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권 파시즘

 


1. 개요
2. 상세
3. 관련 인물 및 단체
4. 기타


1. 개요


교권 파시즘은 파시즘의 정치경제적 교리를 교권주의와 결합시킨 이념이다.
'''종교 조직을 동원해 파시즘적 정치를 행하거나'''
또는 '''성직자가 파시즘 정권에서 지도적 역할'''을 한다.
근본주의와 비슷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다른데,
교권 파시즘은 '''종교를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는) 수단으로 사용해 파시즘 정권을 이루는 것'''이고
일반적은 종교 근본주의는 '''파시즘적인 (또는 사회적으로 수구적인) 교리를 수단으로 근본주의 아젠다를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 용어는 1920년대 이탈리아 왕국에서 베니토 무솔리니 및 그를 지지한 천주교 정당인 이탈리아 인민당을 설명하는 말로써 처음 사용되었다. 무솔리니를 반대하다 1924년 망명을 나간 기독교 민주주의 신부 루이지 스투르초(Luigi Sturzo)가 용어 고안자라고 한다. 1922년 로마 진군으로 무솔리니가 정권을 잡기 이전부터 북이탈리아에서는 가톨릭을 파시즘에 융합하려는 교인들이 있었고, 이들 역시 교권 파시스트라고 불렸다.
기독교 파시즘이 급진화된 교권 파시즘은 전간기에 유럽 각지의 극우 정치세력들 사이에서 형성되었다.
서유럽의 교권 파시즘은 역사적, 사상적 맥락에서 전통 가톨릭과 여러모로 관련이 있다.

2. 상세


파시즘이 기존 정치와 근대에 대한 반항으로부터 나온 것이고 파시즘 거물들의 최고봉인 아돌프 히틀러베니토 무솔리니가 모두 종교에 대해 영 삐딱한 인물들이었기 때문에 종교와 파시즘은 거리가 먼 듯이 보이지만, 관련연구에 따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우선 종교 역시 파시즘이 기존 엘리트들과 협상하는 과정에서 협상대상이 되곤 했는데, 대표적인 것이 교황과 무솔리니의 라테라노 조약이다. 종교 파시즘은 아예 종교가 민족주의를 대체하여 파시즘적 열정을 부여한다고 보는 경우다. 이에 대해 스텐리 페인 교수는 종교의 계율과 가치가 파시즘 지도자를 제약하기 때문에 종교가 어느 정도 세속화되어야 이러한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벨기에, 루마니아, 스페인, 핀란드 파시스트들은 종교를 중시했다.
팩스턴은 민족주의를 파시즘이 택한 하나의 도구에 불과하다고 보고, 종교 파시즘의 출현 가능성을 긍정하며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종교는 그 정체성 측면에서는 국가만큼이나 강력할지 모른다. 일부 문화권에서는 실제로 종교적 정체성이 국가적 정체성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 종교 근본주의에서는 종교 내의 단합과 활력을 극단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국가의 단합과 활력을 극단적으로 추구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게 작용한다. 이런 공동체에서는 종교에 기반한 파시즘의 출현이 가능하다. 결국 그 어떤 파시즘도 상징이나 구호가 다른 형태의 파시즘과 비슷할 이유는 없으며, 실제로 그러하듯이 각 나라의 애국주의 레퍼토리를 얼마든지 끌어들일 수 있다.


3. 관련 인물 및 단체



4. 기타


이외에 미국의 극우 개신교 인사들이 이끌었던 나치 운동이나 핀란드의 '라푸아 운동'은 드물게도 전통적 권위주의나 보수주의 이상으로 나아가지 않는 기독교 우파의 극우 운동이 파시즘까지 급진화된 사례로써 주목할만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팩스턴이 언급하진 않았으나 남아프리카 연방오제바브란트바흐 역시 교권 파시즘으로 볼 여지가 다분하다.
여기서 논란이 되는게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은 파시스트인가 아닌가이다. 팩스턴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이 파시스트가 아니라고 보고 있지만 근래에는 이슬람 파시즘이란 개념을 주장하며 이들 역시 파시스트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파시즘에서 자주 보이는 인종주의를 서구문명의 잔재로 보고 배척하는 양상을 보인다. 여담으로 팩스턴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보단 차라리 현대 이스라엘이 파시즘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다. 실제로도 GDP 대비 군사비 지출이 6~7%에 달하는 사실상의 병영국가인데다 사회 분위기가 매우 억압적이기 때문에 이스라엘 내에서도 자국이 군국주의 국가가 되어간다는 비판이 제기된다.(대표적으로 Uri Ben-Eliezer의 견해)
다만 '''기본적으로 교권 파시즘은 근본주의와는 다른 개념'''이다. 교권 파시즘 같은 종교적 내셔널리즘은 '''종교를 내이션(nation)의 구심점으로 삼는 것에 중점을 두지, 교리에 중점을 두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교권 파시즘을 비롯한 종교적 내셔널리즘 세속주의적인 경우도 있다. 물론 교권 파시즘과 근본주의가 결합되는 사례도 있긴 하지만 동의어나 유의어로 볼 순 없다.
인도의 인도 인민당과 시브 세나가 표방하는 힌두트바가 교권 파시즘과 유사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이것은 학계에서도 논란이 있다.


[1] 천황제 파시즘은 파시즘으로 분류해야하는지 쟁점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