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한어병음: Wéi Shì Pīnyīn 또는 Wēi Tuǒmǎ Pīnyīn)
1. 개요
현재 자주 쓰이는 중국어 로마자 표기법 중에서 가장 오래 전에 만들어진 것. 먼저 19세기 중반 영국인 토머스 웨이드 경(Sir Thomas Francis Wade, 중국명 威妥瑪/웨이퉈마, 1818~1895)이 이 표기법을 만들어 자신이 출판한 중국어 입문서 語言自邇集(Yü Yen Tzŭ Êrh Chi)에 사용했다. 그리고 19세기 말 역시 영국인인 허버트 자일스(Herbert Allen Giles, 1845~1935)가 이 표기법을 약간 수정하여 자신이 편찬한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서 사용했다. 그래서 이 표기법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5] 이라고 부르는데, 최초 고안자의 이름만 따서 '''웨이드식 표기법'''이라고도 부른다.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한어병음 보급 이전에 영어권에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는 데 가장 많이 쓰였던 방법이며, 지금도 일부 영어권 중국학자는 한어병음이 아닌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6] 그리고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에서 몇몇 운모는 웨이드-자일스 철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표기 방식들이 혼재돼 있다. 이는 외래어 표기법이 한중 수교 이전인 198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당시에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널리 쓰이던 사정을 고려한 것이다[7] .
대만에서는 '''사실상의''' 표준 로마자 표기법의 역할을 하였으나 현재는 한어병음 방안에 그 자리를 물려줬다.[8] 그럼에도 대부분의 대만인들은 자기 이름을 로마자 사용 외국어로 적을 때 이 방식을 많이 쓴다(약간 변형되는 경우도 있다).[9][10] 그래서 한어병음방안만 아는 사람들이 대만 여행을 갔을 때 간혹 혼동한다. 도로 표지판은 한어병음이지만 개인들이 사적으로 사용하는 영문 표기는 이걸 따라가거나 아니면 방언 발음이나 아니면 (한국이나 마찬가지로) 제멋대로 표기를 하기 때문. 그래서 예를 들어 장제스의 표기를 본인이 썼던 대로 방언 발음을 반영한 Chiang Kai-shek(창카이셱)이라 한다(물론 한어병음방안을 채택한 중국어 교재의 발음 표기에서 본문에 등장한다면—다시 말해, 蔣介石의 발음을 한어병음으로 제시하고자 한다면—Jiǎng Jièshí로 써야 한다. 즉 영어권 중국어 교재라면 중국어 Jiǎng Jièshí를 영어 Chiang Kai-shek으로 해석해 주어야 한다).
'중국어'만 공부할 사람들은 한어병음 방안, 또는 대만의 중국어를 공부할 경우 주음부호라는 대체재가 있기 때문에 굳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알 필요가 없지만[11] '중국학'을 공부하기 위해 영어 등 서양 언어권 자료를 보아야 하는 사람들은 꼭 알아야 하는 표기법이다.
영국인이 만들었기에 영어 사용자들이 영어식으로 읽으면 어느 정도 비슷한 발음이 나온다.
그리고 흔히 쓰이는 다른 표기법과 달리 주음부호보다 먼저 만들어진 표기법이다. 따라서 다른 표기법은 필연적으로 주음부호를 참조할 수밖에 없으나 이건 아니다.
한국에서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만든 사전이 있었고,[12] 옥편에도 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적곤 했으나, 지금은 한어병음에 밀려 사라졌다.
2. 음소 표기 원칙
웨이드-자일스 음소 표기의 일반 원칙과 성모 하나하나 운모 하나하나의 표기 방법을 소개한다. 어떤 음소를 어떤 문자로 표현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주음부호를 기준으로 표기한다.
사실 웨이드도 자일스도 어떤 중국어 음소에 어떤 철자를 사용한다는 식의 대조표를 만든 적은 없다(애당초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은 주음부호가 나오기 전에 만들어졌다). 웨이드의 語言自邇集와 자일스의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는 그저 각 한자에 대한 웨이드-자일스 표기만 등장할 뿐이다. 이곳이나 다른 곳에서 소개하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표기 원칙은 사람들이 語言自邇集와 A Chinese–English Dictionary를 보고 귀납적으로 표기 규칙을 추출해 낸 것이다.
2.1. 성모
성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한어병음과 달리, 폐쇄음(파열음. 중국어 명칭: 색음·塞音)과 폐찰음(파찰음. 중국어 명칭: 색찰음·塞擦音)을 ch, k, t, ts, p로만 표기하되 어깻점의 유무로 무기음(중국어 명칭: 불송기음·不送氣音)과 유기음(중국어 명칭: 송기음·送氣音)을 구분했다.[13] 이는 중국어에서 이들 자음이 무성음이기 때문에[14] 대부분의 유럽 언어에서 유성음을 나타내는 b, d, g[15] , j[16] , z[17] 로 표기하지 않은 것이다.
단 유기음을 나타내는 어깻점의 경우, 본래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여는 따옴표(‘)와 같게 또는 비슷하게 생긴 turned comma(ʻ)로 적었는데(예: pʻing)[18] 나중엔 닫는 따옴표(’)로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예: p’ing).[19][20] 그리고 오늘날 전산 처리 시에는 입력의 편의성을 위해 열지도 않고 닫지도 않는 따옴표(')와 같은 형태(예: p'ing)로 적는 게 일반적이고. 이 문서는 표기법 자체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이므로, 이 문서에서는 원형인 turned comma(ʻ)를 사용한다.
ch와 chʻ는 설면음과 권설음을 모두 포괄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뒤에 오는 모음이 무엇이냐로 설면음과 권설음을 구분한다. 단 ㄒ(한어병음: x)와 ㄕ(한어병음: sh)는 각각 hs와 sh로 적어서 구분된다.
ㄖ(한어병음: r)는 생소하게 j라고 적었다. 원래 ㄖ(한어병음: r) 발음이 이전에는 달랐기 때문이다. ㄖ 성모는 전통적으로 반치음(半齒音)이라고 분류하는 발음이었는데, 고어에서 원래의 발음이 무엇이었는지는 학자들 간에 의견이 분분하나[21] 어쨌든 치찰음(齒擦音, sibilant, 중국어: 有噝擦音) 계열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비교적 보수적인 발음 체계를 가진 표준중국어 화자들은 국제음성기호로 적었을 때 [ʐ]에 해당하는 소리로 발음한다.[22][23] 웨이드와 자일스의 시대에는 ㄖ를 이렇게 발음한 사람이 지금보다는 많았을 것이고 실제로도 웨이드와 자일스는 이 발음을 기준으로 로마자 표기를 정했기 때문에 영어, 프랑스어 등에서 역시 치찰음으로 쓰는 j로 표기하도록 결정하였다. 더 정확히 따지면 웨이드와 자일스는 프랑스어의 j 발음 [ʒ]을 염두에 두고 이와 유사한 ㄖ[ʐ] 발음을 나타내는 기호로 채택하였다.[24][25]
단 운모에서는 j를 안 쓰므로 주의. 운모 ㄦ(한어병음: er)은 절대 운미를 [ʐ]처럼 발음하지 않고 무조건 [ɻ]로 발음하기 때문에 웨이드-자일스 식에서도 j를 안 쓰고 대신 êrh로 적는다.[26]
설치음 ts, tsʻ, s는 ŭ 앞에서 tz, tzʻ, ss로 적는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 관련 설명이 있다.
2.2. 운모
운모의 표기 원칙은 다음과 같다. 두 가지 표기 방식이 존재하는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 ㄭ(帀) ih/ŭ
- 이 운모는 주음부호로는 일반적으로 표기하지 않는 운모로, 한어병음에서 c, ch, r, s, sh, z, zh 뒤에 오는 i에 해당되는 운모이다.
- 권설음 (ㄓch(한어병음: zh), ㄔchʻ(한어병음: ch), ㄕsh, ㄖj(한어병음: r)) 뒤에서는 ih로 적는다. 즉 음절 ㄓ(한어병음: zhi), ㄔ(한어병음: chi), ㄕ(한어병음: shi), ㄖ(한어병음: ri)는 각각 chih, chʻih, shih, jih로 적는다.
- 설치음 (ㄗts(한어병음: z), ㄘtsʻ(한어병음: c), ㄙs) 뒤에서는 ŭ로 적는다. 다만 성모의 표기도 바뀐다. ts는 tz로, tsʻ는 tzʻ로, s는 ss로 바뀐다. 즉 음절 ㄗ(한어병음: zi), ㄘ(한어병음: ci), ㄙ(한어병음: si)는 각각 tzŭ, tzʻŭ, ssŭ로 적는다. tzŭ, tzʻŭ, ssŭ에 대해서는 아래 참고.
- ㄜ ê/o
- 성모가 있는 경우: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 뒤에서는 o로 적고, 나머지 성모 뒤에서는 ê로 적는다. 즉 ko, kʻo, ho, lê, shê, tsʻê(한어병음: ge, ke, he, le, she, ce)와 같이 표기한다. 자세한 것은 아래 '(ㄨ)ㄛ, ㄜ의 표기' 단락을 참고할 것.
- 성모가 없는 경우(즉 ㄜ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는 경우): 글자에 따라 ê 또는 o로 적는다. 다만 실제로는 ê와 o를 나누지 않고 ê로만 적는 게 일반적인 듯하다.
- 성모가 없는 경우(즉 ㄧ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는 경우)의 ㄧ i/yi
- 글자에 따라 i 또는 yi로 적는다. 다만 실제로는 i와 yi를 나누지 않고 i로만 적는 게 일반적인 듯하다.[29]
- 음절 ㄧㄣ, ㄧㄥ과 같이 성모가 없으면서 운미가 붙는 경우는 언제나 yi로 표기한다(yin, ying).
- 성모가 있는 경우의 ㄨㄛ o/uo
-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ㄏh, ㄕsh 뒤에서는 uo로 적고, 나머지 성모 뒤에서는 o로 적는다. 즉 kuo, kʻuo, huo, shuo, tʻo, cho, jo, so(한어병음: guo, kuo, huo, shuo, tuo, zhuo, ruo, suo)와 같이 표기한다. 자세한 것은 아래 '(ㄨ)ㄛ, ㄜ의 표기' 단락을 참고할 것. 이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만들어지던 당시에는 羅, 多 (웨이드-자일스: lo², to¹; 한어병음: luó, duō) 등의 글자의 발음에 -u-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 성모가 있는 경우의 ㄨㄟ ui/uei
- ㄍk(한어병음: g), ㄎkʻ(한어병음: k) 뒤에서는 uei로 적고, 나머지 성모 뒤에서는 ui로 적는다. 즉 kuei, kʻuei, hui, shui, chʻui(한어병음: gui, kui, hui, shui, chui)와 같이 표기한다.[30]
- ㄧi가 성모 없이 쓰일 경우, 운미가 붙을 때에만 앞에 y를 박아서 yi라고 쓴다. in → yin, ing → ying. 여기까지는 한어병음과 같은데, 성모가 없으면서 운미가 안 붙을 때(즉 ㄧi가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때)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글자에 따라 i 또는 yi가 쓰인다.
- ㄨu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앞에 w를 박아서 wu라고 쓴다. 한어병음과 같다.
- ㄩü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앞에 y를 박는다. 한어병음과는 달리 점을 생략하지는 않아서 yü라고 쓴다. 운복이나 운미가 붙을 때도 이 규칙을 준용한다.
- ㄧi가 운두이고 운복을 가지는 운모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i가 y로 바뀐다(예: iao → yao). 운미 유무 상관없이 운두와 운복을 갖췄으면 다 적용된다(예: iang → yang). 한어병음과 같다.
- ㄨu가 운두이고 운복을 가지는 운모가 성모 없이 쓰일 때는 u가 w로 바뀐다(예: uai → wai). 운미 유무 상관없이 운두와 운복을 갖췄으면 다 적용된다(예: uang → wang). 한어병음과 같다.
- ㄝ(한어병음: ê)는 e가 아니라 eh로 적는다.[31]
- 복운모에서 약해지는 발음이 아예 철자상에서 사라지는 경우도 있다. ㄧㄣ(한어병음: in)은 주음부호 그대로 적으면 iên이 돼야겠지만 in으로 적는다. 물론 성모가 없으면 yin이 된다. ㄧㄥ 역시 ing(ying), ㄩㄣ 역시 ün(yün). 한어병음과 완전히 똑같진 않지만 비슷하다.
- ㄨㄣ(한어병음: wen, un)은 성모가 없을 때는 wên이고, 있을 때는 un이다. 이것도 한어병음과 완전히 똑같진 않지만 비슷하다.
- ㄧㄡ(한어병음: you, iu)는 주음부호 그대로 적으면 iou지만 o가 사라져서 iu가 되고 성모가 없으면 위의 철자 원칙에 의거 yu가 된다(한어병음에 이끌려서 '위'처럼 읽지 않도록 하자). 이 부분은 한어병음과 조금 다르니 주의.
- ㄨㄟ(한어병음: wei, ui)도 마찬가지로 성모가 없으면 wei지만, 있으면 위에서 설명했듯 uei와 ui로 나뉜다.
- ㄧㄢ(한어병음: yan, ian)은 주음부호 그대로 쓰면 yan, ian이 돼야겠으나 영어 화자가 쉽게 읽을 수 있게 yen, ien으로 표기한다.
- ㄩㄥ(한어병음: iong)은 아예 표기가 iung/yung이고, ㄨㄥ(한어병음: weng, ong)은 성모가 없을 때는 wêng지만, 있을 때는 ung이다.[32]
2.2.1. (ㄨ)ㄛ, ㄜ의 표기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ㄛ, ㄨㄛ, ㄜ는 원칙적으로 각각 o, uo, ê로 적혀야 하겠지만 실제로는 불규칙하게 대응돼 있다. 그래서 아래에 대응표로 정리한다. 이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만들어지던 당시 ㄜ와 ㄛ 사이에 혼란이 있었던 것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2.1.1. 주음부호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표준중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음절은 아래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
- ㄛ(한어병음: o)와 결합 시
- ㄨㄛ(한어병음: uo, wo)와 결합 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lo는 ㄌㄛ(한어병음: lo), ㄌㄨㄛ(한어병음: luo) 모두에 대응된다.
- ㄜ(한어병음: e)와 결합 시
2.2.1.2.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주음부호
표준중국어에서 나타나지 않는 음절은 아래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o로 적는 경우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uo, wo로 적는 경우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ê로 적는 경우
2.2.2. 철자 hs, ssŭ, tzŭ, tzʻŭ에 대해
이 섹션의 출처는 Wade의 語言自邇集 2판(1886년)이다.
2.2.2.1. hs
Lastly, there is the initial ''hs'', which some complain is liable to confusion with ''sh''. The aspirate precedes the sibilant; if the first ''i'' in ''hissing'' be dropped, you retain very exactly the Chinese syllable ''hsing''. Rules cannot go far in such matters. The ear must advise itself by practice.*
————————————————————
* This initial ''hs'', as the Sound Table will show, is only met with before the vowel sounds of the Italian ''i'' or the French ''u'', and the syllables beginning with it have a history of their own which claims a passing remark. Many of the words now pronounced ''hsi'' were some years ago ''hi'', many others ''si''; similarly, words now pronounced ''hsü'' were some of them ''hü'' and some ''sü''. In very modern mandarin vocabularies these syllabic distinctions are preserved. The fusion of them is variously accounted for. While the Peking Syllabary was undergoing revision, I was urged by my friend Mr. Edkins to admit into my orthography some change that might serve as an index of the original sound in the case of words differing as above, and had the work been of a lexicographic character, I would have adopted the suggestion. Nothing could be easier than to mark all words that have been HI, as HˢI, and all that have been SI, as ᴴSI; so with ''hsü'' and ''sü''[35]
; and to the philologist this recognition of pedigree might be of a certain value; but the syllable to be learned by the student of the colloquial language in this dialect, whether he express it by ''hsi'', ''hsü'', or otherwise, is still a sound common to all the words classed under it by the native speakers who compiled the syllabaries. The change would have involved a double tabular arrangement under all the syllables concerned, and it is to be doubted whether the beginner would not have been rather confused than advantaged by having what is now become, practically, but one category of the sound, subdivided into two.
즉 [s] 발음 앞에 약간의 기식(aspiration)이 들어가는 것을 의도한 철자라고 한다. 참고로 관화에서 성모 ㄒ(한어병음: x)로 발음되는 경우는 본래 고어에서 구개음화된 /h/(즉 \[ç\])였던 경우와 /s/였던 경우 두 가지가 있는데, 전자는 먼저 \[ɕ\]가 되었고 후자는 20세기 초까지 \[s\]가 유지되다가(이 구분이 노국음 등에서 유지되었다) \[ɕ\]로 뒤늦게 합류하였다(표준중국어 발음을 이 발음 체계에 근거하고 있다).''hs'': A slight aspirate preceding and modifying the sibilant, which is, however, the stronger of the two consonants. To pronounce ''hsing'' let the reader try to drop the first ''i'' in ''hissing''. He will exaggerate both the aspirate and the sibilant, but the experiment will give him a clear idea of the process. The aspiration is effected by closing the middle of the tongue upon the back of the palate before the tip of the tongue is raised for the sibilation. It differs from ''sh'', although this difference is less observable before diphthongs ''ia'', ''ie''.
각주에 따르면 원래 역사적으로 hi였던 것과 원래 si였던 것이 웨이드 시대에 와서는 hsi로, 원래 hü였던 것과 원래 sü였던 것이 웨이드 시대에 와서는 hsü로 합쳐졌다고 한다. 웨이드는 전문적인 사전에서는 원래 hi였던 것과 원래 si였던 것, 원래 hü였던 것과 원래 sü였던 것을 철자상으로 구분했지만, 이 語言自邇集는 초보자를 위한 책이므로 이 책(나중에 자일스의 A Chinese–English Dictionary도 포함됨)에서는 둘의 구분을 두지 않고 모두 hs로 적기로 했다고 한다.
2.2.2.2. ssŭ, tzŭ, tzʻŭ
즉 웨이드 본인은 원래 sz’를 사용했지만, 일부 사람들이 이것을 sizz처럼 발음하는 것을 보고 모음을 되살리기로 했다는 것이다.On the sounds which I write ''ssŭ'', ''tzŭ'', and ''tzʻŭ'', it is scarcely necessary to discourse. The vowels in these syllables defy a European alphabet more obstinately than any we have to deal with. Dr. Morrison's ''sze'' was changed by Dr. Williams to ''sz’''. I used this for many years, but a tendency I noticed in some speakers to pronounce the syllable ''sizz'', determined me to restore the vowel. Mr. Edkins writes ''sĭ'', which is neither better nor worse than ''ssŭ'', or, as it read in the old Syllabary, ''szŭ''. The vowel that ''ĭ'' or ''ŭ'' is supposed to stand for does not exist in our system, and represent it by what letter we will, some diacritic mark is indispensable.
즉 ŭ 앞에서 ss, tz, tzʻ를 사용한 것은 뒤따르는 ŭ 발음에 주의를 끌기 위해서라고 한다.''ŭ'': Between the ''i'' in ''bit'' and the ''u'' in ''shut''; only found with the initials ''ss'', ''tz'', ''tzʻ'', which it follows from the throat, almost as if the speaker were guilty of a slight eructation. We have no vowel-sound that fairly represents it.
''s'': As in English.
''ss'': ''ssŭ'' is the only syllable in which this initial is found. The object of employing ''ss'' is to fix attention on the peculiar vowel sound ''ŭ'', which, as stated above, it is so hard to reproduce.
''ts'': As in ''jetsam'', ''catsup''; after another word, often softened to ''ds'' in ''gladsome''.
''tsʻ'': The aspirate intervening as in ''ch'' and other initials. Let the reader drop the italicised letters in ''be''ts-ha''rd'', and he will retain ''tsʻa''.
''tz'': Is employed to mark the peculiarity of the final ''ŭ'', but is hardly of greater power than ''ts''.
''tzʻ'': Like ''tsʻ'' above. This and the preceding initial are, like ''ss'', only used before the ''ŭ''.
2.3. 성조
성조는 각 음절 뒤에 성조 번호를 아라비아 숫자로 쓰되 올려 쓴다(위 첨자). 즉 1성(음평성)은 ¹, 2성(양평성)은 ², 3성(상성)은 ³, 4성(거성)은 ⁴로 쓴다. 경성은 따로 표기하지 않지만 굳이 구분할 때는 ⁰으로 쓴다. 그리고 보수적인 관화 발음 체계에 있던 입성을 표기할 때는 이것을 5성으로 간주하여 ⁵로 적는다. 하지만 사전·교과서를 제외하고는 성조 번호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요즘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 만든 중국어 사전·교재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이다.
2.4. 기타
- 음절 사이마다 하이픈(-)을 쓴다. 예를 들면 piao는 한 음절이고 pi-ao는 두 음절이다. 한어병음은 음절을 죽 붙여 쓰되 혼동의 여지가 있을 경우 어깻점(')을 붙이는 데 반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으로는 하이픈으로 음절 구분을 해 주는 게 원칙이다. 단 지명들을 간략하게 적을 때는 하이픈을 안 쓰고 이어 쓰는 경우가 많다.[36]
- 얼화 운미는 주음부호처럼 얼화음 자체를 경성으로 독립된 음절로 취급하되, êrh가 아니라 ’rh[37] 로 표기한다. 예를 들어 這兒/这儿은 chê⁴-’rh로, 那兒/那儿은 na⁴-’rh로 표기한다. 웨이드와 자일스는 얼화음을 êrh에서 모음 ê가 생략된 것으로 보았고, 따라서 그 생략을 영어의 I’m, you’re, it’s 등과 마찬가지로 어깻점(apostrophe, ’)로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얼화 운미 ’rh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부호는 일반적인 어깻점이고, 유기음을 나타내는 부호 ʻ(turned comma)와는 다르니 주의.
3. 약식 웨이드 표기법
종종 사용되는 약식 웨이드(Simplified Wade) 표기법이 있는데 표기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어깻점(ʻ) 대신 h로 적는다. 즉 chʻ 대신 chh로, kʻ 대신 kh로, pʻ 대신 ph로, tʻ 대신 th로 적는다.
- 성조를 나타낼 때 1성은 생략하고, 2~4성은 음절 뒤에 각각 v, x, z를 덧붙인다. 즉 ma¹를 ma로, ma²를 mav로, ma³를 max로, ma⁴를 maz로 표기한다.
- 어깻점(ʻ)을 생략한다. 즉 무기음과 유기음을 구분하지 않는다.
- 모음 위에 쓰는 diacritic들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일부 발음은 헷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yu와 yü는 diacritic 생략 시 똑같이 yu가 돼서 구분이 안 된다.[39]
- 그래서 위 두 가지가 합쳐진 chu의 경우, 원래 chu(한어병음 zhu. 예: 朱)일 수도 있고 chʻu(한어병음 chu. 예: 楚)일 수도 있고 chü(한어병음 ju. 예: 鞠)일 수도 있고 chʻü(한어병음 qu. 예: 曲)일 수도 있다.[38]
- 성조 번호를 쓰지 않는다. 즉 성조를 구분하지 않는다.
- 음절 사이에 하이픈(-)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때에 따라 음절 구분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게 된다. 단, 인명의 경우 음절 사이에 하이픈을 쓴다.[40] 하이픈 뒤에 오는 알파벳은 소문자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4.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유산
- 대만(중화민국)에서 쓰이는 관행적 로마자 표기(인명, 유명 지명 등)에서 아직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나 그 변형 표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리셴룽처럼 최근 일부 싱가포르 화교들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나 그 변형 표기로 성명을 적는 경우가 있다. 아니면 한어병음방안으로 쓴다[42] .
- 중국의 옛 로마자 지명 표기법인 우정식 병음에서 상당수의 지명들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을 그대로 쓰거나 그걸 변형한 표기가 채택되었다. 이게 현재 대만 내 유명 지명들의 표기에도 영향을 끼쳤다.
- 대만뿐만 아니라 중국 본토에서도 역사가 오래된 대학들의 영문 표기에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나, 여기의 영향을 받은 우정식 병음이 사용되고 있다.
- 견종 이름인 시추의 영어 철자인 Shih Tzu는 狮子(shīzi)의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따른 표기이고, 이를 대강 영어식으로 읽은 데서 시추라는 명칭이 유래했다.
- 중국 대륙의 중국어 점자는 기본적으로 한어병음을 바탕으로 하나, 성모 r를 ⠚(j)으로 표기한다. 참고로 중국 대륙의 중국어 점자에서 성모 j는 g와 똑같이 ⠛(g)으로 표기하되 뒤에 오는 운모를 보고 j인지 g인지 구분하게 돼 있다. h/x, k/q도 각각 ⠓(h), ⠅(k)으로만 표기하고 뒤에 오는 운모를 보고 구분한다. 반면에 ⠗(r)은 운모 er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 대한민국의 중국어의 외래어 표기법[46] 에서 웨이드-자일스식 철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표기 방식들이 일부 존재한다.
- ㄧㄢien/yen(한어병음: ian/yan)과 ㄩㄢ(y)üan(한어병음: üan/yuan) 모두 끝 발음이 '엔'에 가깝게 발음되지만(전자는 '이엔' 또는 '옌', 후자는 '위엔'처럼 발음), 외래어 표기법에서 전자는 '옌', 후자는 '위안'으로 적게 하고 있다. 외래어 표기법의 이런 비일관성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 가지고 있던 비일관성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이다.[43]
- ㄨㄟui/uei/wei(한어병음: ui/wei), ㄨㄣun/wên(한어병음: un/wen), ㄧㄡiu/yu(한어병음: iu/you)는 한어병음의 경우 성모가 있을 때 운모 내에서 탈락하는 글자가 있다. 하지만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는 ㄨㄟ와 ㄨㄣ만 그렇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ㄨㄟ와 ㄨㄣ은 성모가 있을 경우 각각 '우이'와 '운', 없을 경우 '웨이'와 '원'으로 적게 하고 있는 데 반해, ㄧㄡ는 성모 유무와 상관없이 '유'로 적게 하고 있다. 이 점 역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44]
- 실제로 국립국어원은 ㄧㄡ, ㄩㄢ의 경우 웨이드-자일스 표기 yu/-iu, (y)üan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직접 말했다.
- 한어병음의 경우 ao(ㄠ, 웨이드-자일스식: ao), ong(ㄨㄥ, 웨이드-자일스식: ung) 등의 o는 원래 u여야 하는데 악필일 경우 u가 n으로 잘못 보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문자이다. 그런데 외래어 표기법상 둘을 일관되게 '아오' 및 '옹'이나 '아우' 및 '웅'으로 적지 않고, 전자는 '아오', 후자는 '웅'으로 적게 하고 있다. 이 역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ao, ung이라는 철자에 이끌려서 정해진 규정으로 추정된다.
- 유니코드에서 주음부호 ㄭ(U+312D)의 이름은 BOPOMOFO LETTER IH인데, 여기서 IH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표기 ih/ŭ 중 하나이다.
5.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문자들은 다음 코드 포인트들에 배당돼 있다. (연한 갈색 배경(■)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상관없는 문자가 배당된 코드 포인트를 나타낸다.)
6. 여담
자일스는 자신이 편찬한 A Chinese–English Dictionary에서 웨이드의 표기법을 사용하기는 했지만(그래서 이 표기법 자체가 Wade–Giles로 불리게 된 것이고), 정작 자일스는 이 표기법을 그렇게까지 좋아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자일스의 A Chinese–English Dictionary 초판(1892년) 머리말을 보면 이런 내용이 있다.
'''Orthography.'''—The term “orthography” is now generally used in reference to the transliteration or romanisation of Chinese characters. The groups of sounds in this Dictionary are arranged alphabetically according to the orthography adopted by Sir Thomas Wade for the Peking dialect in his elementary handbook known as ''Tzŭ Êrh Chi''. This orthography is anything but scientifically exact. In some respects it is cumbersome; in others, inconsistent. ''E.g.'' 廣 and 忙 are expressed by ''kuang'' and ''mang'', 任 and 恩 by ''jên'' and ''ên'', as if the vowel values were the same in each case. It was put together at a time when an orthography was wanted for the Peking dialect, and has at any rate the merit of being first in the field. I chose it for two important reasons. (1) This Dictionary is intended primarily for the use of members of the British Consular Service in China, who one and all begin their Chinese studies with the ''Tzŭ Êrh Chi'', and will doubtless be glad to continue in a groove which, though imperfect, is familiar. (2) It would be admittedly an advantage to have one recognised system of orthography for “Mandarin” or the Court language, which is now represented by the dialect of Peking. There are several other orthographies more or less satisfactory in existence, about the merits of which no two persons are agreed; a new one would therefore only make confusion worse confounded. Exceptions have however been made in the case of names of provinces, well-known towns, etc., which are written according to common usage.
7. 바깥 링크
新酷音輸入法2013: 웨이드-자일스 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입력기로, 台灣華語羅馬拼音으로 맞춰 놓고 사용한다. 그런데 통용병음과 국어 주음부호 제2식도 섞어 놓았기 때문에 순수하게 웨이드-자일스 식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음운은 hs 하나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