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로(만화)/애니메이션

 


1. TVA: 도로로와 햐키마루 (1969)
1.1. 주제가
1.2. 회차 목록
2. TVA: 도로로 (2019)
2.1. PV
2.2. 성우진
2.3. 주제가
2.4. 회차 목록
2.5. 엔드 카드
2.6. 평가


1. TVA: 도로로와 햐키마루 (1969)



'''도로로와 햐키마루'''
どろろと百鬼丸

작품 정보 ▼
'''장르'''
액션, 어드벤처, 초자연
'''원작'''
데즈카 오사무
'''총감독'''
스기이 기사부로
'''작화감독'''
키타노 히데아키(北野英明)
우에구치 테루히토(上口照人)
'''작화'''
신도 미츠오(進藤満尾)
'''미술 감독'''
츠키마 하치로(槻間八郎)
'''배경'''
아카시 테이이치(明石貞一)
'''촬영'''
모리 아키히코(森 昭彦)
'''음향'''
타시로 아츠미(田代敦巳)
'''편집'''
마츠우라 노리요시(松浦典良)
'''음악'''
토미타 이사오(冨田 勲)
'''애니메이션 제작'''
무시 프로덕션
'''제작'''
시바야마 타츠오(柴山達雄)
'''제작조수'''
카나자와 슈이치(金沢秀一)
'''방영 기간'''
1969. 04. 06. ~ 1969. 09. 28.
'''방송국'''
[image] 후지 테레비 / (일) 19:30
'''화수'''
26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애니메이션은 1968년 1월 제작된 파일럿 프로그램 당시 이미 컬러 TV가 있었지만 피가 너무 많이 나오는 작품이라 방송국에선 "저녁 식사 시간대에 피가 이렇게 많이 나오면 시청자들이 불쾌해할 것이다." 라며 클레임을 걸었고, 총감독인 스기이 기사부로의 제안으로 출혈 연출은 그대로 하는 대신 흑백으로 하고 예산도 아끼자는 의도로 흑백으로 만들었다. 제목은 '도로로와 햣키마루'로 변경되었으며 독특한 주제가가 인상적이었다는 평이 많다. 흑백이지만 스기이 기사부로, 토미노 요시유키, 타카하시 료스케, 데자키 오사무, 이시구로 노보루, 오쿠다 세이지, 스즈키 요시타케 등 당시 무시 프로덕션의 주전력은 모두 참여해서 연출과 움직임은 시대를 초월하였다. 흑백이어야만 가능한 연출도 많이 보인다. 그림체는 귀여워 보이지만 표현에 대한 규제가 약하던 시절이라 엄청나게 잔인하다.

그러나 이 시대부턴 이미 흑백 애니메이션은 시대에 뒤떨어진 애니메이션이었고 시청률 저조를 극복하지 못하고 26화 조기완결을 먹었다. 일단 설정상 괴물은 다 해치운 걸로 되어있고 오히려 만화책판보다는 납득이 가는 내용으로 끝났다. 스기이 기사부로 감독은 이 작품을 하면서 시청률이 낮으니 작품 내용을 바꾸라고 프로듀서에게 엄청난 갈굼을 받은 모양으로 그는 슬럼프가 와서 10년가까이 방랑 생활을 하게된다.
이 애니메이션은 세계명작극장 시리즈의 시초가 된다.[1] 이후 연이어 다른 애니메이션이 방송되면서 세계명작극장의 시대가 열리게 된다.
훗날 재평가 받아서 여러번 재방송되었다. 사실 일본에선 도로로라고 하면 만화책보다 이쪽을 친숙해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 그러나 지금은 방송불가 용어가 너무 많아서 무삭제로 재방송 불가 작품이라고 한다.[2]

1.1. 주제가



1.2. 회차 목록


'''회차'''
'''제목'''
'''각본'''
'''연출'''
'''방영일'''
제1화
百鬼丸の巻 その一
햣키마루 1
-
데자키 오사무
1969.04.06.
제2화
百鬼丸の巻 その二
햣키마루 2
엔도 마사하루
(遠藤政治)
1969.04.13.
제3화
万代の巻 その一
반다이 1
토미노 요시유키
1969.04.20.
제4화
万代の巻 その二
반다이 2
1969.04.27.
제5화
無残帖の巻 その一
무잔첩 1
타카하시 료스케
1969.05.04.
제6화
無残帖の巻 その二
무잔첩 2
데자키 오사무
1969.05.11.
제7화
妖刀似蛭の巻 その一
요도 니히루 1
카츠이 치카오
(勝井千賀雄)
1969.05.18.
제8화
妖刀似蛭の巻 その二
요도 니히루 2
1969.05.25.
제9화
ばんもんの巻 その一
반몬 1
니시마키 히데오
(西牧秀夫)
1969.06.01.
제10화
ばんもんの巻 その二
반몬 2
미나미카와 히로시
(南川 博)
1969.06.08.
제11화
ばんもんの巻 その三
반몬 3
데자키 오사무
1969.06.15.
제12화
白面不動の巻 その一
백면부동 1
히코네 노리오
(彦根範夫)
1969.06.22.
제13화
白面不動の巻 その二
백면부동 2
타카하시 료스케
1969.06.29.
제14화
妖怪かじりんこん
요괴 카지린콘
스즈키 요시타케
오쿠다 세이지
1969.07.06.
제15화
いないいない村
없고 없는 마을
타카하시 료스케
카츠이 치카오
1969.07.13.
제16화
妖馬みどろ
요마 미도로
사와키 토오루
(さわきとおる)
토미노 요시유키
1969.07.20.
제17화
妖怪どんぶりばら
요괴 돈부리바라
스즈키 요시타케
타카하시 료스케
1969.07.27.
제18화
海獣ビラビラ
해수 비라비라
사와키 토오루
키타노 히데아키
(北野英明)
1969.08.03.
제19화
雷火犬
라이카이누
스즈키 요시타케
이시구로 노보루
1969.08.10.
제20화
おんぶら鬼
온부라 오니
타카하시 료스케
1969.08.17.
제21화
まいまいおんば
마이마이온바
무시 프로덕션 문예부
(虫プロ文芸部)
미나미카와 히로시
1969.08.24.
제22화
妖怪もんもん
요괴 몬몬
스즈키 요시타케
오자키 쿠니히코
(岡崎邦彦)
타카하시 료스케
1969.08.31.
제23화
人食い大木
대 식인나무
히라미 슈지
(平見修二)
오쿠다 세이지
1969.09.07.
제24화
四化入道
사화입도
스기야마 타쿠
(杉山 卓)
1969.09.14.
제25화
妖怪土坊主
요괴 토방주
스즈키 요시타케
스기야마 타쿠
1969.09.21.
제26화
最後の妖怪
최후의 요괴
키타노 히데아키
1969.09.28.

2. TVA: 도로로 (2019)


'''도로로'''
どろろ

작품 정보 ▼
'''장르'''
시대극
'''원작'''
데즈카 오사무
'''캐릭터 원안'''
아사다 히로유키(浅田弘幸)
'''감독'''
후루하시 카즈히로
'''시리즈 구성'''
코바야시 야스코
'''캐릭터 디자인'''
이와타키 사토시(岩瀧 智)
'''미술 감독'''
후지노 마리(藤野真里)
'''색채 설계'''
미카사 오사무(三笠 修)
'''촬영 감독'''
오오야마 요시히사(大山佳久)
'''편집'''
타케미야 무츠미(武宮むつみ)
'''음향 감독'''
코이즈미 키스케(小泉紀介)
'''음향 효과'''
쿠라하시 시즈오(倉橋静男)
'''음악'''
이케 요시히로(池 頼広)
'''애니메이션 제작'''
MAPPA
데즈카 프로덕션
'''제작'''
트윈 엔진(ツインエンジン)
'''방영 기간'''
2019. 01. 07. ~ 2019. 06. 24.
'''방송국'''
[image] 도쿄 MX / (월) 22:00
'''독점 스트리밍 서비스'''
프라임 비디오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24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관련 사이트'''
,
}}}
2019년 1월 애니메이션이 방영된다는 소식이 나왔다. 1969년 애니판으로부터 정확히 50년만에 방영하는 리메이크판. 레터 비의 작가 아사다 히로유키가 원안을 맡아 이전 작과 달리 캐릭터 디자인이 크게 달라졌으며,[3] 전작 못지않는 잔인함을 보여준다. 바람의 검심 등 일본도 액션에서 뛰어난 영상을 보여줬던 후루하시 카즈히로 감독 작품으로 박력있는 액션씬 등 퀄리티가 준수하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에서 해외 스트리밍 독점 스트리밍하게 되면서 국내 방영은 불발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는 흐지부지 완결된 원작을 감안해 찾아야 할 몸 부위가 12개로 줄었으며, 원작과 다른, 제대로된 결말을 낼 것이라고 한다.
2019년 3월 25일로 1쿨 종료. 4월 1일 휴방 후, 4월 8일 부로 2쿨을 재개한다. 몸을 찾는 에피소드 이후 햣키마루에게 더 큰 시련이 올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고 추정된다.
후루하시 카즈히로 감독의 인맥이 얼마나 대단한지 확인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코이케 타케시, 오오바리 마사미, 코즈마 신사쿠, 스기노 아키오, 하네 유키요시, 타카하시 신야, 토모나가 카즈히데, 치바 미치노리, 카가와 히사시, 코바야시 오사무, 코바야시 히로시, 시게타 사토시, 요시다 토오루, 온다 나오유키, 스즈키 히로후미, 카가미 타카히로, 와타나베 케이이치로, 타나카 히로토, 호리우치 히로유키, 아리사와 히로시 등 유명 애니메이터가 많이 투입되어 작화가 뛰어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스기노 아키오, 하네 유키요시, 토모나가 카즈히데 같은 경우엔 나이가 70~80대이다. 애니메이션 작화 팬들에겐 간만에 보는 작화 애니메이션으로 여겨지지만 이 사람들이 돌아가면서 참여하므로 각 애니메이터들에 대한 기반지식이 없다면 작화나 연출이 편 마다 오락가락하는 애니로 비춰질 수도 있다. 예로 3화의 경우는 아예 70대 이상 원로 애니메이터들에게 맡겨 위화감이 좀 있으며, 15화는 코바야시 오사무가 담당해 작화붕괴 논란이 터졌다. 그리고 1쿨 분량은 참여 애니메이터가 매우 뛰어난 반면 2쿨 분량부터는 코즈마 신사쿠 외에는 특별히 대단한 애니메이터가 참여하는 경우가 드믈어 1쿨에 비해 작화가 많이 떨어진단 평을 듣는다.
표현 수위가 꽤 높다. 작중 신체 절단 등의 고어스러운 묘사가 심심치않게 나오며, 미오가 몸을 파는 묘사의 경우 원작에선 언급만 하고 병사들에게 구타당하는 정도로만 나왔자만, 신애니판에서는 원작보다 더 노골적으로 몸을 파는 행위가 묘사되었다.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의 작품이 원작인데다 거장들이 많이 참여해서 봐주는 것이지, 원래대로라면 방영할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고 한다.

2.1. PV




1탄
2탄


3탄
4탄

2.2. 성우진


  • 햐키마루 - 스즈키 히로키
  • 도로로 - 스즈키 리오[4]


  • 비와마루 - 사사키 무츠미
  • 쥬카이 - 오오츠카 아키오[5]
  • 미오 - 미즈키 나나




2.3. 주제가


  • 1쿨 오프닝 테마 火炎
    • 작사, 작곡: 바라조노 아부(薔薇園アヴ)
    • 편곡: 여왕벌[6], 츠카다 코지(塚田耕司)
    • 노래: 여왕벌
    • 영상 연출, 콘티, 작화감독 : 코이케 타케시


TVA 오프닝 ver.[7][8]
full ver.
  • 1쿨 엔딩 테마 さよならごっこ[9]
    • 작사, 작곡: 아키타 히로무(秋田ひろむ)
    • 편곡: 데와 요시아키(出羽良彰), amazarashi
    • 노래: amazarashi


TVA 엔딩 ver
full ver.


TVA 오프닝 ver. [10]
full ver.
  • 2쿨 엔딩 테마 闇夜


TVA 엔딩 ver. [11]
full ver.

2.4. 회차 목록


  • 4월 1일 방송분은 휴방.
'''회차'''
'''제목'''[12]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醍醐の巻
다이고

코바야시 야스코
후루하시 카즈히로
카토 마사유키
(加藤雅之)
와카츠키 아이코
(若月愛子)

이와타키 사토시
(岩瀧 智)

2019.01.07.
제2화
万代の巻
반다이

하츠미 코이치
카마다 히토시
(鎌田 均)
와카츠키 아이코

2019.01.14.
예고편
제3화
寿海の巻
주카이

요시무라 키요코
(𠮷村清子)

요시무라 후미히로
(吉村文宏)

아오키 카즈노리
(青木一紀)
오키무라 타다요시
(興村忠美)

2019.01.21.
예고편
제4화
妖刀の巻
저주받은 검

킨다이치 아키라
(金田一 明)

쿠와바라 사토시
스즈키 타쿠오
(鈴木卓夫)

사이토 케이타
(斉藤圭太)
테지마 유토
(手島勇人)
오키우라 타다요시

2019.01.28.
예고편
제5화
守り子唄の巻・上
신세타령 (상)

코바야시 야스코
마츠오 코우
오오미네 테루유키
(大峰輝之)

카토 마사유키
와카츠키 아이코
무라카미 류노스케
(村上竜之介)

2019.02.04.
예고편
제6화
守り子唄の巻・下
신세타령 (하)

테라오카 이와오
하츠미 코이치
카토 마사유키
와카츠키 아이코
슈토 타케오
(首藤武夫)
야나세 조지
(柳瀬譲二)

2019.02.11.
예고편
제7화
絡新婦の巻
조로구모

무라코시 시게루
후루하시 카즈히로
요시무라 후미히로
세야 신지
(瀬谷新二)
고토 노부마사
(後藤伸正)

2019.02.11.
예고편
제8화
さるの巻
사루

킨다이치 아키라
쿠로카와 토모유키
(黒川智之)

오오미네 테루유키
토미나가 타쿠오
(富永拓生)
무라카미 류노스케
야마다 유코
(山田裕子)
사노 타카유키
(佐野誉幸)

2019.02.25.
예고편
제9화
無残帳の巻
무참장[13]의 권

무라코시 시게루
마타노 히로미치
(又野弘道)

아오키 카즈노리
마츠시타 준코
(松下純子)
오키우라 타다요시
후루세 노보루
(古瀬 登)
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2019.03.04.
예고편
제10화
多宝丸の巻
다호마루

킨다이치 아키라
니이도메 토시야
(新留俊哉)

니시하타 유키
(西畑佑紀)

야나세 조지
코미노 마사히코
(小美野雅彦)
카토 마사유키
와카츠키 아이코
야마다 유코
슈토 타케오

2019.03.11.
예고편
제11화
ばんもんの巻・上
판문 (상)

요시무라 키요코
요시무라 후미히로
모리타 미노루
(森田 実)
세야 신지

2019.03.18.
예고편
제12화
ばんもんの巻・下
판문 (하)

코바야시 야스코
사와이 코지
(澤井幸次)

카와나 카나
(川奈加奈)

카토 마사유키
와카츠키 아이코
슈토 타케오
야마다 유코
토미나가 타쿠오
호소다 사오리
(細田沙織)

2019.03.25.
예고편
제13화
白面不動の巻
백면부동

무라코시 시게루
요시무라 후미히로
하타 마사미
(波多正美)
스즈키 타쿠오

치바 시게루
(千葉 繁)

하야마 켄지
(羽山賢二)
오카 마리코
(岡 真里子)

2019.04.08.
예고편
제14화
鯖目の巻
사바메

요시무라 키요코
후타무라 히데키
(二村秀樹)

시미즈 히사토시
(清水久敏)

모리타 미노루
후루세 노보루
마츠시타 준코
권혁정

이와타키 사토시
오카 마리코
아오키 카즈노리

2019.04.15.
예고편
제15화
地獄変の巻
지옥도

코바야시 오사무#s-1
(コバヤシオサム)

카토 마사유키
와카츠키 아이코
야나세 조지
토미나가 타쿠오

이와타키 사토시
2019.04.22.
예고편
제16화
しらぬいの巻
시라누이

킨다이치 아키라
이시다 타카시
(石田貴史)

야마다 유코
호소다 사오리
세키 미나미
(関みなみ)

이와타키 사토시
오카 마리코

2019.04.29.
예고편
제17화
問答の巻
문답

코바야시 야스코
요시무라 후미히로
모리타 미노루
마츠시타 준코
오키무라 타다요시
심민현

이와타키 사토시
오카 마리코
아오키 카즈노리

2019.05.06.
예고편
제18화
無常岬の巻
무상곶[14]

요시무라 키요코
오오미네 테루유키
카토 마사유키
와카츠키 아이코
야나세 조지
토미나가 타쿠오
사노 타카유키
야마구치 진시치
(山口仁七)

이와타키 사토시
2019.05.13.
예고편
제19화
天邪鬼の巻
아마노자쿠

무라코시 시게루
후루하시 카즈히로
사카이 무네히사

시미즈 히사토시
이토야마 레오
(糸山礼央)
카토 마사유키
야나세 조지
토미나가 타쿠오
야스다 쇼코
(安田祥子)
와카츠키 아이코

오카 마리코
2019.05.20.
예고편
제20화
鵺の巻
누에

킨다이치 아키라
사토 타케시
야마다 유코
호소다 사오리
세키 미나미
사노 타카유키

이와타키 사토시
2019.05.27.
예고편
제21화
逆流の巻
윤회 타파

무라코시 시게루
아라이 노부요시
(新井宣圭)

야마다 유코
야나세 조지
카토 마사유키
토미나가 타쿠오
호소다 사오리
와카츠키 아이코

2019.06.03.
예고편
제22화
縫の巻
누이

요시무라 키요코
요시무라 후미히로
오오미네 테루유키
세키 미나미
이토야마 레오
하야시 히로코
(林 弘子)
박대열
(朴旲烈)
무라나가 유키
(村長由紀)
노다 토모미
(野田友美)

이와타키 사토시
오카 마리코

2019.06.10.
예고편
제23화
鬼神の巻
마신

코바야시 야스코
코바야시 히로시
토쿠도 다이스케
(徳土大介)

코누마 유리카
(小沼由莉香)
키무라 유키
(木村友紀)
코미야마 카즈야
(小見山和也)
야마다 유코
야나세 조지
카토 마사유키
토미나가 타쿠오
호소다 사오리
와카츠키 아이코
야스다 쇼코
아비코 에이지
(安彦英二)

2019.06.17.
예고편
제24화
どろろと百鬼丸
도로로와 햐키마루

후루하시 카즈히로
카토 마사유키
와카츠키 아이코
토미나가 타쿠오
야마다 유코
세키 미나미
이토야마 레오
무라나가 유키
키무라 유키
오오미네 테루유키
아키타 마나부
(秋田 学)

이와타키 사토시
2019.06.24.
예고편

2.5. 엔드 카드


※ 한 에피소드 당 엔딩이 끝난 후 해당 에피소드에서 죽이거나 등장한 귀신들을 보여준다. 단 9화와 24화는 예외.
  • 1화: 도로오니
  • 2화: 반다이
  • 3화: 카마이타치
  • 4화: 요도 니히루
  • 5화: 요조
  • 6화: 개미지옥 귀신
  • 7화: 조로구모
  • 8화: 오오무카데(눌러앉은 구름)
  • 9화: 피안화 꽃밭
  • 10화: 게 요괴
  • 11화 ~ 12화: 여우불(구미호)
  • 13화: 백면부동 귀상
  • 14화: 애벌레 요괴
  • 15화: 마이마이온바
  • 16화: 지로마루(상어 모습)
  • 17화: 요괴 나무
  • 18화: 지로마루(요괴 모습)
  • 19화: 아마노자쿠
  • 20화: 누에
  • 21화: 미도로
  • 22화: 야스에 남매
  • 23화: 타호마루
  • 24화: 도로로와 햐키마루[15]

2.6. 평가


여러면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비록 간간히 보이는 작붕과 짧아진 쿨타임 상 급전개스러운 부분이 존재한단 점에 아쉬움을 표하는 시청자들도 있지만, 그래도 원작보다 개연성있게 각색된 스토리와 매끄럽고도 박진감있는 액션신, 그림체 변경으로 상승한 캐릭터 외모 버프로 새로이 팬들을 영입하는 긍정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특히 햐키마루가 그림체뿐만 아니라 캐릭터 자체가 판이하게 달라졌는데 원작이 쾌남 분위기 물씬 풍기던 것과 달리 신애니판은 정반대로 퇴폐적인 분위기의 앳된 미소년이 되었다. 더불어 텔레파시가 가능한 설정도 없어져서 과묵 속성도 추가됐다.
덕분에 인기에 힘입어 계획이 추가되어 2쿨 제작이 확정, 4월 8일부터 이어서 방영되고 있다. 다만 애매했던 원작의 스토리 진행과 휴식 없이 바로 추가제작에 들어간 것 때문인지, 새로이 각색된 추가 분량 스토리가 1쿨 때보다 매끄럽지 않으며, 원화보다는 움직임을 강조하는 애니메이터들이 투입되다보니 작붕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늘었다. 대표적으로 15화에서 한국 팬들의 불만이 많이 터졌는데, 15화 에피소드 연출과 콘티를 담당한 애니메이터가 원화의 질보다는 움직임과 역동감을 중시하는 코바야시 오사무였기 때문이다. [16] 그리고 2쿨 분량은 전체적으로 투입 애니메이터가 1쿨 만큼 좋은 편이 아니라 1쿨에 비해 떨어지는 화면을 보여준다. 원래 이렇게 갑작스럽게 연장하면 일정 기간만 일하기로 계약한 애니메이터는 계약이 끝나면 나가버리므로 작품 색이 크게 바뀌게 된다. [17]
마지막화는 좀 열린 결말로 끝났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혹평하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 다만 원작 만화의 내용을 생각하면 당초 공언한대로 어떻게든 엔딩을 낸 것은 맞다.
5월 마지막 주에 BD로 1쿨 12화가 다 들어간 박스 형태로 발매를 했었는데 초동 판매량이 인기에 미치지 못한 1,912장으로 2천장을 못 넘기면서 결과는 영 좋지 못했다. 다만 이 작품이 아마존 프라임에서 독점 VOD 서비스를 하기 때문에 BD를 살 필요가 없음을 감안해야 한다. [18]

양덕후 사이에서는 굉장한 명작으로 꼽히고 있다. 양덕후들은 원래 후루하시 카즈히로 감독을 굉장히 좋아하며 액션 연출이 훌륭한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데 이 애니는 그런 점에선 확실하게 보여줄 걸 다 보여주고 끝냈기 때문이다. 일본 아마존 프라임에서도 5점 만점에 4.2점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1] 방영 당시의 이름은 칼피스 만화극장이다.[2] 장애를 소재로 한 작품이라 그렇다. 장애를 비하하려는 건 아니지만 한국으로 치면 병신이란 단어를 사람들이 마구 쓰고 다니는 것이나 마찬가지.[3] 2010년대에서 흔히 말하는 극화체나 세미체에 가까운 화풍이다. 오프닝에 나오는 도로로의 모습 중에서 그나마 원작 화풍을 반영한 장면이 나온다.[4] https://cho-animedia.jp/event/64506/ 아역 배우이다.[5] 도로로 게임(2004 년 PS2 용)에서 다이고 카게미츠를 맡았다.[6] 도쿄 구울:re 1쿨 ED를 불렀다. 재밌게도 도로로의 ED를 부른 amazarashi 또한 도쿄 구울의 ED를 맡았었다.[7] 여담으로 오프닝 영상은 원작 내용을 기반으로 작업한 듯, 본편하고는 연결점이 없다. 등장인물 캐릭터 작화도 본편에 비해 데즈카 디자인에 가깝다. 대표적으로 도로로의 부모님, 작화가 본편이랑 전혀 다르다. 많은 장면들이 원작 만화의 컷들을 오마주한 것이며# 햐키마루에게 썰리는 산적들 또한 1권 1화에 나온 그 산적들이다.[8] 매 화 스토리가 진행될수록 오프닝의 1분 12초 부분에서 점점 색채가 입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9] 사요나라 곡코. 뜻은 이별 흉내놀이.[10] 34초 구간에서 도로로의 눈이 데즈카 특유의 작화로 잠시 바뀌는 걸 볼수 있다.[11] 18화 시점에서 화면이 좀 더 선명해졌으며, 20화에서 마지막의 도로로의 얼굴이 완전히 드러났다.[12] 국내 번역 제목은 프라임 비디오 스트리밍판을 기준으로 한다.[13] 이중 참(残)이란 한자는 한국 자막 폰트에선 지원하지 않는 한자인 경우가 잦으므로 자막에 한자를 넣을 경우 뜻이 같은 참(慘)으로 대체 가능.[14] 원작은 무정곶(無情岬). 무정과 무상은 일어로는 발음이 무죠오(むじょう)로 동일하다.[15] 참고로 이 제목은 구작 애니메이션 제목이다.[16] 천원돌파 그렌라간에서 작붕 에피소드 그렸다고 욕 먹었던 그 사람이다. 그런데 고정팬도 있고 연출에선 거장으로 불리는 사람이다.[17] 비슷한 사례로는 루팡 3세 Part III가 있다.[18] 아마존 프라임 가입하면 싸게 고해상도로 볼 수 있고, 독점이니 중간에 서비스가 종료될 일도 없다. 이런 애니들은 대체로 BD판매가 좋지 못해서 현지와 해외 인기에 비해 같은 독점작인 케무리쿠사에 비해 한국에선 저평가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