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북녘 북, 달아날 배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ホク
'''일본어 훈독'''
きた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běi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세부정보
3. 용례
3.2. 인명
3.3. 지명

[clearfix]


1. 개요


북녘 북''', '''달아날 배
'북쪽'이란 뜻과 '달아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한자다.

2. 세부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북녘/달아나다
'''음''' : 북/배
'''일본어'''
'''음독''' : ホク
'''훈독''' : きた
'''중국어'''
'''표준어''' : běi
광동어 : bak1
객가어 : pet
민동어 : báe̤k
민남어 : pak[1] / pok[2]
오어 : poq (T4)
'''베트남어'''
bắc
유니코드에는 U+5317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ㄅㄟˇ 또는 ㄅㄛ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中一心(LMP)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읽기 8급, 쓰기 6급 II로 분류되어 있다.
北은 원래 두 사람이 등을 맞대고 서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 '등, 등지다'라는 뜻을 가지고 '북'(/pˤək/)이라고 읽었으나, 이 글자가 후에 원래의 뜻에서 파생되어 '북쪽'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에 北 자는 '북쪽'이라는 새로운 뜻이 너무 지배적인 나머지 본래의 '등, 등지다'라는 뜻이 거의 완전히 사라지는 지경에 이른다. 결국 원래의 뜻을 살려내기 위해 새로운 글자가 만들어지는데, 뜻의 기원이 되는 北에 뜻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月(고기 육, 의 변형된 형태)을 덧붙여서 만든 글자가 바로 지금의 (*pˤək-s)이다. 여담으로 현재 北에서 원래의 의미가 유일하게 남아 있는 사례가 '敗北(패배)'이며, 한국에서 이 北을 '북'이라고 읽지 않고 '배'라고 읽는다. 반면 일본에서는 '배' 음에 해당하는 독음이 없으므로 '敗北'을 'ハイボク'라고 읽는다.
이와 같이 어떤 글자 A가 인신이나 가차로 인해 본래의 뜻을 잃어 버린 후, 본래의 뜻은 나타내기 위해 A에 뜻을 보충하는 글자를 더하거나 약간의 변형을 가하는 방식으로 만든 글자 B가 있을 때, A와 B의 관계를 '''고금자(古今字)'''라고 한다. 이와 같은 사례로는 (스스로 자)와 (코 비), (닭 유)와 (술 주), (이를 운)과 (구름 운) 등이 있다.

3. 용례



3.1. 고사성어



3.2. 인명


실존인물만 서술할 것.

3.3. 지명


방위를 나타내는 한자이니 지명으로도 엄청나게 많이 쓰인다. 다 적다간 끝이 없을 지경.

[1] 백독[2] 문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