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lox/문제점 및 비판
1. 개요
2. 운영상의 문제점
2.1. 운영자들로 인한 소통간의 부재
2.2. 과도한 채팅 검열
2.3. 부실하고 명확하지 않은 검열기준
2.4. 과금
2.5. 지나친 스폰서 이벤트
2.6. 틱스 제도 폐지
2.7. 틱스 삭제 이후 초보 유저들이 늘어난 커뮤니티
2.8. 번역 문제
2.9. Roblox 업데이트로 인하여 망가진 게임
2.11. CAPTCHA
3. 게임들의 문제점
3.1. 저연령 유저들이 제작한 게임
3.2. Simulator 및 신규 양산형 게임들
3.3. 썸네일 낚시 게임 (clickbait)
3.4. 무단도용 및 짝퉁 게임들(copy game)
3.5. 어린이들에게 부적절하거나 기괴한 콘텐츠
3.5.1. Vibe 게임
4. 유저들의 문제점
5. 무료 로벅스 사기
7. 서버 상의 문제
1. 개요
Roblox의 문제점 및 비판을 서술한 문서다. 현재의 Roblox는 막장 운영, 밸런스 붕괴, 핵, 오더 등등 각종 지적을 받고 있다.
2. 운영상의 문제점
2.1. 운영자들로 인한 소통간의 부재
- 운영진들의 심각한 무관심과 무능
이메일을 보내면 성의 있는 답변이 아닌 매크로 답변이 온다. 온라인 게임의 특징상 발생하는 문제는 회사 측에서 책임을 져야겠지만 이쪽에선 위에서 언급했듯이 관심이 아예 없다. 리포트 보내면 건성건성 챗로그만 읽고 경고나 기간정지 때리는 정도다. 더더욱 문제 있는 것은 핵유저들을 신고하는 리포트들까지도 이렇게 처리한다는 것이다.
그나마 제정신이 되어가는지 점차 해커들에게 밴을 때리고 있고 자체 취약점이나 핵 프로그램등을 막으려 하나 문제는 실시간 감시후 밴이 아닌 큰 업데이트 전후에 밴웨이브를 가끔씩 날려 그때만 핵을 사용한 해커를 밴하는 방식이다. 즉, 평상시엔 관리자들이 별로 신고 처리를 안하고, 웬만해선 신고가 먹히지 않는다는 것. 그럴수록 해커들이 판치니 아직도 갈길이 멀다.
틱스 폐지, 이벤트 폐지 등의 유저들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사안들을 처리시 유저들의 의견이나 여론을 듣거나 반영하지 않으며, 시행시 일어날 후폭풍을 생각조차 안한 채 일방적으로 시행 후 통보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한 문제가 반복되자 관리자들의 무관심이 극에 달했고 아예 유저들을 돈줄로만 보곤 기만하는 것 아니냐는 소리도 나오는 중이다.
이후 어떤 해커가 '''고작 500달러로 Roblox 운영자를 매수'''해 운영진 권한을 얻은 일이 터져버렸으며, 이 해커가 Roblox의 모더레이팅 시스템을 폭로해버렸다. 폭로된 내용에 따르면, 운영진 권한으로는 유저의 프로필 조회부터, 각종 거래/지불 내역 조회, 유저 인벤토리 확인/편집, 로벅스 지급/회수 같은 것부터 운영진이 유저에게 개인적인 메세지를 보낼 수도 있으며, 유저들간의 개인적인 메세지를 확인하고 검열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는데다 다수의 유저들의 패스워드를 전부 리셋할 수도 있었으며 MAC주소, 유저의 현재 위치까지 알 수 있었다. 문제는 이렇게 악용되면 위험한 권한들을 잔뜩 가지고 있는 운영진들이 정작 운영에는 이러한 권한을 별로 써먹고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가장 대표적으로 유저의 IP주소나 MAC주소만 대조해줘도 계정의 소유권을 손쉽게 찾아줄 수 있는데, 정작 그런 기능은 전혀 사용하지 않아 수많은 유저들이 겪지 않아도 될 불편을 겪고 있었다.
가장 심각한 것은 이 사건으로 인해 Protected User라는 시스템이 있었다는 것이 드러났는데 이 시스템으로 프리미엄 구매 여부, 유명 게임 제작자, 스타 크리에이터 들에게 권한을 줘가며 우대함으로써 사실상 운영자들이 직접 유저들을 차별하고 있었으며, 이렇게 운영자들의 비호를 받는 이들은 제재도 당하지 않는다는 점이 폭로되어 큰 논란이 되었다.[2]
- 기존 플레이어를 고려하지 않는 업데이트들
UI를 비롯한 패치를 기존 플레이어에게 미칠 영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강행해서 문제가 되었다. 대표적으로 2019년 이후 가입자들의 UI를 강제로 바꾸는 것을 시작으로, 모든 유저의 UI를 동의도 없이 강제로 바꿨다. 불편하기 짝이 없는 UI라 비판받았으나, 이후 깔끔하게나마 패치되었다.
또한 최근 Roblox 사측에서 상징물들을 갈아엎으면서 혼선이 생기고 있다. 대표적으로 'Roblox'의 로고는 원래 빨간색이었으나 검은 배경의 은색 로고로 바뀌었으며, 재화인 '로벅스'역시 코인 모양으로 바뀌고, 기본 아바타로 자리잡아온 3.0 바디를 없애려는 시도를 하는 등 과감한 시도를 하고 있다. Roblox의 또다른 마스코트라고 할 수 있는 'Pal Hair'[3] 가 잠시 삭제된 적이 있다. 이 후 대부분의 유저들이 엄청나게 많은 항의가 빗발쳤고 결국 복구가 되었다. 또한 몇몇 효과음을 바꿀 것이라고 통보했는데 이 중 Roblox를 상징하는 밈이라고 할 수 있는 'Oof'가 삭제된다는 내용이 들어있었고, 이 내용을 보자마자 유저 전부가 아연실색하는 일이 있었다. 다만 'Oof'의 원본은 따로 있고, 그걸 Roblox측에서 허가도 없이 거의 10년간 무단으로 사용한 것이었다는 점이 밝혀졌기에 뭐라 할 말은 없지만, 대부분의 유저들은 아쉽다는 반응. 결국 이는 흐지부지된 모양이다. 이런 업데이트는 신규 유저들이야 애시당초 변경 이후에 들어오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큰 상관은 없겠지만, 기존 유저들은 정이 든 것도 있고, 바꾼답시고 한 게 개악 수준인지라 적응을 못한다는 점이 문제.
또한 최근 Roblox 사측에서 상징물들을 갈아엎으면서 혼선이 생기고 있다. 대표적으로 'Roblox'의 로고는 원래 빨간색이었으나 검은 배경의 은색 로고로 바뀌었으며, 재화인 '로벅스'역시 코인 모양으로 바뀌고, 기본 아바타로 자리잡아온 3.0 바디를 없애려는 시도를 하는 등 과감한 시도를 하고 있다. Roblox의 또다른 마스코트라고 할 수 있는 'Pal Hair'[3] 가 잠시 삭제된 적이 있다. 이 후 대부분의 유저들이 엄청나게 많은 항의가 빗발쳤고 결국 복구가 되었다. 또한 몇몇 효과음을 바꿀 것이라고 통보했는데 이 중 Roblox를 상징하는 밈이라고 할 수 있는 'Oof'가 삭제된다는 내용이 들어있었고, 이 내용을 보자마자 유저 전부가 아연실색하는 일이 있었다. 다만 'Oof'의 원본은 따로 있고, 그걸 Roblox측에서 허가도 없이 거의 10년간 무단으로 사용한 것이었다는 점이 밝혀졌기에 뭐라 할 말은 없지만, 대부분의 유저들은 아쉽다는 반응. 결국 이는 흐지부지된 모양이다. 이런 업데이트는 신규 유저들이야 애시당초 변경 이후에 들어오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큰 상관은 없겠지만, 기존 유저들은 정이 든 것도 있고, 바꾼답시고 한 게 개악 수준인지라 적응을 못한다는 점이 문제.
- Rthro
Rthro란, 2017년 후반쯤에 처음으로 공개된 신규 아바타이다.[4] 이 기존의 블록 형태의 아바타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현실적인 생김새의 휴머노이드이다. 출시 당시 유저들의 반응은 당연히 충공깽. 많은 사람들이 Rthro가 추가된다면 카탈로그의 거의 모든 아이템들이 호환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를 하였으며, 심히 바비인형같이 생긴 괴리감 드는 외모와 표정 때문에 불쾌한 골짜기를 유발한다는 평가도 있다. 무엇보다, 레고블록 같이 심플하고 귀여운 이미지가 강했던 기존의 Roblox와 현실의 인체비율을 반영한 휴머노이드와의 괴리감 때문에 반대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끝내 출시하고 말았다. 이후 신규 계정에 Rthro를 반쯤 강제하면서 크게 비판받는 중. 최근에는 Rthro를 밀어주듯이 기존의 로블록스 애니메이션을 Rthro패키지에 들어있던 애니메이션들로 바꾸는 짓을 저질렀다. 굳이 추가 안해도 되는것을 억지로 바꿔서 비판 받는중이다.[5]
- UGC 악용
UGC란, Roblox 사측에서 인증받은 일부 유저들이 아바타 아이템을 직접 만들어서 판매하는 시스템이다. 그런데 이로 인해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 온갖 짝퉁들
Biggest head, 발키리, 도미너스 시리즈 등 비싸거나 유니크한 아이템들의 짝퉁이 판을 치고 있다. 고가의 가치를 가진 아바타 아이템을 그대로 베껴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이로 인해 원본 아이템의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이 점점 일어나고 있다. 해당 아이템들의 가격이 정상적인 가격이 아닌지라 유저들은 현재 신경쓰지 않는 상황이지만 다른 아이템으로 번지는 순간 디플레이션 크리.[6]
- 악용될 소지가 있는 아이템들
아예 캐릭터를 위장해버리는 아이템이 계속 생기면서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한때 'Murder Mystery 2' 등 머더류의 게임에선 굉장히 문제되었다.[7] 결국엔 해당 게임에선 상자, 쓰레기통 등 위장 아이템 들이 게임 시에는 보이지 않도록 패치되었다.
- 갑작스러운 모바일 어플 서비스 이용 불가
작은 사건사고로, Roblox 공식 어플이 구글플레이와의 계약이 만료되자 다시 재계약을 맺는 과정에서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 며칠동안 어플 설치 및 유료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해지는 일이 일어났다. 아무런 공지 및 통보조차 없이 그대로 앱스토어에서 모습을 감춘 셈이기 때문에 당시 국내 플레이어들의 반응은 충공깽이었다.
- 로딩 오류 방치
[image]
최근 게임들의 일부 서버를 들어가려고 하면 위 사진처럼 회색 바탕에 Roblox 로고만 박힌 채로 진행이 안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아직까지 밝혀진 정확한 해결방법은 없으며 개발진 측에서는 고친다고 하지만, 1개월째 고쳐지지 않고 있다. 역시 유저들은 게임을 못해서 불만을 겪게 된다.
최근 게임들의 일부 서버를 들어가려고 하면 위 사진처럼 회색 바탕에 Roblox 로고만 박힌 채로 진행이 안 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아직까지 밝혀진 정확한 해결방법은 없으며 개발진 측에서는 고친다고 하지만, 1개월째 고쳐지지 않고 있다. 역시 유저들은 게임을 못해서 불만을 겪게 된다.
- 무고한 유저 처벌
봇이 기계적으로 신고를 처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 신고 내용과 관계없이 신고 수가 누적되면 최대 계정 삭제가 될 수 있다. 소명 전용 메일주소[8] 로 메일을 보내면 복구가 가능하기는 하나, 반드시 복구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2.2. 과도한 채팅 검열
'''계정이 만 13세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할 정도로 검열이 심하다.'''[9] 이는 아이들이 말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의사소통의 자유를 앗아간다고도 볼 수 있다. 비속어, 숫자검열을 위해 만든 제도로 보이는데 쓸 사람은 다 쓴다.[10] 또한 만 13세 이상 유저이더라도 정도만 덜할 뿐이지 이유 불명의 해시태그로 채팅을 검열해 말하고 싶은것을 못하게 함으로써 매우 비판이 심하다.
숫자는 둘째치고 '''카카오톡, 디스코드, 인스타그램'''등의 sns 서비스도 검열대상이다.
이 검열이 매우 심해 정상적인 단어들도 많이 검열당해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수준이고, 심지어 채팅 필터가 숫자 자체를 검열한다![11][12] 하지만 지금은 숫자를 어느 정도는 검열 회피 없이 쓸 수 있다.[13] 그리고 건전한 컨텐츠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아무 이상 없는 단어도 '''자신들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이유 없이 무조건 검열하고 있다.''' 마을이라는 뜻의 Town, 오타, Studio에서는 France조차 검열하는 것으로 확인 사살. 게다가 가끔씩은 ok, is 같은 기본적인 단어도 필터링된다. 또한 검열 정도도 제멋대로라서 제목에선 멀쩡한 것이 설명에 똑같이 써놓으면 검열되기도 하고, 설명에서는 멀쩡한 것이 제목에 똑같이 써놓으면 검열되는 바람에 개발하던 게임 제목이 해시태그로 도배되는 일도 빈번하다. 그러기에 유저들은 별별 문자들을 숫자 앞뒤에 붙여 숫자 아닌 숫자를 표기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심지어는 검색 시에도 이게 적용돼서 게임, 플레이어 등을 검색할 때 불편함이 있다.
게다가 채팅 필터가 오작동해 모든 채팅들을 해시태그로 검열하거나 간혹 검열이 아예 안되는 등의 문제도 생기고 있다. 이에 대한 Roblox측의 대처방안은 채팅이 올라오는 속도를 느리게 한다는 것이나, 이 방안이 현재 서버 렉(특히 모바일)을 미친듯이 생기게 하는 원흉이 되었다.
이와 관련되어 세이프 채팅이라는 시스템이 있다. 만 13세 미만으로 등록한 유저들이 해당 대상이다. 화이트 리스트에 적힌 단어[예] 만 말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유저가 화이트 리스트에 없는 단어를 말하면 해시태그가 뜬다. 그러한 유저한테도 세이프 채터가 아닌 사람들이 화이트 리스트에 없는 단어를 말하면 해시태그로 뜬다.[14] 2013년 7월 22일 채팅 필터링 업데이트 이전엔 메뉴에서 골라서 클릭하는 방식이었고 자유롭게 할 수 있다가[15] 현재는 자유 채팅식으로 바뀌었다.
하나 트릭이 있다면 자신의 계정 나이를 선택할 때 굳이 자신의 진짜 나이를 입력할 필요가 없다는 것. 해시태그 없이 채팅하려면 자신의 나이를 만 나이 기준 14세 이상으로 설정해놔도 된다.[16]
[image]
다만 이번 로블록스 13주년 이벤트부턴 만약 해당 서버에 만 14세 이상의 플레이어만 있다면 거의 모든 검열이 풀린다! 이래도 UGC에서는 이것을 풍자한 아이템도 나올 정도다.
언제부턴가 말풍선 길이에 제한이 걸려 '''말이 잘려버린다!''' 물론 사람들은 불편해했고, 특히나 로블록스의 기본 채팅 엔진을 쓰는 스토리 게임, 또는 구식 대화 시스템[17] 이 적용된 게임의 경우 치명적이다.
2.3. 부실하고 명확하지 않은 검열기준
로블록스에선 오디오, 데칼, 광고등을 검열하지만 19년도 초까지만 해도 로블록스 사이트에 무료로벅스 사기광고가 나돌았으며 오디오 또한 검열이 부실해 19금 사운드들이 깽판을 친다.[19] 웃긴 점은 저작권에 걸리는 오디오들은 잘만 내린다는 것.
또, 컨텐츠 수위 문제에 대해서 왔다갔다하는 모습도 보인다. 위 영상의 Runker 51이 그 대표적인 예시인데 분명 로블록스는 전연령 게임들을 지향하고 그렇기에 유혈 묘사를 막는것이 맞지만 위 영상에서도 보여주듯이 '''로블록스가 공식적으로 유혈 묘사가 구현된 게임을 홍보'''해줬던 적도 있었고 그외 유혈 묘사가 존재하는 로블록스 게임들이 많지만 어째서인지 이 게임은 로블록스 관리팀이 플레이를 불가능하게 조치를 취하게 만든적이 있다. 이는 명백히 차별행위고 그래서 많은 네티즌들이 영상의 주장에 공감하며 로블록스를 비판, 비난했다.
더욱히 이렇게 검열된 게임에 대해서 상당히 적대적이고, 무성의한 대응을 한다고 여길 수 있는 행위도 위 영상에서 폭로되었는데 영상 제작자가 속한 그룹 내에서 만들었음에도 "영상 제작자 계정 소유의 게임이 아니라는" 이유로 도움을 주기 어렵다고 했고 이후 게임이 다시 열리고 나서 때린 유저 홍보 역시 승인하고 나서 로벅스를 쓰게[20] 만든 다음 내려버리는 굉장히 악의적인 면모도 보여줬다. 이에 항의 메일에 보낸 답변은 단순 그룹 관리만을 위한 더미 계정을 본 계정 취급하고 게임외적 문제를 게임내 문제로 취급하는등 말그대로 문제 해결 의지가 없고, 자신들에게 찍혔으니 처신이나 잘하라는 뜻으로 볼 수 있는 행태이다.
2.4. 과금
우선 Roblox는 '''과금의 여부가 게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편이다.''' 좋은 아이템들을 사려면 현질은 필수다.[21] 하지만 2012년 업데이트 이후 게임내에서 Game Pass[22] 라는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가격들이 대부분 프리미엄 가입자들 기준으로 맞춰진지라 '''상당히''' 비싸다. 게다가 Roblox가 다음과 같이 Tix제도 까지 없애면서 불난집에 부채질 하는 격이 되버린 상황이다. 심한 게임들은 넥슨 뺨때리는, 실력으로 커버 할 수 없을 정도의 과금유도와 P2W를 보여준다.
하지만 일부 로벅스를 지불해야 이용 가능한 일부 게임을 제외하고는 현질은 게임 플레이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았고, 무료로 풀린 아바타 치장 아이템도 상당한 편. 현질을 한 유저에게 '''이득'''일뿐이지, 아직까지는 '''로블록스 사측에서''' 무과금 유저에게 탄압을 하고 있지 않다.
그런데 게임패스가 추가되기 전에는 현질이 게임 플레이에 별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게임패스로 인해 일어난 문제는 게임패스가 추가된 이후 개발자들은 로벅스를 최대한 벌기 위해 너무 비싼 게임패스나 밸런스 붕괴를 일으키는 게임패스, 심지어 패스가 없으면 차별을 받게 하는 등의 게임을 만들어내기 시작했다.[23] 그리고 게임패스를 악용[24] 하는 플레이어들도 많아 꾸준히 문제가 되고 있다. 만약 현질 유저들이 무과금 유저들에게 피해를 주도록 내버려 두는 게임이나 패스가 없으면 차별을 받게 하는 게임이 있다면 되도록이면 플레이하지 말자. '''그러나 문제는 대부분의 게임들이 이런 길을 밟고 있으며, 게임 개발자나 유저들이 그런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도 문제.'''
만약 체크카드 없이 로벅스를 구매하고 싶거나 다른 카드로 결제하고 싶을 때 에는 스마트폰 Google play에서 Roblox 어플리케이션을 깐 뒤 ROBLOX 어플에서 Google pay를 통해 구글 기프트카드, 또는 다른 카드로 결제가 가능하니 참고하자.
악세사리등과 무관하게 다른 시스템에도 돈을 먹이려고 노력하는데 게임하나 만드는데도 시스템 여기저기서 로벅스를 요구하는 골때리는 광경을 볼 수 있다. 그룹하나 만드는데 100로벅스, 게임에 뱃지 추가시 100로벅스, 게임패스 추가시 100로벅스가 드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압권은 닉네임. 닉네임 하나 바꾸려면 '''1000로벅스'''나 드는데 닉네임 기록이 남아서 별 의미가 없다. 이쯤 되면 제 2의 EA다.
결국 여려유튜버에서 이를 풍자한 BOBUX 라는 밈이 생겼다.
2.5. 지나친 스폰서 이벤트
2014년 초반기까지는 괜찮았다. 사실 그때는 가끔가다 스폰서 이벤트를 했기 때문에 유저들도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다.하지만 요즘은 계절 특집 이벤트마저 대부분 스폰서로 되어있다.
Roblox 플레이어 다수는 물론 특히 한국 유저들이 제일 분노한 이유다. 한 예로 Epic Mining 2에서[25] 굿 다이노의 스폰서를 받아 이벤트를 했는데 접속하자마자 대문짝 만하게 뜨는 관련 광고를 접속할 때마다 봐야 했다. 게다가 가끔 랙 때문에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기가 불가능해져 며칠 동안 해당 광고만 보게되는 경우도 있었다.
2.6. 틱스 제도 폐지
틱스에 대한 것은 해당 항목 참고. Roblox에서 2016년 3월 초쯤 틱스 제도가 없어진다고 공지했다. 이 사태를 쉽게 설명하자면 미국 달러 환율에서 센트를 없앤다는 것과 같다. 더 쉽게 얘기하면 500원 미만의 동전이 발행 중단된다는 것과 같은 셈.[26]
틱스 삭제만 했다면 그나마 수긍할 만 했겠으나, 문제는 틱스를 삭제하는 과정에 대량의 현질 유도를 해놓은 것. 틱스 삭제를 기념하기 위해 로벅스 패키지를 '''선물'''이랍시고 '''판매'''를 시작했다. 당시 판매되던 로벅스 패키지들은 자그마치 한화로 몇십만원씩 했었다.
이 조치가 발표된 후 환전(트레이딩) 시스템에서 초인플레이션이 일어났다. 원래 로벅스:틱스 비율로 1:14 에서 1:18 쯤이던게 1:30 까지 올라갔다.[27] 언제는 거의 정상에 가까울 정도로 원상복귀 되었다. 하지만 지금은 없어졌으니 교환을 안한 잠수유저들은 손해를 봤다.
그런데 이상한건 Shaggy[28] , Kuddle E. Koala[29] 가 틱스가 없어진 후부터 리미티드[30] 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Roblox가 틱스를 지운 후 이에 실망한 많은 유저들이 Roblox를 이탈했다.
틱스 제도 폐지가 완전히 진행된 이후 예상대로 초인플레이션이 일어났다. 2015년 초반과 비교하면 2017년 물가는 이전에 비해 거의 두배 가량 뛴 상태. 이게 게임패스와 안좋은 방향으로 시너지를 이뤄 물가는 현재도 오르고 있다.
그리고 이 문제가 너무 심하다 생각했는지 15만 유튜버 지존조세가 이 문제와 과금문제를 정리했다
2.7. 틱스 삭제 이후 초보 유저들이 늘어난 커뮤니티
틱스 삭제가 가져온 문제점은 물가 상승 뿐만이 아닌 무지한 유저들과 저연령층 유저들의 수가 급상승하면서 점점 이들에게 초점이 맞춰지며 커뮤니티가 예전 같지많은 않다는 점도 큰 문제이다. 예전의 경우에는 틱스만 꾸준히 모으면 1개월 내로 뉴비탈출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3개월. 아니, 1년이 넘어도 현질을 일체 하지 않으면 뉴비 모습 그대로 평생 남고 만다.
틱스 삭제 4년이 다 되어가는 데도 유저들에게 알려져 봤자 소용이 없는 게 새로 오는 유저들이 많아 기본 유저들이 다 덮힌다. 현재로서는 대부분의 유저들이 부자 유저들에게 짓밟히거나 아니면 나가거나 하다못해 기존 유저들도 스팀이나 다른 게임으로 넘어가는지라 신규 유저들의 비중이 더 늘어날테고 무지한 사람들이 늘어나는만큼 복구는 힘들다.
위에도 서술했지만 Roblox 모바일 버전 의 리뷰는 더 가관이다. Roblox의 인기 게임을 Roblox가 만들었다고 생각하고는 비난하는 사람들 투성이다. 이런 인기 게임들은 유저들이 직접 개발한다는 기본적인 것[31] 을 모르고 있는 경우가 태반. 그리고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것을 플랫폼에 따지는 신문고성 리뷰가 상당수이다. 예를 들어서 obby를 하는데 튕긴다고 마구 비난하지 않나, Prison Life에서 차 운전과 엎드리기를 못한다던가[32][33] 아니면 윗 문단처럼 게임을 한글로 해달라는 사람 Roblox 점검인데 들어가지지 않는다고 지우는 사람 등이 보인다.
2.8. 번역 문제
Roblox측에서 공식적으로 한국어 지원을 하기 전 일부 게임에서는 자체적으로 한국어 지원을 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번역체라 가독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34] 이런 저연령층 유저들의 지속되는 항의 때문일까, 2019년 1월 17일에 로블록스측이 실제로 '''한국어 지원'''을 시작했다. 다만 공식 번역도 번역체 느낌이 물씬 나고, 문법등은 깡그리 무시한 문제많은 번역이 대부분이다. 실제로 에이전트란 게임 제목을 자치령대표로 번역하거나 나이키와의 스폰서 이벤트 페이지는 아예 싸그리 번역기를 돌린건지, 띄어쓰기도 전혀 없으며 그덕에 한국인이 봐도 읽기 난해한 막장 번역이 탄생했다.[35]
게다가 표기법을 너무 맞추려고 노력하는 것도 번역 질 저하에 기여한다. 흔히 화면 찍는다는걸 "스크린샷"이라 하는데, 언제부터 스크린 숏(?)으로 바뀌었고 아바타 아이템과 몇몇 게임들 또한 어색하게 번역했다.
심지어 몇몇 FPS 게임에서는 총기 이름이 엉망진창으로 번역되어 무슨 총인지 알아보지도 못하게 되었다.[36] 게임을 하다보면 내가 로블록스를 하고 있는건지 유아교육 사이트를 하고 있는건지 모를 정도다. 오히려 언어를 영어로 하고 플레이하는게 나을 지경이라고도 한다.
또한 대문자는 R.O.K 같은 약자를 고려해 모두 번역하지 않는다. 예를 들자면 Medic -> M 에픽. 그리고 번역 과정에서 멀쩡한 단어 중간에 갑자기 띄어쓰기가 생기기도 한다.
2020년 2월 11일자로 번역이 안되던 계정에서 자동번역이 되고있다. 문제는 도저히 알아볼수 없을정도로 번역이 되어서 기존의 영어가 더 났다는 사람도 생겨날 정도이다. 그리고 거의 모든 타워디펜스 게임에서 '''wave 숫자가 안보인다'''! 이것 때문에 많은 타워디펜스게임유저가 많이 혼동을 한다 [37]
Midnight Racing: Tokyo에서는 spawn을 s저당물 passenger를 아빠senger로 번역되어있다(...)[38]
가장 좋고 빠른 해결방법은 자신이 영어를 좀 한다면 언어를 영어로 바꿔버리는 것이다.
2.9. Roblox 업데이트로 인하여 망가진 게임
옛날부터 지금까지 썸네일 낚시 게임과 같이 이어져 온 문제. 이름 그대로 Roblox 업데이트로 인해 게임이 망가지는 경우들이 있다.
2012년 후반과 2013년 중순까지는 거의 아무런 게임이 피해를 보지 않았으나 2013년 후반기 아바타 애니메이션 업데이트로 인하여 많은 게임이 망가졌다. 예를 들어 2010~2012년도에 크게 유행했던 데몰리션 더비 게임들이 대명사. 차를 운전할 때 사용하는 도구가 있었는데, 업데이트 이후에 망가지며 이런 데몰리션 더비 게임들은 모두 그대로 망하고 말았다. 그외에는 뛰기 툴이나 순간이동 툴들이나 날기 툴이나 캐릭터 리셋 툴[39] 그리고 심지어 '''게임 패스로 산 VIP 툴'''까지 모두다 툴들이 업데이트 이후에 모두 망가지고 말았던 케이스가 있었다.
이렇게 게임이 망가지면 (Broken)이라고 적힌다. 겨우 업데이트를 하여도 1년후 또 2014년 아바타 애니메이션 업데이트를 진행하여 또 망가졌으며, 아무리 게임을 고치고 또 고쳐도 업데이트를 할때마다 망가지는 자신의 게임 때문에 질린 한 제작자가 로블록스를 접고 유니티 엔진으로 옮겨가 유명한 무료 스팀 좀비 게임 '''언턴드'''를 만든 사연이 있다.[40] 또한 2019년 1월 말쯤에는 엘리베이터를 제작할때, 면접 센터[41] 를 제작할때 쓰이는 개인 모듈 스크립트가 제거되어서 Teknikk 엘리베이터[42][43] 면접 센터가 있는곳들이 다 망가졌었다.[44] 지금은 고쳐진 경우도 있긴하나, 얼마든지 이런 사태가 다시 벌어질 수 있다.
2020년 8월 27일. Roblox는 FE 스크립트를 건드려 망가트렸다. 이번 사태때는 Roblox의 비행기 시뮬레이션의 여러 항공기가 해당 항공기의 파일럿에게만 애니메이션이 보이게 되었다.[45] 이번에도 Roblox의 유저와 협의도 없었고, 예고도 없었다. 유저 기만의 예시로 남게 되었다. 이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인 유저들이 해결을 위해 '''유저들이 직접 나섰다.''' Lolee라는 곳[46] 이 해결책을 내놓아 유저들이 그 해결책을 썼다. 이번 사태도 지난번 사태와 비슷한 듯 하다.
2.10. 욱일기 아이템 논란
[image]
과거 일본 지진 사태 및 쓰나미에 의한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한 모금을 위해 판매했던 아이템들인데, 욱일기 텍스쳐가 새겨져서 국내 유저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 이젠 출시 안하나 싶었지만 또 5월 1일에 딱 봐도 욱일기를 표현한 듯한 아이템을 출시하였다.#[47]
물론 Roblox 사측이 관련 감정 때문에 넣은 것은 절대로 아닌 듯하다. 아무래도 욱일기에 대한 인식 부족이 원인인 듯.참고 영상
실제로는 외국에서는 욱일기를 그냥 멋진 디자인으로만 생각하고 있다. 일부 외국인들이 들으면 기겁할 나치의 당기인 하켄크로이츠와 같은 문양인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위 아이템들과는 별개로, Roblox 그룹에 Japan 까지만 검색해도 욱일기가 들어간 여러 그룹을 흔하게 발견할 수 있다. 당연히 신고해도 의미가 없다.
이제는 UGC까지 진출했다. 정확히는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내놓은 어느 아이템이 욱일기 문양을 연상케한다.
2.11. CAPTCHA
무엇보다 CAPTCHA가 갈수록 점점 어려워진다. 물론 초등학교 고학년, 중, 고등학생 또는 성인 기준으로는 그리 어려운 것은 아니지만, 어린이들에게는 '''아예 불가능한 문제들도 나온다.''' 처음에는 특정 물건들을 맞는 방향으로 돌리는 것이라 많이 어렵진 않았지만, 지금에 와서는 '''나선 은하'''를 찾으라던가 아니면 뒤로 가는 동물을 찾으라는 문제들도 나온다. 이마저도 뒤 바탕은 하얀색이다. Roblox는 입학도 하지 않은 어린이들도 플레이 하는 게임인데, 과연 어린이들이 나선 은하는 물론 은하가 무엇인지 알기나 할까? 게다가 한번이라도 틀린 답을 입력하면 처음부터 다시, 게다가 '''문제가 더 추가된다.''' 이때문에 유저들에서부터는 아예 로그인하지 말라는 거냐는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3. 게임들의 문제점
3.1. 저연령 유저들이 제작한 게임
이쪽 게임들은 스튜디오에 경험이 1도 없는 저연령 유저들이 게임을 만든것으로 "뭐 이게 문제가 되나?" 싶겠지만 스크립트 미사용으로 탐험 맵을 만드는 등의 류와는 다르게 이쪽 분야중 심각한곳은 저연령 유저들이 모여 성관계를 모방하거나 집단 따돌림, 욕설. 일진 놀이,연애[48] 를 서슴치 않고 하며 백도어가 그대로 심어져있는 모델을 툴박스에서 꺼내오거나 어드민 툴 같은걸 꺼내와[49] 권남을 입이 떨어져나갈정도로 한다.
3.2. Simulator 및 신규 양산형 게임들
제목 뒤에 Simulator가 붙거나 New가 붙은 게임들이 로블록스 인기 게임 페이지에 거의 도배되다시피 산재하는데 대부분이 Simulator와 New라는 태그만 붙은게임들은 별 의미 없는 노가다을 반복하는 게임성 떨어지고 저열한 완성도를 자랑하는 게임들이 대다수. 봇 문제와 엮어 로블록스 레딧 등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로블록스 시뮬레이터 게임들의 원조인,
- Cash Grab simulator
- Pet Simulator
- Speed simulator
- Bubble Gum Simulator
- Treasure hunt simulator
- Super Power Training Simulator
- Weight Lifting Simulator 2 [50]
이런 시뮬레이터형 게임들이 인기를 확 끌자 개발자들이 로벅스를 벌기 위해 우후죽순 저질 양산형 게임들을 만들게 되고, 결국에는 이런 사태가 일어나게 된 것. 이런 게임들은 휘발성이 강해 한번 떴다 확 식으며[51] , 개발자들도 한탕 챙기고 튄다는 마인드라 인기가 식으면 그 게임을 버리고 새 Simulator 게임들을 만들어낸다. 이런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으며, 로블록스를 망치는 지름길이다.
웃기게도 이런 게임들을 자세히 보자면 대부분 플롯, UI, 게임방식도 비슷하거나 동일하다. 심지어 이런 게임들을 표절해 더 저질인 게임을 출시하는 경우도 부지기수.
결국 이런 저질 양산형 게임들만이 어느새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Simulator 게임이 가지고 있는 공통점이 있는데, 아무리 인기가 많고 재미가 있어도 Rebirth 기능이 생겨나는 순간 고인물들만 있는 게임으로 전락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Rebirth가 없다면 유저들의 레벨이 폭등하기에 필요한 기능이긴 하지만, Rebirth가 있어도 레벨이 폭등하는 것과 크게 다를 것은 없어서 결국 있든 없든 언젠가 망해버리는건 같다. 괜한 Rebirth 기능으로 인해 망하는 사례도 상당수 있는데 Rebirth 기능이 없을 때엔 충분히 즐기던 유저들이 많았으나 Rebirth 기능이 생기면서 고인물이 넘쳐나 유저 이탈이 가속화 되기 때문.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는데,바로 펫 등으로 위장한 '''랜덤박스'''를 하나씩 넣는다. 대놓고 P2W를 노리는 셈. 당연하겠지만 랜덤박스는 가면 갈수록 극악의 확률로 치닫는데, 0.1%, 0.01%는 축에도 못끼며,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Bubble Gum Simulator에서는 '''10억분의 1의 확률, 즉 0.0000001%'''라는 어마무시한 확률의 아이템을 집어넣어놨었다.[52] 하지만 10억 분의 1확률을 뽑아도 다음 업뎃이 되면 퇴물이 된다
'''그런데 이 문제, 어디선가 매우 흔하게 보이지 않나?''' 결국 이 문제도 전세계 게임 시장에 퍼져있는 저질 양산형 게임들이 대부분 가진 문제점들이다. 어디서나 저질 개발자들 인식이 같다는 점은 덤.
참고로 Simulator 게임이 양산되기 이전에는 Tycoon류의 게임들도 양산되었었다.[53] 현재도 Tycoon류의 게임들이 꽤 남아있다.
이후 Simulator 게임류의 뒤를 이어 Piggy를 따라한 호러탈출 양산형게임이 우후죽순 늘어나고있다. 다만 퀄리티는 Piggy보다 아래인 게임이나 통째로 도용해서 뜯어고친 게임도 있다. Piggy를 따라한 호러탈출 게임들이 늘어난 후,
하다 못해 클릭으로 특정 경험치를 쌓는 류의 게임도 있는데, 클릭 한번으로 간단하게 노가다를 할 수 있어 '''오토클릭'''에 농락당한다... 즉 1000분의 1초에 한번 클릭하는 엄청난 속도로 돈을 벌 수 있으며, 심지어 이걸 켜놓고 잠수타면서 다른 일을 해도 돈은 그대로 들어온다! 심지어 rebirth 기능을 역이용해 억만장자가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3.3. 썸네일 낚시 게임 (clickbait)
옛날부터 지금까지 계속 이어져 온 악성 게임. 이름 그대로 흥미로운 썸네일로 유저들을 끌어오는 게임들이다. 이런 게임들은 사실 들어가보면 썸네일이랑은 아무 상관도 없는 타이쿤 게임이나 점프맵이다. 좋은 예로 Escape XXX Obby!나 XXX Tycoon이 있다.[54] 썸네일은 완벽한데, 막상 들어가보면 썸네일과는 아무런 관계도 없는 이상한 타이쿤이나 장애물 넘기 게임...[55] 이런 게임들은 많은 유저들에게 장애물 넘기 게임이나 타이쿤 게임들이 모두 다 썸네일 낚시 게임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고정관념을 심어주었고, 덕분에 제대로 된 장애물 넘기나 타이쿤 게임들[56] 을 만든 제작자들도 손해를 보게 되었다. 또한, 썸네일의 퀄리티가 좋은 원본이 플레이어 수가 적거나 없다면 아무리 재미난 게임이라도 플레이어들이 낚시 게임으로 착각하고 거르게 되어 개발자에게는 큰 손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은근 짜증나는 낚시도 있다.''' 멀쩡한 게임으로 들어갔을 뿐인데 갑자기 '''다른 게임으로 텔레포트가 되는 것.'''[57][58]
3.4. 무단도용 및 짝퉁 게임들(copy game)
오래 전부터 있었던 문제로, 핵 등 외부 프로그램을 사용해 맵을 뜯어내고 다른 이가 무단배포한 모델및 메시를 무단도용하거나, 게임성 자체를 완전히 배껴서 인기에 편승하려는 게임들이 꼭 하나씩은 있다. 게임의 소스코드를 뜯어낸 후 무단으로 개조하는 개조판 게임들이나, 그냥 대놓고 같은 게임인 것처럼 행세하는 것이 대표적. Ro-Ghoul, Booga Booga 등 유명하거나 유명한 적이 있던 게임들은 이러한 짝퉁 게임으로 인해 홍역을 치뤘으며, 현재 유명한 게임들은 사실상 전부 짝퉁 게임이 하나씩은 존재한다. 유명 게임의 소스 코드를 복사했기에 위 썸네일 낚시 게임보다는 게임성이 좋아서 표절 및 무단도용 으로 만들어진 게임이 인기를 얻는 경우도 꽤 있다. Piggy의 경우 아예 게임을 무단으로 복사한후 캐릭터 디자인혹은 색깔만 조금 바꿔놓고 출시하는 사태가 생기기도 했다.
이번에는 저연령층 유저들이 Tower of Hell을 따라한 일명 타워 게임들이 Poupular 순위에 올라가고 있다. 특히 타워오브헬은 만들기가 너무 쉽다. 쉬워도 너무 쉽다! 그래서 그런 게임의 제작자 대부분이 저연령층 유저들인 것이다. 조금 스크립트를 만진 것처럼 보여도 거의다 툴박스다. 또한 대부분은 어떤 이펙트나 장식도 없고 장식들은 모두 툴박스로 만든 것이다.
킬브릭인 경우에도 툴박스에서 가져오고 그런 저연령층 타워 대부분이 킬브릭 닿아도 한번에 안죽기 때문에 약간의 스크립트를 변경해야한다. 이마저도 그냥 함수랑 조건문이랑 다 제치고 그냥 변수가 human이라고 생각하면
human.health = 0 에서
human.health = human.health - 1 -- (숫자)[59]
이렇게만 바꾸면 된다. 이 정도는 유튜브에서 쉽게 만날수 있는 공략법만 보면 만들 수 있다. 또는 툴박스에 Acid Block 같은걸 쳐서 나올 가능성도 있다
또 이런 게임들이 동접자수 2000명, 아니 1만명의 동접자수를 찍기도 한다!!! 어떻게 보면 질투처럼 보일수 있지만 안좋은 방법으로 1만명의 큰 동접자수를 모은거니 좋다고 볼수도 없다[60] 만약 단순히 팬 게임을 만들고 싶다면 '''먼저 제작자에게 허가를 받는 것이 좋다.''' 제목에 단순한 팬게임이라는 정보가 들어있지 않다면 설명란에 어떤 게임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거나 등의 설명도 해주는 것이 좋다.
3.5. 어린이들에게 부적절하거나 기괴한 콘텐츠
영상[61] 에 나온 것은 너무 현실적이다 못해 불쾌한 골짜기를 불러일으키는 기괴한 로블록스 데칼 종류 중 하나인 R-thot. 끔찍할 정도로 사실적인 눈과 먹칠 수준으로 진한 화장[62] , 그리고 툭 튀어나오고 명암 구현까지 되어 있는 광대뼈와 코도 없는 얼굴 때문에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성인들이 봐도 기괴할 정도이다. 더 무서운 점은 이것이 폐쇄적인 커뮤니티에서 돌고 돈 것이 아니라 싼 가격, 또는 '''무료''' 얼굴로 풀려 저런 게임은 물론이고 Royale High와 같은 어린이용 게임에도 퍼진 것이다.[63] 심지어는 사실적인, 아니 사실적이다 못해 징그러운 뽀족한 손톱의 손과 귀까지 나온데다 이 세트로 더 기괴한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니 이쯤 되면 거의 안구테러라고 봐도 무방하다. 영상에만 봐도 별 이상한 포즈와 설정[64] 을 욱여넣은 사진이 태반이다. 이것에서 그치면 다행이지만 이걸로 애들 보기에 정말 몰상식한 짓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밑에도 설명하겠지만, 온라인 데이트를 하는 사람과 이상한 게임이 어린이들에게 상당한 충격과 공포를 주기도 한다. 저 위에 예시로 올려진 r-thot의 경우 지나치게 현실적인 얼굴과 여러가지 요소가 합쳐져 징그럽다 못해 공포스럽기까지 하고, 저걸 좋아하는 성향의 오더들이 여기에 엮여 로블록스 전반으로 퍼지게 된 사례 중 하나이다.
이외에도 밑에 설명할 성인용 게임 역시 로블록스의 어딘가에 꼭꼭 숨어 있으며[65] , 언젠가는 어린이들이 호기심으로 찾아가게 되어 문제가 될 것이다.
또한 평범한 게임으로 위장한, 또는 이름이 비슷한 공포 게임 역시 어린이들에게 문제가 된다. 어린이들에게 인기 게임인 Arsenal을 검색하면 로블록스 검색엔진 특성상 혐짤 게임이 본 게임 바로 옆에 뜨기에 실수로 들어가면 아직 어린 유저들에게는 엄청난 트라우마로 남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신이 어떤 게임으로 들어가는지 꼭 확인하고, 이런 게임을 보게 된다면 '''들어가지 말자.'''
로블록스 측에도 이는 매우 좋지 않은데, 이런 컨텐츠를 검열,삭제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위 영상에도 나와있듯이 일단 미국의 '어린이 온라인 보호법'(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Act, 약칭 COPPA)를 위반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벌금을 물게 될 것이고, 비단 벌금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투자자들과 인플루언서들이 Roblox와의 신뢰를 잃어버리고 더 이상 지원을 하지 않게 되고, 심지어 이것 때문에 사용자도 줄어들어 억, 심지어는 '''조''' 단위의 천문학적인 손실을 보게 된다. 하지만 로블록스의 게임 숫자는 1000만 이 넘어가고 관리자의 숫자는 1200명이라서 저런 부적절한 컨텐츠를 다 잡아 낼수 없다. 즉 신고 시스템과 신규 게임을 꼼꼼히 평가해 잡아내는 방법밖에 없는데, 이것도 제대로 하지 않고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는 것이 문제.
3.5.1. Vibe 게임
일명 '''바이브충.'''
Vibe. 즉 감성. 쉽게 말하면 감성이라는 뜻이다. 뒤에 Vibe가 붙으면 거의 대부분 이 분류이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있다. 게임은 잘 돌아가나 플레이어들의 스킨, 하는짓이 딱 오더짓인것. 거의 외국에 이런 게임들이 있고, 요즘은 사라졌으나, 한국에 '너와 나의 연결고리(Vibe)' 라는 게임이 들어오고 점점 바이브가 '''미쳐가기 시작했다.'''[66]
얘기를 하자면, 플레이어들 스킨부터가 저 외국인들보다 더 심각하다. 대표적으로 스킨에 '''바지를 안입히고 상처가난것을 입힌것.''' 말투도 괴상하기 짝이없는데, 온갖 귀여운척은 다하며 혀를 배배 꼬아야 나오는 발음도 구사한다.
게임에 있는 제작자 동상을 보면 하나같이 '''바지가 없는걸 볼 수 있으며. 심지어는 크롭티[67] 에다가 바지를 안입힌 괴상하기 짝이없는 스킨도 있다! 거의 대부분이 코블록스, 올드스쿨 애니메이션 팩,[68] 하얀 생머리, 스와트 머리, 노란 피부, 팔과 다리가 각진 스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69] 그러나 저 코블록스는 17000 로벅스를 자랑하는 엄청난 값을 가진 아이템인데. 생각해보자. 저연령의 유저들이 저 엄청난 값을 어떻게 샀을거같나?''' [70] 가끔씩은 3~8만 하는 얼굴 스킨인 아주아주 행복한 얼굴(Super Super Happy face)[71] 같은 리미티드 아이템들을 끼기도 한다.
리미티드 아이템들은 옛날에는 매우 쌌었어서 그럴만 해도 거의다 최근계정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사람들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 위에 서술한 저 스킨들을 쓰고있다. [72]
2. 프로필에 다른사람 프로필 링크가 있으며, 그 옆에 '내가 마니 아끼는💜💜' 이런 식으로 쓰여저 있는 경우도 있다.
3. '''그룹에 들어가보면 거의 친목그룹이다.''' 모든 사람이 지켜보는 그룹에서 온갖 애교는 다하고, 귀여운척을 남발한다. 다른사람이 이걸 보면 어떻게 볼지 생각해보자.
4. 즐겨찾기에 서술한 vibe 게임이 있다.
5. Da Hood, Adopt Me!를 즐겨한다.
6. 프로필에다 스킨을 카피하지 말라는 내용을 써놓는다. 그런데 정작 그 스킨들도 외국인 스킨을 카피해서 악세사리랑 팔다리만 조금 변형시킨것이다.
7. 닉네임 앞에 숫자와[73] _가 들어간다.
8. 저런 게임에서 남친이나 여친을 구한다고 하면 확실하게 오더다.
마지막으로, 한국에는 저 너와 나의 연결고리를 제작한 제작자는, 바이브 게임을 더 만들고있다. 즉, '''한국에는 오더겜이 미친듯이 늘어나는 중이다'''[74]
또 이런 바이브충 단어 자체가 널리 퍼지지 않아 이런 스킨이 있어도 뭐 그냥 좀 유행하는 스킨이지 하고 넘어가는게 대부분이기도 하다.
4. 유저들의 문제점
4.1. 온라인 데이트
ODer. ''''Online Dater''''의 줄임말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온라인 데이팅은 Roblox 사용규정을 어기는 행동이다. [75]
온라인 데이터들이 주로 하는 행동은 화려하게 차려입고서는 대화로 친한 척을 많이하는 것이다. 주로 RP게임, 카페, 호텔 같은 이용자가 많은 게임 등에 자주 보인다. 온라인 데이터는 생각보다 많다. 온라인 데이터들은 게임을 플레이 하는데 불쾌하게 만든다. 만약 오더를 만났다면 no u를 치고 빨리 나가는게 좋다.
Oder 관련 문제점은 여러 롤플레잉 게임에도 서술되어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The ODER라는 로블록스 호러 무비가 유튜브에 나오는 등 오더들을 비꼬거나 혐오시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는 있으나 아직도 온라인 데이팅을 하는 사람들의 인식은 변하지 않았다.
RPG게임에선 더더욱 심각한데 대놓고 다른 사람 앞에서 여자에게 kiss to me라고 말하는 남자들은 물론이고[76] 오더가 정책위반이라고 말리는 사람들에게 욕설를 하기도 한다. 보자마자 신고해버리자.
다만 문제가 있다면 이런 오더들이 로블록스에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로블록스 신고 시스템이 잘 통하지 않아서 그렇다.
얼굴도 사는곳도 나이도 모르는 사람에게 남친/여친/배우자가 되어달라고 하는 것도 한심하고 불쾌한 짓이지만, 그보다 더한 짓거리들을 하는 유저들도 있다. '''아이들이 주로 하는 게임에서 하기에 정말로 몰상식한 짓'''을 하는 사람들인데, 이들을 보통 Hardcore ODer라고 부른다. 이들의 특징은 공짜 옷으로 아웃핏을 꾸민 유저들을 배척하고 과금 아웃핏을 한 이들에게는 실컷 들이대면서 꼬시는 것. 그러면서 꼬시는데 성공하면 상대를 한적한 곳으로 데려가고... 이후 성적 행위를 하는것 마냥 롤플레잉을 해댄다. 가끔씩 이들 중에선 '''공개채팅'''으로 음란한 말을 하는 유저들도 있으며, 채팅을 하는 타 유저들에게 어마어마한 불쾌함을 선사한다.
이들 중에서 심각한 경우 자신들의 개발 능력을 좋지 못한 방향으로 써먹어 '''대놓고 성관계를 하는 정신나간 게임'''[77] 들이나 모델링을 내놓고 그 안에서 오더들끼리 즐기는 행태를 보여주지를 않나, 심하면 수간, 스카톨로지 등의 이상성욕 게임까지 만들어놓고 사이트 내에 광고까지 올리는 사례도 튀어나온다.
그리고 SNS에서까지 활동하는 오더들이 있는데, SNS의 하드코어 오더들은 로블록스 캐릭터들로 저질 포르노를 찍어낸 후 '''연령제한 없이''' 게시글을 올려놓는다. 이로 인해서 구글의 로블록스 관련 특정 검색어들은 로블록스 포르노로 점령되어 문제를 끼치고 있는 중이다.
이런 좋지 못한 가장 큰 문제점은, 이런 종류의 게임들은 모든 플레이어가 제한 없이 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이다.[78] 그리하여 아직 성에 대해 잘 모르는 미성년자들이 플레이하거나 봄으로서 동심 파괴나 큰 충격을 겪을수도 있고, 성에 대한 잘못된 생각을 가질수도 있다는 것. 더해서 '''위에서도 서술된 운영진들의 무관심으로 인해 이런 걸 검열해야 할 운영진들이 조치도 안 취한다.''' 게임 자체는 봇을 돌리던 해서 일주일 안에는 다 짤라버린다 치더라도 다중 계정으로 제재를 대놓고 회피하는 것을 허용하며, 해킹으로 계정을 되찾는 것까지 제제를 하지 않는 Roblox의 기형적인 시스템으로 인해 그 유저들이 계속 부계정을 파서 게임을 양산하고 있으며, 계정만 정지먹이고 모델링은 삭제를 하지 않는 것인지 로블록스 스튜디오에서 특정 검색어로 검색하기만 해도 영구정지된 유저들의 음란물 모델링들은 수십개가 나온다. 포르노 제작자들 역시 유저네임 공개를 안하기 때문에 추적 역시 불가능.
이런 게임들을 양산해내는 유저들의 태도도 가관이다. greenlegocats123이라는 유튜버가 이런 부적절한 게임들을 양산해내는 디스코드 그룹에 들어가 그들을 조사하여 이들을 폭로하는 유튜브 동영상을 올렸는데, 이 동영상을 본 그룹 관리자들이 오히려 들고 일어나 그룹원들에게 greenlegocats의 계정을 어떤 수단을 써서든 신고하라고 하였고, '''결국 신고 누적으로 greenlegocats의 계정은 삭제 처리되었다.''' 정작 규정을 위반한 유저들이 정상적인 유저들을 허위로 신고해 차단을 먹이고 있는 것.
4.2. 신규 유저를 향한 혐오
3.0 바디를 착용한 신규 유저를 무시하는 경향이 널리 퍼져 있다. 직접 비교해보면 알겠지만 현질 스킨을 꼈을때와 뉴비 스킨을 꼈을때 사람들이 대하는 태도가 다르다. 또한 뉴비스킨[79] 을 꼈다는 이유로 욕먹는 경우도 빈번하다.[80]
2020년 패치로 로블록스가 기본 남녀 디폴트 캐릭터가 선택되는게 아닌 아바타를 계정 생성전에 간단히 커스터마이즈하고 생성하는 방식으로 바뀌어 뉴비 스킨을 보기 비교적 힘들어져 비하 행위도 줄어든 편이었으나. 사람들의 항의로 다시 디폴트 아바타로 롤벡됐다.
그런데 이 Bacon이 밈이 되어 이걸 컨셉으로 밀고 나가는 사람도 생겨났다.[81]
지금 당장 게임에 들어가도 Noob[82] 라는 채팅을 듣기 쉬울정도로 많은 유저들이 신규유저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다.
4.3.
은근히 게스트를 싫어하는 정도를 넘어 증오, 그 이상의 반응을 보이는데 일단 게스트 계정이 '''채팅 자체를 하거나 볼 수 없기 때문이다.'''[83] 채팅을 못 하는것 까지는 이해가 되어도 이 약점을 이용해서 트롤링도 하기 때문이다.[84] 이 때문에 롤플레잉이나 협동 게임에서는 그냥 짐덩어리다. 일부 게스트 채팅이 되는 게임에서는 유저들은 가입을 권유하지만 소용이 없는 모양이다.
간혹 트롤링을 하지 않았음에도 게스트라는 이유만으로 욕을 하는 유저들이 있는데 일부 게스트가 채팅을 볼 수 있는 게임에선 게스트가 상처를 받을 수 있으니 삼가자.
그래도 가입이 꺼려지는 유저를 위해서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게스트 계정으로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게임 링크를 로그인하지 않고 성별 선택 후 플레이하면 된다. 또 게스트를 귀여워하는 유저들도 있다.
그러던 게스트 제도가 2017년 10월 3일부로 삭제되었으며, 가끔 게스트 모드로 플레이 하는게 가능할때가 있다. 이에 따라 게스트 팬 그룹에서 엄청난 반발이 있었으나, 관리자 왈, 게임을 하려면 회원가입하기 어렵지 않은데 굳이 이걸 둘 필요가 있느냐는 대답이었다.[85]
현재 이 방법은 도메인이 팔려서 사용할 수 없다. 크롬으로 'roblox guestplay'라는 확장 프로그램을 깔면 되었으나 2018년 10월부로 로블록스 측에서 게스트로 플레이하는 것을 완전히 막아 게스트 비슷한 아바타가 뜨다가 결국 2019년 4월 13일, 게스트는 로블록스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여담으로 이렇게 게스트를 혐오하는 일들이 많이 생기다보니 The Last Guest라는 게스트 플레이어 혐오를 풍자한 팬 영화까지 제작되었다.
4.4. 저연령층 유저 문제
일단 기본적으로 나이가 어리면 판단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보통은 협동 게임이나 FPS 게임에서는 모든걸 완벽하게 망쳐버리고 책임을 아예 지려고 하지 않는다. 일단 게임 이해도가 부족한 경우나 불문율 등을 모르는 경우가 있기에 사과 안하는것 까지는 그렇다 칠 수 있지만 나중에 다른 사람이 잘못하거나 자기가 게임에서 지면 위에서 말했듯이 욕설을 날리며 사과하라고 대문자로 채팅창에 짜증낸다. 자기가 무슨 짓을 했는지 생각을 안 하고 채팅 도배를 하거나 실력이 좋다는 이유만으로 해커라고 몰아가기도 한다. 설득이 사실상 불가능하니 무시하는게 현재로서는 더 나은 방안.
또한 게임에 문제점이 전혀 없어보임에도 불구하고 게임이 어렵다거나 게임 내에서 타 유저와 분쟁이 생겼다는 등 별별 이유로 싫어요를 누르거나 싫어요를 누르라고 선동하는 성향도 많이 보인다. 대표적으로 Tower of Hell이 싫어요 수가 많다. 개중에선 문제점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아무 문제가 없는데도 유저들은 너무 어려워 신고할 것이라고 하는 경우는 흔하다.
심지어는 외국인들한테도 외국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까내리는 경우도 있다. 만일 당신이 그들을 외국인이라고 까내렸다면 곰곰히 생각해보자. 그들 관점에선 당신도 '''외국인'''일 것 이다. 그리고 '''Roblox 자체가 애초에 외국에서 만든 게임이다.''' [86] 한국의 경우 일본인들이 서로 얘기를 주고받고 있으면 독도는 우리땅을 운운하기도 하고, 중국인들이라면 코로나에 대해 얘기하면서 무분별적인 비난을 한다.
한국에는 크리에이터 도티의 게임플레이로 저연령층 유저들이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하였는데 Google Play에 로블록스 리뷰란에 로벅스를 달라, 로블록스 게임 내에서 버그가 일어났는데 고쳐달라 등 로블록스가 사측에서만 만드는 게임인 줄 아는 정상적인 비판이 아닌 쓸데없는 비난만 가득찬 평점테러형 리뷰가 보인다. 무엇보다 Roblox는 게임이 아닌, 스팀처럼 수많은 게임이 있는 게임 플랫폼이다.[87]
또한 몇몇 저연령층 유저들은 말 그대로 아무 죄가 없는 유저들한테도 성질을 낸다. 아무것도 안하고 있는 애꿎은 유저에게 갑자기 시비를 걸고, 정당한 플레이를 하는 유저에게 욕설을 퍼붓는 플레이어도 있다. [88]
심지어 몇몇 한국인 로블록스 유튜버들은 이 점을 이용해서 Adopt me 관련 영상을 올려 조회수와 구독자를 모은다. 웬만하면 구독자 5만명 이상인 로블록스 한국인 유튜버는 애니메이션 제작으로 모은 Untel23이라는 유튜버 말고는 전부 저연령층 유저들을 노려 모은 것이다.
4.5. 다중 계정 문제
계정 만들기가 매우 쉬운 만큼 자연스럽게 다중 계정 문제가 발생하기는 하나, 문제는 '''개발사 공인으로 다중 계정이 허용되며, 오히려 권장하고 있다는 점'''이다.[89]
운영진들도 이 문제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지 계정의 비밀번호를 잊었는데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등록이 되지 않았다면[90] 계정이 어떻든, 본인 과실이 아니던 간에 '''아이피, 유저 에이전트나 접속 기록 등으로 찾아줄 생각은 하지도 않고 오히려 새 계정을 파라고 종용'''하는 무책임한 반응을 보인다. 이런 상황을 대비해서 나중에 계정 복구 같은것이 필요할때가 올지도 모르니 이메일이나 전화번호 같은것을 계정에 미리 저장해두자. 실제로 계정이 해킹을 당하였는데 저장한 이메일을 통해서 복구한 사례는 '''셀 수도 없이 많다.'''
매크로 메세지 [ 펼치기 · 접기 ]
위는 유명한 매크로 메세지. 본계정이 밴을 먹어도 계속 계정을 무한대로 팔수 있기 때문에 다중 계정으로 어그로를 끌거나 봇을 만들어 스팸 사이트 테러나 사기를 치는 유저들, 다중 계정으로 단체 온라인 데이팅을 하는 유저들부터 부적절한 컨텐츠나 혐짤, 성인물을 올려[91] 플레이어 밀집 서버에 올림으로서 테러를 가하거나 게임인 경우엔 대중에 공개시키고, 부계정으로 핵을 마음껏 사용해 피해를 주는 유저들, 저작권 위반 게임이나 저질 시뮬레이터들을 도배하는 유저들까지 이에 관한 폐해는 매우 큰데 비해 정작 처벌 강도는 매우 약하다는게 문제. 사이트를 봇으로 해킹하지 않는 이상 포이즌 밴도 사실상 먹이지 않는다.[92]Roblox}}}
또한 부계정을 파기 너무 쉽다보니 양학 문제도 심하다. 특히 Phantom Forces 같은 fps게임은 안그래도 어려운 게임에 양학까지 더 심해지다 보니 신규유저는 안늘고 게임은 더 고여버리는 악순환이 심해져서 한때는 동접자가 2000명대로 떨어져버리는 대참사가 일어난적도 있었다. 거기다가 아예 Arsenal은 대놓고 부계정으로 초보들을 학살하는건 기본이고, 이걸 심각하게 받아들이지도 않는다. 팬포는 그래도 심한 부계정 양학은 밴을 먹이고, 유저들이 알아서 킥투표를 하는등 최소한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이건 그런것도 없다. 사실상 Roblox에서 fps게임이 상당히 마이너한 이유다. Phantom Forces나 Arsenal, Counter Blox을 제외하고는 인기를 끈 FPS 게임이 없다고 봐도 될정도.
4.5.1. 봇 문제
로블록스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들이면 대부분 한번쯤은 무료 로벅스를 얻을수 있다고 하는 링크를 포함한 댓글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저런 Free Robux 댓글을 다는 계정은 전부 다 봇이다. 이 게임을 오래 해온 유저들이라면 한번 자신을 팔로잉하는 유저들을 확인해보자. 위 사진과 같은 봇들이 영구정지된 채로 몇개씩은 존재하며, 심하면 한 페이지 이상이 저런 봇 계정으로 도배된 광경을 볼 수도 있다.
이런 댓글을 다는 봇은 거의 대부분 무료로 얻을 수 있는 아바타 외형을 하고 있으며 대체로 블록 헤드에 Man 세트의 얼굴을 착용하고 있다. 또한 봇을 이용하여 마구 친구추가를 보내거나 게임 순위를 올리는 것도 문제가 되고 있다. 만약에 봇의 친구 요청을 받았다면 거의 무조건 사기 사이트로 통하는 링크를 메세지로 보내준다.[96] 그리고 이런 사기 사이트에 들어가면 계정을 털어달라 말하는 꼴이 되니 '''친구요청을 받지말고, 사기 메세지를 받았다면 절대 들어가지 마라.'''[97] 계정을 터는것이 아닌 인간 인증[98] 을 해야 로벅스를 받을수 있다며 사이트에 광고를 넣어 돈을 버는 수법을 쓴다.
근래 이 봇들이 잠시 사라졌던 적이 있는데 그 이유는 로블록스 측에서 CAPTCHA를 추가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 봇들이 로블록스에 정상적으로 가입을 못하고 있'''었'''다. 이것이 봇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으나, 이후 타인의 계정을 해킹해 봇으로 쓰는 방법이 퍼지면서 2019년 6월부터 이 봇 사용이 급격하게 늘어났다.
이런 봇들은 게임의 동접자 수와 좋아요 등을 조작하기 위해 쓰이기도 하는데 Bloxnite부터 시작해 Free 로벅스, Thanos obby, Tiktok obby, 시뮬레이터류 등 웬만하면 사람들이 거들떠 보지도 않을 저질 게임들이 봇을 써 Popular 창에 올라가는 일이 있으며, 심지어 Adopt Me! 등의 유명 게임까지도 이 봇을 쓰는 정황이 포착되었다. 게임들이 봇을 쓰는 정황이 포착되면 게임 자체를 봇 사용으로 신고할 수 있다. 당연하지만 봇은 게임 개발자나 운영진 등이 아니더라도 쓸수 있어서, 멀쩡한 게임에 봇을 사용해 누명을 씌워 게임이 삭제되게 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 또 팔로워 봇이나 그룹 봇도 있다.
베이컨(뉴비) 플레이어처럼 생긴 겉으로는 봇처럼 안생긴 해킹봇들이 게임에 난입해서는 채팅에 가짜 robux사이트를 복붙하고 바로 나가는 수법으로 광고를 한다. 물론 나가면 나갔다고 로그가 남으므로 아무 의미 없다.
또 플레이어가 봇처럼 채팅을 써도 정지를 먹는 경우가 있다.
현재에 와서는 봇들의 수법이 더욱 치밀해졌는데, 자신이 일반 플레이어인것처럼 별 의미없는 말을 하다가[99] 바로 아래에 {System}이나 [ROBLOX]등의 단어를 넣어 시스템이 메세지를 말하거나 진짜 관리자가 들어온것처럼 유저들을 속이는 경우도 있다.
4.6. 저질 유튜버
우선 아래에 서술할 핵 유튜버부터, 키네마스터 등으로 찍은 영상이 유튜브에 널려져있다.
일부 게임에는 코드를 입력하여 보상을 얻을 수 있는데, 이걸 이용하여 유튜브 영상으로 코드가 있다고 썸넬에다가 홍보하고 낚시를 해서 조회수를 뜯어내려는 일명 '''양산형 코드 낚시 유튜버들이 있다.'''[100]
보통 아예 썸네일은 있다고 해놓고 대놓고 없다고 뻥을 치거나, 알려준답시고 코드를 치기만 하고 확인을 안누르고 이게 맞다고 하거나[101] , 알려준다고 해도 초중반은 온갖 좋아요나 구독 구걸, 궁금증만 자극하는 문구를 넣고 후반에 한두개 말하는 식으로 상당히 부실하다. 비록 진짜로 알려줄려고 하는 유튜버도 있지만, 양산형 코드 낚시 유튜버들에게 다 덮혀버린다.
로블록스의 주 타겟층이 저연령층인 것을 생각하면 이 행위는 단순 트롤링으로 올린 게임 관련 영상이라도 어린 아이를 속일 수 도있는 ''' 사기행위 '''이다.
웬만해서는 유튜브를 통해서 알려고 하지 말고, 제작자의 공식 트위터나 디스코드를 통해서 확인하자.
또는 로벅스를 입력하면 그 로벅스 액수에 맞는 리미티드 아이템 제안이 나오면 바로 구매한다는 스나이퍼가 유명하다. 허나 국내 저질 유튜버들이 올린것들은 외국 유튜버들이 올린 주작 영상들을 교묘하게 편집해 자기 영상으로 속인것이며 이것을 시도했다가 토큰이 따여 해킹 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102]
4.7. 현금거래
Roblox 지원에서는 사용자 간의 개인 거래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규정으로 명시하고 있다. 즉 로블록스에서의 현금거래는 금지 대상이 된다. 특히, 개발자가 DevEx를 사용하지 않고 로벅스로 현금거래를 한 것을 이유로 영구밴 당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이 그렇듯이 로블록스에서도 한국인 간의 현금거래가 있다.
가끔 채팅창을 보면 거래용어를 사용하여 거완[103] 을 적거나 0.5[104] 라고 채팅창에 적으며 정상적인 플레이어의 눈쌀을 찌푸리게 한다.
주로 A Universal Time같은 한정판 스탠드가 많은 죠죠게임이나 Adopt Me!에서 자주 현금거래가 일어난다. 이미 로블록스에서 많은 한국 유저들이 유입 되었는데다가 외국 플랫폼이므로 국내에서의 완전종식은 매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즉, 실제로 존재하는 코드를 찾기 위해선 유튜브가 아닌 다른 곳(나무위키, 그 게임의 공식 위키 등..)을 찾아보는 것이 제일 정확하다.
4.8. 무분별한 의류 복제
[image]
셔츠 목록에서 Guest를 검색하면 나오는 의류들. 1페이지인데도 똑같은 옷이 사방팔방에 퍼져 있다.
원래 로블록스는 한 플레이어가 의류를 만들어 일정한 가격에 내놓고, 이를 통하여 원하는 옷을 검색하여 구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의류가 점점 복제되기 시작하더니, 그룹들이 옷을 제작하게 되는 업데이트 이후로는 한개의 의류가 수없이 복제되어, 그 의류를 검색하면 가지고 싶은 의류가 복제품들에 의해 파묻히는 참사가 일어나고 말았다. 이 문제는 특정 커맨드만 입력해도 셔츠의 템플릿이 바로 다운로드되는 수법 때문으로, 저작권 문제는 둘째 치고 이것 때문에 복제된 의류들의 원작자들은 수익을 얻지 못하는 등 큰 피해를 받고 있다. 게다가 그룹들이 복제품을 모두 5로벅스로 단일화하여 판매하기 때문에, 제작자들이 본인의 의류를 원하는 가격에 제대로 팔지 못하는 문제도 생기게 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로블록스는 이러한 복제품들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고 있어서, 문제는 점점 커지는 중이다. 되려 아무 이상이 없는 의류들을 제재하는 등 생뚱맞은 짓을 하고 있는 상태이다.
현재는 조금 나아진 상태이다.
5. 무료 로벅스 사기
[image][105]
로벅스를 공짜로 줄수 있다면서 개인정보를 털어가거나 조회수를 뜯어먹는 사기의 일종. 대부분의 게임들이 간단한 점프맵을 클리어하고 닉네임과 비밀번호를 작성하면 로벅스를 준다는 형식을 취하는데, '''당연하지만 절대로 비밀번호와 아이디를 적으면 안된다.''' 자신의 비밀번호와 아이디를 작성하면 게임에서 튕기거나 인게임 밴을 당하며[106] , 맵 개발자에게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전부 털리게 된다.[107] 로벅스는 당연히 주지않는다. 또한 웹페이지를 만들어 로벅스를 무료로 준다고 홍보하는 것도 당연히 사기.[108] 당연히 로벅스를 줄 리가 없다.
결론을 말하자면 FREE 로벅스는 전부 '''사기'''이니 절대로 이용하지 말자. 개인정보를 털어먹는 것이 목적이지, 로벅스를 주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만약 실제로 일어난다면 로블록스 사이트 자체가 해킹 당했을때 일 것이다.
로블록스 고객센터 메일인 info@roblox.com에 관련 문제를 물어보면 아래와 같은 매크로 답변을 보내준다.
원문 [ 펼치기 · 접기 ]
Roblox}}}
한국어 번역본 [ 펼치기 · 접기 ]
5.1. 예시
약 6월 22일 쯤 ROBUX라는 게임이 Popular 순위 4위에 올라왔다. 그 동접자는 자그마치 '''19,333명'''이었다.
이 게임도 이름만 봐서 알겠지만 로벅스 사기 게임이었다. 동접 19,333명중 대부분은 계정봇으로 만든 것이다. 그때 당시 서버 탭을 열어보면 비슷한 외형의 아바타들로 도배되어 있는것을 볼수 있었다. 평가도 싫어요가 압도적으로 많다.
이러한 대규모 로벅스 사기 사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그 전에도 많은 로벅스 사기 사태가 일어 났지만 Roblox 측에서 그 게임을 계속 삭제 하였다. 그러나 삭제되자 마자 계속 생겼다. 대부분 게임이 만들어진 날짜가 2017년 9월 22일.
로벅스 사기는 주로 유튜브에서 강좌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본진인 Roblox에서 직접 이렇게 홍보하는 것은 처음이다..
[image]
이런 창이 뜨고, www.robux.tv에 접속해 무로 로벅스를 가져가라고 한다.
[image]
그러나 저 사이트를 크롬에서 접속시에는 이렇게 사기성 사이트로 차단하고 있다.
[image]
하지만 현재는 위처럼 사이트가 없어진 듯 하다.
[image]
심지어 이런 사이트들은 바이러스 토탈에서 검사만 해봐도 피싱, 악성코드, 주의로 나오는것이 대부분이며 이런 사이트들이 바이러스나 악성코드로 떡칠되어 있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니 절대 들어가면 안되는 사이트중 하나인것을 알수 있다.
이에 Roblox 측이 지우고 있는 것인지, 봇들이 지우고 있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불특정한 시간마다 ROBUX가 생기고 있다. 7월 이후 안 나오는 듯 했으나, 3개월 후인 10월 23일에 재등장해 일시적으로 '''동접자 21,635명으로 1위에 오르기도 했다!'''[109]
이후 2019년에도 어김없이 Popular 순위에 오르는 일이 발생했다.
현제 2019년 신종 ROBUX 광고가 생겼다.
여러 Popular 게임에 이런 챗들이 뜨기 시작했다.
봇이 아무 게임에 들어가서 이 메시지를 보내고 신고 방지로 나간다.
[image] [110]'''(유저)just got TONS of ROBUX using (사이트 주소) Visit(사이트 주소) in your browser to generate ROBUX instantly!'''
'''(유저)가 (사이트 주소) 에 접속해 엄청난 양의 ROBUX를 얻었습니다! 브라우저에서 (사이트 주소)를 방문하여 ROBUX를 생성하십시오!'''
심지어 공백문자를 이용해 실제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보낸것처럼 하는 신종로벅스 사기도 등장하였다!
그런데 웃긴게 한국인서버에서 전혀 상관없는 채팅사기를 한다
채팅은 /me[111] 로 한것으로 확인되며 누가 먼저 했는지는 아직 모른다.
요즘에는 진짜 사람이 사기를 치기도 하는데, 주로 보이는 수법은 일단 아바타를 화려하게 치장하고, 사람이 많은 게임에 들어가서 특정 플레이어에게 친추를 받아주면 로벅스를 주겠다 라고 꼬신 뒤 게임에서 나가게 한 다음 친구 챗으로 그 문제의 게임들을 플레이 하라고 보내준다. 물론 절대로 로벅스는 안주니까 혹시라도 어떤 사람이 그런 부탁을 한다면 블럭하고 빨리 게임에서 나가는게 좋다. 거절한다 하더라도 끈질기게 계속 쫒아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로벅스 사기 게임에 접속할 경우 친구들에게 자동으로 사기 로벅스 게임 메세지가 가기도 한다.
수법이 더욱 치밀해져 이젠 피싱을 위한 사기 홈페이지가 생기는 중. 가짜 Roblox 홈페이지나 가짜 프로모코드 홈페이지를 만들어 개인정보와 계정을 탈취하는 사기꾼들이 성행하고 있으나, 도메인이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112] 도메인이 이상하게 몇글자 더 붙어있거나 홈페이지에 FREE 로벅스, 공짜 아이템 광고가 붙어있으면 피싱 사이트니 절대 아무것도 입력하지 말고 무조건 나간 뒤 Roblox 이메일(info@roblox.com)이나 관리자들에게 신고하자.
그리고 현제는 봇이 와 일반적인 채팅을 하는 척 하며 밑에 {System} 메시지가 뜨며 로벅스를 받아가라 한다
시스템 이니까 믿을만 할수도 있겠으나 당연하게도 사기이다
로블록스에서 어느정도 말을 하면 채팅이 다음줄로 넘어가는걸 이용한 사기이다
끝나나 싶었지만.... 안타깝게도 7월 7일 🅴🅰🆁🅽 🆁🅾🅱🆄🆇 🅽🅾🆆![113] 라는 게임이 상위권에 갑자기 나타났다.
현재는 계정을 해킹 당한 유저들의 계정으로 게임에 들어가게 하거나. 그 플레이어의 친구들에게 메세지로 프리로벅스를 보내 마치 진짜인것 처럼 위장하는 수법이 생겨났다.
5.2. 사기가 아닌 것
그러나 앱을 설치하고 조건을 충족시키면 9~19로벅스 정도의 소량을 지급하는 곳이 있긴 하다. 다만 앱을 깔면 이미 다른 사람들이 로벅스를 받아갔기 때문에 보상을 얻기 힘들다. 소량의 로벅스를 추첨을 통해 지급하는 그룹도 있다.[114] 카페 이벤트로도 게임 내 캐쉬나 로벅스를 획득할 수 있다.
설문조사등에 참여하여 점수를 얻어서 점수를 로벅스로 바꿔 그룹에서 받는 방법이 있지만 상당한 운이 필요하다.
아니면 아얘 카페, 호텔형식의 게임을 찾아서 관련 디스코드를 가입한뒤 로벅스 이벤트를 계속해서 참여하는 100% 불법이 아닌 방법[115] 도 있으나 이역시도 자주 참여하면서 운을 봐야한다는점.
또한 로블록스 계정은 아니더라도 다른정보가 털릴수 있어서 주의해야한다.
진짜로 사이트에서 5포인트를 얻어서 1로벅스로 바꿀 수 있는 사이트가 있다.[116]
6. 게임 해킹 프로그램
대부분의 해킹은 스크립트를 이용해 값을 변경하며, 몇몇 스크립트를 제외하면 다른 플레이어한테는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재는 직접 게임 파일을 조작하는 스크립트도 존재. 이 경우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보이며 실제로 큰 피해를 준다. 또한, 이러한 치트를 쓰는 플레이어들을 'Exploiter'라고 부른다. 간단히 hacker라 불러도 관리자나 사람들이 이해한다.
초기부터 있었던 대다수의 해커들은 떠난지 오래지만, 호기심 등으로 핵쓰는 유저나 대놓고 핵을 쓰며 유튜브 영상을 찍는 유튜버, 심지어 '''핵을 써서 영세 게임들을 망치거나 유저들을 괴롭히고는 그걸 저질 컨텐츠로 만드는 악질 유튜버들'''이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Roblox가 풀어야 하는 과제이자 맞서 싸워야 할 문제점 중 하나이다. 사이트가 몇번 뚫려서인지 사이트 보안은 철저하나 대다수 제작자들은 당연하겠지만 사측에서 하는 노력만큼 방비를 철저히 할수 없어 사이트 내 해킹보다 게임 내 치팅이나 어뷰징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계정이 정지되는 것을 대비해 부계정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정말 악질적인 것으로 로블록스 사측의 강력한 대처가 필요하나 윗문단에도 서술되어 있듯이 현실은 답이 없다.
무개념 플레이어를 참교육 한다거나 실력이 좋아서 할게없다는 없다는(...) 핑계로 핵을 사용한다는 황당한 경우도 있다. 외부 프로그램으로 개입하는 것 자체가 명백한 불법이기 때문에, 핵을 사용하는 것은 어떠한 변명으로도 정당화할 수 없음을 명심하자.[117][118][119]
게다가 몇몇 핵쟁이들은 나무위키에 까지 와서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홍보하거나 전쟁범죄를 찬양하는등 타 사이트에 까지 민폐를 끼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인터넷에서 스크립트를 복사해 와서 다운받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로블록스에 주사(Inject)한 후 그곳에 붙여넣기를 해 작동시킨다. 아래는 보통 볼수 있는 핵의 종류.
- Admin Commands
보통 게임 내에 작은 창(Gui)를 띄워 사용한다. 서버 어드민만 다룰수 있는 기능들을 전부 핵으로 비슷하게 만드는 핵이다.[120]
- 블랙홀 핵
플레이어들을 순간적으로 한곳에 묶는 핵.이 핵을 사용하고 죽이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 스핀 핵
- 스핀봇/스핀핵
플레이어를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해주는 핵. 이렇게만 보면 별 피해가 없을 것 같지만 fps 게임의 경우 에임핵과 병행해 킬캠[121] 으로 사람들을 어지럽게 만들기도 하며 기본적인 움직임만 지원되는 초보적인 게임의 경우 사람들에게 돌진해 맵 밖으로 튕겨내는 트롤짓을 할 때 쓰인다. 여러모로 악질인 핵. 예시로 유튜버 운테르가 찍은 영상[122] 만 봐도 엄청난 속도로 회전하며 사람들을 다 날려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이쪽은 운영진이 재빨리 포착했기에 더 큰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 스피드 핵
플레이어의 걷거나 뛰는 속도를 늘리는 핵.[123]
- 게임 머니 핵
조악한 스크립트나 유명한 게임에선 거의 시스템에서 막아버리나, 특정 아이템의 가격을 바꾼다.
- 노클립
벽뚫기와 중력을 무시하는 스크립트가 있다. 일부 조악한 핵은 땅까지 통과해 땅밑으로 떨어진다. Jailbreak에서는 일정횟수 이상 떨어지면 서버에서 킥하는 식으로 패치한적이 있다.
- 불, 입자, 스파클, 연기
필터링으로 인해 자신에게만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
- 무기나 도구 사거리 늘리기
- 날아 다니기(플라이)
이경우 팬텀포스같은 FPS게임의 경우 총을 쏘는데 적이 날아다니며 한 발도 못 맞추고 적은 잘 맞추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가끔 에임핵과 고인물 때문에 하늘에서 시체가 떨어질 때도 있고, 고인물들의 경우 아예 이놈들을 처단하려고 일부러 예능 플레이를 하는 사람들도 있다.
- Ctrl click 순간이동
- 특정 유저 따라다니기
거머리 핵으로 불린다.
- 검, 갑옷, 도구, 총기 등의 게임 내에는 없는 오브젝트나 무기 등 소환.
이는 자신에게만 보이는 경우도 있고, 실제로 소환하는 경우도 보인다.
- 다른 플레이어 죽이기
필터링으로 인해 실제로는 죽지 않지만 죽은 것으로 핵유저에게만 보이는 경우와 실제로 죽이는 핵이 있다. 필터링을 무시하고 실제로 죽이는 핵은 특수한 경우나 일부 스크립트를 제외하면 대부분 밀쳐서 맵밖으로 떨어뜨려 죽이는 핵이다. 당연하겠지만, 충돌 판정이 없는 게임에선 작동 안한다.
- 무적 핵
기본적으로 체력이 안 닳게 하거나 자신의 휴머노이드 를 강제 파괴해 오브젝트 취급하도록 하는 식으로 작동하며, 아바타 신체 일부를 오브젝트로 대체시키는 아바타 핵의 파생격인 핵도 존재. 그러나 로블록스가 휴머노이드가 파괴될시 바로 리스폰 시키는 식으로 패치했다. 그러나 이도 일부게임에선 작동한다.
- 아이템 핵
게임 내 아이템을 얻는 핵. 로벅스 템부터 심지어는 개발자 전용템을 얻을수 있는 핵도 있다.
- 아바타 핵
자신의 아바타 모습을 특정 모습으로 바꾼다. 모자 등의 악세서리나 아바타의 Mesh를 제거/변경/추가하는 식. 대표적으로 자신의 모자의 메쉬를 제거하고 떨군다음 네트워크 오너쉽으로 붙혀서 타이탄을 만드는 스크립트 등이 있다.
- 채팅 필터링 우회
욕설을 해도 필터링에 걸리지 않아 그대로 욕설이 보인다. 대부분 영어 욕설만 가능하나, 지금은 한국어 욕설도 가능하다.
- 계정 해킹 프로그램
유저 계정 자체를 조잡한 해킹툴. 보통 툴키디들이 사용하는지라 이메일 인증에 막히는 경우 직접 해킹하려 시도조차 하지 않는다. 피해를 줄이는 방법은 구글계정, 전화번호를 연동하는것이며. 자신이 계정이 소유한 모든것을 일일이 스크린샷 찍는것이 좋다.[124]
- 맵 복사핵
게임 내 맵을 뜯어오는 핵. 게임을 무단으로 복사해 개조판이나 짝퉁 게임을 만드는데 쓰이거나 로블록스 게임 애니메이터가 쓰기도 한다. 카피락을 우회한다는 점에서 명백한 핵.
- 로벅스 키젠
로벅스 카드 페이지에 무작위 숫자를 넣어서 로벅스를 얻는 행위다. 확률은 매우 낮으나, 이로 인해 정상적으로 로벅스 카드를 구매한 사람들이 이미 사용된 카드를 구매할 수도 있다.
- 가짜 IP 유포
랜덤한 가짜 아이피[125] 를 만들어 타 플레이어의 거주 국가와 함께 채팅창에 도배를 하며 뿌린다.
- 채팅 복사
게임 자체에는 큰 피해가 없으나. 유저들이 하는말을
그대로 따라말해서 불편함을 주는 핵이다. 만날시 바로 차단하고 유저들에게도 플레이어 차단을 권유하자.
그대로 따라말해서 불편함을 주는 핵이다. 만날시 바로 차단하고 유저들에게도 플레이어 차단을 권유하자.
시뮬레이터 게임및 단순 돈벌이의 경우 주로 외부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일부게임은 아예 핵을 주입하여. 자동사냥을 하는 경우가 보인다. 문제는 유저들과 개발자들의 인식 핵을 주입하는 경우는 유저들도 비방하고 로블록스에서도 핵으로 간주하지만. 매크로는 내부 게임 개발자가 규정으로 정해서 직접 밴해야하며. 아무런 제제가 없으니 일부 유명유튜버는 몰론 대다수의 시뮬레이터 유저들이 대놓고 사용하는 광경을 볼수있다. 잠수하면서 돈을 번다면 십중팔구는 매크로를 키고있는것이다.
- FE핵
가장 사기적인 핵이다! 일단 FE는 거의다 무적이며 그냥 기본적이게 플레이어가 강아지처럼 되거나 하기도 하면서 아바타에 무기를 착용하고 실제로 그 무기를 쓸수 있게 하는 핵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고급 핵프로그램에서 작동하며 R15에선 거의 볼수 없다.
하지만 고급 핵프로그램에서 작동하며 R15에선 거의 볼수 없다.
- 올킬핵
가장 악질적인 핵이다. 말그대로 올킬핵 즉 게임에 있는 모든 유저를 죽이는핵이며, 상위게임에서는 보안이 철저하게 되어있어 나타나지 않지만 보안이 허술한 게임에서는 사람이 가장 몰릴때 잘 나타난다. ALL-KILL 핵이 악질적인 진짜 이유는 로그가 남지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범인을 잡기 힘들기때문이다. 그래서 운영자들이 매우 골치아파하는 핵중 하나이다. 그래서 대부분 감으로 잡거나 의심되는 유저를 심문해서 잡는게 대부분이며 이때문에 아무 잘못 없는 유저가 핵쟁이로 몰려서 밴되기도한다.
ALL-KILL핵을 찾는 방법은 플레이어들이 죽었을때 딱 한명이 죽지 않았을 것 이다. 그 사람이 높은확률이 핵을 사용한 사람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죽은 타이밍에 맞추어 다른 사람이 서버에 들어오거나 방금 리스폰하여 우연으로 죽지 않은경우도 있는데,이 경우에는 심히 찾기어려워지고 오히려 자신으로 몰릴 수도 있다. 조심하자.
대부분 핵들은 C#으로 만들어진다. 몇몇 사이트에서 핵 소스코드를 공유하고 직접 핵을 만들어 배포하기에 사측에서의 강력한 법적 대응이 필요하나 아직 그러지 않는다는게 큰 문제. 또한 어느 유료 핵이 망하며 소스코드가 뿌려지게 되었고 이게 도화선이 되어 엄청난 핵들이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다.ALL-KILL핵을 찾는 방법은 플레이어들이 죽었을때 딱 한명이 죽지 않았을 것 이다. 그 사람이 높은확률이 핵을 사용한 사람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죽은 타이밍에 맞추어 다른 사람이 서버에 들어오거나 방금 리스폰하여 우연으로 죽지 않은경우도 있는데,이 경우에는 심히 찾기어려워지고 오히려 자신으로 몰릴 수도 있다. 조심하자.
당연하겠지만 해킹은 엄연히 Roblox 규정 위반이며, 적발 시 즉시 처벌. 핵 종류와 사용, 신고된 횟수에 따라 제재의 강도가 달라진다.[126] 사용규정 위반 시의 제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고: 플레이어한테 경고를 보낸다. 플레이어는 사용권 계약에 동의하고 다시 계정을 되찾을 수 있다.
- 계정 정지: 한번 더 어길 때마다 날짜가 추가된다. 최소 1일, 최대 14일이다.
- 계정 삭제: 경고와 계정 정지를 무시하고 핵을 계속했다면 그 계정은 영원히 사용할 수 없고, 로블록스 홈페이지에 유저를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일종의 기록말살형으로, 친구로 등록되어 있었거나 팔로우를 한 사람들은 해당 유저의 계정을 보여주는 페이지가 진회색으로 변하며 클릭이 불가능하게 된다.[예시2]
- IP 밴(7일): 7일간 그 IP에서는 로블록스 접속을 하지 못한다. 7일 후 풀린다. 그 아이피로 접속 시도시 403 Forbidden이 뜬다.
- 포이즌 밴: 그 유명한 IP차단이다. 나와 연결된 모든 계정이 즉시 밴을 당하며, 더이상 그 IP와 기기에서 계정 생성이 불가능해진다.
- 자격 무효 밴: 현재 로블록스에서 개인이 받을 수 있는 최고 레벨의 제재. 해당 IP대역의 로블록스 관련 페이지 접속을 영구 불허한다. 접속 시도 시 401 Unauthorized 에러가 뜬다.
Roblox가 정신을 차린건지 어느 시점 이후부터는 핵을 막고있다.[127] 그러나 여전히 처벌이 약하며 무고밴 문제가 일어나기도 한다. 근데 정작 핵유저는 별로 신경쓰지 않는다.
이후에도 Roblox는 계속해서 핵 방지를 위해 업데이트를 반복하지만, 며칠 뒤에는 핵 프로그램도 업그레이드되어 돌아와서 별 의미는 없다. 2018년 12월 30일에 모든 FE 핵을 막고, 기본적인 스크립트 인젝터 패치를 완료했으나 이런 노력이 무색하게 핵 프로그램들은 바로 업데이트 되었다. 끝없는 창과 방패의 싸움.
보안이 잘 안되어 있었던 시절에는 사이트 자체가 해킹 당한적이 몇 번 있었다. 제일 유명한 사이트 해킹은 바로 2012 Roblox 만우절 해킹사건 그리고 2016년에는 '''도메인이 사라지기도 했다.(...)'''
7. 서버 상의 문제
7.1. 심각한 핑 문제
서버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 잘 플레이하던 와중에 Please check your internet connection and try again[변역] 메세지가 뜨며 불시에 연결이 끊기는건 다반사이고, 에러코드 17이나 Httpsendrequest Failed(Http 요청 보내기 실패)등 연결오류가 심할 정도로 자주 발생해 정상적인 게임플레이에 지장을 준다.'''Disconnected'''
Please check your internet connection and try again.[번역]
온라인 게임이면서 핑도 매우 튀는데 랙 컴펜세이션 시스템 자체가 없는지 인터넷이 좋더라도 웬만한 온라인 게임에서는 빨간핑이라 불리며 강퇴당하는 300ms~400ms는 기본이고[128] , 접속 인원이 많은 시간대는 1000ms를 넘기거나 핑이 2000-3000ms[129] 까지도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서버와의 물리적 거리로 따져도 심각한 수준. 이 문제는 UI를 갈아엎은 후 매우 심해졌는데, 새벽에 600~800ms[초단위로] 는 기본으로 나오는 수준이 되어버렸다. 이후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버그가 더해진다면 10000~30000ms[초단위로1] 까지 치솟는 진풍경도 볼 수 있다. 서버상태가 개판인지라 0.1초가 중요한 PvP나 FPS류 게임 등은 정상적으로 플레이하기 영 좋지 않다. 심지어 어떤 사람들은 50000~100000ms[초단위로2] 까지 치솟은 경우도 있다. 그래서 이링크에 한 유튜버가 핑을 480000[초단위로3] 까지 찍은것도 있었다 핑을 480000찍은 한 유튜버
이정도로 치닫자 로블록스가 서버점검을 5년전에 마지막으로 했다는 소문까지 돌았다.
또한 Adopt Me!의 개발자인 dreamcraft가 동접자를 올릴려고 봇을 써서 로블록스 서버에 무리가 가고 있다. 라는 말도 나오고 있는데, 동접자 160만[130] 을 달성하고 지금까지 서버에 문제가 있는걸 보면[131][132] 사실상 봇때문에 서버가 맛이 갔다는 말과 다를 바 없다. 정 아니다 싶으면 게임용 VPN에 접속하면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Zombie Strike는 절정을 찍는데, 열판중에 열판 모조리 게임을 진행하면서 80~100 수준의 핑이 800~10000으로 점차 늘어나는걸 볼수 있다. 그 덕분에 특히 피해를 많이 본 아시아 유저들이 모조리 이탈해버려 현재는 북미 유저빼곤 다른 유저들을 눈씻고 봐도 찾아볼수 없다.
7.2. 텔레포트 오류
게임 간 이동을[133] 기믹으로 사용하는 게임류[134] 에서 빈번하게 발생했었으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오류. 텔레포트 시전시 텔레포트에 실패했다고 뜨며, 보통 에러코드 773이 뜬다. 발생시 정상적인 조작도 불가능한데다 화면 효과가 있는 게임에선 아무것도 안보여서 게임을 나갔다가 들어오는 방법밖에 없다. 아래는 버그가 발동되는 조건.
- 입장중에 게임을 나가거나 텔레포트 존을 벗어났을 경우.
- 서버의 핑이 조금이라도 높은 경우
- 텔레포트 존에서 사망했을경우
- 알 수 없는 이유(...)
7.3. 서버 매칭의 불안정
서버 매칭 방식이 매우 불안정하다. 업데이트에 은근슬쩍 끼워넣는 등 잠수함 패치로 서버 매칭 방식을 마구 바꿔대는 일이 빈번하기에 모든 사람들이 한 서버에 몰리거나, 핑이 악화된 곳의 서버에 사람들이 몰리게 되거나, 게임 내의 모든 서버가 풀로 차서 아예 들어갈 수 없는 일이 반복되어 혼란을 겪는 일이 심심찮게 발생했다.
2020년 6월 초 업데이트 이후로, 서버를 선택해 들어간 경우가 아닌 이상 일반적으로 게임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같은 국가의 이용자들을 우선적으로 매칭한다. 예를 들어 아이피를 한국으로 설정하고 접속하면 대체로 한국인이 있는 서버에 배정되고, 일본으로 설정하면 일본인이 많은 쪽에 배정되는 식.[135] 이걸로 핑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개발 의도 자체는 나쁘지 않아 보이나 이 시스템으로 인해 서버를 바꾸고자 재접속을 시도해도 수십번 같은 서버로 돌아오는 일이 생기는 등 서버를 강제적으로 고정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으며, 정작 핑 문제는 거의 개선되지 못했기에 좋은 소리는 듣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서버를 선택해서 들아가면 귀찮아도 서버고정은 피할 수 있지만 로비와 인게임의 서버가 다른 게임[136] 들은 그마저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극소수더라도 같은서버에 매칭되며 밤, 새벽시간때에는 혼자남는일도 상당히 많이 일어난다.
다만 친구가 하고 있는 게임에 참가하려고 할 때, 단순히 재접속이나 새로고침으로는 '''서버가 바뀌지 않는다!''' 로블록스 서버 매칭 시스템은 유저의 친구가 접속한 서버가 제일 1순위라, 페이지 새로고침이나 재접속으로는 서버를 바꾸는 것이 불가능하며, 서버 리스트에서 자리가 빈 서버를 찾아 직접 접속해야 한다. 인기가 많은 게임의 경우 꽉 찬 서버가 태반이라 자리가 난 서버를 찾는것도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어서 문제가 되는 것.
[1] 특히 로블충이라는 명칭도 있다.[2] 이 시스템으로 왜 Adopt Me!의 개발자가 봇을 돌려 서버를 파탄내도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는지, 왜 일부 유튜버들이 핵을 써서 다른 유저들과 영세 게임 개발자들에게 큰 피해를 주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조치조차 받지 않는지 다 설명 가능하다.[3] 흔히 베이컨이라 불리는 그것.[4] Roblox의 R과 '사람의'라는 뜻의 Anthropo의 합성어로 보인다.[5] 수영, 달리기등에 Rthro모션이 적용됐다. 일반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던 사람들은 이 패치를 매우 싫어한다.[6] 응용이 쉬운 Bighead 시리즈나 Antlers 같은 리미티드 아이템이 유독 심하다.[7] 본 영상은 UGC 아이템중 하나인 쓰레기통으로 사물인 척을 하는 내용인데, 놀랍게도 2명을 제외한 거의 모든 머더들이 눈치채지 못하고 그냥 지나쳤다.[8] appeals@roblox.com[9] 지금은 어느정도 완화되었지만 몇 달 전까지만 해도 간단한 단어를 제외하면 해시태그가 되어 나오는 경우가 대다수였다.[10] 욕설 사이에 알파벳 몇 개 치면 검열되지 않는다.[11] 이것으로 인해 일부 게임에서 채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날려먹기도 한다.[12] 하지만 초딩들이 집주소나 전화번호를 적는 등 민폐짓에 고통받던 사람들은 초딩들 숫자 못 쓰니까 좋다며 찬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문제는 일,이 등 발음도 검열되어 '이'가 들어갈 경우 검열될 수도 있다.[13] 과거 Roblox에서 해시태그가 없이 채팅이 가능한 게임들은 '''만 13세 이상으로 나이 제한을 걸겠다는 것'''이라 선언했고 만 14세 이상인 계정이라도 숫자를 제대로 쓸 수 없다.[예] "Hi", "Apple" 등.[14] 물론 13세 이상도 블랙 리스트에 있는 단어를 상태창 등에 올리거나 말하면 Content Deleted라고 뜨거나 약한 경우에도 해시태그가 뜨긴 한다.[15] 무려 '''비속어'''도 가능 했지만 비속어를 쓰면 약간의 정지를 먹기도 했다.[16] 만약 그렇게 하지 않은 올드비면 나이 변경을 할 수 없게 되니 나이설정 봇을 사용해서 나이를 바꿀 수 있다.[17] NPC 위에 말풍선을 띄워 그것을 클릭하면 대사가 말풍선에 출력되는 기초적인 시스템.[18] 고어 요소가 들어가 있는 게임들을 나열하면서 검열의 부실함을 지적한다.[19] 유튜브에 특정 검색어로 검색해보면 검열을 회피하여 내놓은 오디오들이 밑도 끝도 없이 나온다.[20] 10,000로벅스. 한화로 10만원을 넘는 돈을 쓴셈이다![21] Roblox 사측이 만든 치장성 아이템들은 게임내 능력치나 실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유저들이 직접 만든 게임패스가 문제를 일으키는 중이다.[22] DLC와 비슷한 개념이라 보면 된다. 아니, 사실상 DLC라 봐야 되며, 실제로도 거의 비슷한 길을 밟고 있다.[23] 대표적으로 Mad City의 Heavy Weapons.[24] 온라인 데이트용, 다른 플레이어 괴롭히는 용도[25] 지금은 망했다.[26] 다만 이건 이때 당시 폐지가 안됐으면 언젠가는 봇 계정의 존재로 인해 디플레이션 현상이 일어났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그러나 틱스 제도를 폐지했을 때의 후폭풍을 고려하지 않았고 틱스 폐지후 유저들간의 균형이나 대체 방안 따위는 생각조차 하지 않은채 일단 삭제부터 하고는 돈을 위해 무지막지한 현질유도만 했다는 점에서 비판받는다.[27] 거기다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가라앉으니까 사람들이 Roblox가 망할 줄 알고 리미티드(거래가능한 아이템)를 떨이식으로 팔아치웠기 때문에 디플레이션도 동시에 발생했다.[28] 한때 50틱스 밖에 안하던 뉴비들에게 가장 익숙하고 구하기 쉽던 모자/머리였다. 남성 플레이어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았다.[29] Shaggy와 마찬가지로 값싼 가격에 구할 수 있었던 모자. 귀여운 외형때문에 뉴비 여자 플레이어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았다.[30] 거래 가능한 아이템 리미티드가 되면 교환을 하던지 유저가 카탈로그에 올릴수 있다. 즉, 되팔수 있다. 하지만 거래나 되팔기가 가능하려면 결국 빌더스 클럽을 결제해야한다.[31] 애초에 로블록스는 '''하나의 플랫폼이다.'''[32] 어이없는 사실은, 엎드리기나, 달리기, 펀치는 키가 게임내 화면에 대놓고 명시되어 있다. 정작 게임내 화면조차 제대로 안보고 비난하는 것.[33] 다만, Prison Life는 모바일에서 엎드리기와 펀치를 못한다.[34] Work at a Pizza Place 제외. 이 게임은 유저들이 참여하는 오픈소스 번역으로 꽤나 괜찮은 결과물이 나왔다.[35] 그래도 저연령층 유저들은 자기들이 못읽는 영어보단 낫다며(...) 좋아하고 있다.[36] 팬텀포스를 예로 들자면 저격총 중 하나인 INTERVERTION을 '''개입'''이라 번역하고 총 스탯의 "kill"을 '''죽입니다'''(...), 심지어 게임 인트로의 게임 이름마저 한글과 영어를 섞어놔서(P시간NT오MF오RC전자S) 읽기조차 못하게 하였다... [37] 당장 Tower Defense Simulator 나 All Star Tower Defense를 가도 이 상황이 이해가 될거다 [38] 제대로 번역한다면 spawn은 소환 또는 불러오기, passenger는 승객으로 번역되어야 한다.[39] 하지만 리셋은 2011년 중반쯤 UI 업데이트로 인하여 리셋 툴이 없어도 리셋을 할 수 있다.[40] 그리고 엄청난 대성공을 거두었다.[41] Bakiez Bakery, Soro's Restaurant 같은곳에서 볼수있는 면접 지원 센터이다.[42] 2011년에 창립된 인기많은 엘리베이터 모델 제작 전문 그룹이었으나 이 개인모듈 스크립트를 쓰는 Teknikk Polar 모델이 고장나면서 2019년 1월 말에 제작자들이 엘리베이터 개발을 접고 그룹은 사라졌다.[43] 여담으로 이 그룹의 엘리베이터 제작스킬이 정말 대단했다. 개인 모듈 스크립트가 지원 종료되기 전까지만 해도 엘리베이터가 거의 현실적으로 작동될정도로 인기가 많았던 회사이다. 어느정도냐면 대부분의 엘리베이터 그룹이 대부분 이 그룹의 스크립트를 개조,수정하여 만들정도이다.[44] 다행히 지금은 다른 스크립트를 써서 다시 만들었다.[45] 예를 들자면, 파일럿은 문을 열었지만 다른사람한테는 문이 닫힌 것 처럼 보인다.[46] 또는 LoleeRBX, 또는 E.[47] 이 아이템은 '''토이코드'''로 얻을수 있는 상품이다.[48] 로블록스는 이성교제(연애)와 욕설이 금지되어있다.[49] 아도, 콜스 등을 하나만 꺼내서 써야하는데 몇개씩 불러와서 써서 혼돈의 카오스다[50] 2017년 출시. 단순한 시뮬레이터의 성공을 보여준 선발주자.[51] 한번 뜨는 순간 헤비 과금러들이 확 모이며, 유튜버들은 컨텐츠를 위해 미친듯 대량의 로벅스를 쓴다. 보통 게임패스도 비싼 경우가 많아, 개발자 입장에서는 이런 게임들을 개발하면 로또 맞는 것 마냥 엄청난 로벅스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당장 내로라하는 로블록스 유튜버들도 이런 게임에 몇천, 몇만 로벅스씩 들이붓는다.[52] 다행(?)인 점은 10억 분의 1짜리는 삭제되었지만 여전히 '''억'''단위의 확률 아이템이 남아있다.[53] 기존 게임의 틀을 이용해 시간만 축내는 게임을 만드는 것이 Simulator와 똑같다. 그러나 타이쿤 중에서는 Theme Park Tycoon, Restaurant Tycoon, Retail Tycoon같이 유저가 맵을 직접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등 참신하고 재미있는 요소를 가진 게임들이 존재한다. 사실 생각해보면 '''일부 Tycoon류 게임들은 Simulator류 게임들보다 훨씬 더 시뮬레이션 게임에 가깝다.'''[54] 그리고선 제목과 맵이 몇시간마다 바뀐다.[55] 사실 그 썸네일과 게임 자체도 자신들이 직접 만든게 아니라 다른 유저들이 만든 것을 가져다 놓은 것이다. 썸네일 역시 인터넷에 있는 것을 끌어다 온 것.[56] 썸네일부터 장애물이나 타이쿤 요소들까지 제작자 본인이 직접 만든 게임들이다.[57] 이는 썸네일도 관련이 있다. 그냥 썸네일도 평범해서 들어왔는데 갑자기 다른 게임으로 텔레포트가 된다고 생각해봐라. 얼마나 짜증나는가.[58] 만약 텔레포트된 게임의 썸네일이 혐짤인 경우 트라우마로 남을수 있다.[59] TakeDamage 함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보통 툴박스 킬브릭은 이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60] 근데 이런 게임들은 봇을 썼을 가능성이 있다[61] 9번째 지옥에서 나온 사악한 존재라며 루시퍼에게 영원히 재생되는 피부나 뜯기면서 고통받으라는 말이 나오는데, 오버일 수도 있지만 사실 사람들이 이것으로 하는 짓과 그것으로 피해본 사람들을 생각해보면 적절한 말이다.[62] 킴 카다시안을 따라한 것이다. 이 화장법으로 유명한 사람이지만 그래도 이 사람은 인스타그램에 올리려고 자주 스타일을 바꾸고, 징그럽게 먹칠 수준으로 하지는 않는다.[63] 다행히 본 게임의 제작자가 이를 알고 대부분 삭제했다.[64] 잡지 표지같은 평범한 것도 있지만 임신이나 '''성관계''' 관련 사진도 있다![65] 섬네일을 기본 섬네일로 한다든지, 이름을 평범한 것으로 바꾼다든지 온갖 짓을 다 해서 로블록스 사측에 의해 삭제되어도 다시 올라온다.[66] 여담으로 이 게임을 만든 4x4AM이라는 제작자는 자신의 게임인 일찐 중학교 소개글에 오딩을 금지한다고 했다. 근데 제작자 스킨부터가 바지를 안입으며 자신의 게임에서 자신이 오딩을 하는 모습을 볼수 있다.[67] 흔히 배꼽티라고 불리며 배를 노출하는 옷. '''여기다가 바지를 안입으면 어떻게 되는지 생각해봐라'''.[68] 값도 싸고 퀄리티도 은근 좋아 인기가 많았던 애니메이션이었으나, 오더들이 사용해버려 인기가 뚝 떨어져버린 비운의 애니메이션.[69] 대충 이런스킨[image][70] 또한 코블록스 같은 경우에도 잘 안보이는 스킨이기도 한다[71] [72] 사실 이걸로만 판단은 하지 말자 왜냐하면 밑에서 말하듯이 바이브충 같은 경우 널리 퍼지지 않은 단어기 때문에 그냥 저런 스킨을 보고 "와! 좋은 스킨인걸!" 하고 비슷비슷 하게 스킨을 끼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도 하다[73] 대표적으로 0으로 시작하는 숫자. 예를 들자면 07[74] 대표적으로 이 제작자의 게임에는 일찐 중학교라는 게임이 있는데, 이 게임이 성공하자 양산형 중학교 게임이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으로 광남 중학교.[75] 신고칸에도 물론 들어있다[76] 다행히 13세 이하에겐 kiss가 해시태그가 된다.[77] 대표적으로 Condo 시리즈, have six가 악명높다. 이런 게임들은 '''아예 성기 모양이나 유두같은 부위들, 그리고 체위들까지 재현해놓는다.'''[78] 주로 이런류의 게임들은 1일내로 게임이 삭제되지만 다른계정을 만들어 게임을 계속 올린다..[79] 머리랑 팔은 노란색, 몸통은 회색에 가까운 파란색, 발은 회색에 가까운 초록색이 기본 스킨이긴 하나 보통 플레이어들이 가장 많이 혐오하는 아바타는 얼굴은 회색에 Pal hair, 모터 사이클 셔츠에 진녹색 청바지를 입은 것. 이 Pal hair가 베이컨을 닮아 bacon이라 불리며 혐오받는 중.[image][80] 현재는 뉴비 스킨이 희귀해져서 기존 뉴비스킨을 꼈다는건 그만큼 많이했단 뜻이 되었다.[81] 대표적인 인물이 MyUsernamesThis.[82] 특히 팀게임에서의 경우가 잦다.[83] 일부 게임 한정 그리고 예전에는 Safe Chat가 있어 채팅을 할수 있었지만 스팸으로 인하여 삭제 되었다.[84] 전투 게임같은 곳에서는 아군 팀킬부터 시작해서 적군의 스파이까지 되는 격. 거기다 '''계정이 없기 때문에 제재조차 받지 않는다.''' 이러한 약점을 이용해서 고의로 게스트로 플레이하여 트롤하는 유저들도 존재. 하지만 핵이라거나 그 강도가 심할 경우에는 IP밴, 또는 체인 밴. 즉 본 계정 포함 관련 계정은 전부 정지당한다고 한다.[85] 이전에도 유저들 사이에서 번번히 언급되었던 이야기다. 회원가입이 어렵지 않으며, 또한 게스트 계정의 존재로 해킹 등 처벌하기가 힘든 문제들도 늘어나는 탓에 삭제가 정당하다는 의견이 주류였고, 그외에도 더 많은 수입을 얻으려면 차라리 틱스 삭제 대신 게스트 삭제를 하라는 의견도 있었다.[86] 정작 한국인의 저연령층은 개발자와 제작자의 나라를 까는것이다 [87] 즉 사이버펑크 2077이 버그가 많다고 스팀 리뷰란에 고쳐달라고 비판하는 셈[88] 자신보다 실력이 조금 낮으면 엄청못하네라고하고 자신보다 실력이 조금더 잘하면 핵이네라고한다 [89] 이 다중계정들 때문에 FREE ROBUX같은 게임이 생겨나는 것을 보면 아이러니하다.[90] 계정을 찾을 때 구매 기록, 이메일 등만 검증한다. 이 중 하나도 없다면 소유권을 절대 찾아주지 않는다.[91] 심지어 성관계를 하는 등 부적절함의 극치를 달리는 게임들도 계속 생성해 낸다.[92] 먹인다 해도 VMware나 Virtual Box 같은 가상머신이라는것을 아는 플레이어라면 가상머신에 운영체제를 설치하고서 접속할수 있고, PC가 아닌 다른 플랫폼에서도 접속할수 있는 방법도 있기때문에 IP차단을 먹인다해도 완전한 차단은 어렵다. 게다가 MAC주소를 눈깜짝할 새 바꾸는 TMAC의 존재 때문에 TMAC이 있다면 포이즌 밴도 무용지물. 버튼 누르고 1~4초만 기다리면 바로 아이피를 새로 할당받아 뚫어낼수 있다.[93] 이 사진에 봇들은 밑에서도 언급됐듯이 다 밴 당했다.[94] 로벅 가질 수 있다며 사이트 들어라가고 한다. 물론 이 사이트는 검열되어 삭제됐다. 정 가고 싶다면 웨이백 머신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다. #단,'''절대 이메일이나 비밀번호는 쓰지 말자''' [95] 저 봇의 소개문 번역본 : 저를 포착하셨군요! 만약 여러분이 이 글을 발견했다면, 여러분은 선택된 승자입니다! 옆에 있는 링크를 보십시오: robuxtools.me 수천 로벅스와 함께 인기 있는 게임들의 게임 패스를 즉시 획득십시오! 이것은 공식 이벤트 이며 (물론 아니다.), 보상을 얻기 위해서 당신의 개인정보는 필요하지 않습니다![96] 이런 봇들을 Scambot이라 부른다.[97] 예전에는 봇들이 모든 게임중 만원이 아닌 서버에 들어와서 채팅에 메세지를 보내기도 한다.[98] 로벅스를 무료로 준다고 하는 피싱 사이트에서 많이 뜨며 가짜 형식의 CAPTCHA라고 보면 된다.[99] 예를 들어서 how, OMG, what 같은 간단한 단어들[100] 이런 유튜버들은 로블록스 말고 다른 곳에서도 많이 발견되는데, 가장 큰 예가 포트나이트이다. 새로운 코스튬 유출, 무료 V-bucks로 낚시를 하고 영상에서는 쌩뚱맞은 말을 하는 식.[101] 이런경우는 대부분 십중팔구 낚시다.[102] 토큰이 따이게 되면 기본적으로 그 로블록스 계정은 해킹당한다 보아도 무방하다[103] 거래 완료의 줄임말[104] 0.1당 천원이다.[105] 현재 대부분의 사기형 게임이 검열돼 이 장면을 볼수 없다.[106] 혹은 자신의 로블록스 계정을 적었는데 로벅스 얻었다는 메시지 조차 오지 않고 그냥 그대로이다. 얻었는지 보려고 게임 끄고 보면 로벅스는 1도 안주고 그냥 남에게 내 개인정보를 탈탈 털어서 준것이다. 그리고 보통 저런 게임에는 Tab키를 누르면 플레이어가 뜬다. 그때 봇을 넣어 유명한 사람들이 로벅스를 얻은 거처럼 사기도 친다.일종의 보이스피싱.[107] 비밀번호를 다르게 적어도 닉네임을 적은 이상 해킹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이걸 역이용해서 다른 게임에서 만났던 핵쟁이의 이름을 적어놓는 방식으로 핵유저에게 엿을 먹이는 방법도 있다.[108] 들어가보면 웹사이트의 보안 연결(https)도 안 되어있고 당연하게도 https를 쓰지 않으니 인증서도 없다. 더 심한 건 밑에도 나와 있듯이 사기성 사이트라고 차단시킨다.[109] 대신 사이트가 robux.tv에서 earnrobux.me로 바뀌어 올라왔다.[110] 사진을 보면 "how?"라고 입력한 봇이 채팅뒤에 공백문자를 이용하여 아랫줄에 시스템이 입력한거처럼 속인 신종 사기다.[111] 현제 삭제 되었으나 최근에는 /me 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채팅을 치는걸로 다시 활동을 하고 있다.[112] 정상적인 도메인은 이쪽으로. 메인: https://www.roblox.com, 프로모코드: https://www.roblox.com/promocodes[113] 번역하면, 지금 로벅스를 버세요!가 되겠다.[114] 그냥 재미로 하는 것이 좋다. 확률은 몇만분의 일도 안되기 때문에 기대하지 말자.[115] 애초에 이런게임은 사기를 칠수 없는게 사기를 친다면 많은 유저들이 떠날것이고 이미지가 나락으로 떨어질것이다. 또한 이런게임은 애초에 어드민부터 교육을 잘받기 때문에 사기도 칠수없다.[116] 단 이사이트가 Microsoft Rewards에서 구동된다. 대한민국은 입장이 불가능해서 국적을 바꾸는것말고는 답이 없다.[117] 심지어 몇몇 핵쟁이들은 초딩겜에서 핵을 쓰는것은 당연하다거나 이미 망겜이라는 이유로 핵을 쓰기도 한다.[118] 정작 이런 변명을 하면서 핵을쓰는 유저들중 대다수는 아무 잘못이 없는 유저들을 핵을쓰면서 괴롭히는 모순된 행태를 보여준다.[119] 게다가 몇몇 유튜브를 하는 핵쟁이들은 자신을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잼민이라고 욕하거나 "너희들이 싫어요를 눌러봤자 조회수만 늘어난다."라고 핵을 싫어하는 사람들을 이용해서 돈을 벌려고 하는 경우도 있다.[120] 다만 일부 게임들의 경우 게임패스나 VIP서버에 자체 어드민 커맨드가 존재하는 게임도 있다. 이들을 괜히 해커로 몰지말자.[121] 킬당한 뒤 자신을 죽인 유저를 잠시 관전하는 기능.[122] 플라이핵 같은 다른 프로그램과 병행해 쓰지도 않고 핵 자체도 매우 초보적인 스핀핵이라 회전 도중 강제로 앉게 되거나 아이템을 주워 팔을 들게 되면 로블록스 자체 물리버그로 땅을 뜷고 들어가 죽는 것을 볼 수 있다.[123] 사실상 처리하기 가장 쉬운 핵중 하나 걍 컨트롤로 없에주면 지혼자 나간다.[124] 이유는 해커가 해킹을 한 후 이상한 데칼을 올려서 계정이 삭제되게 유도하는 경우가 잦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정을 복구한 후 이메일로 스크린 샷들을 보내면 적어도 사진속에 있던 아이템들은 돌려 받을수 있다.[125] 대부분의 해커가 검열을 피하지 못한다. [126] 지금 당장 걸리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사용한다면 반드시 제재를 당하게 된다. 절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예시2] [image][127] Injector method 패치, Filtering Enabled가 아닌 게임 정지 패치, 핵 감지 추가 등.[번역] '''접속 끊김''' 당신의 인터넷 연결상태를 확인하시고, 다시 접속해 주세요.[변역] 당신의 인터넷 연결상태를 확인하시고, 다시 접속해 주세요.[128] 근데 사실 이정도 핑에서도 거의 모든컴퓨터가 그렇게 큰 무리는 안간다.[129] 1000ms=1초 즉,2초~3초후 데미지를 받거나, 그 사이에 공격을 받을수도 있다.[초단위로] 0.6초-0.8초[초단위로1] 10초-30초[초단위로2] 50초(거의1분)-100초(1분40초 '''사실상 2분인 셈이다!'''[초단위로3] 480초('''무려 8분이다!'''[130] 그리고 6월 17일 동접자 250만명 달성하고 서버가 터진걸 보면 말 다했다.[131] 한국에서는 핑이 200(0.2초)이하로 줄어드는 날이 없으며 외국에서도 핑이 예전같지 않다고 비판했다.[132] 새벽쯤에 하면 못해도 50ms는 나온다.[133] 즉, 게임에서 장소 이동이 아닌 게임에서 다른 게임으로 넘어가는 방법이다. 다만 스토리 게임의 경우 중간승차를 막기 위해 넘어가는 부분은 검색에서 막혀있어 아무리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134] 주로 스토리 게임에서 발생한다. 스토리 게임은 아예 '''텔레포트를 해야 시작된다.'''[135] 물론 낮은 확률로 다른 서버에 배정되는 경우도 있다.[136] 예를들어 Blackhawk Rescue Mission 5와 같은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