찾아간 뒤에야 이 사실을 알게 된다(...) 또 신한은행 ATM에서는 각종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메뉴가 있는데, 계좌 암호와 현금카드 암호 메뉴가 따로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00년경 농협중앙회 및 농축협 계좌에 대해 현금카드와 계좌의 비밀번호를 의무적으로 다르게 정해야 했다가 오만가지 욕을 다 먹고 그 제한이 풀렸던 적도 있다.'''
3. 국내의 역사
처음 국내에 도입되었을 적에는 일본 JIS 규격의 현금카드를 이용했지만, 1980년대 중반에 국제 표준인 ISO 규격이 추가되자 1990년대 중반에 ISO 규격으로 바뀌었다. IC는 2005년을 전후로 전면에는 IC 칩, 후면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같이 부착하여 발급하고 있지만, 후면에 마그네틱선이 없이 IC칩만 있는 카드도 있다. 뒷면에 마그네틱 스트라이프가 있어도 현금카드 정보를 기록하지 않는 일도 빈번하다.[13]
2013년 2월 이후 마그네틱 전용 카드의 보안 문제로 인한 금융감독원의 정책으로 인해 마그네틱 전용카드의 ATM 사용이 일정부분 제한된다. 우선 2013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지는 영업시간 내 사용이 제한되며, 2014년 2월 3일 이후에는 ATM에서의 사용이 전면 제한된다.[14][15] 각종 금융기관에서는 이걸 빌미로 돈도 안 되고 유지하기도 귀찮은 직불카드의 발급을 중단한 상태며, 이어서 수많은 알짜 신용/체크카드 상품을 '''숙청'''하고 있는 상황. 이미 NH농협은행, 부산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한국산업은행에서는 IC 전용 현금카드로 발행하고 있다. 체크카드나 신용카드의 결제 기능과는 일단 관계없다.
2011년 하반기 신용카드 수수료가 여론의 뭇매를 맞자, 금융 당국에서 2012년 12월부터 현금카드를 이용해 결제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버렸다. 분명한 사실은, 이건 직불카드가 아니고 직불카드와 별개라는 점이다.
4. 결제 기능 추가
금융IC카드뿐만 아니라 현금카드가 탑재된 체크카드와 신용카드로도 이용할 수 있다. 소득공제율은 직불카드 및 직불형 신용카드와 동일하게 30%다. 가맹점 수수료율은 직불카드와 비슷하게 1% 내외라고 한다. 현금카드 결제 서비스를 가장 처음 도입한 가맹점은 신세계/이마트(...) 신세계그룹 계열에서는 현금카드로 결제시 신세계포인트를 0.5%(이마트 기준) 적립해 준다. 신한은행의 직불카드를 이용하면 이마트에서 1%, 신세계백화점에서 1.5% 적립해 준다.
하지만 신용카드처럼 의무가맹 제도를 마련하지 않고 계속 술에 물 탄 듯 홍보할 거면, 현금카드 가맹점 결제 제도 또한 직불카드와 똑같이 유야무야될 것이라는 의견이 중론이다.
2015년 4월 1일부터는 일부 가맹점에 한해 결제 금액의 0.5%를 즉시 캐쉬백해 주고 있다. 캐쉬백 대상 가맹점은 다음과 같다.(http://www.kftc.or.kr/kftc/pr/EgovkftcPrDetail.do 대표적으로는 다이소가 있다. 다이소는 체크카드 결제시 현금카드로 우선결제하고 있다.
5. 해외의 현금카드
- 일본에서는 주로 キャッシュカード라고 불리우며, 창구에서 현금카드를 즉시 발급 해주는 금융기관은 1자리수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희귀하다. 은행 창구에서 계좌개설시 종이통장은 바로 발행해주지만 현금카드[16] 는 1주뒤 정도에 등기우편으로 배달되는 일상적이다.
인터넷 혹은 우편 등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하면 당연히 통장을 포함한 현금카드는 우편으로 배달된다.
6. 기타
국제현금카드 관련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
휴대전화로도 현금카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UbiTouch로 휴대폰 USIM에 현금카드를 심을 수 있'''었'''다. 이후 뱅크월렛으로 서비스가 확대되나 싶더니, 이게 웬걸, 몇 달 안 가 모바일현금카드 발급이 '시스템 점검중' 따위의 메시지를 띄우며 발급이 중단되다시피 되었다.
결국 2016년 7월, 유비터치와 뱅크월렛 서비스가 공식 종료되었다. 기존 발급자들만 사용 가능하며, 당연하지만 발급받았던 USIM을 폐기하면 더 이상 사용 불가.
2016년 현재는 삼성 페이에 모바일 현금카드 기능이 일부 구현되어 이용할 수 있고, 국민은행 등 몇몇 은행에서는 HCE 기반 모바일 현금카드를 서비스하고 있긴 한데… SIM SE(NFC USIM) 기반에 비해 단말기 제약은 줄어들었지만[17] , 이외의 부분에선 유비터치에 비해 제약[18] 이 심해졌다.
선불교통카드가 달린 현금카드는 우리은행(캐시비)과 NH농협은행(티머니, 팝카드, 캐시비)에서만 발행 중이다. 한때 나왔던 신한은행의 스마트원 티머니 현금카드는 수도권 소재 지점에서만 발급이 가능하고, 2008년 10월에 출시된 관계로 스마트원에 달린 스마트 티머니는 ONE card, All pass 규격이 아니고 구형 티머니이다(현재는 나오지 않음). 우리은행은 캐시비가 호환되지 않는 지역(예:대전광역시) 외의 모든 지역 지점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전국호환 캐시비(One card, All pass)가 탑재되어 있다. 각각 티머니와 캐시비의 사용 권역에 맞춰 사용이 가능하다. NH농협은행은 액세서리형 RF 현금카드인 채움 오토패스에 캐시비(이비카드)가 달려 있고, IC현금카드에 티머니 혹은 팝카드 사양이 있는데 주로 서울 쪽 지점에 있으니 미리 지점에 전화로 재고 여부를 문의해야 한다. 물론 2014년 이전에 나온 것들이라 둘 다 구형이다.
그 외에는 전자화폐인 K-Cash를 장착해서 나오는 현금카드도 있다. 전술한 우리은행은 선불교통카드 선택시 K-Cash가 달린 것으로 나온적이 있었으나, K-Cash 단종이후에는 2014년부터 신형 캐시비로만 나오고 있다.
[1] 상품에 따라 현금카드 기능을 추가할 수 없는 것도 있다.[2] 신한은행은 국제현금카드를 제외하고는 발급을 하지 않으며 계열사인 제주은행과인터넷전문은행, 씨티은행,일부증권사는 아예발급하지 않는다.[3] 티머니 기능이 있는 것은 4,000원. 서울 쪽 지점에 주로 있으니,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지방에는 티머니 자재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된다.[4] 캐시비추가시 3000원 교통카드 없는 것은 2000원[5] 다른은행들과는 달리 발급비가 비싸며 직불추가시 3,000원이다.[6] 경남은행, 기업은행(재발급 한정), 하나카드(7월 1일부터 추가발급한정), NH농협은행(현금카드 기능 추가 이며 신규든 추가발급이든 상관없이 무조건 천원 부과), 대구은행이나 부산은행처럼 '''체크카드 발급 수수료'''를 내는 곳도 있다. 게다가 부산은행은 타 은행과 달리 조건부 환급같은 것도 없다![7] NH농협카드에 NH농협은행, 또는 신한카드에 신한은행 현금카드 기능 탑재와 같은 방식. 물론 구 LG카드 출신의 몇몇 상품은 신한은행 계좌 탑재가 불가능했으나, '''그건 그 녀석들이 특이한 것들'''이라서 그렇다.[8] 신용카드 대금을 결제일에만 결제할 수 있어서, 선결제가 안 되고 가상계좌 입금만 된다든가 하는 식으로 불편을 준다.[9] 삼성카드-SC제일은행,새마을금고, 현대카드-한국산업은행 or KEB하나은행 제휴 상품 등.[10] 당연한 말이지만, 이는 체크·신용카드의 현금입·출금시를 포함한다. 은근히 오해하는 사람이 널렸다(…). ATM에서 돈 찾을 때 체크(신용)카드 비밀번호를 넣는 거냐고 오해하는 사람도 있으니 말 다했다.[11] 즉, 은행 창구와 인터넷뱅킹에서 넣는 네자리 계좌 비밀번호가 곧 ATM에서 돈 찾을 때 입력하는 네자리 비밀번호이다.[12] 즉, 은행 창구나 인터넷뱅킹에서 넣는 네자리 계좌 비밀번호와 ATM에서 돈 찾을 때 넣는 네자리 카드 비밀번호가 별개이다.[13] 보통 체크카드나 신용카드에 현금인출기능이 부여된다면 카드 외부에 '''CD 겸용'''이라고 적어놓기도 한다.[14] 하지만 창구에서 카드 거래가 가능한 금융기관은 창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한다.[15] 또한 해외 발행의 마그네틱 카드는 별도의 제한이 없다고 한다. 국내발행 카드만 2014년 이후 사용 불가.[16] 신용카드나 데빗카드 일체형 포함[17] USIM과 단말기의 통신사를 서로 일치시킬 필요가 없다든지, HCE만 지원하는 구글 넥서스같은 외산 폰에서도 된다든지 등.[18] 타행 ATM에서는 거래가 안 된다던가, 거래 시 매번 휴대폰의 화면을 켜야 한다던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