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번 지방도
1. 개관
[image]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과 강원도 인제군 북면을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4년에 56번 국도의 연장구간으로 편입 예정이었으나 무산된 대신 국가지원지방도가 되었다.
2002년에 이른바 '효순이 미선이 사건'이라고 하는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가 일어났던 흑역사가 있다. 정확한 위치는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의 울어리 고개. 실제로 교통사고가 빈번한 도로이기 때문에 이 구간을 포함한 법원~상수 구간(일명 효순·미선 도로)을 2002년부터 확장 및 포장했으며 2014년 7월에 종점 부인 상수교차로~덕도교차로 구간이 임시 개통되었고 나머지 법원읍 갈곡리까지 구간은 2014년 12월에 개통되었다. 이후로는 효순이 미선이 사건같은 비극적인 사건이 더 이상 발생되지 않기를 기대해 본다.
참고로 법원읍 갈곡리에서 끝나는 구간 이후로도 2005년부터 확장공사가 진행중이다. 조리~법원간 확포장 4차로 공사가 진행중으로 개통시기는 2017년 말이라고 한다. 원래 2010년 전구간 왕복4차로 확장개통 예정이었으나 이명박 정부 시절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해 예산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몇 번이고 공사가 중단된 적도 있어서 개통 시기가 당초 계획보다 '''7년'''이나 밀린 것이다. 2014년부터 예산이 제대로 확보되어 공사가 잘 진행되고 있었고, 2014년 11월 등원교차로에서 오산1교차로까지, 2015년 말 오산1교차로~광탄교차로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 2017년 6월 30일 광탄교차로~연풍교차로 구간이 개통되었다. 예정대로라면 이후 갈곡리까지 금방 개통 되었겠지만 중간에 보존이 잘 된 신석기 유적이 튀어나오는 바람에 공사가 지연됐었다.
그래서 예상보다 늦었으나 광남로[1] -파주로[2] 전 구간이 2018년 12월 20일에 완전 개통되었다.
속초와 인제를 연결하는 미시령터널(민간투자사업 유료구간)도 56번 지방도의 구간 중 하나이다.
김포시 하성면과 파주시 문발동 사이는 한강을 지나기 때문에 아직 개통되지 않았다. 하성대교가 지어질 예정인데 통일이 될 때까지 마지막 한강 다리가 될 것이다.
2. 노선
2.1. 경기도
2.1.1. 김포시
- 군하로
김포시 월곶면이 시점으로, 48번 국도와 만나며 출발한다.
- 애기봉로
통진읍을 가쳐 하성면까지 이어진다.
하성면 하성교차로에서 길이 끊긴다. 여기부터 한강 건너편까지는 하성대교로 이어져야 하지만, 2020년 기준으로 아직 공사 시작도 되지 않았다. 북한과 너무 가까이 있는 관계로 남북통일 이전에 과연 완공될지 알 수조차 없다.[3] 우회도로를 이용하여 한강 건너 파주시 문발동 문발 나들목까지 알아서 찾아오자(…).
하성면 하성교차로에서 길이 끊긴다. 여기부터 한강 건너편까지는 하성대교로 이어져야 하지만, 2020년 기준으로 아직 공사 시작도 되지 않았다. 북한과 너무 가까이 있는 관계로 남북통일 이전에 과연 완공될지 알 수조차 없다.[3] 우회도로를 이용하여 한강 건너 파주시 문발동 문발 나들목까지 알아서 찾아오자(…).
2.1.2. 파주시
광남로(양주시) - 파주로(파주시) 전 구간 주행 영상
- 파주로
문발동 문발 나들목에서 77번 국도(자유로)와 만난다. 자유로 연계로 인하여 왕복 4차로로 바뀐다.
교하지하차도에서 지하차도 진입 전 옆길을 통해 청암로와 교차한다.
산내교차로에서 남북로와 교차한다.
다율교차로에서 청암로와 교차한다.
와동교차로에서 359번 지방도(경의로)와 교차한다.
금촌지구교차로에서 직진, 금릉역로와도 교차한다.
등원교차로에서 1번 국도(통일로)와 교차한다.
뇌조교차로에서 정문로와 교차한다.
오산2교차로에서 등원로, 당재봉로와 교차한다.
광탄교차로에서 78번 지방도(등원로, 혜음로)와 교차한다.
방축교차로에서 360번 지방도(부흥로, 광탄천로)와 교차한다.
신산교차로에서 외화산길과 교차한다.
연풍교차로에서 혜음로와 만난다.
대능교차로에서 술이홀로와 교차한다.
법원교차로에서 사임당로와 교차한다.
오현교차로에서 화합로와 교차한다.
술이홀로 - 사임당로 - 화합로는 전부 이 도로의 본선이었으나 2018년 12월 20일에 법원읍 구간까지 전 구간 개통하면서 위의 파주로로 전면 교체되 는줄 알았으나 희한하게도 그냥 그대로 56번 지방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광탄부터 상수리까지 新, 舊 두 개의 56번 지방도가 평행하게 지나가는 셈.교하지하차도에서 지하차도 진입 전 옆길을 통해 청암로와 교차한다.
산내교차로에서 남북로와 교차한다.
다율교차로에서 청암로와 교차한다.
와동교차로에서 359번 지방도(경의로)와 교차한다.
금촌지구교차로에서 직진, 금릉역로와도 교차한다.
등원교차로에서 1번 국도(통일로)와 교차한다.
뇌조교차로에서 정문로와 교차한다.
오산2교차로에서 등원로, 당재봉로와 교차한다.
광탄교차로에서 78번 지방도(등원로, 혜음로)와 교차한다.
방축교차로에서 360번 지방도(부흥로, 광탄천로)와 교차한다.
신산교차로에서 외화산길과 교차한다.
연풍교차로에서 혜음로와 만난다.
대능교차로에서 술이홀로와 교차한다.
법원교차로에서 사임당로와 교차한다.
오현교차로에서 화합로와 교차한다.
2.1.3. 양주시
- 광남로
- 화합로
남면 상수4교차로에서 39번 지방도(삼일로)와 교차한다.
은현면 은현교차로에서 375번 지방도(본선, 백은로)와 합류한다.
은현면 선암리 입구에서 375번 지방도(지선, 그루고개로)와 분기한다.
회정동(회천2동) 덕정사거리에서 3번 국도(평화로)와 교차한다.
덕정동(회천1동) 덕정삼거리에서 독바위로와 분기한다.
고암동(회천3동) 칠봉초교앞에서 회정로와, 덕정고교앞과 주공삼거리에서 고암길과 분기한다.
회암동(회천4동) 서재말교차로에서 신평화로와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분기한다.
회암동(회천4동) 회암삼거리에서 옥정서로와 분기한다.
율정동(회천4동) 율정삼거리에서 옥정동로(옥정신도시 방향), 칠봉산로(봉양동 방향)와 분기한다.
율정동(회천4동) 김삿갓교 앞에서 379번 지방도(천보산로, 동두천시 탑동동 방향)와 합류한다.
회암동(회천4동)에서 379번 지방도(율정로, 옥정신도시 방향)와 분기한다.
회암고개. 일명 투바위고개로 의외로 높고 상당한 헤어핀을 자랑한다. 양주시 회암동(회천4동)과 포천시 동교동(선단동)과의 경계이다.
이미 2013년경에 화합로와 광남로의 분기로 상수교차로-덕도교차로 구간의 광남로가 56번 지방도이며, 광남로 신설 이전의 화합로 전 구간은 전면 교체되어 더 이상 이 도로의 본선이 아니다.은현면 은현교차로에서 375번 지방도(본선, 백은로)와 합류한다.
은현면 선암리 입구에서 375번 지방도(지선, 그루고개로)와 분기한다.
회정동(회천2동) 덕정사거리에서 3번 국도(평화로)와 교차한다.
덕정동(회천1동) 덕정삼거리에서 독바위로와 분기한다.
고암동(회천3동) 칠봉초교앞에서 회정로와, 덕정고교앞과 주공삼거리에서 고암길과 분기한다.
회암동(회천4동) 서재말교차로에서 신평화로와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분기한다.
회암동(회천4동) 회암삼거리에서 옥정서로와 분기한다.
율정동(회천4동) 율정삼거리에서 옥정동로(옥정신도시 방향), 칠봉산로(봉양동 방향)와 분기한다.
율정동(회천4동) 김삿갓교 앞에서 379번 지방도(천보산로, 동두천시 탑동동 방향)와 합류한다.
회암동(회천4동)에서 379번 지방도(율정로, 옥정신도시 방향)와 분기한다.
회암고개. 일명 투바위고개로 의외로 높고 상당한 헤어핀을 자랑한다. 양주시 회암동(회천4동)과 포천시 동교동(선단동)과의 경계이다.
2.1.4. 포천시
- 화합로
- 청군로
군내면 군내사거리에서 43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군내면 용정사거리에서 87번 국도와 교차한다.
군내면 구읍삼거리에서 우회전
수원산고개. 일명 44고개라고도 한다. 군내면과 화현면의 경계에 있다. 정상에 전망대가 있다. 고개가 꽤 길고 험난하며 화현면 쪽은 미칠 듯한 헤어핀을 자랑한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교통을 통제한다. 그러나 같은 이유로 차덕후들 사이에서는 와인딩 코스로도 유명하다. 화현면 쪽 고개 중턱 내촌면과의 경계 부근에 화현면으로 내려갈 수 있는 샛길이 있으며, 고개를 전부 내려오면 내촌면이 된다.
내촌면 서파교차로에서 37번 국도와 직결하면서 47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이후 강원도 철원군 서면까지 47번 국도와 중첩되므로 47번만 보고 계속 따라가자.
군내면 용정사거리에서 87번 국도와 교차한다.
군내면 구읍삼거리에서 우회전
수원산고개. 일명 44고개라고도 한다. 군내면과 화현면의 경계에 있다. 정상에 전망대가 있다. 고개가 꽤 길고 험난하며 화현면 쪽은 미칠 듯한 헤어핀을 자랑한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교통을 통제한다. 그러나 같은 이유로 차덕후들 사이에서는 와인딩 코스로도 유명하다. 화현면 쪽 고개 중턱 내촌면과의 경계 부근에 화현면으로 내려갈 수 있는 샛길이 있으며, 고개를 전부 내려오면 내촌면이 된다.
내촌면 서파교차로에서 37번 국도와 직결하면서 47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이후 강원도 철원군 서면까지 47번 국도와 중첩되므로 47번만 보고 계속 따라가자.
2.2. 강원도
2.2.1. 철원군
- 태봉로
- 하오재로
근남면 육단리에서 56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이후 강원도 화천군, 춘천시, 홍천군, 양양군 구간은 56번 국도와 중첩된다. 56번 국도만 계속 따라가자. 양양군에서 44번 국도를 만나면 우회전하고, 7번 국도를 만나면 좌회전하여 속초시까지 7번 국도를 따라가자.2.2.2. 속초시, 고성군
- 미시령로
교동지하차도사거리에서 7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좌회전하면 미시령로 구간이 시작된다. 이 구간은 지금까지와는 다르게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다.
미리 말하면 이 구간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어진 도로이기 때문에 유료도로이다. 다만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니기 때문에 유료도로로서는 드물게 이륜차(오토바이)의 통행이 가능하다. 이륜차에 한해 요금을 징수하지 않는다. 현재 하이패스 사용이 가능하다.
원암1교차로에서 옛 미시령길과 분기한다. 혹시나 돈을 안 가져왔다면(…) 옛 미시령길을 이용하자. 돈을 가져왔다면 직진해서 미시령요금소에 요금을 지불하자.
미시령터널.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이다.
미리 말하면 이 구간은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어진 도로이기 때문에 유료도로이다. 다만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니기 때문에 유료도로로서는 드물게 이륜차(오토바이)의 통행이 가능하다. 이륜차에 한해 요금을 징수하지 않는다. 현재 하이패스 사용이 가능하다.
원암1교차로에서 옛 미시령길과 분기한다. 혹시나 돈을 안 가져왔다면(…) 옛 미시령길을 이용하자. 돈을 가져왔다면 직진해서 미시령요금소에 요금을 지불하자.
미시령터널. 속초시와 인제군의 경계이다.
2.2.3. 인제군
- 미시령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