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623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23번
기점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달성군청)
종점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성보교통)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5:30
막차
'''[평일, 토요일]''' 22:13 / '''[공휴일]''' 22:14
막차
'''[평일]''' 22:42 / '''[토요일]''' 22:40 / '''[공휴일]''' 22:39
평일배차
12분
주말배차
15분
운수사명
성보교통
세한여객
인가대수
26대[1][2]
노선
달성군청[3] - 달성교육지원청 - 옥포지구 - 화원고교 - 화남초교 - 진천역 - 월성1동 행정복지센터 - 달서구청 - 서부정류장 - 안지랑네거리 - 두류네거리[4] - 서구청 - 큰장네거리 - 경상감영공원 - 경명여고 - 경대교 - 시청별관 - 연암네거리 - 복현오거리 - 성광중고교 - 성보교통
'''중간 출발 정류소'''
'''검단동''' 방면
서구청, 월성청구코아평일, 토요일, 명곡미래빌5단지
'''달성군청''' 방면
대구가톨릭대학병원평일, 토요일, 서구청, 성북교공휴일, 산격주공아파트평일, 토요일
'''중간 종료 정류소'''
'''검단동''' 방면
산격주공아파트, 대구역북편네거리, 신평리네거리
'''달성군청''' 방면
옥포LH천년나무2단지평일, 화원고등학교, 유천교, 월성청구코아, 대구시설공단, 내당삼익맨션평일, 토요일, 서구청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달성군청(6)에서 서구 평리3동 서구청(2)[5]을 거쳐 북구 검단동 성보교통 차고지(3)까지 운행하는 세한여객성보교통 소속의 간선버스. 왕복 운행 거리는 73.3km.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image]
  • 1998년 개편 이전에는 유천교~검단동 민들레아파트를 운행하던 일반버스 89번이었다.[6]
  • 1991년 말 월성지구 경유 전에는 서부정류장에서 유천교까지 월배로를 타고 우회 없이 운행하였다. 1992년 89번 일반버스의 좌석버스 버전인 389번이 개통했는데,[7] 신설 당시에는 월배~검단동 구간을 운행하다가 머지않아 월배~불로동 구간으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공기수송으로 인해 월배~대구대로 변경한 후 1994년에 폐선되고 대신 동년 신설된 397번 좌석버스가 칠곡목련아파트~대구대 구간을 운행했다. 397번 좌석버스는 이후 산호한양아파트로 이전했고, 1998년 개편 때 708번으로 변경되었다.
  • 월성지구로 들어가게 된 후 89번 시절에는 이마트월배점행만 다녔고[8] 오랫동안 월성지구 및 월배공단 일대를 전담했다.
  • 1998년 5월 개편으로 623번으로 번호를 변경하였다. 또한 1998년 5월 10일부터 5월 31일까지 21일 동안 성당시장 구간을 버리고,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우방타워랜드(현재 이월드) 정문~두류네거리~황제예식장(현 홈플러스 내당점)을 거쳐서 반고개로 운행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이 노선 역시 기존 성당시장 방면 이용객들의 민원 때문에 얼마 못 가 다시 성당시장 경유로 환원된 적이 있었다.
  • 1999년 1월 3일 개편으로 롯데백화점상인점 방면(상인네거리(상인역) 방면)이 추가되었다. 일반적으로 1/2로 운행하는 분리노선들과 달리 특이하게도 전체 운행 차량의 2/3이 상인네거리, 1/3이 월배공단을 경유했다. 월배공단이 소규모 공단인데다가, 월배지구 개발 전에는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서 승객이 별로 없었기 때문에 이렇게 운행한 것이다.[9]
  • 2005년 유천교 ~ 대천교 ~ 성서산단 간 직통 도로인 달서대로의 건설 공사를 하면서 이 노선과 618번이 쓰던 유천교 회차지가 없어지자, 대곡지구(남도버스) 종점까지 연장되었다.[10]
  • 2006년 2월 19일 개편으로 몇몇 구간이 변경되었는데, 상인역 경유와 이마트 월배점 경유 차량이 1:1 비율로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고[11] 월성2동주민센터 경유가 달서구청 경유로 변경되었으며[12] 두류공원네거리에서 성당시장~구남보건고~반고개역~구.대영학원(비산2,3동주민센터)~비산네거리 구간을 618번에 넘기고, 이월드정문~두류역~신평리네거리~서구청 구간으로 변경되어 해당 구간에서는 크고 아름다운 S자를 그린다. 또한 연암네거리에서 복현오거리로 직진하지 않고 상수도시설관리소에서 대구종합유통단지로 들어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4] 대구종합유통단지 구간은 653번도 있으니 653번과도 대구광역시청 별관부터 상당 구간 중복되었다. 중간에 경명여자중고교를 경유한다는 점만 빼면 사실상 KT 서대구지사부터 검단동까지 중복된다. 게다가 순환2(-1)번도 623번처럼 산격주공아파트, 상수도시설관리소에서 대구종합유통단지로 들어간다. 단, 순환2(-1)번은 산업용재관에서 우편집중국 대신 EXCO 뒷길에 있는 NC아울렛 엑스코점 및 한국패션센터(FCK)로 들어간다.
  • 2006년 9월 24일 상수도시설관리소에서 대구종합유통단지 대신 산격대우아파트, 복현오거리, 복현대백맨션, 코스트코대구점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원래 653번처럼 서성네거리에서 좌회전해서 태평네거리(경진테크빌)를 경유해서 대구역지하도로 들어갔지만, 이 구간도 역시 같은 날 중앙로역 경유로 변경되어 중앙네거리에서 좌회전하는 형태가 됐다.
  • 2012년 6월 16일 개편으로 분리 노선이 2000년 이후 약 12년만에 이마트 월배점 방면으로 일괄 통합되면서 분리구간 배차간격이 20분에서 10분으로 줄어들었다. 상인동은 대체 노선이 많았던 반면에[15], 월성1동 쪽의 교통 여건이 월등히 더 열악했기 때문이었다. 분리구간 통합 이후 월배지구(신월성)에 아파트 단지가 많이 들어서자 월성1동 인구가 늘면서 623번의 수요도 늘었다. 신월성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인 진천역 연계가 가능하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에도 변동없이 2016년 2월 12일까지 그대로 운행하였다.
  • 2016년 2월 13일 개편으로 836번의 단축된 구간을 갖고와서 논공읍 금포리까지 연장되었다. 단, 달성군예비군훈련장 종점이 폐쇄된 데다가 836번이 위천 인근까지 가서 회차해야 했던 불편으로 인해 기점은 금포초등학교가 되었다. 이에 따라 달성군청 U턴을 포함하여 왕복 77km 가까이 나오게 됐다. 거기에 월성지구를 지나는 특성으로 인해 편도 운행 시간이 2시간 30분 정도 나오면서 단축 전의 600번을 뺨칠 정도로 운행 시간이 길어졌다. 이 연장 개편으로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이 배차에 참여한다. 공차 거리 단축을 위해 356번과 차량 비율을 같이 조절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복현오거리에서 안지랑네거리를 거쳐 화원읍 설화리를 다시 연결하게 되고[16] 두류네거리에서 논공읍으로 가는 노선이 다시 생기게 된다.[17] 그리고 북구1번 2010년식 입석차량 1대가 623번으로 이동했다.
  • 2016년 4월 7일부터 금포초교~세한여객 차고지(노이3리) 공차회송 구간 사이에 정류장 2곳이 설치되어 영업운전 구간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노이3리를 풀 타임으로 운행하게 됐다. 공배하는 양 회사 간의 차고지 셔틀이 된 셈으로, 달성2번 노이1리(갈실)행도 노이3리에 정차한다.
  • 세한여객의 유곡리 이전에 따라 2017년 4월 30일부터 달성군청이 기점이 되며, 금포1교에서 금강로를 통해 진입하여 달성군청 착발로 변경된다. 그리고 교항리에서 옥포지구 안쪽으로 들어간다.
  • 2018년 8월 13일에 급행8번을 증차를 위한 655번의 차출분을 메우기 위해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배차분 1대가 감차되어 655번으로 이동했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10월 17일 개편으로 성보교통 소속 차량 1대가 감차됐다.[18]

4. 특징


  • 경대교에서 경대북문 및 복현오거리 직통운행을 하지 않고 성북교, 산격주공아파트, 연암네거리, 유통단지입구 삼거리, 산격종합시장 경유 후 복현오거리로 내려가기 때문에, 대구실내체육관을 경유했던 2006년 개편 전보다 산격동 구간에서 굴곡이 더 커졌다.[19]
  • 이 버스를 보면 입석 승객이 있는 모습을 보기가 힘든데도 대구광역시 버스노선 안내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이용승객 수 top 10에 항상 들어가 있다. 구간마다 장거리 승객이 많아서 그렇다.[20] 2015년 개편 이후에는 승객이 더 늘어났으며 600번의 시내 구간 단축으로 두류네거리~6권역을 오가는 승객들이 상당수 넘어왔다. 두류네거리 근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너편(신흥초교) 정류장에서 보면 정류장에 많은 승객들이 버스를 기다리고 있다가도, 이 노선을 많이 탈 수 있는것을 알수있다.
  • 저상버스는 2005년 시범 운행을 시작해 2007년부터 정식 운행을 시작했으며, 상인역 방면에만 운행하다가 2009년 이마트월배점 방면에도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저상버스는 성보교통에서만 운행하다가 2016년 12월부터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에서도 운행 중이다.
  • 금포초등학교에서 운행을 끝낸 후에는 노이3리 세한여객 차고지로 내려가서 회차했다가 얼마 후 정식 종점으로 변경되어 유곡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이용했다. 이에 따라 성보교통 차고지에서 장기정차하며 가스 충전도 성보교통에서 한다. LED 행선판에는 연장 초기에는 금포초교로 표기했다가 단축 전의 836번같이 그냥 논공으로만 표출 중이다.

  • 성보교통 기사 교대는 성보교통 차고지에서,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기사 교대는 대곡역에서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623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13,682명
14,793명
15,862명
14,931명
14,887명
14,275명

5. 연계 철도역



[1] 성보교통 13대 /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13대[2] 토요일 25대 / 공휴일 21대 운행[3] 차량 측면 행선판에는 금포초등학교로 표시되어 있다.[4] 정류소 이름은 국민건강보험공단[5] 내부 행선판에는 '이월드'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이월드'에 대한 권역번호는 '5번'이라, 권역번호가 '2번'인 지역중에서 523번의 내부 행선판처럼 '''서구청'''으로 표기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이다.[6] 참고로 89번 시절에는 행선판 기점란에 월배라고만 쓰여 있었다. 이후 1998년 개편으로 623번으로 변경되면서 기점 부분이 월배유천교로 되었다가 2006년 개편으로 연장되었다.[7] 1998년에 신설되어 한달만에 폐선된 좌석 326번이 있었는데 이때 구 번호가 1994년에 폐지된 좌석 389번과 유사하였다. 하지만 폐선 사유가 그 당시 356번, 454(-1)번의 경유지가 완전 겹쳐 적자가 너무 심했다고 한다. 그래서 공기수송으로 다니다가 결국 한 달만에 폐지되고 복현네거리 이후 일부 구간을 이어붙여서 사월동으로 다니는 936번으로 변경했다.[8] 이마트월배점 및 월배지구가 생기기 전에는 그 일대에 소규모 공단이었던 월배공단이 있었다.[9] 2006년 개편 이전의 301번, 524번도 이런 식으로 운행하는 분리구간이 있었다. 301번의 경우 만평네거리/향교 구간이 전체 운행대수의 1/3, 노원네거리/반월당 구간이 전체 운행대수의 2/3가 운행했고 524번의 경우 이현삼거리 구간이 1/3, 삼익뉴타운 구간이 2/3을 운행했다. 분리 구간에서 이용하는 승객 수의 차이가 많이 날 경우 이런 식으로 운행했는데, 별로 좋은 운행 방식은 아니었다. 전체 차량의 1/3이 들어오는 곳에서는 버스 배차간격이 3배로 늘어나며, 2/3이 들어오는 곳 역시 운이 안 좋으면 배차간격의 2배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623번의 경우도 월배공단 구간에서는 배차간격이 30분이었으며 상인네거리 구간에서도 한 대 놓칠 경우 버스가 10분 뒤에 올지 20분 뒤에 올지 모르는 상황이 되었다. 2006년 개편 전만 하더라도 버스정류장에 버스가 언제 오는지 알려 주는 BIS 안내기도 없었고 인터넷이나 휴대폰으로 버스 위치를 확인하는 것도 불가능했기 때문이다.[10] 회차지가 없어지는 바람에 유천네거리에서 대곡지구 방면으로 좌회전했는데, 2006년 개편 때 조정된 후 이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은 현재 없다. 당시 618번은 대곡지구에서 진천역으로 갔다가 유천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삼성래미안아파트 근처에 노상 정차했다.[11] 이 때 기존 월배공단/월성1동 지역이 월배지구 아파트 단지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12] 당시 기초의회 의원들은 지방선거 때 623번 월성2동주민센터 방면 운행 환원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환원되지 않았다.[13] 산격종합시장이 있어서 여기서 복현동, 검단동을 오가는 승객이 제법 있다.[14] 다만, 성광중고교에서 복현오거리, 산격대우아파트[13] 방향으로 다이렉트로 연결해 주는 노선이 아예 없어졌다. 특히 개편 초기에는 검단청구유성아파트(성광중고교 남쪽)에서 복현오거리로 직진하는 노선 자체가 없어서 코스트코 대구점이 있는 검단네거리로 내려와야 했다. 개편 전에는 303(-1)번(현재 순환2(-1)번의 모태), 723번(현 북구1번의 모태)이 있었다.[15] 당시나 지금이나 상인동 쪽이 버스 노선도 더 많고, 상인역도 있다.[16] 2006년 개편 전 636번이 이 구간을 운행했다.[17] 단축 전에 600번이 이 구간을 운행했었다. 다만 두류네거리에서 논공까지 직선으로 운행하던 600번과 달리 623번은 두류네거리에서 월성지구, 명곡지구를 경유해서 굴곡이 크다. 그나마 600번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짧은 편인 게 다행인 점이다.[18] 해당 차량은 가창2번으로 이동했다.[19] 굴곡이 많아져서 그런지 평일이나 주말에 배차간격이 안 맞을때가 많고 신월성 구간에서 차가 많이 밀려 제 시간안에 종점인 달성군청에 도착하지 못하고 제 시간안에 출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시내 구간이나 큰장네거리 구간에 버스 2대가 붙어서 다니는 경우를 종종 목격할 수 있다.[20] 대곡역, 서부정류장, 국민건강보험공단, 큰장네거리, 경상감영공원, 칠성시장(전자상가), 산격대우아파트(산격시장) 등에서 많이 승하차한다.[21] 섬유회관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