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바둑왕전
[image]
1. 개요
한국기원 주관 바둑 기전. 한국방송공사 주최로 열리며,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를 위한 차원에 가깝다. 전신은 1979년 10월에 시작된 <KBS 초대바둑>이었다. 1980년부터 현 명칭으로 변경. 원래는 KBS1-KBS3(현 EBS1)에서 했다가 1990년에 KBS2로, 1996년 15기 11국부터 KBS위성1-KBS KOREA를 거쳐 2005년부터 KBS1로 다시 옮겼다. 2010년 29기부터 타이틀 로고 및 OP영상, 테마곡을 변경했으며, 35기부터 다시 변경하였다.[2]
2. 상세
속기바둑 중에서도 굉장히 제한시간이 짧은 편에 속한다. 그리고 본방송이 자정 조금 넘은 시간에 있다. 물론 실제 대국과 녹화는 며칠 전에 하며 대국시간은 15:00. 직전 대회인 38기 대회의 본방송 시간과 달리 주간시간대에 방송된 적도 많다. 해당 내역은 아래와 같다(방송사별 짧은 공백기간은 제외).
- KBS1 : 1980년 1월 6일~1980년 12월 28일, 1998년 5월 20일~21일[3]
- KBS2 : 1987년 3월 8일~1987년 5월 10일
- 이제는 남남이 된 지 오래인 구 KBS 3TV(...) : 1982년 9월 26일~1990년 12월 23일
- KBS 코리아 : 2002년 3월 3일~2005년 6월 12일(2002년 8월 10일, 8월 17일, 9월 2일, 10월 13일만 제외[4] )
- KBS 위성 1 : 1997년 3월 9일~1998년 1월 4일, 1998년 5월 20일~21일(KBS1과 동시방송)
- KBS 위성 2 : 1999년 6월 20일~2001년 7월 29일
한때는 노영하 9단의 말솜씨로 사랑받았던 바둑 기전이었으나, 2017년 바둑왕전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여파로 1회전 이후 진행이 중단되었다.(방송은 10월 22일 16강전 김기용 - 한승주가 최신) 이후 12월 13일에 한국기원에서 재개되었다. '''방송 녹화를 하지 않고''' 그냥 대회만 속행한 상태였다. 다행히 2018년 3월 11일 준결승전부터 방송을 재개했다.
2018년에는 원래 전년도 12월에 하는 바둑왕전 예선이 취소되어 KBS 바둑왕전이 완전히 취소된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방송공사의 파업이 끝나면서 2018년 3월에 KBS 바둑왕전 예선이 다시 잡혔다. 하지만 이미 4개월이나 일정이 늦어진 상태라, 2018년 대회는 그야말로 '''급조대회'''의 끝판왕이 되었다.
31기 대회까진 스튜디오 변화 없이 달랑 바둑판 보드 하나만 놓고 기보를 설명했으나, 32기 대회부터 스튜디오를 현대식으로 개편했다. 그러나 기수를 거쳐가면서 오프닝이나 자막 등등의 변화가 있었다곤 하지만 저작권의 문제 때문인지 변천사를 알 수 있는 영상이 보이지 않는다.
3.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출전권
KBS 바둑왕전, NHK배, CCTV 상위 입상자들이 모여서 하는 세계대회인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의 예선에 가깝다. KBS 바둑왕전 우승자와 준우승자는 자동으로 진출한다. 그리고 3위는 우승자와 준우승자 중에서 이미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우승자(차년도 시드)에 겹칠 경우에 선발전을 치러서 이길 경우 출전할 수 있다.
4. 대회 중지
2019년 11월, 한국방송공사는 시청률 부진으로 인해 제38기 KBS 바둑왕전을 끝으로 KBS 바둑왕전을 완전히 중지하기로 했다. 2020년 TV아시아에 한국 바둑기사들이 출전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TV아시아 한국 기사 출전 또는 한국 개최 역시 포기하기로 했다. 2020년 TV아시아에서는 중국에서 개최하고 다음 해인 2021년 대회는 한국에서 개최하는데, 이 대회 중지되면서 한국 기사 출전 또는 한국 개최 역시 포기함에 따라 다음 대회 2021년에는 일본에서 개최하게된다. 2020년 TV아시아에서 한국 기사가 우승 했을 경우에는 다음 대회 출전 가능하고, 질 때까지 계속 가능하다.
5. 대회 (한시적)부활
한국기원 홈페이지 內 '8월 일정' 페이지에는 어째서인지 '''제39기 KBS바둑왕전 예선'''이 기록되어 있다. 본선 8강 체제로 변형해 치르는 것으로 보인다. #
2020년에 한해 KBS에서 한 해 더 기회를 줬다고 한다. 이번에는 '''시청률을 올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지난 대회처럼 녹화 방송을 하게 된 거 같으니[5] 별 수 없지만, 그것보다도 편성시간대를 '''(변한 거 1도 없이)자정'''(...)으로 잡으면 답이 없다...[6] 이번에도 자정/새벽 시간대로 편성이 잡히며 시청률은 포기해야되는 상황이 와 버렸다.
6. 역대 대회
7. 역대 진행자
8. 역대 우승자
9. 경쟁 프로그램
- MBC 바둑제왕전 (1982~1995) - 해당 프로는 윤기현 九단이 해설을 맡았다.
[1] 1시에서 다소 당겨졌다.[2] 3D CG 오프닝은 14기에서 처음 도입.[3] 당시 특별생방송으로 진행되었던 16기 결승으로, 이 기간 오프닝 타이틀에 당시 KBS의 바둑 국제대회 중계 시그널을 사용했었다.[4] 그나마도 이 땐 자정 전(밤 11시)에 본방송을 시작했었다. 차주 편성 제외.[5] 변화가 있다면 4K UHD 영상으로 녹화 방송을 한다는 점이다.[6]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사람들이 잘 안보는 시간대다. 특히나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저녁에 일찍 잠드는 생활패턴을 지닌 중장년, 노년층 시청자가 많은 바둑의 경우 더더욱.[7] 해설의 경우는 박정상 九단이 2017년 ~ 2019년 동안 맡아왔다가 변경되었다.[8] 국내대회 준우승 시 1단 승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