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호
[image]
1. 개요
'''九尾狐'''
'''Nine-tailed Fox'''
동아시아에 전해오는 요괴 혹은 신수. 요호, 요괴의 하위 카테고리에 링크되어 있다. 매구, 불여우, 백여우, 노구화호, 삼두구미가 근연종들이며 여우로 둔갑하는 "노구화호"의 특성을 가지는 "서구할미"도 이 쪽 계열에 가깝다. 중국의 산해경에 의하면 꼬리가 아홉 달린 여우인 구미호는 청구국에 산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서 청구국이란 과거 중국에서 우리나라를 이르던 말이다.
2. 특징
한·중·일 삼국에서 구미호(九尾狐)는 신통력을 가진 꼬리 아홉의 여우를 뜻하며 남자를 잘 홀리는 매혹적인 여성으로 변신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구미호에 대한 가장 오랜 문헌적 기록은 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산해경(山海經)에서 발견된다. 그 산해경 중에서도 남산경(南山經)의 내용은 이러한데 식인 요괴로서의 특성이 보인다.
아홉개의 꼬리가 있는 여우를 표현한 것이 산해경의 원문이고 이 요상하게 생긴 여우에게 '''구미호'''라는 명칭을 붙여 정립 시킨 사람은 산해경의 주석가인 곽박이다.다시 동쪽으로 300리를 가면 청구산(靑丘山)이라는 곳인데 그 남쪽에서는 옥(玉)이, 북쪽에서는 푸른 흙이 많이 난다. 이곳의 어떤 짐승은 생김새가 여우 같은데 아홉 개의 꼬리가 있으며 그 소리는 마치 어린애 같고 사람을 잘 잡아먹는다. 이것을 먹으면 요사스러운 기운에 빠지지 않는다.
남산경(南山經)
국어문학자료사전에서는 구미호를 위와 반대로 고대로 부터 내려온 풍요의 상징으로 해석한다.
- 《오월춘추(吳越春秋)》에 우(禹)왕은 나이 서른이 넘어 구미호를 보고 도산씨(塗山氏)의 딸을 아내로 삼았다.
- 《백호통(白虎通)》에서 아홉 개의 꼬리는 자손이 늘어나는 것을 상징한다.
해외동경(海外東經), 대황동경(大荒東經)에서도 ‘청구(青丘)’의 나라에 구미호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서진(西晋) 시대의 박물지인 《현중기(玄中記)》에도 구미호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
현재 커뮤니티 등에 돌아다니는 구미호의 레벨업과 전직은 이 현중기로 부터 왔다고 보면 될 것이다(...). 불여우가 몇십년 짜리, 백여우가 백년 짜리 수련의 결과란 식의 이야기는 빨라도 2000년대 이후에나 파생된 설정임을 염두에 두자."여우는 50년을 넘기면 여성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1백 세가 되면 미녀나 무녀로 변신할 수 있다고 한다. 또는 남자로 변신하여 여성과 성관계를 갖기도 한다. 또한 멀리 떨어진 곳의 일을 알고 있으며 사람을 홀린다. 1천 세가 되어 하늘과 통하게 되면 여우의 최고 단계인 천호(天狐)가 된다."
현중기
2010년에 나온 구미호에 관한 칼럼중 일부를 정리해 보면 이렇다.
- "육오(陸吾)"라는 중국신화의 신은 인간 얼굴에 꼬리 아홉개를 지녔다.
- "9"라는 아홉수는 꽉 채워졌기에 극상이자 이미 꺾어진다는 의미로 너무 길한 만큼 액운이 따른단 경고다.
- 고대의 여러 전각화에는 서왕모(西王母) 곁에 해와 달을 상징하는 삼족오와 두꺼비와 같이 구미호도 있다.
- 중국의 학자 원가(袁珂)는 이를 상서로움의 상징으로 해석한다.
- 서응도(瑞應圖)에서 하늘, 땅, 동서남북이 하나가 되는 육합(六合)에 구미호가 등장한다고 한다.
원나라의 고대소설 전상평화(全相平話)의 "무왕벌주평화(武王伐紂平話)"와 그 이후에 나온 "봉신연의(封神演義)"에서는 중국 상(商)나라 주왕(紂王)의 총비(寵妃)였던 달기(妲己)가 구미호의 화신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일본으로 건너가 지금까지도 서브컬쳐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타마모노마에(玉藻前)전설로 나타나 에도 시대[江戶]時代]에 크게 유행하기도 했다. 명나라 때에 나온 서유기에도 구미호가 등장하는데 설정은 금각은각형제가 모시는 "압룡동 노마님"으로 뭔가 있어 보이는 보스의 위치이지만 활약 한 번 못 해보고 손오공의 여의봉에 순살당하는 단역 취급을 받는다.[1]
베트남의 경우 건국신화에 구미호가 등장한다. 이름은 "호 띤(Hồ Tinh, 狐精)". 천 년 묵은 여우의 정령인 이 구미호는 밤이면 귀신이나 인간으로 변신해 굴에서 나와 사람들을 잡아먹었다. 이 괴물은 "락 롱 꿘(Lạc Long Quân, 貉龍君)"이 천둥과 바람의 마법으로 사흘을 싸워 지치게 만든 후 도망가려는 찰나 오색실을 꼬아 만든 올가미로 목을 졸라 퇴치한다. 락 롱 꿘은 "씩 꾸이"라는 나라를 다스리는 왕 "록 뚝"과 용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나 물 속을 자유롭게 왕래하고 강력한 힘을 지닌 영웅이자 왕으로 이 신화는 한국의 단군신화에 해당하는 위치를 차지한다. 이런 락 롱 꿘과 사흘이나 싸워 버틴 베트남의 구미호는 건국영웅의 신화적 업적의 트로피란 점에서 화려한 이력을 자랑한다.
구미호의 발상지에 관련해, 산해경에 나온 청구국이 동이쪽이니 결국 고대에 우리쪽 혈통에 더 가까운 부족이나 그 문화권이 원조라는 설. 혹은 그냥 편하게 중국쪽 천호나 요호가 모티브 아니냐란 설. 더 단순하게는 타마모노마에가 모든 구미호의 근원이다란 설등 이쪽에선 이런저런 설정논쟁이 종종 일어나는데 이는 이제와선 정확히 알 수 없는 오래전 일이다.....최소한 일본의 타마모노마에는 중국의 달기에서 파생한 창작물임은 분명하지만. 어차피 중국의 오가지신에 속한 여우신령. 그리고 일본의 이나리신앙의 여우에서 보이듯 꼭 꼬리가 아홉이 아니어도 '''여우'''라는 동물 자체가 예로부터 인간의 이목을 끌어왔다. 11세기 쯔음엔 여우를 어찌나 귀하게 여겼던지 여우를 쏴죽인 사람에게 유배형을 내렸다는 기록도 있다.
진짜로 꼬리가 아홉 개 달린 게 아니라 '''꼬리가 아홉 갈래로 갈려서 아홉 개처럼 보인다'''고 한다. 살과 뼈가 들어있는 진짜 꼬리는 하나 뿐. 혹은 꼬리 하나가 아홉 갈래가 나 있으면 영물인 천호, 꼬리가 아홉 개 있으면 요물인 구미호라는 식으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설정상으로 구미호는 태어날 땐 꼬리가 하나인데 성장하면서 꼬리가 갈라지거나 태어날때부터 꼬리가 아홉개인 경우도 있다 한다.
이런 전승과는 별개로 여우란 말 자체가 주로 교활한 사람 특히 궁 안에 있는 간신배들을 비하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천자문(千字文)》에선 은의 주왕(기원전 11세기경)을 유혹해 나라를 기울게 한 달기를 구미호라 비하했고 영조 시절 관리인 최익남은 영조의 노여움을 사 '구미호 같은 놈'이라는 쌍욕을 들었다.
3. 주요 국가별 전승
3.1. 한국
3.1.1. 전래
현재 "한국형 구미호"는 그 특성과 정체성에 관해 여러 이설이 오가는 뜨거운 감자다. 어쨌든 전설의 고향 등을 통해 알려진 간 빼먹는 여우 요물은 근래, 혹은 유교이념의 조선시대를 거치며 변질된 이미지이고 본래는 신령한 동물이란 설이 많은 힘을 얻고 있다.[2]
이 중 많이 알려진 근거로 이용되는게 진위여부가 논란이 되는 규원사화다. 여기에서는 위쪽에 언급한 신령스런 동물로 구미호가 등장한다.
논거의 진위여부야 어쨌든 이런 신령한 구미호에 대한 공통된 서술은 가장 오래된 지리서인 산해경(山海經),대황동경(大荒東經)과 관련해 원가(袁珂)의 주석으로 나온다고 한다.이때 신령스러운 짐승이 청구(靑丘)에 나타났는데, 털은 밝고 희고 꼬리가 아홉 개가 달린 짐승이 서책(書冊)을 입에 물고 상서(祥瑞)함을 나타내는지라. 이에 고시씨(高矢氏)에게 상을 내리고 나라 안에 음악을 연주하고 즐김을 다하라고 영을 내리고는 또한 ‘조천무(朝天舞)’를 지었다.
(중략)
신사년은 여을 임금의 원년이다. 태백산의 남쪽에 이상한 짐승이 나타났는데, 꼬리는 아홉에 흰 털을 지니고서 흡사 늑대 같았으나 사물을 해치지는 않았다.
이는 백호통(白虎通)에도 공통으로 나타나는 부분이라고 한다.有靑丘地國, 有狐, 九尾
청구국이 있는데 꼬리가 아홉달린 여우가 산다.
- 원가(袁珂)의 각주 : 이 여우는 세상이 태평하면 출현하여 상서(祥瑞)로움을 보인다고 한다.
산해경
이 설명은 흡사 봉황이나 기린을 연상케 한다. 규원사화의 구미호에 대한 표현이 갑툭튀는 아니란 소리."임금의 덕이 지극하면 새나 짐승에까지 미치게 되며 구미호가 출현한다. 꼬리(尾)가 아홉(九)이니 마땅히 자손이 후대에 번성하게 된다."
백호통
또한, 이런 글에 지명으로 나오는 청구(靑丘)는 이전에야 어쨌든 삼국시대 이후로 한반도 지역을 의미하는 단어라 두산백과에 나온다. 하지만 산해경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건 기원전 2세기 이전의 것이라고 하니 이 청구를 이쪽과 연결시키기도, 안 시키기도 좀 애매한 부분. 그래도 고본죽기서년에는 하(夏)나라의 백서자(伯杼子)가 동쪽을 정벌하여 "꼬리 아홉 달린 여우"를 잡고 천하를 얻었다 나오고 「해외동경(海外東經)」에도 청구(青丘) 나라에 사는 여우는 꼬리가 아홉이라 설명된다고 하니 적어도 기원전 시절에는 이 구미호가 중원쪽이 아닌 동쪽 어딘가의 영물(靈物)로 취급 되었음은 분명하다. 이를 근거로 구미호=청구의 신령한 영물설을 지지하는 글 등에선 청구=고조선 유역설을 자주 차용한다.
그러나 이 '''"청구의 신령한 흰 구미호"'''는 그 정체가 하늘에 사는 "천호(天狐)"인지, 혹은 다른 역할을 가진 영물인지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그나마도 이게 중국쪽 영향을 받은 결과인지, 반대로 영향을 준 것인지도 현재로선 알 길이 없다. 그래도 중국과 일본처럼 고대 한국인 신라(新羅)시대 이러한 "여우신앙"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중국의 태평광기(太平廣記)[3] 에 남아있다.
신라시대라면 진평왕 때에는 원광법사를 뛰어난 영험으로 도운 삼기산 흑여우신(神)이 있었고 후대의 진성여왕 때에는 진평왕 시절 끗발만은 못하더라도 서해 용들의 간(肝)을 취한 거물 요호[4] 가 있어 여우 요괴의 위신이 드높던 때다. 비록 후자는 "거타지"의 화살 한방에 퇴치되지만. 아무튼, 이랬던 여우들이 후대로 올수록 남자에게 꼬리치다 몽둥이 찜질이나 당하는 궁색한 처지에 몰리게 된다. 위 논문과 자료를 인용한 태평광기에서는 구미호의 유래를 중국으로 보고 있지만 나공원(羅公遠)이라는 도사 자체가 이미 가공의 캐릭터임을 염두에 두자. 다만 신라의 삼기산 흑여우신과 비교해 토속 여우신앙의 가능성을 조심스레 추측해볼 뿐이다.당(唐) 나라 도사(道士) 나공원(羅公遠)이 유성(劉成)으로 둔갑한 천호(天狐)를 죽이지 않고 멀리 신라로 내쫓아 보냈더니 지금도 신라(新羅)에서는 유성신(劉成神)이 있는데 그 나라 사람들은 그를 경건히 모신다.
<汧阳令>, 太平廣記, 卷449.한중일 여우 이미지의 유사성과 차이中||
그런가 하면 임석재 선생이 전국의 설화를 수집, 집필해 펴낸 한국구전설화전집(전12권)에 실린 마이너 버전 단군신화에는 이런 내용이 있는데 간단히 옮기면 이렇다.
- "옛날 옛적 밥도, 옷도 나무에서 따서 구하던 때 하늘에서 사람이 하나 떨어졌는데 그 거시기가 예순 댓발이나 해서 모든 동물들이 기겁하고 멀리한다. 그러나 곰이 그를 굴 속에 맞이하여 단군을 낳았고, 그 후 여우가 맞이하여 기자(箕子)를 낳았다.[5] - 신문 칼럼 참조.
그러나 길조의 상징과 대비되는 죽음의 이미지가 언제부터 여우에게 붙어있었는가는 모를 일이다. 국립국어원 자료의 민간 속신에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 “북쪽에서 여우가 울면 그 동네에 초상이 난다”
-여우는 무덤을 파서 송장을 먹으니 특히 북쪽의 여우는 죽음을 뜻하며 그 울음은 저승사자의 출현의 징조이다.
- "앞산에서 여우가 울면 부음(訃音)이 들어오고, 뒷산에서 여우가 울면 사람이 죽는다.”
-저승사자와 같은 여우 울음소리는 동네의 병자를 죽게 한다.
디지털고령문화대전의 어느 여우설화에서는 여우가 속한 개과 동물들 특유의 먹이를 땅에 묻었다 꺼내 먹는 습관을 귀신 이미지가 씌이게 한 원인으로 보고 있다. 공기에 노출된 뼈의 인(燐) 성분이 일으킨다는 도깨비불이 옛사람들 공포심을 자극했다는 것. 물론 도깨비불 항목에도 나오지만 이 현상은 그 원인이 확실하지 않으니 그저 참고만.
원불교대사전에서는 구미호라는 단어를 "천 년 묵어 요괴가 된 여우.", "요사한 여자", "잔재주는 있으나 간사하고 망녕되어 법과 스승을 불신하는 부도덕한 사람" 등으로 정의하는데 이 중 마지막 뜻에 대한 인용문이 인상적이다.
대종사가 근심했던 구미호에 부합하는 인물이 고려말의 승려 신돈으로 그는 종종 노호정(老狐精: 늙은 여우 정령)에 빗대어졌다.“내가 28년간 법을 너무 해석적으로만 설하여준 관계로 상근기는 염려 없으나 중ㆍ하근기는 쉽게 알고 구미호가 되어 참 도를 얻지 못할까 걱정된다."
소태산대종사
(중략)"旽性畏畋犬 惡射獵 且縱淫 常殺烏鷄白馬 以助陽道 時人謂旽 爲老狐精"
신돈은 사냥개를 겁내고 사냥을 싫어했으며 호색 음탕하여 매일 오계(검은 닭. 오골계인지는 불명)와 백마를 잡아먹어 양기를 돋웠기에 사람들은 그를 노호정으로 불렀다.
신돈은 노비 출신인 점과 이미 부패한 고려의 국정, 권문세족들의 적대로 그 한계가 명확했으며 권력 말기에 타락했다는 비판 역시 피할 수 없다. 동시에 전민변정도감의 설치 등, 그 개혁정책과 의지는 높이 평가받기에 요승(妖僧)과 개혁가의 상반된 이미지를 동시에 가진다. 결과적으로 신돈은 고려가 망해갈 때 국정을 쥐락펴락한 음탕호색의 요승으로서의 모습만이 강화되어 후세에 알려진다. 그리하여 조선 건국의 정당화와 고려사 매도에 이용되어 남성이면서도 "구미호"에 잘 어울리는 인물이 되었다."신돈이 죽자 대궐 뒤켠의 숲 속에서 '''꼬리가 아홉 달린 늙은 여우'''가 피를 토하고 쓰러졌다는 소문이 돌았다."
《고려사》 권 제112, 22장
신돈처럼 대중을 홀려 이익을 추구하는 힘을 여우에게서 받으려는 믿음이 전통적인 "'''여우부작'''"에서 발견된다. 이는 여우가 무덤에서 시체를 먹고 질병을 퍼뜨린다는 죽음의 속신에 정면으로 대치되는 "지혜와 풍요"의 이미지이다. 물론 이런 부적은 한국만의 것은 아니며 정확히는 동양에 퍼진 "현세발복(現世發福)"을 위한 성근신앙의 한 형태로 봐야 한다.
-여우의 자궁을 부적으로 만들어 몸에 지니면 기생은 남복(男福)이, 노름꾼이 가지면 도박운이 터진다.
-여우는 교활하고 홀리는 능력이 탁월한데 그중에서도 "불여우"의 것이 선호된다.
-음양화합, 소원성취를 의미한다.
삼족구(三足狗)라고 하여 다리 셋이 달린 개가 이 구미호의 천적이라한다.
여담으로 한•중•일의 구미호 모두 아름다운 여성으로 둔갑해 남자들을 홀린다거나 하는 등 일반적인 이야기는 비슷비슷하지만 중국과 일본 구미호의 경우 무서운 요괴일 뿐이라면 유일하게 한국 구미호에게는 인간이 되고 싶어 한다는 나름 감동적인 스토리가 추가 되어 있다. 인간 남자와의 진실된 사랑으로 몇 달을 버티면 인간이 될 수 있지만 그 전에 구미호라는게 결국 들통나 연인이 도망치거나 죽임을 당하고 비극으로 끝나는게 일종의 클리셰.
3.1.2. 한국 설화 속 여우의 특징
두산백과에서는 "구미호"를 비단 꼬리 아홉 달린 여우 뿐 아니라 초자연적인 능력이 있는 여우라면 다 구미호에 속한다라 명시하고 있다. 이는 적어도 한국 설화에서는 매구, 백여우, 구미호의 구분이 무의미함을 뜻한다. 아래에 나온 구미호의 특징 역시 한국 설화에 나온 요호들의 전반적인 특성으로 이해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요호 문서 참고.
3.2. 중국
중국에서 여우는 음(陰)에 속하는 동물로, 주로 밤에 활동하며 수련을 하지 않은 보통의 여우도 인간에 필적하는 지능을 가진 특별한 동물로 여겨졌다. 이는 유럽에서 고양이들 중에 요정 캐이시가 섞여있다는 믿음과 비슷한 구석이 있다. 아래의 내용들은 문화원형백과의 원전 보기 등의 자료에 나와 있다.狐五十歲,能變化爲婦人;百歲爲美女,爲神巫,或爲丈夫與女人交接,能知千。
里外事,善蠱魅,使人迷惑失智,千歲卽與天通,爲天狐。
여우는 50년을 넘기면 여인으로 변신할 수 있으며, 1백 세가 되면 미녀나 신묘한 무당으로 변신할 수 있다고 한다. 또는 남자로 변신하여 여성과 성관계를 갖기도 한다.
능히 천리 밖의 일을 알 수 있으며, 독충과 귀신을 부리고 사람을 미혹한다.1천 세가 되면 하늘과 통하게 되어 천호(天狐)가 된다.
- 청구산(靑丘山)의 어떤 짐승은 꼬리 아홉의 여우 모습이며, 어린애 같은 울음소리를 내고 사람을 잘 잡아 먹는다. 이것을 잡아 먹으면 요사스러운 기운에 빠지지 않는다. - 산해경(山海經), 남산경(南山經)
- 청구국이 그 북쪽에 있어 그 곳의 여우는 네 개의 발과 9개의 꼬리를 지녔다. - 산해경(山海經), 해외동경(海外東經)
- 청구국에 꼬리가 아홉 달린 여우가 산다. - 산해경(山海經), 대황동경(大荒東經)
- 중화민국 시대의 학자 원가(袁珂)가 주석을 달기를, 청구국(靑丘國)의 구미호(九尾狐)는 후대에 자손 번창과 풍요의 상징이 되었으며 태평성대에 출현하는 상서(祥瑞)로운 동물로 설명한다.
- 백호통(白虎通)에서 구미호의 9개 꼬리는 자손이 늘어나는 상징이며 오월춘추(吳越春秋)의 우(禹)는 나이 서른이 넘어 구미호를 보고 도산씨(塗山氏)의 딸을 아내로 맞아들였으니 이는 혼인과 다산(多産) 등 생명력에 관한 구미호의 상서(祥瑞)의 관념을 뜻한다.
- 고본죽서기년(古本竹書紀年)에서도 하(夏)나라의 백서자(伯杼子)가 동정(東征)하여 꼬리 아홉의 여우를 얻었다 나온다.
- 한대(漢代)의 화상석(畵像石)에서 구미호는 해를 상징하는 삼족오, 달을 상징하는 두꺼비, 토끼와 같이 서왕모 옆에 그려지는 서조(瑞兆)였다.
- 사천성에서 출토된 서왕모 화상에서도 삼족오와 구미호가 서왕모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서왕모의 권위는 용과 호랑이가 새겨진 의자 "용호좌"에서 나타난다.
- 육조(六朝)에 이르러 은(殷)나라 주왕의 애첩 달기가 구미호였다는 전설로 인해, 후대로 올수록 남산경에 나온 식인(食人)괴물의 성격과 나라를 멸망시키는 흉조(凶兆)의 이미지가 풍요와 다산의 이미지를 덮어버린다.
구미호 달기는 재색(才色)이 출중하나 바토리 에르제베트처럼 피에 굶주린 성품으로 도술을 부리는 영물의 면모 보다는 왕을 홀려 백성과 신하들을 재료 삼아 스너프 필름을 찍은 악마성이 부각된다. 그 중 유명한 이야기가 충신이자 재상인 비간(比干)이 주왕에게 "규범을 무시하시고 아녀자 말만 들으시니 재앙이 올 것입니다."라 간언하자 "성인(聖人)은 심장에 구멍이 7개라죠?"라 응수해 그 자리에서 주왕이 비간의 심장을 꺼내게 한 것. 자료에 따라 달기 자신이 심장에 병이 있어 비간의 것을 약으로 달라 했다는 내용도 있다. 봉신연의에 이르면 여와가 은(상나라)을 멸망시키고 주나라의 시대를 열기 위해 구미호를 파견했다는 비하인드가 추가되지만 결국 무왕에게 처형당하긴 마찬가지. 이렇듯 구미호는 어느 이야기에서건 왕 = 하늘의 선택을 받은 천자(天子)를 미치게 해 나라를 멸망시킨 흑막으로 지목되며 인간, 특히 남성을 미혹하는 능력이 많이 강조된다. 아래에 나올 논문 인용글을 빌리자면 "해와 달의 정화를 받고, 천지의 신령한 기운을 훔쳐 사람을 쉽게 조종한다."
현대에 이르러 달기의 악행은 유교의 "군자는 여색(女色)을 멀리한다."는 논지로 은나라를 폄훼하기 위한 후대의 기록이란 의견에 더해 말희와 너무 판박이의 스토리 등, 전해지는 내용이 비현실적이고 작위적이다 하여 동정론을 얻고 있다. 갑골문 연구가 진척됨에 따라 달기와 함께 나라를 말아드셨다 전해지던 주왕도 이 동정론에 한다리 걸치게 된 상황. 더 나아가 아예 달기란 인물의 진위성을 의심하는 시각도 있는 듯.
이와는 별개로 여우라는 동물에 대해서는 한국의 경우처럼 무덤에 살며 사람 홀리는 요괴란 인식도 있었던 모양이다.
- 고총호(古冢狐): 중국 당나라의 시인 백거이의 작품. "고총의 여우는 요사스럽고 늙었다. 부인으로 변하니 안색이 좋고 머리는 구름 같고 얼굴은 화장하였다. … 날이 저물어 저녁 때, 사람의 통행이 뜸해지면 혹은 구르고 혹은 춤을 추면서 슬피 운다. 파란 눈썹 치켜뜨지 않고 꽃같이 아름다운 얼굴 수그리며, 홀연 한번 웃어 온갖 모습을 보인다. 그것을 보고 있으면 열 명 중 아홉은 홀린다."
이 오대선 외에도 중국의 여러 지역, 특히 당(唐) 시대에 여우를 신으로 모신 흔적이 보인다고 한다.
- 당나라 초기부터 백성들은 여우신을 많이 섬겼다.
- 집안에서 제사를 지내면서 복을 빌었으며 사람에게 올리는 것과 같은 음식을 바치는데 섬기는 여우신은 제각기 달랐다.
- 당시 "여우요물이 없으면 마을이 생길 수 없다."는 속담이 있었다.
이처럼 여우를 좋게 본 또다른 자료로 태평광기 서왕모편에 이런 내용이 있다고 한다.
이는 중국 신화에서 황제와 치우의 전쟁인 탁록전의 일부분을 다룬 내용이다.
국내에도 정식 번역 출간된(그리고 네이버가 라이선스를 딴...) 판타지 라이브러리 시리즈의 "중국환상세계"에는 여우요괴와 호선에 대해 제법 상세히 설명한다.
- 천호(天狐) : 금색털에 아홉 꼬리를 가진 이 영수는 여우가 수행해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위치이다. 천계의 일궁(日宮)과 월궁(月宮)[11] 에 근무한다. 하늘의 궁전에 사니 인간에게 해를 끼칠일이 없지만 만약 있다면 최소한 하급신급의 힘이 있기에 큰일이 벌어진다고 한다. 이 중 호조사(狐祖師)는 여우들 중 최초로 득도해 승천한 천호로 상급신에 필적하는 힘을 지녔다.
- 선호(仙狐) : 모든 여우가 다 여우신선이 되는게 아니다. 1년에 한 번 실시되는 태산낭랑(泰山娘娘)이 감독하는 필기시험에 합격해 생원(生員)이 되어야 한다. 이 시험에 떨어지면 평범한 야호(野狐)로 머문다. 생원이 된 여우는 세상 모든 새의 말을 익혀야 하는데 이는 인간의 말을 배우는 과정이며 여기에 둔갑술을 더 익혀 사람으로 변신하게 된다. 사람의 모습을 선호하는 이유는 다른 동물들이 1천년 수행해야 선(仙)이 되는 반면 인간은 그 반절인 500년으로 단축이 되어서다. 그리고 문장력이 좋은 여우는 다시 300년이 단축되기에 시험을 필기로 본다는것. 이러한 선호의 고충은 헌티드 스쿨시리즈의 창량이 토로한 바 있다.
- 여우가 유혹하는 이유 : 남녀관계를 통해 인간의 정기를 빼앗는 것이 상급여우로 레벨업 하는 가장 빠른길이어서다. 당연하게도 이런 여우는 남, 녀 모두 있고 이들에게 홀리면 정체를 안다해도 본인의 욕구를 못이겨 도력이 높은 도사가 막으려 해도 결국 정기를 다 빼앗겨 죽을 수 있다. 이는 바로 무협소설에 종종 나오는 채음보양의 수법이다. 아주 드물게는 전생의 인연을 기억해 진심어린 사랑을 갈구하는 순애보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냥 몽마짓을 하려고 접근한다. 이 외에 단순히 인간 생활을 하기 위해 남의 집에 밀고 들어오는 민폐형도 있는 모양. 이 경우는 큰 집을 가진 부자에게 일어난다.
- 여우와의 공존 : 예의 있는 여우와 성격 좋은 집주인이 만나면 제법 괜찮은 공존이 이루어지는 듯. 여우가 해를 깨칠 생각이 없어도 집주인 쪽이 여우 입주자는 안 된다며 도사를 불러 난리를 치면 당연히 전쟁이 일어나게 된다. 물론 무조건 밀고 들어와 살겠다는 여우쪽도 문제이긴 하다. 어찌어찌 사이좋은 입주자와 집주인으로 살게 된다면 여우는 주인에게 말동무는 물론 신통력을 가진 조언자 역할을 하므로 인간쪽에게 손해는 아니다.[12] 여기서 더 나아가 부부의 연을 맺는 전승도 전해진다. 이때 태어나는 혼혈아이는 여우 꼬리가 있는데 잘라주지 않으면 얼마안가 여우로 변해버린다. 무사히 사람으로 자라난 혼혈아는 유능한 인물이 된다고 한다. 한국의 강감찬, 일본의 아베노 세이메이가 생각나는 부분.
- 여우의 변신 : 남자로 변하려면 남자의 해골을, 여자가 되려면 여자의 해골을 머리에 얹고 북두칠성(혹은 달)을 향해 기도한다. 해골이 머리에서 떨어지지 않으면 인간으로 변신이 되는데 당연히 나신이 되므로 미리 꽃이나 나뭇잎을 준비해 이를 옷으로 변신시켜야만 한다.
- 여우의 약점 : 도력이 높아 도사나 고승을 두려워 하지 않는 여우라도 사냥꾼에 대한 본능적 두려움은 떨칠 수 없다고 한다. 이 때문에 사냥견, 사냥용 매를 두려워 한다. 특히 사냥꾼이 쏘는 조총(鳥銃)[13] 소리는 요호든, 야호든 가리지 않고 달아나게 만든다.
그리고 여우들은 그 집에서 더욱 기승을 부리게 되었다고 한다.........
헌데 한국 처럼 널리 알려지진 않았으나 중국에도 "여우구슬" 설화가 전해지는 모양이다.
- “狐狸嘴裡有顆媚珠,如果能得到珠子,就能被天下的人所愛慕.” : 여우의 입 안에는 아름다운 구슬이 있어 만약 이를 얻게 된다면 천하의 사랑을 얻을 수 있다. - 태평광기의 "유중애(劉衆愛)"편
- 서생 공설립이 몸에 종기가 나 고통을 당하니 여우 여인 "교나"가 입에서 붉은 구슬을 꺼내 그를 치료해준다. 살 위에 살살 한 바퀴 굴리니 화끈 거리고, 세 바뀌 째에 온몸의 후련함이 뼛속에 베어들었다. 교나는 "다 나으셨습니다."하곤 구슬을 다시 삼켜 총총히 사라졌다. 훗날 공설립이 낙뢰로 죽자 다시 한 번 구슬을 통해 살려낸다. - 요재지이(聊齋志異) 교나(嬌娜)편.
- 악녀(惡女) 유형 : 달기, 포사와 같이 의도적으로 가정과 사회를 무너뜨리는 범죄형 요괴가 인간과 결혼한 설화.
- 아자(阿紫) : 왕영효라는 남자가 실종되었다 빈 무덤에서 발견되었는데 형상이 여우와 닮게 되어 사람과 말이 통하질 않고 아자라는 이름만 외쳐댔다. 결국 그가 정신을 차려 설명하니 "아자"라는 이름의 여우를 닭장 근처에서 맞닥뜨렸고 그 여우가 여성으로 변해 지속적으로 연을 맺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설화가 실린 수신기(搜神記)는 이 여우를 먼 옛날 음부(淫婦=요부)가 변한 요괴로 규정한다.
- 호보옥(胡宝玉) : 요괴는 아니고 그냥 창기(娼妓) 출신의 여성이지만 오랜 습관을 못 버리고 자신을 기적에서 빼내준 남자를 다시 배신한 채 창기로 돌아간다는 내용. 청조 말기에 쓰여졌다는 소설 평화주인(評花主人)의 "九尾狐"에 나온 이 인물은 “기생은 모두 여우이다.”라는 오랜 관념을 잘 보여준다.
-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의 손암(孫巖)편 : 결혼한지 3년임에도 처가 옷을 껴입고 자는 것을 이상하게 여긴 남편이 부인이 잘 때 몰래 옷을 들추니 3척이나 되는 긴 꼬리가 보여 내쫓게 된다. 여우 부인은 떠날 때 남편 손암을 칼로 죽이고 사라진다.
- 달기(妲己) : 무왕벌주평화의 그 구미호로 "해와 달의 정화를 받고, 천지의 신령한 기운을 훔쳐" 사람을 쉽게 조종한다. 나중에 잡혀 처형 받을 때에 조차 병사들을 나무나 진흙 인형처럼 꼼짝을 못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원대의 화본소설에 나온 이 구미호는 이후 봉신연의로 이어져 요호의 전형으로 굳어지게 된다.
- 선녀(善女) 유형 : 달기로 대표되는 악녀와 반대로 흔히 현모양처로 불리우는 성격의 여우 여성들도 보인다.
- 임씨전(任氏傳) : 가난한 정육(鄭六)이 우연히 아름다운 "임씨"를 만나게 되는데 정체가 여우임을 알고도 동거를 시작한다. 임씨는 정육의 친척이 자신을 욕보이려는 것을 오히려 지혜로 설복시고 정육의 재산을 신통력으로 늘리는 활약을 하지만 관리로 파견 나가는 정육을 따르다 그만 사냥개에게 죽음을 당하는 비극으로 끝난다. 중국문학사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작품.
- 태평광기 계진(計眞)편 : 어느 농부와 잘 살던 부인이 어느날 자신이 여우임을 밝히고 남편에게 요괴의 기운을 남길 수 없어 떠난다며 자식들에 대한 걱정과 죄책감으로 눈물을 흘리며 사죄하는 내용이다.
- 요재지이 연향(蓮香)편 : 연인 이생이 귀신에게 홀려 숨이 넘어가게 된 것을 미리 예지한 여우 여인 연향이 삼개월간 미리 약을 준비해 놓아 그를 살려낸다.
- 신십사랑(辛十四娘)편 : 남편이 친하게 지내는 이웃집 남자가 그에게 살인죄를 씌울 것임을 미리 알고 여우 부인 신십사랑이 교재를 만류하지만 결국 실패하고 남편은 누명을 써 옥에 갇힌다. 부인은 그를 보며 애통해 한다.
- 요재지이의 청매(靑梅)와 홍옥(紅玉) : 두 여우 모두 가난한 집안에 시집가 신통력이 아닌 근면함으로 가문을 일으켜 세운다. 청매는 유교에서 말하는 현모양처형 사회성으로, 홍옥은 억척스런 노동력으로(...) 집안을 풍족하게 한다.
3.3. 일본
현재 서구에도 많이 알려진 구미호 하면 이 일본의 "타마모노마에(玉藻前)". 또는 "하쿠멘콘모우큐비노 키츠네(白面金毛九尾の狐, 백면금모구미호)"가 절대적 지명도를 자랑한다. 이때문에 일어난 리그 오브 레전드의 캐릭터 아리 항목 12.4에 나온 "재팬 엑스포 사건"은 웃지 못할 유명한 일화.
일본의 구미호는 카마쿠라 시대 혹은 무로마치 시대에 시작되어 에도 시대(江戸時代)에 본격적으로 정립되고 유행한 "일본 3대 요괴"의 하나로 여러 소설에서 악역으로 활약하였는데 그중 에도 후기의 설화집 "회본삼국요부전(繪本三國妖婦傳)"이 유명하다고 한다. 타마모노마에의 "구미호"로서의 설정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 확실히 드러나는게 특징이며 이때문에 "삼국전래(三國傳來)백면금모구미호"로 불리운다. 이에 관해 위키백과의 타마모노마에와 나무위키의 일본삼대악귀에 작성된 내용이 약간씩 차이가 난다.
일단 차이가 나는 두 개의 삼국전래 내용들을 정리해 보면 이렇다.
- 구미호는 BC. 2000년 경 인도 남천축의 마가다국(耶竭陀國)에서 처음 나타나 태자비를 잡아먹고 그 모습을 훔쳐 태자에게 기근을 이유로 매일 10명 씩 총 1000명의 인신공양을 할 것을 부추기다 반란으로 도망. → BC. 1100년 경 중국 은나라의 달기로 나타나 봉신연의의 내용으로 이어져 강태공(태공망)에게 몸이 셋으로 잘려 도망. → BC. 780년 경 주나라의 포사(褒姒)가 되어 나라의 기둥뿌리를 휘청이게 함. → AD. 753년, 17세의 와카모(若藻)로 변한 구미호는 제10차 견당사선을 타고 당에서 일본으로 바다를 건너 도래. 훗날 토바 덴노(後鳥羽天皇)의 시녀로 입궁해 타마모노마에가 된다.
- 구미호의 시작은 은나라의 달기로 주무왕에게 잡혀 처형을 당할 때에조차 사람들을 홀리자 태공망(太公望)이 조마경(照魔鏡)으로 정체를 비춘 뒤 달아나는 요괴를 칼로 베어 셋으로 나눈다. → 세 조각 중 하나는 마가다국에서 태자비로 변해 인신공양을 비롯한 폭정을, 또 하나는 주나라의 12대 유왕(幽王)의 비 포사(褒姒)가 되어 왕권과 국력을 쇠락시켜 망국을 초래. 마지막 하나는 16살 소녀 와카모(若藻)로 변해 견당사선에 올라 일본으로 들어온다.
그리고 타마모노마에의 정체가 구미호가 아닌 꼬리 두 개의 케쇼노마에(化生の前)라는 설이 삼대악귀 항목에 소개되어 있는데 이를 채택해서 케쇼우노마에를 단역으로 출연시킨 작품이 귀참십장이다. 여기서의 캐릭터는 악녀라기 보담 사랑을 갈구하는 성격으로 나오며 한 승려를 따라 일본에서 천축국으로 떠나는 모습이 그 딸(!)인 요호 오사키의 회상에 잠깐 등장한다. 이밖에 위키백과에서는 타마모노마에를 일본에 실존했던 후지와라노 토쿠시를 모델로 삼았다는 설을 소개하고 있다. 물론 여러 가설의 하나일 뿐이며 확실하지는 않다.
또한 단신으로 거의 내전에 가까운 전투를 성립[17] 시켰으며, 죽은 뒤 그 사후 증거인(...) 살생석이 유종의 미(?)를 간직한 채 지금도 나스 고원에 있단 점, 그리고 삼대악귀들 중에서도 해외파라는 큰 스케일과 절색의 팜 파탈이라는 복합적인 요소로 그 인기는 현재 최고가를 달리는 요괴이기도 하다. 이때문인지 만화 지옥선생 누베에서는 지옥의 귀신도 능가하는 신적인 존재로 띄워주며 전승에서 설정만 차용한 요괴소년 호야에 이르면 아예 한국 양판소의 드래곤급 크기와 신위를 자랑하는 대마왕이 된다. 그리고 동물귀(키츠네미미)에 아홉 꼬리의 요괴라는 추가 요소가 있으므로 모에 캐릭터로도 많이 쓰인다. 오래 살고 능글맞거나 신비하고 차분한 캐릭터로 나뉜다.
성역할과 미덕에 대한 관념이 많이 바뀐 지금에 와서는 중국의 달기와 포사가 동정론을 얻었듯이 이 타마모노마에도 해석에 있어 긍정적으로 묘사되는 작품이 많아졌다. 이는 고스트 스위퍼의 등장인물(?) 타마모에 대한 작가의 따스한 시선(...)에서도 확인 가능한 부분. 확실히 일본 고전의 구미호는 인도와 중국에서 나라를 망하게 한 악마란 설정 답지 않게 정작 열도 내에서는 폭정이 아닌 토바 상황의 열병의 원인과 토벌에 대한 저항에서 나온 인명피해. 그리고 그 범인이 불확실한 부녀자들의 실종 등, 악랄함보다는 상황이 나빴다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사건들에 연루되어 있다. 오히려 죽은 뒤에 생긴 살생석의 악명이 더 유명할 지경.
일본삼대악귀의 "타마모노마에"가 중국에서 수입되어 토착화한 여우 요괴라면 여우불을 피우고 여우비를 내리는 토속적인 여우에 대한 여러 믿음도 꽤 오래전부터 전해져 온다고 한다.
- 여우불: 오키나와를 제외한 일본 전역의 도깨비불에 대한 믿음으로 여우들이 뼈를 부싯돌 삼아 피운다고 전해진다. 한국에도 봄 불은 여우불이라는 속담이 있다.
- 여우비: 한국에도 있는 단어로 흔히 해가 뜬 상태로 잠깐 지나가는 소나기를 의미한다. 일본에는 요호와 관련해 산 기슭에 사는 여우들이 자신들이 이동하는걸 눈치채지 못하게 하기 위해 지나가는 길에 비를 뿌린다는 설이 있다.
- 야마구치 유다온천의 여우: 800년 전 상처입은 백여우가 상처를 치료하는 것을 보고 한 승려가 땅을 파보니 온천이 터졌다는 전설.[18]
이밖에 다른 특성은 아래와 같다.
- 쌀, 농업, 번영과 성공의 신으로 이나리 오미카미(稲荷大神), 이나리님(お稲荷様 오이나리사마), 이나리신(稲荷神)으로 불리운다.
- 대장장이의 수호자이자 광대나 게이샤와도 연관이 있다고 하며 특히 상인과 직인(職工: 주로 수공업자를 의미) 계층이 숭배한다.
- 신도전설에 따르면 폭풍의 신 스사노오의 아들 우카노미타마노카미(宇迦之御魂神)와 동일시 하기도 하며 어떤 신사에서는 식량의 여신인 우케모치노카미[保食神]와 연관짓기도 한다.
- 이나리는 장발을 늘어뜨리고 벼이삭을 손에 든 여성의 모습, 흰 여우의 등에 탄 남성의 모습 등 남성과 여성을 오가며 다양한 형태로 묘사된다.
- 자줏빛 건물과 연속된 토리이(鳥居: 기둥문), 호슈노타마(寶珠の玉: 여의주)를 상징으로 하는 이나리 신사 중 가장 유명한 것이 후시미이나리타이샤다. 이 신사에 소원을 이뤄주는 돌 장식이 있다고 하니 이게 호슈노타마로 보인다.
- 여우는 이나리의 사자로 여겨지며 자비심과 사악함을 동시에 가진 이중적인 동물로, 자료에 따라 여우 그 자체가 신체(神體)로 여겨진다는 내용도 있다.
- 유부를 좋아하는 여우 하면 이 이나리의 여우를 의미한다. 공물로 유부와 함께 바쳐지는 유부초밥이 일본어로 "이나리즈시"이다.[19]
- 다키니 여신: 본래 인간의 심장을 먹는 식인귀였지만 대흑천에게 제압된 뒤 불교에 귀의하여 곧 죽을 인간의 심장을 먹게 되었다. 명이 다 한 사람을 6개월 전 예지력으로 알아보고 그의 심장을 가짜와 교체해 진짜를 먹는 것이다. 그리고 남은 6개월 뒤 가짜심장이 깨질때 까지 그를 보호하고 따른다. 티벳 밀교에서는 칼리의 종속신으로 보며 탄트라를 전수해 주고 수행자들을 수호하는 여신으로 여겨진다.
- 도지니천 : 힌두교 전승에 맞춰 사후 심장을 바친다는 조건으로 소원을 들어준다고 한다. 일본에는 표범을 타고 하늘을 나는 여신으로 전해져 표범 대신 흰 여우를 타고 다니게 되었으며 오른손에 검을, 왼손에 여의보주를 든 호법신으로 숭배 받는다. 여우를 타고다닌다는 공통점으로 인해 이 도지니천과 이나리신을 동일시 하기도 한다.
- 야칸(野干) : 불교 경전에 종종 '야간(野干)'이라는 짐승이 나온다.
- 어떤 자료에는 여우, 이리와 더불어 시체를 뜯어먹는 흉물스런 요괴의 일종으로 해석한다.
- 다른 자료에서는 규환지옥(大叫喚地獄])에서도 성인(聖人)을 비방하면 사후에 떨어진다는 야간후(野干吼)에서 죄인을 고문하는 야차 처럼 묘사된다. 여기의 야간은 쇠주둥이에 불꽃 이빨을 지녀 죄인의 여러 부위를 먹어치운다.
- 일본의 메이지 시대에 이 야칸이 사실 산스크리트어 스리가라의 음차라는 학설이 발표되었다고 한다. 시츠카라(悉伽羅)로 음역되기도 한다.
- 스리가라(शृगाल: śṛgāla)는 인도의 자칼을 뜻하며 중국 문헌에도 야간을 "여우와 닮았고 몸집은 그보다 작으며 떼를 지어 다니거나 우는 것은 늑대와 비슷하다.", "몸집이 작고 꼬리는 크며 자주 나무에 오르는데 여우와 비슷하다.", "호견이다. 여우와 닮았고 검으며 자주 범과 표범을 먹어 사냥꾼이 두려워 한다."라 적혀 있음을 근거로 든다.[20]
- 이 스리가라가 중국에 불경으로 들어오면서 담비나 승냥이, 특히 여우로 혼동되어 일본으로까지 전해졌다는 것이 이 학설의 요지. 이 자료에 의하면 자칼은 인도에서 시체와 공물을 약탈하는 불길한 동물로 힌두교의 파괴와 유혈 여신 칼리와 병마와 죽음의 여신 차문다 등, 시체를 버리는 숲을 관장하는 신의 상징이 되었으며 인도 불교에서도 염마칠모천의 권속으로 여겨졌다고 한다. 이것이 일본에 야칸으로 전해져 불교 시대 여우의 이명이나 여우요괴를 뜻하는 단어가 되었다는 것.
- 또한 헤이안 시대 초기의 불교설화집 일본영이기(日本霊異記)에도 야칸이 나오는데 인간 여자로 변해 인간 남자와 결혼하고 아이도 생겼지만 정체를 들켰을 때 남편에게 "와서 자라(来つ寝よ, 키츠네요)"라는 말을 들어 야칸을 여우로 부르게 되었다는 유래담도 존재한다.
- 한국의 자료에는 야간을 실가라(悉伽羅)라고도 하며 여우의 일종, 사자(獅子)의 대칭이 되는 내용으로 주로 쓰이는 동물로서 수행이 아직 성숙하지 않아 망령스럽게 진리를 말하는 경우에 비유로 설명한다. 혹은 야우(野牛)로 쓰기도했던 듯.
- 링크의 도지니천 자료처럼 이 야칸을 표범으로 보기도 하는 등, 일본내에서도 여러 이설이 존재하는 듯 하며 현재의 야칸은 이미 오래전 여우 정령의 이명으로 정착된 모양이다.[21]
신의 사자가 아닌 요괴로서의 일본 여우에 대한 분석은 이렇다.
- 첫 번째는 여우가 여성으로 둔갑하여 남자와 결혼하는 인수혼인담 유형 : 위에 나온 한국의"서낭고개 전설"이 연상된다.
- 두 번째는 여우가 남성으로 둔갑하는 경우 : 역시 이 유형도 한국 전승에 몇 소개 되었다.
- 세 번째는 여우가 도력이나 영력으로 인간을 돕는 경우 : 한국의 여우구슬과 비슷하지만 그보다는 "팔백이와 여우", "공 갚은 여우", "원광법사와 삼기산신"의 경우에 더 부합한다.
- 네 번째로는 여우가 사람에게 빙의된 경우로 이때 빙의는 인간에 의해 고쳐짐 : 한국의 경우 "여우누이"와 "혼쥐가 들려 여우가 된 여자"에서 나오는 형태이다. 일본에서는 이런식으로 빙의돼 홀린 증상을 "키츠네츠키"(きつねつき: 여우에게 홀린 정신병. 혹은 정신병자)라 부르며 무척 심각하고 고치기 힘든 병으로 여겼다고 한다. 키츠네는 여우를 의미한다.
- 아주 드물게 일본에도 "여우구슬"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 콘쟈쿠모노가타리슈우(今昔物語集) 27권 제40화 「狐託人被取玉乞返報語」를 보면, 구슬을 빼앗긴 여우가 인간을 보호해주는 내용이 있다고 링크된 논문 각주에 소개된다. 위에 언급된 호슈노타마(寶珠の玉: 여의주)와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방탕한 요시후리가 요염한 여우에게 홀려 사라지자 그가 죽은 줄로 안 가족들이 관음보살상을 만들고 경문을 읽는다. 그러자 관음보살의 은덕으로 요시후리가 비록 새까맣게 야위고 얼이 빠진 상태로나마 여우굴을 빠져나와 가족들과 재회한다.
- 어느 집에 진짜 부인과 똑같이 생긴 가짜 부인이 함께 들어오자 남편이 이를 구별해 내어 여우가 변한 가짜를 내쫒는다.
- 아이가 심하게 울어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보니 똑같이 생긴 유모 둘이 아이를 잡아당기며 다투고 있었다. 아버지가 칼을 들고 덤비니 한쪽이 여우로 변해 악취[22] 나는 오줌을 뿌리고 달아났다.
- 아이도 낳고 잘 살던 부부가 개로 인해 부인의 정체가 여우임이 발각나 떠나게 된다. 그러나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인간 남편과 여우 부인은 다시 합치진 못해도 가끔 만남으로서 관계를 유지해 나간다. - 일본영이기(日本霊異記)
- 위와 비슷한 이야기로 어느 암여우가 한 남자에게 반해 여인이 되어 그와 부부의 연을 맺고 아들까지 얻게 된다. 그러나 아들이 3살 되던 해 선물받은 개로 인해 정체를 들켜 더이상 집에 머물 수 없었던 여우는 혼자 고향으로 돌아가 비구승이 된다. - 코와타키츠네(木幡狐)
- 아름다운 여인으로 변한 여우가 어느 무사와의 하룻밤 사랑을 잊지 못해 무사 대신 목숨을 내놓게 된다. 그리고 무사는 7일마다 법화경 한 부를 절에 공양했고 그 덕에 여우는 극락왕생한다. - 금석물어집(今昔物語集)
- 어떤 남자가 우연히 하얀 여우 한 마리를 돕게 된다. 이 여우는 쿠즈노하라는 여인으로 화해 남자와 결혼하여 아들을 낳은 뒤 정체를 밝히고 떠난다. 여우는 떠나기 전 강한 주술력을 아이에게 물려주는데 이 아이가 바로 일본의 전설적인 음양사 아베노 세이메이이다.
4. 구미호가 등장한 작품
분류 참고.
4.1. 만화
※요호가 아닌 구미호인 경우만 서술.
4.2. 드라마
- 전설의 고향 (1977~1989/1996~1999/2008~2009, KBS 2TV)
- 천년호 (1978, TBC)
- 구미호 외전 (2004, KBS 2TV)
- 구미호 여우누이뎐 (2010, KBS 2TV)
-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2010, SBS)
- 삼생삼세 십리도화 (2017)
- 천 번째 남자 (2012, MBC)
- 구가의 서 (2013, MBC)[23]
- 구미호뎐 (2020, tvN)
- 러브크래프트 컨트리(2020, HBO) [24]
4.3. 영화
4.4. 애니메이션
- 천년여우 여우비 (2007)
- 러브, 데스 + 로봇 중 '굿 헌팅' 편.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 두 번째 이야기 중 7화
5. 구미호를 모티브로 한, 또는 구미호인 캐릭터
- 가챠 월드 - Kitsune Mitsuko
- WDZY - 청이
- 간 떨어지는 동거 - 신우여
- 갓 오브 하이스쿨 - 박일표, 호조사 본인
- 개와 공주 - 노세현
- 경계의 저편 - 신도 아야카
- 고스트 스위퍼 - 타마모
- 구가의 서 - 구월령[28] , 최강치[29]
- 구미호뎐 - 이연, 이랑[30]
- 구미호 여우누이뎐 - 구산댁, 연이
- 구미호 외전 - 시연, 무영, 채이, 사준, 랑 등 구미호 일족 다수.
- 귀도호가록 - 미선
- 귀전구담 - 구미호
- 꼬리를 찾아줘! - 박월화[31]
- 나루토 - 쿠라마
- 나의 그녀는 구미호 - 소주아
- 난약 - 소호[32] , 진랑[33]
- 남코X캡콤 - 샤오무
-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 - 박선주[34]
- 노베나 디아볼로스 - 한세희
- 누라리횬의 손자 - 하고로모기츠네
- 다함께 던전왕 - 호조사 소리, 해변의 소리, 여우선인 누리
- 던전앤파이터 - 구속된 케프로스, 은빛의 하르바트
- 도사랜드 - 빼길[35]
- 동방프로젝트 - 야쿠모 란
- 동방외요전 - 미호
- 둥굴레차! - 미호
- 데블파이터 - 닷키[36]
- 디지몬 시리즈 - 구미호몬, 에레키몬, 라센몬 격앙 모드
- 라스트 오리진 - T-14 미호, 천향의 히루메
- 란스 시리즈 - 오마치
- 러브슬립 - 구미호
- 로스트사가 - 구미호(로스트사가)
- 록맨 제로3 - 큐비트 폭스타
- 록맨 X 커맨드 미션 - 나인 테일즈
- 라이브온 카드리버 - QB
- 리그 오브 레전드 - 아리
- 마블 코믹스 - 화이트 폭스
- 머털도사 - 구미호
- 명일방주 - 스즈란
- 메이플스토리 - NPC 구미호 = 몬스터 구미호[37] = 낯 익은 처녀[38] → 요미
- 몬스터길들이기 - 미나 계열 몬스터들
- 몬스☆패닉 - 유주
- 몬스터 프린세스의 수월
- 무쌍 오로치 2 - 구미호
- 미호이야기 - 여우도깨비[39]
- 벽람항로 - 아카기, 카가, 아마기, 나가토[40] , 시나노
- 밴티지 마스터 재팬 - 유키나고[41]
- 사쿠라 던전 - 구미호
- 삼생삼세 십리도화 - 백천, 백진, 백지, 백혁, 백현, 백봉구[42] 등 청구 호족 일가
- 서머너즈 워 : 천공의 아레나 - 시화, 소하, 아랑, 샤미에, 카미야[43]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 소녀가배창, 걸카페건 - 노라 문[44]
- 슈퍼 시크릿 - 남재연
- 살인마vs이웃 - 여우진
- 신 구미호 - 구미호(신 구미호), 키츠네
-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 두 번째 이야기 - 구미호
- 비탄의 아리아 - 타마모
- 아틀레냐 - 예주
- 원피스(만화) - 카타리나 데본 동물계 개개 열매 환수종 모델 구미호.
- 언리쉬드 - 하은[45]
- 여우자매 - 류석주, 온희, 류월, 류화
- 영원한 7일의 도시 - 세이샤쿠
- 왜란종결자 - 호유화
- 엘소드 - 은, 미호, 호야를 비롯한 펫들
- 오오카미 - 구미호
- 요괴소년 호야 - 하쿠멘노모노
- 요괴워치 - 불가사의족의 큐우비[46][47]
- 울트라맨 타로 - 여우불괴수 미에곤
-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 - 타마모히메
- 월드 오브 다크니스 - 헨게요카이
- 유유백서 - 쿠라마
- 은비가 내리는 나라 - 몽룡이[48]
- 음양사 - 타마모
- 이누x보쿠 SS - 미케츠카미 소시[49]
- 지옥선생 누베 - 타마모 쿄스케
- 전설의 고향 - 역대 구미호
- 제 무덤파는 여우 - 하나린
- 천년구미호 - 반야[50] , 목영 등 호족들 다수
- 천년여우 여우비 - 여우비[51]
- 텔레몬스터 - 여시[52]
- 트레져헌터 - 이선생
- 카노콘 - 타마모
- 카쿠리요의 여관밥 - 긴지
- 코이히메 - 타마모
- 코믹 메이플스토리 - 뚱스턴[53]
- 코즈믹 브레이크 - 하쿠멘 스쿠너[54]
- 쿠키런, 쿠키런 오븐브레이크, 쿠키워즈, 쿠키런: 킹덤 - 구미호맛 쿠키
- 크루세이더 퀘스트 - 여우동
- 펜타스톰 - 미호
- 포켓몬스터 - 식스테일, 나인테일
- 하이스쿨 D×D - 쿠노우, 야사카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구미호
- 하이퍼유니버스 - 한
- 한국민속촌 - 백미호, 흑미호
- 헌티드 스쿨 시리즈 - 창량
- 호랑이형님 - 미호, 시호
- 흡혈고딩 피만두 - 구미오와 그의 가족들
- Fate/EXTRA - 캐스터(Fate/EXTRA)/주인공
- Mystery Skulls Animated - 미스테리[55]
- SCP 재단 - SCP-953, 기동특무부대 "구미호"
- 얼티밋 스쿨 - 구미호
- 요괴대전 - 구미나, 구호영
또한 고스트 스위퍼에서는 "아베노 세이메이의 할머니가 되었다."는 전승을 차용하여 구미호를 마족으로 바꾸고 전체 이야기의 키 포인트로 만들어 버렸다. 그 외에 타마모(한국명 수초)라는 다른 구미호도 나온다.
트레져헌터에서는 한 사이비 종교의 여인이 등장한다. 신도들은 대부분이 아줌마나 할머니라 불리는 평범한 이들이었는데, 가족은 그들을 집안의 부속품 정도로 여기며 무시했다. 그러나 여인은 그들의 마음에 화답하고 소통하며 사랑을 보여주었으므로, 그들 스스로 굴복해 신도가 되었다. 여인은 "세상에 지쳐 주저앉은 모든 자들에게 계속 누워 있어도 좋다고 말할 수 있는, 조건도 한계도 없는 사랑을 나누어 주겠다."고 역설했지만, 듣던 이는 "쓰러진 자에게 다시 일어나서 걷자고 말할 줄 아는 것. 그리고 걷다 다시 실패하고 또 극복하고 다시 함께 나아가게 하는 게 사람 사이의 사랑이다. 상처입은 자에게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계속 누워 쉬라고 말하는 것은 사랑이 아닌 기만이다. 제자리에 누워 사랑만을 받는 것은 죽은 자가 하는 짓이다."라고 반박했다. 여기서 여인의 정체가 밝혀진다. 신도들을 죽은 자로 만들어 믿음의 힘을 빨아먹는 구미호, 그것이 바로 그녀의 본질이었던 것이다.
옛날 고전소설이나 설화에선 거의 사악한 요괴나 악귀로 취급했지만 요즘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선 그저 인간으로 변해 주인공을 유혹하거나 또는 주인공에게 성희롱 당하는 개그 캐릭터 혹은 색기담당 캐릭터 내지는 정말 신화 속 요괴에 걸맞게 강력한 존재로 묘사하며 주인공을 돕거나 아내가 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56] 관련 클리셰로는 인간이 되고 싶어가 있다.
두치와 뿌꾸에서는 마빈박사 가 이 녀석까지 부하로 만들려 한국에 왔다가 항아리를 잃어버리는 바람에 망했다.
현대판 구미호(2007)로 불리는 사례가 대한민국에 있다. 요약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