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달성3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1.1. 고봉리 방면(평시)
4.1.2. 고봉리 방면(현풍5일장)
4.1.3. 도동서원 방면(현풍5일장)
4.2.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고봉리(고봉리)
종점행
첫차
06:30
기점행
첫차
07:11
막차
21:05
막차
21:41(장날) / 21:45(그 외)
배차간격
1일 11회
운수사명
현대교통
인가대수
통합 1대
노선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스포츠파크 - 달성문화원 - 현풍읍사무소 - 현풍할매곰탕 - 달성경찰서 - 유가차천 - 신기리 - 대리마을회관 - 창리 - 창리입구 - 구지면사무소 - 창2리 - (← 구지면사무소 ←) - 창1리 - 응암1리 → 구지농공단지 → 고봉리 → 응암1리 → 이후 역순
[image]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도동서원 방면)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
종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도동서원)
종점행
첫차
09:39
기점행
첫차
10:30
막차
14:24
막차
15:14
배차간격
'''1일 2회(장날에만 운행)'''
운수사명
현대교통
인가대수
통합 1대
노선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스포츠파크 - 달성문화원 - 현풍읍사무소 - 현풍할매곰탕 - 달성경찰서 - 유가차천 - 신기리 - 구지농공단지 - 고봉리 - 응암1리 - 창1리 - 구지면사무소 - 창2리 - 수리리 - 징리보건소 - 오설리 - 도동서원
'''중간 출발 정류소'''
'''현풍''' 방향
없음
'''고봉리''' 방향
없음
'''도동''' 방향
없음
'''중간 종료 정류소'''
'''현풍''' 방향
없음
'''고봉리''' 방향
없음
'''도동''' 방향
없음

2. 개요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본선, 도동)

3. 역사


  • 과거 번호만 같았던 달성3번이 있었는데, 가야대학교 고령캠퍼스와 대구시민회관(현 대구콘서트하우스) 구간을 운행하던 600번[1] 좌석버스가 '시민회관 - 금포리' 구간을 단축하면서 '가야대 고령캠퍼스 - 금포리 달성예비군훈련장'[2] 간 노선으로 바뀌면서 지선으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이에 맞춰 달성3번으로 바뀌었다. 인가대수는 3대였으며, 가야대학교 구간 외에도 '논공 - 약산온천' 구간도 운행했다.
  • 신설된 지 얼마 안 된 2006년 9월 24일에 약산온천 행이 폐지되었다.
  • 가야대행만 남아 있다가 금포리훈련장에서 달성군청으로 연장되었다.
  • 몇 달만에 달성2번에 흡수되어 달성2번의 가지 노선 중 하나로만 유지되어 달성3번은 사라졌다. 이후 2009년에 뽑은 앨리슨 BS110CN 저상버스 1대[3]로만 달성2번가야대고령캠 ↔ 달성군청 지선셔틀을 돌리다가 2012년 6월 16일 개편으로 가야대 노선이 사라지면서 그나마 남아 있었던 옛 달성3번의 흔적은 완전히 사라졌다. 가야대학교는 2003년에 이미 대학 본부를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으로 이전했기 때문에 가야대고령캠에 가는 수요는 없었고, 그나마 시계외요금이 없어서[4] 고령읍(현 대가야읍) 내 수요가 약간 있었을 뿐이었다.
  • 현재의 달성3번은 2007년 8월 27일에 신설된 달성공단2번이 전신이다. 관련 게시물 현대교통[5]에서 2대로 운행되었으며 배차간격은 30분이었고,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2차산단 - 달성1차산단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구간을 순환 운행했다. 첫번째 운행은 달성2차산단으로 갔다가 달성1차산단으로 올라갔으며, 두번째 운행은 반대로 달성1차산단으로 갔다가 달성2차산단으로 내려가는 특이한 방식으로 운행했다. 하지만 이용자가 너무 적어서 많아야 하루에 40명 정도 이용했다. 그래도 달성2차산단 구간을 운행하는 거의 유일한 노선이였기 때문에[6] 폐선되지 않고 간신히 유지하고 있었다.
  • 2011년 8월 18일에 600번이 달성2차산단까지 연장되자 더욱 이용객이 감소한 것이 결정타가 되어 2012년 2월 18일 개편에 인가 2대 중 달성2번에 1대를 보낸 후, 달성1차산단와 달성2차산단 구간을 폐지하고 현풍터미널과 응암2리를 순환하는 노선으로 바꾸었다. 번호도 이 때 달성3번으로 바뀌었다. 원래 같으면 달성8번이 되어야 했지만 결번이었던 달성3번이 되었다. 아마 지선버스 번호 부여규칙의 특성상 중간에 가운데 빠진 달성3번이라는 노선번호가 어지간히 찜찜했던 듯하다.[7] 그리고 2013년 7월 28일에 테크노폴리스 순환노선으로 달성8(-1)번이 신설되었다.
  • 600번이 달성2차산단까지 연장되기 전이었던 2011년 5월, 달성공단2번이 달성1차산단 구간을 폐지하고 달성2차산단 - 현풍 - DGIST 구간을 운행한다는 노선 변경 공고가 뜬 적도 있었으나, 이 계획이 취소되어 실행되지 않았다.[8]
  • 2013년 5월 4일 개편으로 현풍중앙로(현풍 구길) 대신 기존에 시내버스가 전혀 다니지 않았던 현풍동로 - 비슬로(달성군민운동장 - 현풍석빙고 - 현풍읍사무소) 구간 경유로 조정되었다.
  • 대구국가산업단지 내 과학북로 및 창리로 폐쇄에 따라 2015년 4월 9일에 대리 - SK주유소(창리로) - 구지면사무소 대신 대리 - SK주유소(과학대로) - 구지면사무소 구간 경유로 변경되었다. 현재 과학북로에는 급행4번급행8번이 운행 중이다.
  • 2017년 3월 31일에 응암2리 종점이 폐지되고 고봉리로 단축됐으며, 구지면사무소에서 창2리를 추가로 경유하게 되었다. 국가산단 개발 때문에 매방마을 종점이 쓸려 나간 듯. 또 폐지된 달성4번의 도동서원 구간을 이어받아 현풍 5일장이 열리는 날(매달 5, 10, 15, 20, 25일)에만 1일 2회씩 운행하는 지원운행 가지노선이 생긴다. 이 때는 대리를 앞두고 용연저수지를 통해 바로 고봉리로 내려갔다가 구지면사무소로 간다.
  • 2019년 4월 20일 개편으로 구지면 구간에 노선 경로 조정이 생겼다.
  • 2019년 8월 1일부터 현풍교 ~ 상리교 구간 보행환경개선 사업에 따른 일반통행 시행으로 구지 방향은 현풍천 남쪽의 현풍로를 경유한다. 현풍터미널 방면은 여전히 현풍천 북쪽의 비슬로134길을 경유한다. 참조

4. 특징


2016년 2월에 TGM 브랜드로 바뀐 화이버드의 3대 출고 이후 뜬금없이 달성3번이 저상버스 시간표에 떴으나, '''페이크'''였다. 해당 화이버드남구1-1번에 투입됐으며, 남구1-1번의 기존 좌석차와 트레이드했다.[9] 응암 안쪽 도로가 좁고 국가산단이 개발 중이라 아직 저상버스가 다니기에는 노면이 고르지 못해서 그런 듯하며, 결정적으로 달성종합스포츠파크 구간은 급경사다.
그러다가 2018년 1월부터 달성7번저상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가 달성군청의 요청 때문이라고 한다. 동시에 달성군청에서는 달성3번과 달성6번에도 저상버스 투입을 요청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2018년 2월부터 남구1번 출신 저상버스 1대가 달성3번으로 이동해서 운행 중이다.
현풍5일장 도동서원 방면 한정으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중에서 가장 서쪽으로 가는 노선이다.[10]

4.1. 시간표



4.1.1. 고봉리 방면(평시)


순번
현풍(출발)
고봉리
현풍(도착)
1
06:30
07:11
07:52
2
08:12
08:53
09:29
3
09:39
10:15
10:51
4
11:01
11:37
12:13
5
12:33
13:09
13:45
6
13:55
14:31
15:07
7
15:17
15:53
16:29
8
16:39
17:15
17:56
9
18:16
18:57
19:33
10
19:43
20:19
20:55
11
21:05
21:45
22:20

4.1.2. 고봉리 방면(현풍5일장)


순번
현풍(출발)
고봉리
현풍(도착)
1
06:30
07:11
07:52
2
08:12
08:53
09:29
3
11:40
12:16
12:52
4
13:02
13:38
14:14
5
16:19
16:55
17:36
6
18:01
18:42
19:23
7
19:38
20:14
20:50
8
21:05
21:41
22:15

4.1.3. 도동서원 방면(현풍5일장)


현풍
(출발)

고봉리
도동서원
고봉리
현풍
(도착)

09:39
09:59
10:30
10:55
11:20
14:24
14:44
15:14
15:39
16:04

4.2.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3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32명
35명
33명
39명
22명
38명
일평균 이용객이 50명도 되지 않는다. 구지면 구간에서 단독 구간이 없는 게 원인인 듯. 600번 및 달성7번과 겹친다. 현풍읍 구간에서 단독구간이 있긴 하지만 배차간격이 처참해서 그냥 걸어다니거나 택시 타는 게 더 나을 정도이니. 2019년 4월 19일 까지만 해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수요 꼴찌였지만, 2019년 4월 20일 칠곡5번이 개통되어서 꼴찌는 벗어났다. 하지만 칠곡5번은 나중에 도남동 수요가 크게 늘어나 가축수송까진 아니어도 승객이 늘어날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여기는 이거마저 없다. 구지면 일대가 개발되긴 했지만, 이 쪽 주민들에게 달성3번은 아웃 오브 안중, 급행8번을 타고 유가읍사무소 일대의 상업시설들을 이용하거나 대구 시내로 나가지, 달성3번을 시간 맞춰서 타는 승객은 거의 없다. 현풍 읍내로 나갈 사람들은 600번을 탄다.

5. 연계 철도역


없음.

[1] 현 600번과 다른 노선으로, 좌석버스 601번과 통합했고 인가대수가 3대 모두 601번에 들어갔다. 2006년 개편 때 칠성고가로 단축되어 600번으로 변경되었다.[2]836번 종점. 836번이 위천 근처까지 가서 회차해야 하는 불편 때문에 2016년에 논공에 들어온 623번은 이 곳 대신 금포초등학교 기점으로 인가됐다가 노이3리차고지로 다시 한 번 변경됐다. 그리고 세한여객유곡리공영차고지 이전에 따라 달성군청으로 다시 기점이 바뀐다.[3] 이후 대구 마지막 글라이딩앞문 BS110CN으로 남아 618번, 600번, 달성8-1번 등에서 여생을 보내다가 2020년에 퇴역했으며, 대차 후 600번에서 운행 중이다.[4] 2006년 10월 28일에 폐지. 다만 달성1번은 그 전에도 시계외요금을 안 받았는데, 고령군청에서 다산면/성산면 구간의 3회 운행을 위해 보조금을 주고 있었기 때문이다.[5] 원래는 창성여객이었으나, 창성여객현대교통과 통합해서 현대교통으로 넘어간 것이다.[6] 달성7번도 있으나, 구지면 내부만 순환하는 오지 노선이라서 사실상 달성공단2번이 유일한 노선이였던 셈.[7]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예를 들어 간선버스의 경우 105번, 205번, 407번, 435번, 535번, 613번, 717번, 814-1번, 903번이라는 노선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이 중에 105번과 535번이 폐선되어도 다른 번호를 부여할 수 있고 노선 번호가 비어도 상관이 없다. 간선버스의 경우 세자리 모두 일련번호 체계가 아닌 권역번호 체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선버스의 경우는 생활권 문자 뒤에 오는 숫자가 일련번호이기 때문에 중간에 결번이 있으면 다소 어색하고 찜찜할 수 밖에 없다. [8] 달성5번, 달성공단2번을 통합하여 4대로 현풍 - 달성2차산단 - DGIST 구간을 운행하기로 했으나, 취소되었다.[9] 예전에도 이런 페이크 저상 시간표가 704번달성6번에 뜬 적이 있었다. 최근에는 유가사600번에 이런 페이크 시간표가 뜨기도 한다. 그러나 결정적으로 유가사 진입로의 노면 상태가 좋지 않고 김흥리에 급경사(설티고개) 구간이 있어서 유가사600번달성5번에는 저상버스가 아예 못 다닌다. 해당 타임에는 무조건 고상예비차 투입이거나, 해당 순번의 저상버스를 강제로 휴차시킨 후 다른 고상차량을 투입한다.[10] 여담으로 2012년까지는 달성2번 가야대학교 가지노선이 가장 서쪽으로 가는 노선이었다. 현재는 폐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