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크라이튼

 

'''Michael Crichton'''
[image]
'''본명'''
존 마이클 크라이튼 (John Michael Crichton)[1]
'''국적'''
미국 [image]
'''출생'''
1942년 10월 23일, 미국 일리노이 시카고
'''사망'''
2008년 11월 4일 (66세),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학력'''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 의학대학원
'''직업'''
과학소설가, 영화 프로듀서
''''''
206cm
'''배우자'''
조안 래덤 (1965~1970)
케이시 새인트존스 (1978~1980)
수잔 차일즈 (1981~1983)
앤마리 마틴(1987~2003)
세리 알렉산더(2005~2008)
'''자녀'''
2
'''서명'''
[image]
1. 소개
2. 주요 출간작
3. 영화화된 소설


1. 소개


미국소설가. 크라이튼의 작품들은 전세계 30여개 국가에서 번역되어 총 2억 권 이상 팔렸다고 한다. 대표작이라면 단언코 쥬라기 공원이 유명하다.[2] 한국에서도 쥬라기 공원이 당시 김영사에서 정식계약으로 내서 100만부가 넘게 팔리며 이름이 알려지고 영화가 개봉하자 인기에 힘입어 해적판으로 그의 소설들이 마구 번역되기도 했다.
시카고에서 태어나 뉴욕에서 자랐다. 학력이 특이한데, 처음에는 작가가 되려고 하버드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으나 작가가 되는 데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하여 인류학으로 전공을 바꾼 뒤, 최우수(summa cum laude) 졸업하였다. 이후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객원 강사로 일하며 습작을 하다가 전업 작가로 살게 되면 대다수의 작가들처럼 저작료만으로는 생활고에 시달릴 것이라는 점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차라리 의사로 살면서 부업으로 글을 쓸까 하여 다시 하버드로 돌아가서 하버드 메디컬 스쿨을 졸업했다. 하지만 의학은 상상력이 부족한 분야라며 의사가 되는 것을 포기하고 결국 마음을 잡고 전업 작가가 되었다고 한다.[3]
영화 연출에도 꽤 재능이 있어서 쥬라기 공원 소설 설정과 비슷한 웨스트월드(Westworld, 1973, 국내제목:이색지대) 원작 겸 감독까지 맡아 흥행과 비평에 성공했다.[4] 이색지대는 터미네이터 1편에 엄청난 영향을 준 것으로 유명하다.[5] 또한 의사이자 의학스릴러의 거장인 로빈 쿡의 첫번째 장편소설 코마(Coma)를 감독하여 비평가들로부터 호평과 함께 꽤나 좋은 성적으로 흥행을 맛보기도 했다.[6] 그러나, 정작 크라이튼 자신이 쓴 소설을 원작으로 감독한 《런 어웨이》(1984)가 바로 터미네이터1과 대결하여 흥행에 참패하면서 1999년에 자신의 소설 <시체를 먹는 사람들>을 원작으로 하는 13번째 전사를 공동 감독한 것(이것도 쫄딱 망했지만...)을 제외하면 작가일에 전념하였다. 그래도 영화 제작자로 참여하거나 드라마 ER, 영화 트위스터의 원작 및 감수로 이름을 떨쳤다.
외모 면에서 주목받는 작가이기도 했다. 미국 잡지 피플이 선정한 세계 50대 미남 미녀 목록에 오르기도 했을 정도로 동안이었고 키는 2m가 넘었다.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과학소설가로 높은 평가를 받는 사람은 아니다. 마이클 크라이튼은 애당초 SF소설가가 아니라 '''과학을 소재로 한 대중소설을 쓰는 작가'''이다. 당시 신문기사에 과학자들에게는 "지나치게 과학 이론을 단순화하고 비약이 심하다."는 비판을 받는다는 이야기가 실린 적이 있다. 예전에 과학소설 동호회에 처음 가입한 사람이 크라이튼 얘기를 꺼냈다가 반응이 없어서 상처받았다는 에피소드가 왕왕 있었다. 이렇게 클라이튼을 배척하는 분위기는 무슨 부심 때문이 아니라, 실제로 클라이튼의 소설들은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그만큼 얄팍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최신 이론을 신속하게 도입하는 게 장점이면서,[7] 제대로 이해 및 검증되지 않은 이론을 도입하는 오류를 저지르기도 한다. 하드한 SF를 쓰던 선배격 작가들이 이런 것에 엄격했던 것을 생각해 보면...
늘그막에는 지구 온난화음모론이라며 이를 까는 '공포의 제국(State of Fear)'을 쓰면서 미국 환경보호단체들로부터 비난을 듣기도 했다.# <공포의 제국> 에서 <지은이의 말> 쪽을 본다면 지구의 온도가 섭씨 0.812436도 쯤 '''상승할 것이라고''' 말을 하였고, 또한 무엇보다도 '''현재의 온난화 추세에서 얼마만큼이 자연적 현상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라고 썼기에 지구 온난화를 완전히 부정하는 게 아니라는 변호도 있지만, 이런 어법은 온난화 음모론자들의 화법이기도 해서 면죄부를 주는 것도 어렵다. 이 책의 주제는 지구온난화가 아닌, 잘못되고 검증되지 못한 정보들이 사람들을 선동할 수 있다는 것에 더욱 초점이 맞추어져 있긴 하지만, 당연히 그런 일반론을 모르는 사람은 없는 법이다. 구체적 사례를 주제로 삼는 책이라는 점에서 이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크라이튼은 과학 뿐만 아니라 역사, 사회적 변화에도 눈을돌려 작품들을 쓰기도 했는데 직장내 여성 상사에 의한 성추행을 다룬 폭로라던가, 일본 자본주의의 미국 잠식과 야쿠자등의 활동을 다룬 작품 떠오르는 태양, 바이킹의 이야기를 다룬 13번째 전사[8], 유작인 해적의 시대등이 대표적이다.
크라이튼이 과학적 검증등에서 욕을 먹고는 있으나 그의 상상력만은 상당히 뛰어났고 글이 얼마나 재미있는지는 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드라마만 봐도 알 수 있다. 총 10편이 영화 또는 드라마로 제작 되며 헐리웃에서 자주 러브콜을 받는 작가이기도 하다.
조지 클루니 주연 영화 중에 '마이클 클레이튼'이라는 영화가 있는데 어 마이클 크라이튼 전기영화인가? 생각하기 쉽지만 이 영화는 'Michael Clayton'으로 그냥 상관없는 영화다(…).
결혼을 무려 5번이나 했다.
2008년 암으로 별세했다. 사후에도 인기는 여전해서 컴퓨터에서 나온 미완작 해적의 시대가 이듬해인 2009년 발매가 되었고, 크라이튼의 헐리웃 대표 덕후 스티븐 스필버그는 이 작품의 판권을 사서 영화화를 기획하고 있다.[9] 이어서 마이크로가 2011년도에 발매가 되었다. 그리고 2017년도 5월에 또 다른 소설이 발간이 되었다. 바로 쥬라기 공원프리퀄처럼 보이는 작품 Dragon Teeth인데 1876년에서 1892년까지 공룡뼈를 둘러싸고 미국에서 실제 있었던 역사적 사건 뼈 전쟁(공룡 화석 전쟁)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사후에도 3편이나 장편소설이 나오다니 앞으로 얼마나 더 있는지 궁금할 정도다.)[10]

2. 주요 출간작



3. 영화화된 소설


  • 안드로메다 스트레인 (1971), (2008)
  • 터미널 맨 (1974)
  • 웨스트월드 (1973) - 후속작 퓨처월드 (1976) - TV 시리즈 (2016~)
  • 대열차강도 (1978)
  • 시체를 먹는 사람들/13번째 전사 (1999)
  • 콩고 (1995)
  • 스피어 (1998)
  • 쥬라기 공원 (1993) - 잃어버린 세계 (1997) - 후속작들 (2001), (2015), (2018)
  • 떠오르는 태양 (1993)
  • 폭로 (1994)
  • 타임라인 (2003)


[1] Crichton은 발음상으로는 크릭튼 정도가 맞겠지만, 작가가 특별히 크라이튼이라고 불러달라고 했다고 한다. frighten(놀라게 만들다)과 발음을 맞추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남들을 놀라게 하는 소설을 쓰는 작가다운 에피소드. 여담인데 쥬라기 공원이 김영사에서 나오던 1991년 당시 이름은 마이클 크리튼으로 번역해 홍보했다.[2] 소설 자체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 작품이지만 스티븐 스필버그가 감독한 영화판은 영화사에 있어 스필버그의 대표작 중 하나이자 CG그래픽의 역사를 새로 썼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3] 이후 마이클 크라이튼은 의대 시절의 경험을 살려서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 ER의 제작과 각본을 담당했다. 기시 유스케검은 집을 집필했을 때 이전 보험회사에서 일하던 경험이 도움이 되었다는 사례도 그렇고 역시 모든 경험은 작가에게 있어서 소재와 밑거름이 된다.[4] 참고로 이색지대 원작은 델로스라는 제목으로 국내에도 번역,출판되었다.[5] 무표정한 터미네이터의 연기와 터미네이터가 보는 사람 이미지라든지 상당수 장면을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터미네이터1에서 그대로 써먹었다.[6] 당시 5천만불의 수익을 내었고 이는 현재 가치로 1억 8천 5백만불의 가치를 지닌다. 또한 로튼 토마토지수 79%를 받으며 비평가들로부터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7] 대표적으로 쥬라기 공원. 모기의 피에서 DNA를 가지고 온다는 등의 설정은 신박하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가능성이 없으며, 나비효과를 등장시켜 소설을 이끌어나가는 것은 쿨해 보이기는 하지만 카오스 이론에 대한 몰이해 또한 포함하고 있다.[8] 원제는 '시체를 먹는 자들'이다.[9] 다만 드림웍스와 함께 진행중이었는데 쥬라기 월드영화가 대박나면서 이 프로젝트가 밀리고있는 상황이다.[10]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유작은 보통 작가의 소재 노트에 적은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쓰기도 하는 등 고스트 라이터가 작가의 필력을 흉내내서 미완인 부분을 채워 넣고는 한다. 뼈대를 완성시킨 후에 마무리가 안 된 걸 채워 넣는 정도라면 그나마 용인되는 경우겠지만, 상업적인 목적으로 컨셉 노트에 적어둔 메모들을 바탕으로 2편 3편 하는 식으로 아예 새 소설을 써버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