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出'''날 출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シュツ, (スイ)
'''일본어 훈독'''
で-る, だ-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chū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용례
2.1. 단어
2.2. 인명
2.4. 그 밖에

[clearfix]

1. 개요


읽기 7급, 쓰기 6급에 해당하는 한자. 부수는 위튼입구몸이다. 나가다, 떠나다, 드러내다, 나타내다 등의 뜻이 있다.
(뫼 산) 자를 위아래로 합친 듯한 모양이지만 山 자와는 관계가 없다. 애초에 가운데 세로획을 한 획으로 합쳐서 쓴다.[1] 갑골문자를 보면 발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인 (그칠 지) 자와 U자 모양으로 꺾인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어느 지점에서 발을 내딛어 나간다'에서 '나가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희곡(戱曲)의 한 단락(段落)이나 연극의 한 장면을 나타낼 때에는 '척'으로 읽는다. (척)의 간체자(簡體字)이기도 하다.

2. 용례



2.1. 단어


  • 가출 (家出)
  • 각출 (各出)
  • 갹출 (醵出)
  • 검출(檢出)
  • 구출 (救出/驅出)
  • 기출 (己出/旣出)
  • 노출 (露出)
  • 누출 (漏出)
  • 대출 (大出/貸出)
  • 도출 (導出/挑出)
  • 돌출(突出)
  • 매출 (賣出)
  • 모출 (摹出)
  • 반출 (伴出/搬出)
  • 방출 (放出)[2]
  • 배출 (倍出/排出/輩出)
  • 백출 (百出)
  • 분출 (分出/噴出/奔出)
  • 불출 (不出/拂出)
  • 빈출 (頻出)
  • 사출 (寫出/射出/斜出/査出/瀉出)
  • 산출 (産出/算出)
  • 색출 (索出)
  • 석출 (析出)
  • 선출 (先出/選出)
  • 세출 (歲出/洗出/稅出)
  • 송출 (送出)
  • 수출 (搜出/秀出/輸出)
  • 연출(演出)
  • 외출(外出)
  • 용출(湧出)
  • 유출 (流出/溜出/誘出)
  • 인출 (印出/引出)
  • 일출(日出)
  • 적출(摘出/積出)
  • 제출(提出)
  • 지출(支出/持出)
  • 진출 (進出)
  • 차출(差出)
  • 창출(創出)
  • 추출 (抽出)
  • 축출(逐出)
  • 출가 (出嫁/出家/出稼/出駕)
  • 출격 (出擊/出格)
  • 출구 (出口/出柩)
  • 출국 (出國)
  • 출근 (出勤)
  • 출동(出動)
  • 출두(出頭)
  • 출력(出力)
  • 출마 (出馬)
  • 출발(出發)
  • 출사표(出師表)
  • 출산(出産)
    • 출산율(出産率), 출산휴가(出産休暇)
  • 출생 (出生)
  • 출석 (出席)
  • 출세(出世)
  • 출소 (出所/出訴)
  • 출신 (出身)
  • 출아 (出芽)
  • 출연(出演)
  • 출입 (出入)
  • 출자(出資)
  • 출장(出張)
  • 출제(出題)
  • 출처(出處)
  • 출토(出土)
  • 출판(出版)
  • 출항(出港)
  • 출혈 (出血)
  • 탈출(脫出)
  • 퇴출(退出)
  • 표출(表出)
  • 호출(呼出)

2.2. 인명



2.3. 고사성어/숙어



2.4. 그 밖에



[1] 하지만 파자할 때는 山 2개로 쓴다. 김삿갓 문서에도 나오는 '朋出(친구가 나감)하거든' → '月月山山하거든'이 그 예. 창힐수입법에서도 山山(UU)으로 입력한다.[2] 스포츠 선수를 방출한다는 방출은 이 한자를 쓰지 않고, 放黜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