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정동(광산구)

 




'''송정동'''
松汀洞
Songjeong-dong
}}}

<colbgcolor=#0075c2><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기초자치단체'''
광산구
'''관할 행정동'''
송정1동, 송정2동
'''면적'''
1.44㎢(송정1동)
1.13㎢(송정2동)
'''인구'''
11,253명(송정1동)
6,710명(송정2동)[A]
'''인구밀도'''
7,814.58/㎢(송정1동)
5,938.05/㎢(송정2동)[A]
[image]
송정동에 위치한 '''광산구청'''과 송정떡갈비거리 일대
[image]
송정동 랜드마크인 '''광주송정역'''
1. 개요
2. 역사 및 명칭
3. 문화 및 생활환경
4. 교통
4.1. 기차
4.2. 도시철도
4.3. 버스
5. 주요 기관
5.1. 주거
6. 교육


1. 개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법정동. 동쪽으로는 신흥동, 서쪽의 평동과 이웃하고, 남쪽에는 도산동동곡동, 북쪽의 어룡동과 마주한다. 광산구청의 소재지이기도하다.
좁게는 법정동 송정동만을 의미하지만, 넓게는 옛 송정시 일원(도산동, 어룡동, 우산동, 신흥동 등)을, 더 넓게는 송정권 지역 전체(동곡, 평동, 삼도, 본량)까지도 송정이라고 불린다. 광주광역시 안에서는 주로 두번째 의미(옛 송정시 일원)로 사용되는 편이다.
관할 법정동은 송정동이다. 舊 송정시의 중심 시가지에 해당하는 곳이다. 송정읍이 시로 승격될 때 송정동이 원동(1동)과 중앙동(2동), 호남동(3동)[1]으로 분동되었으며, 1988년에 지금의 '송정X동' 형식으로 바꾸었다. 광산구청, 광주송정역, 송정5일장 등이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교육지원청, 경찰서, 우체국 등이 타지로 이사가버린 통에 공동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2] 떡갈비 골목이 있다.

2. 역사 및 명칭


'''송정'''이라는 지명은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지명이지만, 광산구의 '''송정'''은 한자가 조금 다르다. 다른 지역의 '''송정'''은 대부분 '''松亭'''을 뜻하며 이 지명은 주로 소나무 숲에 정자가 있어서 이것이 그대로 지명으로 굳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광산구 송정동의 '''송정'''은 한자로 '''松汀'''으로 물가 주변의 소나무 숲을 뜻한다. 실제로 송정동 지역은 영산강의 지류인 황룡강과 극락강이 만나는 지점이며 이 물줄기가 나주를 통과해 나주평야를 형성한다. 1914년 송정면이 처음 설치되고, 1937년에 송정면이 송정읍으로 승격이 된다.

[image]
전라남도 송정시 시절의 휘장
이후 1986년에는 '''광주가 직할시로 승격되는 같은 날에 송정시로 승격된다.''' 이 때 송정시 설치와 함께 원동, 중앙동, 호남동이 신설된다. 그러나 2년 뒤 1988년에 송정시는 '''광산군과 함께 통째로 광주직할시에 편입'''되면서 폐지된다. 이후 원동은 송정1동, 중앙동은 송정2동, 호남동은 송정3동으로 각각 개칭된다. 1998년 송정3동은 송정2동으로 통폐합됨으로써 지금의 송정동이 자리잡게 된다. 송정시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광산구 블로그 참조
광주 시내에서는 동(洞)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지만, 여전히 송정리(里)로 통칭되고 있다. 근래 광산구택지개발 사업들로 조성된 택지들이 OO지구와 같은 명칭으로 불리며 신도시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송정리라는 지명을 남녀노소 구분하지 않고 쓴다. 대표적으로 현재의 신가지구, 수완지구는 신가리라고 주로 불렸고, 신창지구는 신창리라는 지명으로 불리던 곳이다. 이같은 문제점으로 인해서 이미 2010년에 광산구청이 나서서 송정리를 '''송정지구'''로 개칭하는 작업에 나섰다. 기사
이와 같은 유사한 사례로는 청량리, 미아리, 수유리, 화양리, 광안리 등이 있다.

3. 문화 및 생활환경


  • 옛 광산군, 송정시의 시가지이며 현재도 광산구의 행정 중심지이지만 큰 도시라기보다는 지방 읍내나 소도시의 모습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광주시내 전역, 특히 광산구가 엄청나게 개발되면서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지만, 송정동 지역은 오히려 인구가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나마 KTXSRT가 정차하는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이를 바탕으로 광산구의 중심지로 발돋움하려 하지만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더구나 기반시설 자체가 많이 부족한 편인데 대형마트[3]영화관[4]이 전무한 상황이다.
  • 광산구청 앞에는 떡갈비 거리가 존재한다. 이곳에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맛집이 다수 분포해 있는데 자세한 사항은 문서 참조.
  • 송정동의 일부와 바로 옆 신촌동에는 광주공항이 위치한다. 그런데 이 공항에는 제1전투비행단이 같이 있어서 군용전투기 소음피해가 심한 곳 중 하나이다. 지역민들은 광주공항과 군공항의 이전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결국 2021년 광주공항 이전, 2024년 공군 제1전투비행단 이전이 확정되고 2025년에 구 공항 부지에 '솔마루시티'라는 신도시 개발이 확정되었다.
  • 이 지역에는 5일마다 열리는 정기 재래시장과 매일시장이 있다. 5일장은 3·8일 마다 열리며 광주광역시 내에서 손에 꼽히는 전통시장이다. 특히 송정동 중심지 안에서 열리기 때문에 장날만 되면 송정동 지역의 교통은 헬게이트가 열린다. 매일시장은 광주송정역 앞에 위치하며 역전시장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매일시장이지만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 아니라 장사가 잘 되는 편은 아니지만 근래에 1913송정역시장이라는 명칭과 함께 청년상인들이 활발하게 장사를 하는 곳으로 탈바꿈하였다.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면서 최근에는 유동인구가 많아진 상황이다. 다만 시장이 재개장 한지 1년이 안된 상황이기에 역전시장의 관광상품화가 성공적이다고 말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다.
  •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고 광주송정역이 급부상하자 역 부근 개발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광주시에서는 송정동 일대를 부도심으로 설정하고 금호타이어 공장 이전을 유도해서 그 자리에 광주송정역과 연계된 스마트시티를 조성하려는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계획대로 금호타이어가 평동산단이나 빛그린산단으로 이전하고 남은 땅을 신도시로 개발한다면 인근 선운지구와 직통 연결되어 시너지가 엄청날 것으로 보이고 광주공항까지 완전 이전해서 '솔마루시티'까지 진행된다면 수완지구를 뛰어넘는 도심으로 성장할 것이다.
하지만 금호타이어 이전이 쉽지 않은 상황이고 공항 역시 국내선만 무안국제공항으로 넘길 뿐 군 공항은 아직 이전지역에 대한 협의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 광주송정역 앞에는 1003번지라고 불리는 성매매 업소들이 다수 분포했었다. 그러나 성매매특별법 시행과 유흥업소 화재로 인해서 쇠퇴하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암암리에 여관촌 형태로 운영중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광산구청에서 이 지역을 완전히 없애 버리고 외국인 음식 문화 거리를 만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기사. 2020년까지 추진되었던 외국인 음식 문화 거리는 2021년 2월 기준 완전히 실패한 상태이다.
  • 송정동 주변에 있는 소촌산단이나 평동산단같은 공단지역으로 인해서 외국인 비율이 광주지역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속한다. 그래서 이 동네 안에서는 외국인들을 위한 식료품 가게와 양꼬치 전문점, 동남아 음식 전문점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4. 교통



4.1. 기차


광주 유일의 KTX 정차역인 광주송정역이 있다. 원래는 송정리역으로 업무를 시작했지만 KTX 개통과 행선지의 명확성을 이유로 2009년에 광주송정역으로 개칭되었다. 이외에도 동송정역, 북송정역이 있지만 여객/화물 영업은 하지 않는다.

4.2. 도시철도


광주 지하철 1호선이 송정동을 관통한다. 광주송정역, 송정공원역 문서 참조.

4.3. 버스


송정동에 직접적으로 공영차고지는 없지만 송정권으로 보면 두 개의 공영차고지가 존재한다. 도산동 공영차고지와 송산동 공영차고지가 있다. 따라서 송정지역을 관통하는 버스 노선은 매우 다양한 편에 속한다.
  • 광주 버스 좌석02[5]
  • 광주 버스 송정19
  • 광주 버스 송정29
  • 광주 버스 송정33
  • 광주 버스 봉선37[송산]
  • 광주 버스 일곡38[송산]
  • 광주 버스 첨단40[도산]
  • 광주 버스 지원45
  • 광주 버스 송암73[도산]
  • 광주 버스 진월75[도산]
  • 광주 버스 임곡90
  • 광주 버스 송정93
  • 광주 버스 송정96
  • 광주 버스 송정97
  • 광주 버스 송정98
  • 광주 버스 송정99
  • 광주 버스 송정100
  • 광주 버스 선운101
  • 광주 버스 진곡196
  • 광주 버스 송정197
  • 광주 버스 임곡290[도산]
  • 광주 버스 송정296
  • 광주 버스 송정700[평동]
  • 광주 버스 평동701[평동]

5. 주요 기관


  • 광산구청
  • 광산구의회
  • 광산구보건소
  • 광산문화예술회관
  • 광주송정도서관[소]

5.1. 주거


  • 금강아파트 - 2000년 01월 입주
  • 대덕9차아파트 - 1995년 07월 입주
  • 대화아파트 - 1998년 03월 입주
  • 신한화아파트 - 1997년 07월 입주
  • 송정역숲안애2차 - 2019년 03월 입주
  • 송정역숲안애 - 2018년 02월 입주
  • 송정동 라인1차아파트 - 1997년 01월 입주
  • 송정 명지2차아파트 - 2005년 03월 입주
  • 송정동 모아아파트 - 1997년 09월 입주
  • 보라맨션아파트 - 1991년 12월 입주
  • 광신프로그레스 - 2007년 09월 입주
  • 현대디에코1차도시형 - 2016년 01월 입주
  • 현대디에코2차도시형 - 2016년 01월 입주
  • 현대디에코3차도시형 - 2017년 01월 입주
  • 송정동 상아아파트 - 1996년 03월 입주
  • 송정동 라인2차아파트 - 1998년 01월 입주
  • 극동마이다스빌 - 1999년 10월 입주
  • 광주송정역 모아엘가 - 2018년 06월 입주
  • 송정동온세계아이조움아파트 - 2004년 12월 입주

6. 교육


  • 초등학교 : 송정초등학교[도], 송정중앙초등학교[소] 송정동초등학교[6], 송정서초등학교[도]
  • 중학교 : 송정중학교, 송광중학교
  • 고등학교 :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A] A B 2020년 7월 기준[1] 1998년 송정2동으로 통합되었다.[2] 송정교육지원청은 1988년 광주 서부교육지원청이 되었으며 2003년에 상무지구로 이전. 광산구청 바로 건너편 하얀 관공서스타일 건물이 옛 터다. 우체국은 현재 송정우체국이 남아있으나 신설된 광산우체국은 우산동에 있다. 경찰서는 최근에 운수동으로 이사갔다. 현 프로그레스 아파트 자리가 옛 광산경찰서 자리.[3] 대형마트의 경우에는 송정동에 있는 전통5일장으로 인해서 입점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때문에 대부분 근처 우산동에 있는 이마트 광산점이나 상무지구에 롯데마트 상무점을 이용한다.[4] 영화관 역시 우산동이나 상무지구로 가는 사람이 대다수[5] 호남고속철도 개통으로 신설된 노선. 개통 당시에는 도산동이 기점이었지만 나주혁신도시를 염두에 두고 만든 노선이어서 지금은 나주혁신도시에서 출발한다.[송산] A B 송산동 공영차고지가 종점이다.[도산] A B C D 도산동 공영차고지가 기점이다.[평동] A B 평동이 기점이지만 송정지역을 모두 훑고 지나간다.[소] A B 실제 소재지는 소촌동이다.[도] A B 실제 소재지는 도산동이다.[6] 실제 소재지는 신촌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