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image]

다국어 표기
영어
Busan Int'l Finance Center·
Busan Bank
한자
國際金融센터·
釜山銀行
중국어
釜山国际金融中心·
釜山银行
일본어
釜山国際金融センター·
釜山銀行
주소
부산광역시 남구 전포대로 지하 97 (문현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2호선
전포관리역 소속
제2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2호선

개업일
2호선
2001년 8월 8일
역사 구조
지하 2층(심도: 12.89m)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國際金融센터·釜山銀行驛 /
Busan International Finance Center·Busan Bank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명칭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6. 승강장
7. 요금
8. 연계 교통

[clearfix]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17번. 부산광역시 남구 전포대로 지하 97 (문현동) 소재.
역에 비치된 휴메트로 스탬프의 배경은 문현금융단지이다. 다만 스탬프는 문전역 시절에 만들었기 때문에 개칭 이전 이름 문전역으로 새겨져 있다.

2. 역 정보


2014년 12월 12일안전문 설치가 완료되었다.

3. 명칭


2014년 11월 5일까지 현동포동에서 한자씩 딴 문전역(門田驛)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1] 워낙 이름이 길어 아직도 문전역이란 이름을 많이 사용한다.
이렇게 앞글자를 따서 급조한 별다른 의미도 없는 역명이라고 지역 주민들에게도 까이기도 하였고 역 주변에 조성되고 있는 문현금융단지로 역명을 바꾸자는 여론이 일고 있었다. 관련 기사 일단 부산교통공사는 행정적 혼란 및 다른 지역의 잇따른 역명 변경 요구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하고 있었다.[2]
그러나 2014년 4월 부산교통공사는 역명심의위원회를 열어, 부전역의 부역명 선정과 함께 역명 변경을 심의하기로 결정했다. 문현금융단지, 국제금융센터,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등의 이름이 새 역명 후보로 나왔다. 기사링크
2014년 11월 6일에 해당 역의 이름이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으로 바뀌게 된다는 부산교통공사의 발표가 있었다. 보도자료 따라서 대구은행역에 이어 국내 철도역 중 상업 은행명을 사용하는 2번째 역이자, 서울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9글자를 넘어서는 10글자의 역명을 가진 국내 철도역 중 가장 긴 이름의 역이 되었다.[3][4]
2014년 11월 6일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최종 확정하였으며, 노선도의 역명과 안내판 등을 빠른 시일 내에 교체할 것을 밝혔다. # 한 달쯤 지난 2014년 12월 5일 기준 역명판이 갱신되었다.
[image]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역명판. 현재는 새로운 양식으로 바뀌었다.

해당 안내방송은 왼쪽 출입문 안내가 '내리실 문은 왼쪽입니다.'으로 수도권 전철 안내방송과 동일하게 바뀌었다.
한편 2009년부터 시행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을 이용하여 운영 수익을 거둘 수 있는데도 본역명에 부산은행을 포함시킨 것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에 부산교통공사부산은행을 본역명에 넣은 것은 지역 공헌을 감안하여 결정한 것으로 역명을 바꾸는 비용은 부산은행에서 부담한다고 해명하였다. 하지만 부산교통공사 노조는 역명 사용료를 받지 않은 채 간판 교체 비용만 받는 것은 특혜라고 주장하고 있으며,링크 2014년 12월 26일에는 부산광역시의 어떤 시민단체가 이러한 이유로 부산교통공사를 배임 혐위로 검찰에 고발하는 일도 벌어져 논란의 불씨는 꺼지지 않고 있다. #[5]
한국어 역명과 달리 영어, 일본어, 중국어 표기 역명에는 국제금융센터 앞에 '부산(Busan, 釜山)'을 추가로 붙인다. 사실 어원을 따져보면 한국어 역명도 '부산'을 붙이는 쪽이 정확하다고 할 수 있는데 만약 그랬다면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이름 역 기록은 더욱 견고해졌을 듯(...) 비슷하게 한국어 역명은 일반명사, 외국어 역명은 풀네임으로 지은 사례로 공항역, 박물관역, 교대역(서울, 부산 모두)이 있다. 시청역(전국을 통틀어)이 포함되지 않는 이유는 시청역은 영어 명칭도 그냥 City Hall, 즉 지역명 추가 없이 보통명사를 썼기 때문이다.
여담으로, 영문 역명의 글자수는 40자로, 세계에서 가장 긴 역명을 가진 흘란바이르푸흘귄기흘고게러훠른드로부흘흘란더실리오고고고흐(llanfairpwllgwyngyllgogerychwyrndrobwllllantysiliogogogoch)(...)역[6]18자 차이이다.
[image]
차내 LED에서는 이러한 방식으로 역명을 표출한다.
원래 부산 2호선의 다른 역에서는 LED가 한 번에 한글과 영어 역명을 같이 표기하는데 반해,[7][8] 이 역은 역명이 너무 길어서 한글과 영어 역명을 번갈아가면서 표시한다.

4. 역 주변 정보


역 위로 동서고가로가 지나가기 때문에 섬식 승강장으로 지어졌으며 섬식 승강장 중에서 운전 취급을 할 수 없는 몇 안 되는 역이다.[9] 동서고가로로 인하여 승강장 폭이 좁은 편이다.
역세권이라고 할 만한 것이 이마트 문현점, 지오플레이스[10]를 제외하면 아무것도 없는데다가 시내버스 환승 여건도 상당히 열악해서 승객수가 안습을 달린다. 그러나 바로 옆에 문현금융단지가 조성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가 기대되는 역이다. 부산은행 신 사옥은 1번/3번 출구 근처로 이전하여 2014년 11월 4일에 준공식을 열었으며 바로 뒤에 부산국제금융센터가 있다. 대구은행역의 사례처럼 역명을 변경하는 게 확정되었으며, 부산은행 본점과의 지하 연결 통로가 역 출구 쪽으로 있는 부산은행 ATM 옆에 있다.

5. 일평균 이용객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미개통
자료없음
4,387명
4,991명
5,208명
5,095명
4,962명
4,746명
4,868명
4,915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5,041명
5,251명
5,319명
5,347명
5,784명
8,431명
8,743명
8,960명
9,220명
9,903명
2020년
8,160명
혁신도시가 개발되기 이전에는 도심과 가까운 역임에도 공기수송의 대명사로 이름을 날렸다. 2000년대까지는 무려 하루 평균 5,000명도 안 될 만큼 저조한 수요를 보였는데, 수치만 보면 부산 도심이 아닌 외곽 시골지역의 역이라 해도 믿을 수준이었다. 그러나 혁신도시 구역이 삽을 뜨기 시작하면서 점점 활기를 찾기 시작했는데, 2014년 8월 22일 한국거래소,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있는 부산국제금융센터 건물이 개장한 이래로 이용객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공교롭게도 역명이 바뀐 시기가 2014년 12월인지라, 이름이 바뀌면서 동시에 이용 승객이 늘었다. 그 뒤로 한국은행, 기술보증기금, 부산금융박물관로드가 속속 입주하면서 역세권이 활기를 뜨기 시작했지만, 역 위를 지나가는 동서고가로가 조망권을 심각하게 해쳐 역세권 환경이 크게 개선되지 못해 이용객이 극적으로 늘어나지는 않았다. 개장 전 5,000여 명 수준에서 개장 후 8,000여 명으로 약 3,000명 증가에 그쳤다. 혁신도시 개발이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황이라 향후 이용객이 더 증가할 여지가 충분히 있지만, 역세권 전체가 업무지구로 탈바꿈하지 않는 이상은 전 역인 전포역의 수요를 넘기도 쉽지 않아 보인다.

6. 승강장


[image]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image]
역 안내도
문현




전포

[image]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광안·수영·센텀시티·해운대·장산 방면

서면·사상·덕천·호포·양산 방면

7. 요금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
자갈치

서 면

온천장
2
벡스코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사 상
3
수 영

연 산

미 남
4
미 남

동 래

충렬사
동해[11]
부 전

벡스코

오시리아

8. 연계 교통



[1] 이와 같은 경우는 같은 노선의 모덕역(모라동+덕포동), 수도권 전철석계역(성북구 석관동+노원구 월계동), 대전 도시철도오룡역(오류동+용두동) 등이 있다. 석계역 쪽은 심지어 역사 구조물도 두 동네에 모두 걸쳐 있다.[2] 당시 동백역 인근 주민들 또한 동백역을 마린시티역으로 바꿔줄 것을 요구하였으나 문전역과 같은 이유로 반대하였다.[3] 2위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3위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김대중컨벤션센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경기도청북부청사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인천공항2터미널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 [4] 참고로 수성구민운동장역은 개통 이전에는 수성구민운동장입구역으로 개통될 예정이었다가 너무 길어서 입구라는 단어를 빼고 개통되었는데 만약 원래대로 개통되었다면 국내 철도역 긴 역 이름 공동 2위가 되었을 것이다.[5] 대구은행역엔 여태껏 아무 일도 없다.[6] 웨일스 아일오브앵글 소재[7] [image] 예를 들면 이런 식으로.[8]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역시 동일하다. 과거에는 부산대양산CA역으로 표출했고, 영문도 같이 나왔지만 어느날 현재와 같이 개정되었다.[9] 동서고가로를 건설할 당시에 지하철 구조물 건설을 병행했다고 한다.[10] 홈플러스 서면점, CGV 서면이 있다. 여담으로 지오플레이스 건물은 CGV와 홈플러스 빼고는 다 망한 상태(...). 거의 폐건물CGV만 들어서 있다. 개점휴업이 무엇인지 가보면 알 수 있다.[11]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