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42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아진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9.4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15년 2월 27일 도봉산 방향 운행시 서울성모병원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고속터미널로 진입하던 것을 반포힐스테이트아파트, 신반포역 경유로 바꾸며 센트럴 시티와 경부선터미널 가변차로 정류장에 정차하던 것을 중앙차로 정류장 정차로 변경 관련 공지사항
- 2016년 2월 11일부터 평일 운행횟수가 3회 증회되었다.관련 공문
- 2017년 12월 1일부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4회/3회/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로 인한 배차간격 변화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8년 10월 15일부터 평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또 늘어나면서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본래 5대 있던 단축운행차량 중 3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그대로 유지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10월 1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 1대가 단축운행차량으로 전환되고, 그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19년 12월 7일에 굴곡 노선 정리를 위해 방배동 방향도 서울성모병원교차로 대신 도봉산 방향처럼 신반포역을 경유하도록 하는 노선 조정안이 공개되었고, 안건이 확정되어 2020년 2월 1일에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관련 공지사항
- 2021년 2월 1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평일의 경우는 증편되고, 토요일/공휴일의 경우는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의 경우엔 1회 증회되었고,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6회/5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을 예정이다.관련 공문
4. 특징
- 일반버스 10대, 저상버스 30대를 투입해서 운행한다.
- 신사역은 도봉산 방면만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하며 방배동 방향은 신사역 5번출구와 맞닿아 있는 가로변 정류소에 선다. 바로 논현역에서 우회전하기 때문이다.[4]
- 논현역 - 서래마을 구간은 운행 방식이 다소 복잡했다. 방배동 방향은 고속터미널 경유시 사거리에서 좌회전하여 경부선 고속버스가 드나는 곳 근처의 정류소에 서므로 그런대로 무난하나, 도봉산 방향은 가변차로를 이용하여 센트럴시티 앞과 경부선 앞에 다 정차했다. 워낙 교통량이 많은 구간이어서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가 부지기수였고, 2015년 2월 27일 고속터미널 중앙차로 정류소에서 서게 되면서 이때부터 숨통이 조금은 트였다. 그리고 2020년 2월 1일부터 방배동 방향도 중앙차로 정류소에 정차한다.
- 수유역 및 길음역에서 신당역을 잇는 유일한 노선이며, 신당역 ~ 방배역 이동 시 2호선을 타고 돌아가지 않고 한번에 이동할 수 있는 노선이다. 하지만 신당역, 신사역 가변차로 일대가 엄청 밀린다.
- 공식 회차점은 방배동 래미안아트힐이지만 기사 분들은 그 다음 정류장인 경남임광아파트 정류소에서 정차 후 약 5~10분간의 휴식을 취한다. 아마도 임광아파트 정류소 쪽에 화장실이 있어서인듯.
- 1014번과 함께 보문역 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할 때, 좌회전 차로에 차가 많으면 직진차로를 사용하는 스킬을 볼 수 있었다. 결국 2018년 하반기에 직좌차로로 변경, 딱히 스킬이라고 할 수는 없게 되었다.
- 이 노선도 물갈이가 잦으면서 수요도 굉장히 많다. 도봉구 및 강북구~신당동, 용산구 한남동~고속터미널 수요와 서초구 구간의 경우 서울고, 상문고 학생들이 방배본동 통학 학생들도 주로 많이 이용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 [image] 수도권 전철 1호선: 도봉역, 방학역, 동묘앞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당역, 방배역[6]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약수역, 신사역, 고속터미널역
- [image] 수도권 전철 4호선: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청구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보문역, 창신역, 동묘앞역, 신당역, 청구역, 약수역, 버티고개역, 한강진역[7]
- [image]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반포역, 고속터미널역, 내방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신반포역
- [image]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입구역, 보문역
[1] 토요일 33대 / 공휴일 28대 운행[2] 개편 당시 구 1번의 공식 계승 노선은 1013번(정릉 - 동대문운동장)이었으나 수요 부족으로 폐선 후 다른 노선에 증차되었다.[3] 구 1번은 방배동 방향에 한해 창신역을 경유했으며(동망봉터널 개통 후 변경), 양방향 신반포로 - 방배로 직통이었다. 차이가 나는 부분은 창신역 양방향 경유와 서래마을 경유이다.[4] 강남역 방면 신사역 정류장이 타 노선은 신사역과 한참 먼데, 이 노선은 강남역 방향 한정으로 신사역 연계가 무난한 편이다.[5] 마을버스는 서초13번이 서래마을을 관통하며, 가장 가까운 정류장은 반포종합운동장 정류장이다.[6] 방배1동주민센터.방배아크로타워 하차[7] 서울중부기술교육원 블루스퀘어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