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시 시내버스
1. 개요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 일반시내버스, 좌석버스, 순환버스의 3개 등급으로 나뉜다.
김천시 외에서도 충청북도 영동군 일부 지역이나 전라북도 무주군,[1] 경상북도 칠곡군,[2] 성주군, 구미시 일부 지역(선산읍)에도 노선이 있다. 안타깝게도 인접해 있는 경상북도 상주시, 경상남도 거창군 지역에는 영업하는 노선이 없다.[3]
2. 업체
김천버스에서 운행하며 대부분의 노선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을 기준으로 짜여져 있다.
대부분의 시민들 생각과는 달리 김천버스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은 운영주체가 다르다고 한다. 하지만 김천시 시내버스 대다수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을 시점으로 하고 있어 터미널에서 거의 모든 노선을 이용할 수 있다.
3. 교통카드
선불카드는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를 사용할 수 있다.
후불카드는 KB국민카드, 신한카드(LG카드 포함), 비씨카드(우리카드 포함), 삼성카드, 롯데카드(M형, MT형), NH농협카드, 하나카드(외환카드 포함), 현대카드(M형, MT형)가 사용 가능하다.
대경권에서 오묘하게 독자적인 김천시의 입지상 탑패스가 사용불가 지역이었지만 현재는 사용이 가능하며, 대경교통카드도 현재는 이용이 가능한 상태. 이렇게 됨으로 상식적으로 김천시내에서 통용되어야 할 모든 교통카드가 사용 가능해 졌다.
2016년 7월 말부터 교통카드 단말기를 삼원FA 신형단말기(부산에서 쓰는 기종)로 교체 하였다.
4. 요금
[4]
위 요금은 기본요금이며 김천시를 벗어난 시계외 지역은 기본요금외 거리요금(㎞당 116.1원)이 추가되어 김천-추풍령은 1,500원, 김천-성주/김천-무풍은 4,600원이다.
2012년 3월 1일부터 환승 제도를 실시한다. 옆동네 구미시 시내버스와 흡사하게 하차단말기 없이 최초 승차 후 1시간(읍면지역 1시간 30분) 2회이며[5] , 시계외에서는 환승이 불가능하다.[6] 2013년 11월 1일부터 구미시 시내버스와의 광역환승을 실시한다. 관련 기사[7][8] 2015년 12월 1일부터 칠곡군 농어촌버스와도 광역환승을 실시한다.[9]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참조.
5. 노선
5.1. 노선체계
김천시는 관내가 넓고, 농촌지역이 산재되어 있어 인구밀도가 낮으므로 버스 운행편은 적지만 버스노선은 많아야 한다. 그래서 한 개 노선에 여러 개의 가지노선이 만들어져 있다.
노선번호는 '''종점'''을 기준으로 한다.[10] 기점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이 대부분이지만 아닌 경우도 있다. '''번호체계는 무조건 종점 기준이라는 것 주의.''' 애시당초 기점은 시간대별로 다른 경우가 허다하다. 예를 들면 서부 쪽인 직지사 일대를 종점으로 하는 버스가 김천시 동부권인 지좌동을 기점으로 해도,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을 기점으로 해도, 20번대 권역인 신음동 일대를 기점으로 해도 종점이 직지사면 번호는 무조건 11번대를 쓴다는 것이다. 기점이 달라 노선이 상이해도 같은 번호를 쓰는 경우가 있다. 특이하지만 버스차고지가 완전 시내 정 중앙에 위치해 있고, 시내 동지역이 관내 정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많지 않은 인구가 동지역에 50% 이상 몰빵되어 있는 김천시에 적절한 노선구조일지도 모른다. 또한 김천시는 바둑판구조의 '''면형'''구조가 아닌 '''선형'''구조의 도시로써, 성내동을 중심으로 뻗는 몇몇의 큰 도로를 중심으로 도시가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위의 노선구조가 적절한 구조일 수 있다.
기점과 종점이 정해져 있어 권역번호와 다른 지역으로 운행할 일이 적은 대구광역시 등지의 번호체계와 비슷한 듯 다르므로 주의. 종점이 위치한 권역에 따라 시내버스는 십의자리('''0'''0), 좌석버스는 백의자리('''0'''00)가 결정되며, 권역 내에서 종점에 따라 뒷 번호가 바뀌는 식이다. 거기에 가지노선이 필요한 경우 하이픈(-)을 붙여 표시한다.(00'''-0''')
일반 시내버스는 연두색 도색에 두 자리수 노선번호, 좌석버스는 보라색 도색에 세 자리수 노선번호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율곡동 일대를 순환하는 순환버스는 순환+한자리 노선번호에 연두색 도색의 미니버스로 쉽게 구분된다.
위의 시내버스노선 틀을 보면 노선이 두 개씩 묶여 있기도 하고, 좌석버스 일반버스가 같이 있기도 한데, 틀이 저런 모양이 될 수 밖에 없는 게 김천시 시내버스 번호체계 때문이다. 예를 들어 '''11''', '''111'''노선의 경우 둘 다 종점이 직지사로 같은 노선이다. 하지만 11번은 일반버스, 111번은 좌석버스로 노선번호가 갈리게 된 것. 게다가 배차도 15분 간격으로 같이 배차된다. 그래서 항목이 합쳐진 것.
'''90''', '''91''' 같은 경우는 같은 노선이다. 90번은 김천공용버스터미널에서 거문리를 경유해 지례면 버스회차지로 가는 노선인데, 김천시의 버스체계는 종점이 상이하면 번호가 바뀌게 되는 점 때문에, 91번은 90번의 역순이라 종점이 김천공용버스터미널이기 때문에 노선번호가 바뀌어 버리는 것. 서울 버스 303을 기준으로 설명해 보자면, 성남에서 답십리 방향으로 가는 버스가 303번이라면, 답십리에서 성남방향으로 가는 버스는 304번을 달고 운행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20번대, 30번대 등 다른 번호도 마찬가지지만 90번대 노선은 지례에 회차지가 있어서 기점→종점→제2종점(지례회차지)라는 괴랄한 노선이기 때문에 이런 노선번호가 붙게 된 것이다.
2017년 4월 20일 첫차부터 김천시내버스의 노선번호체계가 변경되었다. 각 노선번호에다 기점명을 추가한 형태로 KTX김천구미역에서 출발한 봉계방면의 15번의 경우엔 ''' 'KTX15' '''와 같이 표출한다. 계통별로 노선번호를 구분하면서 사실상 노선번호에서 기점과 종점을 모두 표시하게 된 셈. 기점이 달라도 행선지가 같으면 무조건 같은 번호를 쓰던 체계에다 글자가 추가되어 각 포털사이트에도 노선별로 업데이트 되면서 김천시의 모든 시내버스 노선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11] 글자가 작아서 멀리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대구시의 '순환3-1번'의 글자크기와 비슷하다. 이제 노선번호를 보면 기점이 어디였는지 파악하기는 쉽지만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만 파악하면 되는 노선번호체계이기에 타면서 꼭 필요한 정보는 아니다. (BIS정보 제공을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천터미널이 기점인 경우에는 '김천'으로 표기한다.
6. 인근 지역 시내버스
구미시 지역 버스 중 5로 시작하는 노선대가 종점을 김천공용버스터미널로 하고 있다. 단, 김천버스 소속 버스는 선산읍으로만 왕래한다. 특이사항으로 구미시로 가는 길에 거치는 아포읍은 정작 김천버스 소속 버스가 운행하지 않는다.
사실상 두 도시는 인접해 있기는 하지만 시내버스로 왕래할 수 없는 지역이다.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하는데, 굳이 시내버스를 타고 두 도시를 왕래하겠다면 1회 환승으로 가능하다. 구미시 관내 선산터미널에서 환승하는 것. 혹은 상주여객의 영오리 종점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보이는 옥계리(미륵당)에서 김천버스를 탈 수도 있다. 다만 시간 맞추기가 어려우므로[12] 그냥 시외버스 타는 것을 추천한다.
7. 관련 문서
[1] 대덕, 무풍 경유[2] 약목, 왜관 경유[3] 시외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상주시 시내버스는 선산터미널로 가면 탈 수 있으며, 거창군내버스의 경우 중간에 내려서 걸어가야 한다.[4] 김천시 버스정보시스템 요금 안내[5] 원래 최초 승차 후 기준 환승 가능 횟수가 2012년 3월 1일 첫 실시 당시는 1회였으나 2013년 11월 1일 구미시 시내버스와의 광역환승을 시행하면서부터는 2회로 증가하였다. 옆동네 구미시 시내버스의 경우, 최초 승차 후 기준 환승 가능 횟수가 2008년 11월 1일 첫 실시 당시는 1회였으나 2010년 2월 28일부터는 2회로 증가하였다.[6] 광역환승을 실시하는 구미시 구간(2013년 11월 1일부터)과 칠곡군 구간(2015년 12월 1일부터)은 제외.[7] 원래 2012년 말로 계획되어 있었지만 구미 불산가스 누출 사고로 인해 약 1년 미뤄져서 시행했다.[8] 김천-구미간 요금 단일화가 이루어진 건 아니다. 시계외요금만 붙고 기본요금은 내지 않는 형식이다.[9] 단 약목, 왜관에서 김천시 버스를 이용할 경우에 한해 적용되며 반대로 전북 무주 혹은 성주에서 김천시 버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위 두 지역은 광역환승 지역이 아니므로 이에 따라 환승이 적용 되지 않는데다가 성주터미널에서 김천 버스 탑승시에는 교통카드 사용조차 불가하여 승차권 구매 후 탑승해야 한다.[10] 순환버스 제외[11] 기존에는 김천터미널까지 혹은 김천터미널부터의 노선정보만 나왔었다.[12] 특히 후자의 경우는 연계 가능한 시간대가 1회 내외로 극히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