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1. 개요
2. 노선 목록
2.1. 경기
2.2. 강원
2.3. 충북
2.4. 충남
2.5. 전북
2.6. 전남
2.7. 경북
2.8. 경남
2.9. 제주
3. 외국의 지방도

地方道 | Local highway

1. 개요


[image]
지방도 기호
도(제주특별자치도 포함)에서 관리 및 운영하는 도로. 기호는 노란 직사각형 표시를 사용한다. 서울특별시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서울특별시도, 광역시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광역시도로 따로 부르며,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지방도와 시도이다. 지방도와는 다르게 특별시도, 광역시도, 시도는 팔각형 모양의 표지를 사용하며 흰색 바탕에 파란색 글자로 노선명을 표기하는데, 최근에는 지방도인데도 팔각형을 잘못 쓰는 곳도 많은 듯하다. 거꾸로 시군구도를 지방도와 같은 노란 사각형으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이보다 더 하위 등급은 시 단위로 관리하는 시도, 군 단위로 관리하는 군도가 있고, 국도나 지방도가 대체 도로가 생길 경우 격하되어 군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1] 당연히 보수나 제설면에서 지방도에도 밀려 엉망인 노면 상태를 자랑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시령 구 도로. 미시령 터널 개통 이후 눈이 오면 무조건 통제하고 제설은 신경도 쓰지 않는 길로 변모했다.
국가로부터 도로 건설비용 지원을 받는 국가지원지방도와, 오로지 지방자치단체만의 힘으로 운영하는 일반 지방도로 분류된다. 국가지원지방도는 숫자가 국도처럼 2자리, 일반 지방도는 3자리 이상으로 되어 있으며, 도로 표지판에 표시할 때는 모두 노란색 사각형 안에 도로 번호를 표기한다.
국가지원지방도를 빼고 지방도의 경우 번호선정은 각 도별로 나눠서 한다. 300번대는 경기도, 400번대는 강원도, 500번대는 충북, 600번대는 충남, 700번대는 전북, 800번대는 전남, 900번대는 경북, 1000번대는 경남, 1100번대는 제주도이다. 1200번대 이후로는남북통일이 되면 황해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함경북도, 함경남도의 순서에따라 1200 ~ 1600번대의 봉인이 풀릴 것으로 보인다. 원래 지방도가 다른 도로 넘어가면 뒤 2자리의 고유번호는 바뀌지 않아야 하지만(예: 만약 959번 지방도(실제로는 없는 노선)이 경남으로 넘어가면 1059번이 되어야 한다), 지켜지지 않는 듯 하다... 또 원래 01~50은 도내 노선, 51~99는 도계외 노선이지만 그것도 지켜지지 않는 듯하다. 100번대와 200번대는 결번인데 확실한 정설은 없으나 다른나라와는 달리 국도와 지방도의 도로 번호가 일원화 되어있는 한국의 특성상 100번대와 200번대는 국도 및 국가지원지방도의 예비번호라는 설이 있다.
지방도가 국가의 손에 넘어가게 되어 국도 혹은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도를 건설 및 유지할 힘이 부족할 경우 해당 지방도의 국도 혹은 국가지원지방도 승격을 종종 요구하기도 한다. 물론 실제로 반영되는 경우는 적다.
그 반대로 원래 국도였던 구간이 지방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제주도의 일부 지방도들을 들 수 있다.[2] 심지어 고속도로였던 구간이 지방도로 수직낙하하는 경우도 있다. 영동고속도로의 구 대관령 구간인 456번 지방도88올림픽고속도로의 구 장수군 구간이었던 743번 지방도가 그 주인공. 특히 456번 지방도는 극악의 선형과 더불어 '''국도 겸용 고속도로'''라는 해괴한 타이틀을 갖고 있던 걸로 유명하다.
국도와는 달리[3] 각 광역자치단체들의 사정에 따라 완공되지 못하고 끊겨있는 구간이 많이 보이고, 국도와 중첩될 경우 대부분 표지판에 표시되지 않기에, 각 지방도를 모두 드라이브를 해보는데 애로사항이 따른다.
도로관리청은 읍, 면 지역의 경우 도지사이고 동 지역은 시장이다.

2. 노선 목록


항목이 작성되지 않은 대부분 지방도 항목이 포크 누락 문서이다.
국가지원지방도 노선들은 국가지원지방도 문서 참고.

2.1. 경기



2.2. 강원



2.3. 충북



2.4. 충남



2.5. 전북



2.6. 전남


'''전라남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801번 지방도
진도군 고군면
함평군 나산면
803번 지방도
진도군 임회면
해남군 화원면
805번 지방도
신안군 장산면
영광군 영광읍
806번 지방도
영암군 삼호읍
해남군 송지면
[4]
목포시 대의동
영암군 삼호읍
811번 지방도
무안군 몽탄면
함평군 손불면
[5]
강진군 성전면
강진군 병영면
815번 지방도
무안군 일로읍
함평군 함평읍
[6]
고창군 대산면
고창군 대산면
817번 지방도
장흥군 유치면
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818번 지방도
나주시 문평면
화순군 춘양면
819번 지방도
장흥군 안양면
영암면 금정면
820번 지방도
무안군 삼향읍
장흥군 장평면
821번 지방도
영암군 삼호읍
나주시 공산면
822번 지방도
나주시 노안면
화순군 동복면
825번 지방도
신안군 임자면
함평군 나산면
827번 지방도
해남군 북일면
영암군 영암읍
[7]
강진군 군동면
강진군 성전면
830번 지방도
강진군 성전면
고흥군 두원면
[8]
나주시 대호동
나주시 노안면
835번 지방도
장흥군 장흥읍
영암군 영암읍
836번 지방도
장흥군 장평면
보성군 보성읍
[9]
강진군 칠량면
장흥군 관산읍
838번 지방도
함평군 손불면
함평군 나산면
839번 지방도
보성군 웅치면
화순군 이양면
840번 지방도
광양시 광양읍
곡성군 입면
842번 지방도
영광군 군서면
영광군 홍농읍
843번 지방도
고흥군 점암면
화순군 이양면
[10]
신안군 임자면
영관군 영광읍
845번 지방도
보성군 회천면
보성군 복내면
851번 지방도
고흥군 풍양면
보성군 득량면
855번 지방도
고흥군 도화면
고흥군 점암면
857번 지방도
보성군 벌교읍
순천시 황전면
861번 지방도
광양시 옥곡읍
전북 남원시 산내면
863번 지방도
여수시 남면
광양시 다압면
865번 지방도
광양시 광양읍
구례군 토지면
887번 지방도
화순군 북면
담양군 무정면
893번 지방도
장선군 삼계면
전북 고창군 성송면
895번 지방도
보성군 회천면
보성군 벌교읍
897번 지방도
순천시 송광면
전북 순창군 복흥면
898번 지방도
담양군 대전면
전북 고창군 고창읍

2.7. 경북


'''경상북도의 지방도'''
노선번호
기점
종점
901번 지방도
김천시 구성면
예천군 효자면
902번 지방도
청도군 청도읍
청도군 각북면
903번 지방도
성주군 가천면
성주군 금수면
904번 지방도
영천시 고경면
경주시 양남면
905번 지방도
고령군 성산면
김천시 남면
[11]
김천시 대항면
군위군 효령면
[12]
경남 의령군 부림면
고령군 쌍림면
908번 지방도
군위군 산성면
청송군 주왕산면
909번 지방도
경산시 와촌면
영천시 고경면
910번 지방도
봉화군 석포면
강원 삼척시 가곡면
911번 지방도
영덕군 지품면
영양군 일월면
912번 지방도
상주시 청리면
청송군 현서면
913번 지방도
성주군 수륜면
구미시 무을면
914번 지방도
안동시 풍산읍
영덕군 달산면
915번 지방도
영주시 평은면
봉화군 춘양면
916번 지방도
김천시 아포읍
안동시 풍산읍
917번 지방도
영덕군 지품면
울진군 죽변면
918번 지방도
봉화군 봉화읍
영덕군 영해면
919번 지방도
청도군 운문면
군위군 우보면
920번 지방도
영양군 영양읍
안동시 예안면
921번 지방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울산 울주군 상북면
922번 지방도
문경시 가은읍
충북 괴산군 청천면
923번 지방도
칠곡군 지천면
문경시 산양면
924번 지방도
문경시 문경읍
안동시 서후면
925번 지방도
청도군 매전면
영천시 도남동
[13]
울릉군 울릉읍
울릉군 울릉읍
927번 지방도
구미시 고아읍
충북 단양군 대강면
928번 지방도
안동시 북후면
문경시 동로면
929번 지방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포항시 남구 동해면
930번 지방도
의성군 금성면
영덕군 남정면
931번 지방도
봉화군 물야면
예천군 감천면
933번 지방도
안동시 와룡면
봉화군 소천면
935번 지방도
안동시 임동면
충북 단양군 영춘면
945번 지방도
경주시 양남면
경주시 양북면
997번 지방도
김천시 개령면
상주시 화북면

2.8. 경남



2.9. 제주



3. 외국의 지방도



[1] 심지어 고속도로도 일반 군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경부고속도로가 선형개량을 실시함에 따라 일부 구간이 아예 새로 닦은 도로로 이설되면서 기존의 도로는 군도로 지정되어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동이~김천간 구 경부고속도로 구간이 그런 상황이다.[2]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자치권 문제 때문에 도로의 관할권이 국가에서 특별자치도로 넘어가면서 지방도가 되었다.[3] 물론 77번 국도처럼 아직 끊겨있는 국도들도 있지만.[4] 2007년 806번 지방도와 통폐합됨.[5] 2007년 830번 지방도와 통폐합됨.[6] 2007년 734번 지방도와 통폐합됨.[7] 2007년 827번 지방도와 통폐합됨.[8] 2007년 822번 지방도와 통폐합됨.[9] 2007년 827번 지방도에 통폐합됨.[10] 2003년 805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에 통폐합됨.[11] 514번 지방도에 통합되었다.[12] 2007년 1011번 지방도에 통합되었다.[13] 울릉도 순환 도로. 2008년 국가지원지방도 90호선으로 승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