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clearfix]
1. 개요
북녘 북''', '''달아날 배
'북쪽'이란 뜻과 '달아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한자다.
2. 세부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5317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ㄅㄟˇ 또는 ㄅㄛ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中一心(LMP)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 8급, 쓰기 6급 II로 분류되어 있다.
北은 원래 두 사람이 등을 맞대고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등, 등지다'라는 뜻을 가지고 '북'(/pˤək/)이라고 읽었으나, 이 글자가 후에 원래의 뜻에서 파생되어 '북쪽'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에 北 자는 '북쪽'이라는 새로운 뜻이 너무 지배적인 나머지 본래의 '등, 등지다'라는 뜻이 거의 완전히 사라지는 지경에 이른다. 결국 원래의 뜻을 살려내기 위해 새로운 글자가 만들어지는데, 뜻의 기원이 되는 北에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月(고기 육, 肉의 변형된 형태)을 덧붙여서 만든 글자가 바로 지금의 背(*pˤək-s)이다. 여담으로 현재 北에서 원래의 의미가 유일하게 남아 있는 사례가 '敗北(패배)'이며, 한국에서 이 北을 '북'이라고 읽지 않고 '배'라고 읽는다. 반면 일본에서는 '배' 음에 해당하는 독음이 없으므로 '敗北'을 'ハイボク'라고 읽는다.
이와 같이 어떤 글자 A가 인신이나 가차로 인해 본래의 뜻을 잃어 버린 후, 본래의 뜻은 나타내기 위해 A에 뜻을 보충하는 글자를 더하거나 약간의 변형을 가하는 방식으로 만든 글자 B가 있을 때, A와 B의 관계를 '''고금자(古今字)'''라고 한다. 이와 같은 사례로는 自(스스로 자)와 鼻(코 비), 酉(닭 유)와 酒(술 주), 云(이를 운)과 雲(구름 운) 등이 있다.
3. 용례
- 관북 (關北)
- 남북 (南北)
- 납북 (拉北)
- 대북방송 (對北放送)
- 동서남북 (東西南北)
- 방북 (訪北)
- 북괴 (北傀)
- 북극성 (北極星)
- 북두칠성 (北斗七星)
- 북반구 (北半球)
- 북방 (北方)
- 북부 (北部)
- 북어 (北魚)
- 북한 (北韓)
- 북회귀선 (北回歸線)
- 월북 (越北)
- 이북 (以北)
- 탈북 (脫北)
- 패배 (敗北)
3.1. 고사성어
- 남귤북지 (南橘北枳)
3.2. 인명
실존인물만 서술할 것.
- 왕베이싱 (王北星) - 중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이북만 (李北滿)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원
- 최북 (崔北) - 조선의 화가
- 카미키타 코마리 (神北 小毬)
- 카미키타 켄 (上北 健)
- 카미키타 후타고 (上北 ふたご)
- 키타가와 료하 (北川 綾巴)
- 키타가와 케이코 (北川 景子)
- 키타 아스카 (北明日香)
- 키타자와 사키 (北澤 早紀)
- 키타지마 유키노리 (北島行徳)
- 호조 츠카사 (北条 司)
- 키타노 히나코 (北野 日奈子)
3.3. 지명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이니 지명으로도 엄청나게 많이 쓰인다. 다 적다간 끝이 없을 지경.
- 북한 (北韓) - 신문이나 뉴스에선 보통 줄여서 北이라고 쓰는 경우가 더 많다.
- 강북구 (江北區)
- 경상북도 (慶尙北道)
- 도호쿠 (東北)
- 베이징 (北京)
- 북극 (北極)
- 북미 (北美)
- 북악산 (北嶽山)
- 북청군 (北靑郡)
- 북한강 (北漢江)
- 북한산 (北漢山)
- 성북구 (城北區)
- 성북동 (城北洞)
- 센보쿠 시 (仙北市)
- 입북동 (笠北洞)
- 전라북도 (全羅北道)
- 충청북도 (忠淸北道)
- 타이베이 (台北)
- 평안북도 (平安北道)
- 함경북도 (咸鏡北道)
- 홋카이도 (北海道)
- 황해북도 (黃海北道)
- 키타큐슈 (北九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