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역

 


'''청구역'''

방화 방면
동대문
역사문화공원

← 0.9 km
5호선
(537)

하남풍산·마천 방면
신금호
0.9 km →
응암순환
약 수
← 0.8 km
6호선
(634)

신내 방면
신 당
0.7 km →

'''다국어 표기'''
영어
Cheonggu
한자
靑丘
중국어
일본어
靑丘(チョング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청구로 지하 77 (신당동)
'''운영 기관'''
5호선

6호선
'''개업일'''
5호선
1996년 12월 30일
6호선
2000년 12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6호선)
지하 4층 (5호선)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5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6호선)
靑丘驛 / Cheonggu Station
1. 개요
2. 역명
3. 역 정보
3.1. 출입구의 변천
4. 역 주변 정보
5. 일평균 이용객
6. 승강장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5호선 537번. 서울 지하철 6호선 634번.[1]
서울특별시 중구 청구로 지하 77 (신당동) 소재.

2. 역명


1996년 12월 당시 5호선 개통 당시 역명은 광희문역이다. 그러나 광희문(남소문)이 정작 광희문역이 아닌 동대문운동장역과 가까운 것과 함께 광화문역과 혼동이 생길 수 있다는 이유로 서울 중구에서 역명 개정을 건의했고, 이듬해인 1997년중국에서 과거 한국을 지칭했던 용어이자 신당4동이 1955년~1970년까지 쓰던 행정동 이름인 청구(靑丘)[2]로 역명을 개정하였다. 신당4동은 2013년에 다시 청구동으로 행정동 명칭을 변경...아니, 43년만에 환원하였다. 김종필자유민주연합 총재가 이 곳에 거주했기 때문에[3], 김영삼의 '상도동계'나 김대중의 '동교동계'처럼 김종필을 따르던 정치 세력을 '청구동계'라 부르기도 하였다.
5호선 착공 공사 직후에는 역 앞에 바로 흥인초등학교가 있다는 이유로, '''흥인국교앞'''역이라고 명명된 적이 있었다. 당시 대한뉴스 자료
기업명 청구그룹과 한자가 같다.

3. 역 정보


[image]
역 안내도.
수도권 전철 5호선 승강장은 지하 4층, 서울 지하철 6호선 승강장은 지하 2층에 있다. 2기 지하철 환승을 염두에 두고 설계해서 그런지 개념환승 축에 끼는 역이다. 출근시간에 6호선에 사람이 굉장히 많이 몰리는데, 신당역과 이 역을 지나면 금세 출근시간에도 한산한 열차가 되는 걸 볼 수 있다. 그 외에 이따금 5호선 열차 내의 역 정보판이 오류를 일으켜서 청구역이 사라지는 상황도 있다. 그래서 신금호역에서 출발했는데 다음 역이 신금호역이고 언제부턴가 6호선과 환승이 가능해진 신금호역에 도착한다.
5, 6호선이 공덕역에서 만난 후 다시 한 번 이 역에서 만난다. 우연하게도 공덕역도 6호선이 윗층에 있는 구조다. 게다가 공덕역과의 정거장 수는 5호선, 6호선 둘 다 8정거장 차이나는 것도 똑같다. 소요시간도 양쪽 모두 15분이다.
통합설계를 하면서 맞이방을 6호선에만 두었다.
천호역과 마찬가지로 세븐일레븐이 GS25의 공세를 지켜내고 그 자리를 지키는 역이다.
참고로 6호선은 공덕역과 더불어 개찰구가 분리돼 있다. 그래서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려면 환승통로를 이용하면 된다.
6호선 승강장의 경우 천장이 매우 낮다. 보통 2기 지하철 역의 경우 1기보다 천장이 높은 편인데, 이 역은 평균적인 1기 역보다도 훨씬 더 낮은 편이다. 따라서 천장에 매달려있는 열차 도착안내 모니터 역시 다른 역보다 한층 더 작은 사이즈의 모니터를 사용한다.

3.1. 출입구의 변천


[image][image][image]
5호선이 개통했을 때에는 2개의 출구가 만들어져 있었는데 이 두 출구는 계단만 있었고 폭도 좁았다(편의상 구 1번, 구 2번이라 한다). 이후 6호선이 개통하면서 널찍하고 에스컬레이터 등이 완비된 출구 2개소(이쪽은 편의상 신 1번과 신 2번이라고 하자)를 새로이 만들었다. 그러다보니 일시적으로 1번 출구가 둘, 2번 출구가 둘이 있는 2001년 이전스러운 상황이 연출되었지만 여하튼 넘어가자. 그러면서 구 1번, 구 2번 출구는 폐쇄, 철거하려 했으나 이 중 구 2번 출구는 신 1번쪽에서 보면 다산로 건너편, 신 2번 쪽에서 보면 청구로 건너편이 되어 기존의 구 2번 출구 이용자는 횡단보도를 건너와야 하는 불편이 생기는 점을 감안하였는지 구 2번은 유지하는 것으로 바뀌어 구 2번이 현재의 2번 출구가 되고 신 2번 출구는 현재의 3번 출구가 되었다. 신 1번 출구가 바로 옆에 생긴 구 1번 출구는 얄짤없이 폐쇄되어 철거되었다.

4. 역 주변 정보


주택지구가 대부분이라 승객이 많은 편은 아니라서 출구도 3개 뿐이다. 이 중 일부 지구는 재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북쪽 신당역 방향으로 떡볶이타운이 있다. 사실 신당동 떡볶이 거리는 이 역과 신당역의 정확한 중간 지점에 위치해서 둘 중 어느 역에 내리든 도보 거리는 별 차이가 없다. 1번 출구로 나가야 가장 빨리 갈 수 있으니 떡볶이를 먹으러 가는 사람은 참고하자. 고양, 파주에서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신당동 떡볶이 타운으로 가는 경우, 효창공원앞역에서 6호선으로 환승하여 이 역에서 하차하는 것이 가장 편리하다.[4]

5. 일평균 이용객


청구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5호선'''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10,272명
7,537명
7,385명
7,701명
8,133명
8,510명
8,489명
8,318명
8,282명
7,786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7,865명
7,770명
8,010명
8,255명
9,780명
8,355명
7,844명
7,905명
7,891명
8,029명
2020년
'''6,254명'''
'''서울 지하철 6호선'''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 2000년~2009년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4,667명
5,658명
6,000명
6,326명
6,677명
6,994명
6,989명
6,912명
6,895명
6,865명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7,154명
7,235명
7,620명
7,717명
6,001명
7,417명
8,107명
7,905명
7,855명
7,889명
2020년
'''6,334명'''
  • 6호선의 2000년 자료는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총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청구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5,918'''명(2019년 기준)으로 서울 원도심(종로구, 중구)의 역들 중 버티고개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적다. 게다가 이곳은 환승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적은 승객 수가 더 두드러져 보인다.
청구역은 별도로 5호선 승객과 6호선 승객이 각각 측정되지 않고, 5호선 게이트는 6호선 신내 방면과 2번, 3번 출구를 이용하는 5호선 승객, 그리고 6호선 게이트는 6호선 응암방면, 1번 출구를 이용하는 5호선 승객이 이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두 노선의 승하차 인원은 거의 비슷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2014년도의 경우 1번 출구가 공사가 이뤄져 1번 출구 이용객이 2번 혹은 3번 출구를 이용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5호선 이용객이 모두 5호선 게이트로 승하차 한것으로 집계되어 통계상의 들쑥날쑥한 편차도 생기게 되는 것.
여담으로 2017년에는 5호선, 6호선 승객의 수가 똑같았다.

6. 승강장


청구역은 5호선 승강장이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6호선 승강장도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되었다.
두 노선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6.1. 수도권 전철 5호선


[image]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신금호

[image]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로3가·여의도·화곡·방화 방면

왕십리·군자·하남풍산·마천 방면

6.2. 서울 지하철 6호선


[image]
약수




신당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공덕·합정·응암 방면

동묘앞·석계·태릉입구·신내 방면
[1] 건설사는 제이알종합건설이다.[2] 청구동, 서울지명사전(네이버 지식백과)[3] 참고로 김종필이 살던 집은 약수역에서 더 가깝다. 해당 사저는 김종필이 사망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매각되었다고 한다. #[4] 홍대입구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하는 루트, 공덕역에서 5,6호선으로 환승하여 청구역으로 가는 루트는 환승 과정에서 환승인파가 많은데다 홍대입구역은 두말 할 것도 없는 막장환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