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선불
1. 개요
선불교통카드는 사용전 현금으로 충전하여 버스, 전철 탑승시 단말기에 태그하여 잔액을 차감하는 방식이다. 본 항목에는 대한민국에서 발매중인 선불식 교통카드의 목록과 사용가능한 지역을 수록하였다.
본문을 보면 상당히 내용이 많다. 각종 교통카드의 상호 호환이 많이 이루어진 지금, 승차 불가 지역을 정리한 다음 표를 통해 대한민국 각 지역에서의 선불 교통카드 사용 가능 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2018년 현재로서, 티머니만 있어도 전국을 누빌 수 있다. 다만 호환 지역 중에는 티머니의 충전이 어려운 지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가급적 캐시비를 함께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다.
교통카드를 시행하지 않는 군위군, 영양군, 청송군, 진도군, 옹진군은 현금으로만 탑승이 가능하다. 이중 진도군은 교통카드 단말기는 설치되어 있으나 사용을 하지 않고 있으며, 군위군, 영양군, 청송군은 단말기조차 설치되지 않았다. 옹진군은 790번과 영흥도 공영버스만 교통카드가 가능하고 나머지는 현금승차다.
한국스마트카드에서는 수지타산 문제와 각 군의 재정자립도 문제로 각 군 단독으로는 설치 불가하고, 경북 4개 군이 공동 도입하면 가능하다고 하였다. 청송군에서 공동도입 협조 공문을 수차례하고 청송, 영덕이 예산확보를 매년 하는 등 노력하였으나 2017년 4월 군위군 포기, 9월 영양군 포기, 10월 영덕군 포기, 11월 청송군[2] 포기하면서 무산되었다. 그 중 영덕군은 DGB유페이와 계약하며 원패스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인접한 같은 BYC 지역인 봉화군은 영주시와 같이 티머니와 캐시비를 사용한다.
센스패스의 사업 지역을 한국스마트카드에서 인수함으로써 캐시비는 전지역 레일플러스는 김해시를 제외한 전지역의 호환이 2018년 연내에 완료될 예정이다. 경상남도 시외버스의 교통카드 사업권을 이비카드에서 인수하면서, 2018년 1월 17일 부로 경상남도의 시외버스도 교통카드로 탑승이 가능해졌다.
아래 목록 중 따로 괄호가 쳐져 있지 않은 지역은 전 지역 사용 가능을 의미한다.
인천국제공항철도와, 강원도[3] 나 충청남도[4] 의 수도권 전철은 별도 표시된 항목 이외에는 수도권 권역에 해당된다.
2. 티머니/한꿈이카드 (티머니(기업))
※ 수도권 교통수단 이외의 어떠한 곳에서도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다. 한 마디로 유패스나 다름없다는 말이다.
※ 티머니 제휴 사용 지역에서의 구입, 충전 및 잔액 환불은 GS25, CU, 미니스톱 편의점과 우체국, 신한은행, 제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신협, 국민은행 ATM에서만 할 수 있다. 단 NH농협은행, 신협, 국민은행 ATM은 당행 계좌가 있어야 충전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가까운 신한은행, 제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우체국을 이용하자. 일부 신한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중앙회) 지점에서 티머니 기능이 포함된 IC현금카드를 발급하기도 하는데, 재고 여부는 미리 문의해야 할 듯. 똑같은 스마트 티머니라도 2008년 이후에 발행된 것들이 타 호환 지역에서 잘 인식되며, 2004년에 나온 초기형 스마트 티머니는 인식이 잘 안 되거나 아예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단, 티머니 미호환지역에서는 편의점에서 충전이 불가능하며(GS25에서 결제나 홈플러스에서 짱플러스 구입이나 은행 ATM으로 충전은 가능. 예전에는 티머니 호환지역에서도 충전이 불가능한 지역이 있었으나, 대구는 2015년 4월부터 GS25에서 티머니의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며 2016년 7월부터 T-마일리지 충전이 가능하다. 광주는 2016년 4월부터 GS25에서 티머니의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다.), 티머니 제휴 사용 지역 중 인천, 경기, 부산, 창원, 목포, 여수, 천안, 아산, 원주, 횡성, 강릉 지역은 은행, GS25, CU, 미니스톱 외에 세븐일레븐, 바이더웨이, 일반 가판대에서도 구입 및 충전이 가능하다.[6] 경상남도 시외버스의 교통카드 사업권을 이비카드에서 인수하면서, 2018년 1월 17일부로 경상남도의 시외버스도 교통카드로 탑승이 가능해졌다.
- 수도권 전철 정기승차권 카드
- 수도권(수도권 전철)
※ 2005년 4월 15일부터 발매된 수도권 전철 통합 정기권 카드다. 가격은 역시 2,500원. 정기승차권 카드를 구입한 후, 각각 '서울전용'과 '거리비례제' 방식으로 충전한 후, 30일 이내/60회 이내 탑승이 가능하다. 역무실에서 구입할 수 있으며, 탑승가능 횟수와 기타 사항들을 구입시 안내해 준다.
3. 캐시비/티모아(이비카드)
- 수도권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울산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7]
- 세종특별자치시
- 강원도
- 경상북도(군위군, 영양군, 청송군[미시행] 을 제외한 전 지역)
- 경상남도(거제시, 김해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통영시, 의령군, 함안군)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충청남도
- 충청북도
- 제주특별자치도
- 전국 시외버스
- 전국 철도역[8]
3.1. 마이비
마이비의 경우 기본적으로 같은 계열의 카드를 사용하는 다른 지역에 가도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ex.디지털경남카드로 광주 도시철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환승도 가능) 단, 지역별로 특정 지역의 카드를 사용할 경우 인식이 되지 않거나, 환승이 되지 않는 등의 일도 있다. 이러한 카드(지역)은 분리해 표기하였다. 2014년 8월 부로 편의점 등에서의 결제가 되지 않으니 유의하자. 한때 부산 도시철도에서는 오직 디지털부산카드만 충전이 가능하기도 했다.
- 타 지역 호환 가능 기종
- 지역 제한 기종
- 호환 사용 가능 지역
- 수도권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강원도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속초시, 양구군, 영월군,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고성군, 양양군)
- 경상북도(포항시)
- 경상남도(거제시, 통영시)
- 제주특별자치도
※ 세종특별자치시의 경우 교통카드를 티머니로 갈아 엎으면서 구형 MIFARE 마이비카드의 사용을 전면 금지시켰다.
※ 2012년 4월부터 발매되는 신 마이비카드[17] 는 캐시비의 사용 권역에 준하여 이용 가능하다.
3.2. 하나로카드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강원도(원주시, 춘천시, 횡성군을 제외한 전 지역)
- 경상북도(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포항시)
- 경상남도(김해시, 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의령군, 함안군)
- 전라북도
- 전라남도(강진군, 구례군, 완도군, 진도군을 제외한 전 지역)
- 충청북도
- 제주특별자치도[18]
※ 2012년 4월부터 발매되는 신 하나로카드[19] 는 캐시비의 사용 권역에 준하여 이용 가능하다.
4. 원패스/탑패스 (DGB유페이)
각 카드 종별로 상세한 사용 가능 여부는 원패스 항목에 예쁘게 정리되어 있다.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광주광역시(이마트 24에만 충전가능)
- 경상북도(군위군, 영양군, 청송군[미시행] 을 제외한 전 지역)
- 경상남도(김해시)
- 제주특별자치도(대구은행과 이마트 24가 없는 관계로 충전 불가)
- 전라남도(강진군, 구례군, 함평군) (이마트 24에만 충전가능)
※ 제주특별자치도, 강진군, 구례군, 함평군에서는 구형과 신형 모두 호환이 가능하다.
※ 구미시, 김천시는 주변 지역 대중교통 의존도가 높은 칠곡군의 편의를 위해 임시로 개방한 것이며, 정식 호환 협정은 아니지만 탑패스와 원패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 성주군, 청도군 면허 버스에서는 해당 지역의 터미널에서 사용할 수 없다.
※ 수도권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대구은행 3곳(을지로2가 서울영업부, 여의도지점, 강남지점), 경기도 안산시 반월산단지점에서만 충전할 수 있다. 대신 모두 점내 ATM이므로 충전하고 싶다면 오후 4시가 되기 전에 이용할 것. 자동충전카드와 모바일카드는 쓸 수 없다.
5. 한페이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광주광역시
- 대구광역시
- 대전광역시
- 부산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 강원도
- 경상남도(밀양시, 사천시, 양산시, 진주시, 창원시, 함안군)
- 경상북도(경산시, 경주시, 구미시, 김천시, 문경시, 상주시, 영주시, 포항시, 봉화군[A] , 예천군, 울진군, 의성군)
- 전라남도
- 전라북도
- 충청남도
- 충청북도
- 제주특별자치도
6. 레일플러스 (한국철도공사)
2014년 10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 강원도
- 충청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진도군, 화순군, 완도군, 구례군, 함평군, 해남군, 강진군 제외)
- 경상북도(군위군, 영덕군, 영양군, 청송군[미시행] 제외)
- 경상남도(거제시,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통영시, 하동군, 함양군, 합천군, 함안군 제외)
- 제주특별자치도( 세븐일레븐,롯데마트,우리은행,농협에서만 충전가능 유통사용처 없음)
- 동해선 정기승차권 카드
6.1. 코레일멤버십카드/KTX패밀리카드 (코레일네트웍스)
이 카드도 선불제 교통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발급처는 한국철도공사가 아니라 자회사인 코레일네트웍스. 기반 시스템은 마이비이며, 티머니와 마이비를 쓸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쓸 수 있다.(단 경기도, 인천, 대구, 경산, 세종, 대전, 포항, 안동, 영주, 문경, 상주, 봉화, 예천, 울진, 의성, 강진, 구례, 통영, 거제, 거창, 고성, 남해, 산청, 창녕, 하동, 함양, 합천,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의 모든 버스는 인식이 아예 안 된다)
발매 초창기에는 수도권에서는 코레일멤버십카드를 발급하는 서울, 용산, 영등포, 광명, 수원역(현재 철수) 외에는 충전소가 없었기 때문에 사용에 애로사항이 꽃 폈으나, 현재는 코레일 전 구간 수도권 전철역에 설치되어 있는 1회용 교통카드발매 충전기에서 충전을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전국에 철도역 매표창구에서도 모든 코레일멤버십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마이비카드를 쓰는 모든 지역에서도,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코레일멤버십카드를 충전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티머니 충전기에서는 이 카드로 충전이 불가능하다.
2010년부터 발급처인 코레일네트웍스에서는 교통카드 기능을 제외한 버전으로 공급했다.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카드의 고장률과 인식불량률이 상당히 심각해서 2009년을 마지막으로 삭제됐다.[20] 다만 교통카드 기능을 제외했음에도 코레일 멤버십 카드 뒷면에 찍혀 있는 카드 번호는 현재 발행 중인 레일플러스 일반형처럼 2099로 시작한다는 특징이 있다. 2013년에 코레일 멤버십 카드의 발행도 전면 폐지되어 현재 코레일 멤버십 카드는 한국철도공사의 네임드급 철도역 내 라운지 출입용 카드 정도로 이용할 수 있다.
코레일이 2014년 개통을 목표로 교통카드 정산센터를 구축하고, 여기에 맞춰서 전국호환 교통카드를 출시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름은 예전에 코레일 멤버십 마일리지 이름으로 쓴 적이 있었던 레일플러스로 결정됐다. 다만 두 사업 모두 감사원으로부터 태클을 한 차례 먹은 상태인데 언론 보도가 많지 않아 실제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미지수였으나 2014년 10월 25일에 정식으로 출시됐다.
7. 공통 제약 사항
코레일의 철도 승차권 구입시 무조건 매표창구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티켓자판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명절 특별수송 기간에는 매표창구에 가더라도 선불교통카드로 결제할 수 없다.''' 코레일톡 어플에서도 선불 교통카드 사용이 안 된다.
대중교통안심카드의 경우, 오직 버스나 도시철도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유통결제용으로는 사용이 안 된다.
[1] 790번, 영흥도 공영버스는 가능[2] 청송사과 자판기는 교통카드 결제가 가능하다.[3] ex. 춘천시[4] ex. 천안시, 아산시[5] 카드번호가 16자리 숫자 표준형이 아닌 중간에 영문자가 들어간 비표준형이다. One Card All Pass 규격 티머니 발매 이후로 완전히 단종되었다.[미시행] A B C D 군위군, 영양군, 청송군은 교통카드를 시행하지 않아 현금으로만 탑승이 가능하다.[6] GS25에서 충전, 결제가 가능한 지역 #[7] 구형 마이비/이비카드 사용 불가능.[8] 전국호환 교통카드 기종이 아닌 기존 일반 캐시비 카드도 전국의 철도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9] 카드번호가 16자리가 아닌 1,500원짜리 카드로, 카드번호 중간에 EBA(일반용), EBS(청소년용), 혹은 EBC(어린이용)라고 적힌 카드로, 인천/경기도에서 발행한 이비 티머니와 이비 유패스도 여기에 속한다. 이비 유패스는 수도권에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버스, 서울 9호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상기 노선 제외)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EBA/EBS/EBC로 시작하는 구형 카드들은 2012년에 캐시비로 교환해 주는 행사를 열기도 했다.[10] 원주, 횡성의 경우 캐시비 신형 카드가 안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에러가 개선된 듯하다.[11] 2004년 7월 서울시내버스 노선 개편 전에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서 발매된 카드로, 카드번호 중간에 EA(일반용) 혹은 ES(학생용)라고 적힌 카드[12] 빛고을카드는 수도권에서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시내버스, 서울 9호선, 신분당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에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 (상기 노선 제외) 에서의 사용이 불가능하며, 충전은 부산은행에서만 불가능하다.[13] 광주 도시철도는 대학생에게도 할인 운임을 적용하기 때문에,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학생용 카드를 별도로 발매한다. 단, 2016년 8월 1일 광주광역시 대중교통 요금 인상과 함께 대학생 요금제가 폐지되어 대학생 교통카드는 단종되었다.[14] 광주광역시는 2011년 말에 마이비와 계약이 끝나고 한페이시스와 새로 계약했다.(단, 마이비는 한페이시스의 주식을 갖고 있다) 2014년 현재도 마이비 역시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15] 아이러니하게도 수도권(서울)에서는 충전/환승은 물론이고 인식 자체가 되지 않는다.[16] 이 카드로는 창원시 시내버스의 환승할인을 받을 수 없다.[17] 마이비 로고가 붙은 캐시비다.[18] 가끔 하나로카드는 인식이 잘 안 되는 일이 있다고 한다.[19] 하나로카드 로고가 붙은 캐시비다.[A] 영주-봉화간 노선에서만 사용가능, 봉화군내 노선은 2015년내 사용예정[20] 다만 2012년에 발급받은 카드도 코레일 충전기에서는 교통카드로 인식이 된다. 그런데 개집표기에서는 인식이 아예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