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버스 1005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엄밀히 말하면 서울면허의 (구) 1005번은 지금의 1005번과 '''번호 말고는 관계가 없다.''' 지금 1005번의 포지션을 따지자면, 동생이 형의 자리를 차지했다고도 볼 수도 있고, 아니면 90년대의 1005번과는 배다른 형제라고 볼 수도 있겠다. 하지만 김포 버스 1002, 하남 버스 9301(구 1007), 고양 버스 108(구 1008)[2] 과 함께 고급좌석버스의 역사를 함께한 노선이며 1005번은 서울 버스 9401, 광역급행버스 M4102의 지위에 해당하는 '''분당신도시 대표 좌석버스'''의 지위를 가졌던 노선이기도 하고, 직행좌석버스의 선구자 경기광주 버스 1005-1 탄생의 계기가 되기도 하는 등 여러 모로 상당히 중요한 노선이므로 여기서도 설명한다.
지금 1005번은 '''운행하는 게 신기한 노선'''으로 전락하고 말았지만 고급좌석버스(직행좌석버스, 광역버스)의 살아있는 역사라 봐도 될 정도로 매우 화려한 시절이 있었다.
3.1. 1기 1005번
- 과거 동성교통, 대진여객, 남성교통, 태진운수, 도원교통 5개 회사에서 수서역과 광화문을 잇는 고급좌석버스로 개통하였다. '대치역 - 강남역 - 고속터미널역 - 녹사평역' 구간을 거쳐 남산 3호터널을 지나 광화문을 찍고 서울역으로 가던 노선이었다. 현재 '고속터미널역 - 녹사평역 - 광화문 - 서울역' 구간은 401번과 9007번이 계승하고 있다.
- 이후 분당신도시로 연장되었고 1005-1번이 생기기 전까지 분당신도시를 대표하던 좌석버스 노선이었다. 당시 구간은 '오리역 - 정든마을 - 양지마을 - 효자촌 - 이매촌 - 아름마을 - 내곡고속화도로 - 강남역 - 고속터미널역 - 광화문'이었다. 이 시기는 1005-1번이 개통하기 전인 1990년대 중반 무렵의 일이다. 위의 사진은 샛별마을이며 그 당시만 해도 분당을 대표하는 좌석버스는 1005번이었다.[4] 원조 1005번이라 함은 대충 여기까지를 말한다. 천원짜리로 꽉 차서 돈통이 막힐 정도로 폭풍간지를 자랑하던 최고의 시절이었다.
- 그러나 1005-1번의 신설을 필두로 다른 노선들이 계속 나타나면서 1005번의 인기가 시들어지지다 2004년 2월에 폐선되었다. 폐선 당시 오리역에서 정자역을 거쳐 이매촌 이북으로는 같은 노선이었으며 2대로 1시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5] 또한 이대엽 당시 성남시장이 공약으로 야탑발 노선인 1005-2번을 분리신설하였다.
3.2. 2기 1005번
- 2007년 1월에 남성교통에서 운행하던 9400번(舊 1005-2)이 폐선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신설된 노선이다. 재개통 당시에는 9400번과 동일한 '테크노파크 - 목련마을 - 중탑동 - 장미마을 - 차병원 - 이매촌 - 아름마을 - 내곡동 - 양재역 - 강남역 - 고속터미널역 - 녹사평역 - 남산3호터널 - 명동 - 종로1가 - 광화문 - 서울역 - 숭례문' 구간이었다. 이때 시내부에 차출시킬 차량이 없어서 새로 출고한 시외부 소속 차량들을 1005번 스티킹만 붙이고서 운행하였다.
- 재개통된지 1주일 만에 1500-1번과 통합되면서 외대로 연장되었다. 이 당시의 1005번은 상당한 근성 노선이었으며 110km가 넘는 장거리를 운행하여 기사들의 피로도가 높은 편이었다. 더군다나 강남대로 경유가 아닌 고속터미널과 반포로를 경유하는 루트였기에 소요 시간은 더욱 길어졌다.
- 2007년 4월 16일부터 경부고속도로에서 분당내곡고속화도로 경유로 변경되었다.
- 1500번과의 중복문제가 맞물려 2008년 9월에 광화문광장 공사 시기에 맞춰 강북 구간이 단축되어 신사역까지만 다녔고, 2010년 4월 내곡고속화도로 경유에서 경부고속도로 경유로 바뀌면서 강남역을 루프식 회차하는 방식으로 노선이 변경되어 지금에 이른다. 어찌보면 과거 1500-1번이 다시 돌아왔다고도 할 수 있다.
- 2017년 10월 12일부터 '장지동 - 성원아파트 - 광남중.e-편한세상아파트 - 쌍용아파트 - 절골' 구간이 '장지동 - 왕성교회 - 태전힐스테이트5지구.태전고 - 쌍용아파트 - 절골'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7년 10월 20일부터 '장지동 - 왕성교회 - 태전힐스테이트5지구.태전고 - 쌍용아파트 - 절골' 구간이 '장지동 - 태전e-편한세상2차 - 태전힐스테이트5지구.태전고 - 쌍용아파트 - 절골'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7년 11월 29일부터 태전e-편한세상2차는 경유하지 않고, 성원아파트와 광지고를 순환하고 쌍용아파트에서 유턴하여 강남역으로 간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서울역까지 다니던 시절에는 나름 잘 나가던 노선인데, 도심 구간이 단축된 후부터는 수요를 뽑아내지 못하고 있다. 기점 지역이 대학교라 통학 수요가 있어야 정상인데 배차간격이 워낙 길어서 외대 학생들은 이 노선 대신 1500-2번을 타고 분당(판교역/서현역)이나 에버랜드에서 환승하는 등의 방법을 쓴다. (근데 1500-2번 에버랜드행을 타고 포곡이나 에버랜드에서 5002번을 환승하는 방법을 많이 추천하기도 한다. 이 방법으로 빠르면 외대에서 강남역까지 1시간 걸린다고 한다.) 그나마 양벌리나 태전동에서는 강남역으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라 수요가 없지는 않아서 계속 운행하고 있다.
- 경쟁 노선으로는 9408번이 있는데, 두 노선의 이동 방향이 달라 하나를 타려면 다른 하나를 무조건 포기해야 한다.[6] 따라서 야탑역에서 강남대로로 나가려면 9408번을 타는 것이 더 편하다.
- 2014년 7월에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 이후 9408번이 대왕판교로 경유 완행으로 변경됨에 따라 9408번의 장점은 많이 사라졌다. 따라서 야탑역 인근에서는 분당선을 이용하거나 판교역으로 이동후 신분당선 강남역으로 환승하는 방법이 있으니 야탑역 서쪽에서 기다리다 시간을 확인해 1005번을 타거나 전철을 이용하는게 편할 것으로 예상된다.
- 외대에서 탑승 시, 외대생들과 교직원들은 한국외대 공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백년관 기점 출발예정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인 외대 방문객들은 백년관 기종점 승객대기실 모니터로 출발예정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 외국어대입구 정류소부터 한국외대종점까지는 외대와 버스회사 간 계약으로 양방항 카드 찍거나 현금 낼 필요 없이 승·하차가 무료다. 외대생들·외대교직원들뿐만 아니라 일반 방문객들에게도 적용된다. [7]
- 단, 어문학관, 교양관, 인문경상관까지는 가지 않으므로 정규학기 대면 기간 평일에 저 건물들로 가는 경우, 모현지석묘입구~도서관 사이에서 내려 빵차로 갈아타거나 도서관에서 내려 걸어 올라가야 한다. 계절학기 대면 기간 평일에는 빵차도 인문경상관까지 안 가고, 계절학기가 전면 비대면이거나 주말, 휴일, 방학 기간에는 아예 빵차가 운행하지 않으니 그런 날에는 그냥 도서관에서 내려 걸어 올라가야 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4.2. 대체 경로
1) 1500-2번을 타고 포곡중학교나 에버랜드에서 내려서 5002번 환승[주의점]
2) 1150번이나 1500-2번 타고 판교역으로 간 후 신분당선이나 이 노선, 1151번[8] , 1101번[필독] 환승
3) 외대입구(왕산4리 정류소)에서 20번이나 60번 시내버스 또는 교내에서 경기광주역행 무료통학버스[A] 를 이용하여 경기광주역에 가서 경강선 탑승 후 판교역에서 신분당선 환승
4) 외대생&교직원 한정 강남역행 하교통학버스 탑승 [A] [9]
2) 1150번이나 1500-2번 타고 판교역으로 간 후 신분당선이나 이 노선, 1151번[8] , 1101번[필독] 환승
3) 외대입구(왕산4리 정류소)에서 20번이나 60번 시내버스 또는 교내에서 경기광주역행 무료통학버스[A] 를 이용하여 경기광주역에 가서 경강선 탑승 후 판교역에서 신분당선 환승
4) 외대생&교직원 한정 강남역행 하교통학버스 탑승 [A] [9]
1) 1117번을 타고 모란역에 간 뒤, 모란역에서 수인분당선이나 성남터미널행 버스들로 환승
2) 1150번이나 1500-2번 버스를 타고 서현역으로 가서 수인분당선 환승
3) 외대입구(왕산4리 정류소)에서 20번이나 60번 시내버스 또는 교내에서 경기광주역행 무료통학버스[A] 를 이용하여 경기광주역에 가서 경강선 탑승 후 이매역에서 수인분당선 환승
2) 1150번이나 1500-2번 버스를 타고 서현역으로 가서 수인분당선 환승
3) 외대입구(왕산4리 정류소)에서 20번이나 60번 시내버스 또는 교내에서 경기광주역행 무료통학버스[A] 를 이용하여 경기광주역에 가서 경강선 탑승 후 이매역에서 수인분당선 환승
5. 연계 철도역
- [image]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 [image]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
- [image]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 [image]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야탑역
- [image]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강남역, 양재역, 양재시민의숲역, 판교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강선 : 삼동역, 판교역
6. 둘러보기
7. 관련 문서
[1] 평일 6대, 주말·공휴일 5대 운행[2] 이 노선도 역사가 좀 파란만장하다. 나중에 따로 생긴 1000번 시리즈가 활개치는 지금 봐선 못 믿겠지만 100x번답게 한때 일산을 대표하던 고급좌석버스였다.[3] 현재 두 번 대차되어 9403번에 있다.[4] 이후는 누구나 알듯 1005-1번이었고 그 이후 9401, M4102, 8100, G8110 등이 대표 노선이 되었다.[5] 당시 정자역 서쪽 전체가 건물을 찾아보기 힘든 논밭이었다는 점을 생각하면 폐선하는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았다.[6] 1005번이 경부고속도로 경유인 반면 9408번은 세곡동 경유이기 때문. 1005번은 동판교를 경유하여 올라가므로 야탑역에서는 서현역 방향 정류소에서 타며 9408번은 성남시청 방향 정류소에서 타야 서울로 간다.[7] 똑같이 한국외대 글로벌캠퍼스가 종점인 1117번, 1150번, 1303번도 이에 해당한다. 단, 학교를 출발해 성남 방향 외국어대입구 정류소 이후 구간까지 가는 경우, 일반 노선버스들처럼 탈 때부터 돈을 지불해야 한다.[주의점] 오후 10시 이후 모현으로 갈 때는 이 방법을 쓰지 않기를 바란다. 에버랜드에서 1500-2번 막차가 오후 10시 10분에 떠나고, 1113번 막차가 오후 10시 30분에 떠나서 모현으로 가려면 택시를 타야 한다.[8] 오포베르빌아파트~판교역 구간은 1150번 및 1500-2번과 노선이 동일하다. 단, 서울 방향 이매촌한신아파트(서현역) 정류소가 다르다. 1150번과 1151번 정류소가 한신아파트 201동 앞으로 동일하고, 1500-2번만 한신아파트 207동 앞에 정차한다.[필독] : 강남으로 갈 때만 좋다. 환승을 위해 다시 판교로 갈 때, 이 노선은 판교역을 가지 않으니 주의.[A] A B C 정규 학기 대면개강 주 평일 한정 운행[9] 페이코 모바일 승차권 2,000원, 현금 2,500원을 주고 탈 수 있다. 승차권 구매 방법은 해당 문서 참조. 오후 3시 50분에 백년관 앞 강남 푯말이 박힌 보도블록에서 출발하며, 소요시간은 약 40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