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명작극장

 


[image]
세계명작극장 시리즈의 등장 캐릭터들.
世界名作劇場(せかいめいさくげきじょう / World Masterpiece Theater
1. 소개
2. 방영 목록과 한국 방영
3. 기타
4. 아류


1. 소개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닛폰 애니메이션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 시리즈. 한국에서는 세명극이라는 약칭으로 부르기도 하며, 서양에서는 World Masterpiece Theater의 준말인 WMT라는 약칭으로 부른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동화나 소설을 애니메이션화한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1] 후지TV에서 오랫동안 방영된 탓에 후지TV의 상징처럼 여겨진다.
어디서부터 세계명작극장 시리즈로 볼 것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으나 대체로는 1969년의 무민 이후부터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사실 방영시간대로 본다면 도로로가 원조이긴 하지만 닛폰 애니메이션의 공식 홈페이지에선 플랜더스의 개부터, 작품 전반의 기획 방향과 그에 따른 팬덤은 하이디부터로 보고 있다.
유럽, 중동, 동아시아 등지에서도 방영되었는데, 보통 일본 애니메이션이 자국 내 내수시장에서 인기있는 만화를 타깃으로 한 반면 세계명작극장 시리즈는 서구권에서 알려진 동화들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해외수출이 용이했고, 결과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의 세계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일부 작품의 경우 원작이나 배경 고증 면에서 아쉬운 부분이 보인다는 평을 받았지만,[2] 방영 당시 유럽권에서도 제법 인기가 있었으며 특히 한국, 중국, 대만, 필리핀 등 아시아권에서 많은 인기를 누리며 작품의 원작들을 알리는데 공헌하기도 했다.
1996년작 카타부치 스나오 연출의 명견 래시가 시청률 저하로 조기종영이 결정되면서, 급히 기획된 후속작 집없는 아이 레미가 1996년 9월에서 1997년 3월까지 23화로 방영되고(나중에 3편이 추가되어서 총26편으로 완성) 시리즈는 일단 중단되었고, 바로 다음 애니메이션으로 요리왕 비룡이 그 시간대를 이어받게 된다.
이후 세월이 흘러, 세계명작극장의 재가동을 위한 움직임이 있었고, 마침내 2007년 레 미제라블 소녀 코제트와 2008년 포르피의 기나긴 여행으로 부활했다. 하지만 빨간머리 앤의 스핀오프라고 할 수 있는 안녕 앤 Before Green Gables가 방영된 2009년 이후 후속작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 않은 상태이기에 세계명작극장 시리즈는 다시 막을 내렸다는 것이 대체적인 견해다.
한국에서는 주로 80년대 MBC를 통해서 방영되었고 MBC에서 방영하지 않은 작품이나 후기작들은 KBS에서 방영되기도 했다. 80년대에 세계명작극장의 한국 지상파방영이 흥한 이유는 폭력성 만화영화 금지 정책에 따른 반사효과로 수혜를 본 감도 없지 않다. 다만, 시기가 시기인 만큼 일부 작품들은 중도종영되기도 했다.[3] 과거에는 대원방송애니원에서 몇몇 작품들을 지상파 더빙판 그대로 재방영하기도 했으며 EBS에서도 일부 작품이 재더빙해서 방영되기도 했다. 2017년부터 대원방송에서 기존에 국내에서 방영됐던 작품들을 새로 더빙하여 방영했으며 그때까지 국내에 소개되지 않았던 꼬마 너구리 라스칼, 안녕 앤도 추가로 방영했다.
한국에선 플랜더스의 개, 빨간머리 앤, 소공녀 세라 3 작품이 유명한데 일본에선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 플랜더스의 개, 엄마찾아 삼만리, 꼬마 너구리 라스칼 4 작품이 유명하다.

2. 방영 목록과 한국 방영


"★"는 원작이 유명한 작품
  • 도로로(どろろ) (1969)
  • 무민(ムーミン) (1969-1970)★
  • 안데르센 이야기(アンデルセン物語) (1971) -KBS(1975). MBC(1981,1988)[4]
  • 무민(ムーミン(新)) (1972)★
  • 산다람쥐 로키 처크(山ねずみロッキーチャック, Fables of the Green Forest) (1973)
  •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アルプスの少女ハイジ (アニメ)) (1974)★-MBC, 축약판을 KBS에서 90년대 후반 방영
  • 플랜더스의 개(フランダースの犬 (アニメ)) (1975) KBS, EBS, 대원방송 - 이 작품부터 닛폰 애니메이션 사의 공식 세계명작극장 시리즈다.[5]
  • 엄마찾아 삼만리(母をたずねて三千里) (1976) KBS, EBS, 대원방송[6]
  • 꼬마 너구리 라스칼(あらいぐまラスカル) (1977) 대원방송[7] - 자전적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 펠리네 이야기[8](ペリーヌ物語) (1978) MBC- 집없는 소녀로 번역
  • 빨강머리 앤 (赤毛のアン (アニメ)) (1979)★ KBS, 대원방송 - 말이 필요없는 세계명작극장의 대부. 2018년 대원방송에서 재더빙했다.
  • 톰 소여의 모험(トム・ソーヤーの冒険 (アニメ)) (1980)★ MBC, 대원방송[9]
  • 가족 로빈슨 표류기 이상한 섬의 플로네(家族ロビンソン漂流記 ふしぎな島のフローネ) (1981) MBC
  • 남쪽 무지개의 루시(南の虹のルーシー) (1982)MBC[10]
  • 알프스 이야기 나의 안네트(アルプス物語 わたしのアンネット) (1983) MBC- 기독교 소설중 걸작. 국내에서는 요들송과 청아한 음색이 섞인 주제가가 더 많이 알려져있으며, 카세트 테이프에도 많이 수록되어 노래는 기억하나 원작은 무엇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았다. # 총 48화
  • 목장소녀 캐트리(牧場の少女カトリ) (1984) MBC- 안데르센 이야기 이래로 북유럽을 무대로 한 두번째 작품.[11]
  • 소공녀 세라(小公女セーラ) (1985)★MBC, 대원방송[12]
  • 사랑스런 소녀 폴리안나 이야기(愛少女ポリアンナ物語) (1986) MBC - 등장인물이 나이를 먹지 않음 [13]
  • 작은 아씨들(愛の若草物語) (1987)★ MBC, 대원방송 - 원작과의 비교는 애니 중반부부터 해야 된다.
  • 소공자 세디(小公子セディ) (1988)★ MBC - 프랜시스 버넷의 소공자를 원작으로 한다.
  • 피터 팬의 모험(ピーターパンの冒険) (1989)★ MBC
  • 키다리 아저씨(私のあしながおじさん) (1990)★ MBC, 대원방송[14]
  • 트랩 가족 이야기(トラップ一家物語) (1991)MBC ("알프스의 메아리"로 방영)- 사운드 오브 뮤직의 그 이야기지만 영화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마리아의 자전적 소설인 "트랩가 합창단 이야기(The story of the Trapp Family Singers)"가 원작.
  • 대초원의 작은 천사 부시베이비[15](大草原の小さな天使 ブッシュベイビー) (1992) MBC
  • 작은 아씨들 난과 죠 선생님(若草物語 ナンとジョー先生) (1993) KBS
  • 일곱 바다의 티코(七つの海のティコ) (1994)KBS- 최초의 오리지널 스토리. 어찌보면 '명작'이라는 원래 개념에서 제일 이탈한 작품. 한국에서는 '돌고래 요정 티코' 라는 제목으로 방영했는데, 티코는 범고래다(...).
  • 로미오의 푸른 하늘(ロミオの青い空) (1995)KBS ("로미오"로 방영)- 검은 형제를 모티브. 물론 내용은 오리지널이다.
  • 명견 래시(名犬ラッシー (世界名作劇場)) (1996)★
  • 집없는 아이 레미(家なき子レミ) (1996-1997)[16]
  • 레 미제라블 소녀 코제트(レ・ミゼラブル 少女コゼット) (2007)★ 대원방송 - 이 시리즈에서 유일하게 새로운 그림체로 변신한 작품.
  • 포르피의 기나긴 여행(ポルフィの長い旅) (2008) - 위에서 새로운 그림체로 환골탈태해 기대가 됐는데 이 작품은 거의 옛날 그림체로 되돌아가다시피 해서 도로아미타불이 되었다. 그전에 작품 자체가 인지도가 처참하다.[17]
  • 안녕 앤 ~Before Green Gables~(こんにちは アン ~Before Green Gables~) (2009) 대원방송[18] - 빨강머리 앤의 프리퀄. 2008년에 100주년 기념으로 캐나다 작가 버지 윌슨이 쓴 "빨강머리 앤이 어렸을 적에(Before Green Gables)"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 참고로 이 작품의 원작은 루시 모드 몽고메리 협회와 캐나다 정부에 의해 빨강머리 앤의 공식 시리즈로 인정되었다.

3. 기타


  • 1년 기준으로 해서 새해 첫주 1회가 방영되고 같은 해 마지막 주에 마지막회를 방영하는 타이트한 형식이라, 시간을 맞추기 위해 일부러 이야기를 질질 끄는 경우도 있었다. 다만 조기종영한 집 없는 아이 레미, 최근 년도까지 방영했던 신작들과 당시 방영상의 문제 등으로 화수가 줄어든 작품은 예외.
  • 초창기의 안데르센 이야기를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이후 작품들에서 왕자공주코빼기도 등장하지 않는다. 사실 적지 않은 작품들이 왕자-공주 캐릭터와는 생판 접점이 불가능한 공화국미국을 무대로 하며, 유럽을 무대로 한 작품들도 작품의 시대 배경상 왕자와 공주 캐릭터가 등장하기는 어려웠다. 그 대신 이 곳에서 왕자, 공주 이야기가 많이 나와 보완이 됐다고나 할까.
  • 하이디 까지를 제외하면 주인공 성별 비율이 대략 9:17로 여자 주인공 비율이 훨씬 더 압도적이다.

4. 아류


세계명작극장이 히트하자 라이벌 애니메이션 제작사에서 동일 노선으로 아동문학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을 춘추전국 격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다음은 세계명작극장 시리즈는 아니지만 성격상 비슷한 작품들이다.
  • 꼬마 바이킹 빅 (1974) - 닛폰 애니메이션의 전신인 즈이요 엔터프라이즈 기획.
  • 시튼 동물기 아기곰 재키[19]
  • 아라비안 나이트 신밧드의 모험 (1975)
  • 안데스 소년 페페로의 모험(アンデス少年ペペロの冒險) (1975) 한국에서는 '인디오 소년 빼빼로의 모험'이란 제목으로 방영.
  • 만화 일본 옛날 옛적에 Manga Nippon Mukashibanashi (1975-1994)
  • 만화 세계 옛날 이야기(まんが世界昔ばなし) (1976~1979)
  • 백설공주의 전설
  • 신데렐라 이야기
  • 토에이판 세계명작동화 애니메이션
  • 집없는 아이(家なき子) (1977) - 데자키 오사무 연출 - 상술한 집없는 아이 레미와 비교해보는 일도 좋을 듯. 사실 방영 연도를 보면 알겠지만 한국인들이 보통 세계명작극장[20]이라고 여기는 쪽은 이 작품일 가능성이 크다.
  • 보물섬(宝島) (1978) - 데자키 오사무 연출
  • 어린 왕자(星の王子さま プチ・プランス) (1978)
  • 닐스의 모험(ニルスのふしぎな旅) (1980) - 스튜디오 삐에로 제작. 오시이 마모루 연출
  • 원탁의 기사 타올라라 아서
  • 리틀 엘 시드의 모험(リトル・エル・シドの冒険) (1980) - 이 두 작품은 중세 유럽을 배경으로 한 몇 안되는 작품.
  • 명견 졸리(名犬ジョリィ) (1981)
  • 사랑의 학교(愛の学校クオレ物語) (1981)
  • 태양의 아이 에스테반(太陽の子エステバン) - (1982) 태양소년 에스테반으로 방영.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ふしぎの国のアリス) (1983)
  • 아기 사슴 이야기[21](子鹿物語) (1983) 그리고 작품의 무대는 플로리다 주이다.
  • 호호 아줌마(1983) - 노르웨이를 무대로 하는 작품은 이 작품이 대타가 되었다.
  • 모래요정 바람돌이 (おねがい!サミアどん) (1985)
  • 오즈의 마법사(オズの魔法使い) (1986) - 팬미디어 제작.
  • 정글북:소년 모글리 (ジャングルブック少年モーグリ) (1989)
  • 비밀의 화원(アニメひみつの花園) (1991)
  • 쌍둥이 대소동(おちゃめなふたご クレア学院物語 ) (1991)
  • わたしとわたし ふたりのロッテ (1991) - 에리히 캐스트너의 '두 로테'가 원작.
  • 바람 속의 소녀 금발의 제니(風の中の少女 金髪のジェニー) (1992)
  • 눈의 여왕(2005) - 데자키 오사무 연출. 오래 전 작품 안데르센 이야기와는 같은 원작자, 다른 느낌이다.
  • 바람의 소녀 에밀리(風の少女エミリー) (2007) 빨강머리 앤 작가의 또다른 작품으로 빨강머리 앤과는 성격상 엇비슷한 작품이다.

[1] 하지만 몇몇은 덜 유명한 작품이 있긴 하다.[2] 1978년작인 펠리네 이야기의 경우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지만, 건물이나 풍경 등의 묘사가 실제와는 다소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프랑스에서는 방영되지 않았다고 한다.[3] 심지어 노태우 정부도 이 악습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다.[4] 투장 다이모스의 한국 더빙판을 출시했던 캘리포니아 비디오에서도 발매했었다고 하나 자료가 남아있지 않다. 특이하게도 캘리포니아판에서는 원판의 엔딩 캔디의 노래의 가사번안곡이 오프닝으로, 원판의 오프닝의 번안곡은 동사에서 냈던 비디오 시리즈 소개파트에 깔려서 엔딩 비스무레하게 사용되었다. 현재 자료가 남아있는건 MBC판뿐.[5] 벨기에의 앤트워프를 무대로 하고 있다. 다만 원작 소설은 애초에 영어 소설이라 정작 벨기에 사람들 사이에서는 그다지 유명하지 않았다고 한다.[6] 2002년 대원방송애니원에서 KBS판을 재방영했고, 2008년 EBS에서 재더빙하여 방영했다. 2017년 대원방송에서 재더빙하여 재방영했다.[7] 애니원, 애니박스, 챔프 중에서 애니원이 제일 먼저 방영한다. 애니원 2018년 1월 3일 수요일 낮 12시 첫방송[8] 여담이지만 성우 츠루 히로미의 데뷔작이다. 그리고 후술할 집 없는 소년 레미와 원작자가 똑같이 엑토르 말로.[9] 원래는 MBC판을 재방했었는데 2017년에 재더빙했다.[10]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애들레이드가 작품의 무대. 국내 방영시 중간에 방영 중단되고 개구리 왕눈이로 대체되는 병크가 있었는데, 아무래도 이야기 중반부에 주인공이 교통사고를 당해 한동안 기억력을 상실한다는 내용이 어린이들 입장에서는 충격적일 수 있다고 판단했던 모양.[11] 원작 소설이 있기는 한데 무조건 외면하자. 그 이유는...[12] 2019년 1월에 에서 재더빙 방영.[13] 남쪽 이야기의 루시와 마찬가지로 이쪽도 국내 방영시 중간에 방영 중단되었는데 이는 등장인물인 지미의 출생의 비밀이 너무 복잡하게 얽혔기 때문인 듯,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높지 않으나 시리즈에서의 위치는 전작을 잇는 명작이다.[14] 이건 외부 요인으로 방영이 중단될 뻔했다. 걸프전이 터지면서 뉴스특보를 이리저리 피해 파행 방영하다가 곧이어 에너지 절약 시책으로 지상파 3사의 방송시간이 줄어들면서 방송 시간대가 통째로 사라져버린 것. 무려 한달 반 동안 장기 휴방을 하다가 프로그램 개편으로 시간대를 옮겨서 겨우 방영이 재개될 수 있었다. 그리고 키다리 아저씨 자체가 비슷하게 방영중단된 위의 작품과는 달리 인지도가 넘사벽 수준으로 높은 점도 방영 재개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대원방송에서도 방영돼 2019년 1월 17일 방영 종료.[15] 재키와 머피라는 제목으로 방영[16] 리메이크작. 희한하게도 주인공인 레미의 성별을 여자아이로 바꿔버렸다. 때문에 인신매매범 등을 피해 다니는 여행이 더 위험천만해진 느낌(...). 참고로 '레미'는 원래 유럽에서는 남자 이름이다. 레미 킬미스터가 대표적.[17] 작품 배경은 2차대전 직후 그리스인데 이를 두고 차라리 중세 비잔티움 이야기가 낫다는 불평도 있다.[18] 2018년 10월 18일 방영 종료.[19] 세계명작극장으로 인정받기도 한다. 아래에도 비슷하게 취급받는 작품들이 있다.[20] 이라는 인식도 없이 그냥 하이디나 앤 시리즈와 같은데서 만들었겠거니 하는 서양 소설 기반 옛날 애니메이션의 총칭 개념.[21] 한국에서는 '개구쟁이 조디'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다. 참고로 원작 소설 제목은 'The Year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