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고리오 16세

 




[image]
제253대 비오 8세

'''제254대 그레고리오 16세'''

제255대 복자 비오 9세
[image]
'''교황명'''
그레고리오 16세 (Gregorius XVI)
'''본명'''
바르톨로메오 알베르토 카펠라리
(Bartolomeo Alberto Cappellari)
'''출생지'''
베네치아 공화국 벨루노
'''사망지'''
교황령 로마
'''생몰년도'''
1765년 9월 18일 ~ 1846년 6월 1일 (80세)
'''재위기간'''
1831년 2월 2일 ~ 1846년 6월 1일 (15년 119일)
'''장례미사'''
1846년 6월 6일
'''문장'''
[image]
1. 개요
2. 재위기간
3. 선종


1. 개요


가톨릭의 제254대 교황.
기독교 역사상 주교품을 받지 않은 채 추기경으로 서임된 마지막 교황으로[1] 까말돌리 수도회[2] 아빠스 출신으로서, 바티칸에서 관리로 일하였다가 탁월한 능력 덕택에 주교품을 받지 않고 추기경에 올랐다.

2. 재위기간


그 역시 이 시기의 교황들처럼 보수 반동주의적 태도를 견지했는데, 이는 보수주의의 물결이 불던 유럽의 열강들조차도 비판할 정도로 심각했다. 철도를 '지옥의 길'이라 부르면서 교황령 전역에서 철도 건설을 금했으며, 이 무렵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을 오스트리아 제국의 힘을 빌려 강하게 진압했다. 언론의 자유와 정교 분리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무자비하게 단속당했다.
교황령 외부에서도 그는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1830년에 제정 러시아에 맞서 봉기한 폴란드인들[3]제정 러시아에게 가혹하게 진압되었지만, 교황은 가톨릭 신도를 지지하기는 커녕 반란을 규탄하는 칙서를 발표했다. 당시는 프랑스의 자유주의자 사제들을 중심으로 교회는 압제자가 아닌 대중과 손을 잡아야 한다는 생각이 퍼지고 있었는데, 그레고리오 16세와 교황령은 이를 철저하게 비판했다.
비록 그레고리오 16세가 보수적이고 반동적인 면모로 교황령의 진보를 막았지만, 고전적인 교황으로서의 역할은 충실했다. 노예 무역을 맹비난했으며[4], 해외 선교에 관심을 보여 교황청을 중심으로 한 선교 사업을 재조직했고, 조선을 포함한 전 세계에 걸쳐 70여 개의 새로운 교구를 건설했다. 한국 가톨릭도 그 은혜를 받은 나라들 중 하나로 '''1831년 조선대목구를 설정하고 파리 외방전교회의 브뤼기에르 주교를 초대 조선대목구장으로 임명'''했으며[5], 캐나다미국에 각각 4개와 10개의 교구를 설정했다. 선대 교황 때 조선의 사건이 교황청에 전해졌지만 당시 교황은 프랑스에 유배된 상황에서 사망했기 때문에 그 역할을 그레고리오 16세가 맡았던 것. 선대 교황은 죽기 전 바르톨로메오 추기경에게 비상금을 털어서 그 역할을 맡겼다고 한다.
파리의 성모로 인해 생겨난 통칭 기적의 패를 자기 책상에 있는 십자가 아래에 뒀다고 전해진다.
1836년에는 바티칸 미술관 내에 에트루리아 미술관과 이집트 미술관을 설립했으며,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에도 기독교 미술관을 세워 많은 예술품을 수집했다.

3. 선종



성 베드로 대성당에 있는 그레고리오 16세의 무덤.
석관 좌우에 장식된 조각상은 각각 '지식'과 '신중함'을 의인화했다.
안면단독(丹毒)이 발병한 교황은 1846년 6월 1일 80세를 일기로 선종했으며 유해는 성 베드로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1] 이후, 요한 23세는 모든 직급의 추기경의 서임은 주교의 서품을 받은 다음 이루어져야 한다고 규정을 바꾸었다.[2] 베네딕토회와 같은 연합회 소속인 수도회. 로무알도 성인이 1012년 설립한 최초의 은수 수도회로, 1450년부터 천연재료로 약품, 화장품, 와인, 식료품 등을 만들어 보급하는 사도직을 했다. 2016년 한국에 진출했으며, 명동성당 앞 가톨릭회관 2층에 전통 약방을 열었다.#[3] 폴란드는 전통적으로 가톨릭 국가였다.[4] 교황들은 노예 무역이 시작된 이래 지속적으로 노예 무역을 비판해 왔다. 왜냐하면 하느님의 자녀는 다 평등하니까.[5] 하지만 브뤼기에르 주교는 조선에 입국하지는 못한 채 만주에서 선종해, 앵베르 주교가 제2대 조선대목구장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