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자

 


이 문서는 점자를 지원하는 HSBRL 폰트가 설치되어 있어야만 점자가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이 링크를 참고하십시오.
[image]
1. 개요
2. 연혁
3. 점자 필기구
4. 종류
4.1. 라틴 알파벳 점자 및 숫자 점자
4.3. 영어 점자
4.4. 일본어 점자
4.4.1. 연혁
4.4.2. 표기법
4.4.3. 예시
4.5. 중국어 점자
4.6. 기타 나라 점자
4.8. 국제음성기호 점자
4.9. 수학식/화학식 점자
5. 유사품
6. 기타


1. 개요


언어 별 명칭
한국어
점자()
영어
Braille(/breɪl/)
프랑스어
Braille(/bʀɑːj/)
중국어(표준 중국어)
(mángwén), (mángzì), (tūzì), (tūwén), (diǎnzì)
일본어
(てんじ)
시각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일종의 문자로, 볼록한 점들의 위치를 사용해서 문자를 나타내도록 만들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점자는 표현 가능한 글자 수의 제한 때문에 표음 문자이다. 한글 점자와 일본어 점자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점자가 프랑스어 점자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일명 눈이 아닌 손으로 읽는 문자. 물론 시각장애가 없는 사람이 배워서 눈으로 읽을 수도 있다. 이것을 '시독(視讀)'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점 6개를 이용해서 문자를 표기한다. 점 위치 하나당 점이 있다/없다 2개의 경우의 수가 나오고, 한 글자당 점 위치 6개로 구현되므로 2^6 = 64개 조합이 나온다. 아무 점도 찍히지 않은 '''공백과, 63가지의 자형'''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라틴 문자와 숫자, 마침표 등의 기호를 나태내기엔 무리가 없는 가짓수다. 문자 체계가 복잡한 경우 63개 자형 중에 특별한 역할을 하는 기호를 설정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확장형인 8점 점자도 존재하는데, 8점 점자는 공백 포함 총 256개 조합이 존재한다.
이것을 이용해서 시각장애인들도 책을 읽을 수 있다. 단, 비장애인들보다 시간이 엄청나게 걸린다. 일단은 점자책과 더불어 점자 프린터, 점자 키보드 등이 있지만 구하기도 어렵고 가격도 비싸고 속도도 느리다. 점자 프린터의 경우는 최소 수 백만 원을 호가한다. 점자책의 경우엔 볼록한 점들을 정해진 크기와 간격에 맞춰 다 표현해야 되기에, 일반 책으로 하면 짧은 양이지만 점자로 표현하게 되면 엄청나게 두꺼워지고 책도 커지게 된다. 거기다가 점자 프린터나 키보드 등도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지 않기에 엄청나게 비싼 가격대인 점도 한 몫 한다. 그래서 그런지 요즘은 보이스웨어를 선호하는 시각장애인들이 많다고 한다. 하지만 정보 접근성을 잘 지키지 않은 채로 사이트를 설계해 놓아서 (예를 들어) 인터넷 쇼핑을 하고 싶어도 '버튼' 이라고만 읽어주는 경우가 있어 불편함을 느낄 때가 있었다.
한국 기준으로 엘리베이터를 타면 점자를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고, 공공장소에서도 점자 표기를 많이 한다. 일부 자판기와 캔음료에도 점자가 있는 경우가 더러 있다. 하지만 점간 간격 등이 잘못되어 전혀 다른 글자를 나타내는 경우나(예를 들어 '실' 자를 찍다가 점간 간격이 좁으면 '욘' 자가 된다), 맥주 캔에 브랜드를 구분하지 않고 '맥주'라고만 찍어놓는다거나 캔 음료를 '음료'(혹은 '탄산'이)라고 뭉뚱그려 표기해놓은 경우, 그리고 엘리베이터 입구에 거꾸로 된 ⬆️ 버튼과 거꾸로 된 ⬇️ 버튼을 설치해놔서 '상'과 '하'가 괴상한 문자로 바뀌는 경우와, 자판기의 내용물을 바꿨는데 진열대 앞에 새겨진 점자는 안 바꿔서 분명 '생수'를 읽고 눌렀는데 핫식스가 나온다거나 하는 어이 없는 사례들이 날마다 속출하고 있다. 그러나 점자 규격이 KS규격에 포함되어 점간 간격이 잘못된 경우는 사라졌다. 일본 맥주 캔에는 'おさけ(お酒)' 즉, '술'이라고만 표기했거나 표기하지 않았다.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의약품에 점자 표기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도 대두되고 있는데, 화상을 입어서 화상용 연고를 발랐는데 알고 보니까 화상용 연고가 아닌 다른 연고라 상처가 더 악화됐다거나 하는 피해 사례가 생기고 있다.

2. 연혁


현재 사용되는 형식의 점자는 1821년에 프랑스인루이 브라유가 최초로 고안했으며, 한자 문화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그의 이름을(정확히는 성씨를) 따서 '''브라유(braille)'''라고 적고 이를 자국어 발음으로 부른다. 루이 브라유도 시각장애가 있었는데, 처음부터 시각장애가 있던 것은 아니고, 3살 때 송곳에 눈을 찔려 안구에 큰 상해를 입는 사고[1]한쪽 눈의 시력을 잃고, 안구 적출 수술을 받지 못하여 항원-항체 반응에 따라 점차 다른 쪽 눈의 시력도 없어졌다. 12살 때 그는 파리에 있는 파리 맹인 학교로 가게 된다.
루이 브라유가 파리 맹인 학교에 있던 당시 파리 맹인 학교의 교장은 대개 군인 출신으로 채워졌었는데, 당시에는 발랭팅 아위(Valentin Haüy)가 개발한 점자를 사용했다. 사실 점자라고 하기도 뭣한 게, 알파벳을 그대로 볼록 튀어나오게 처리한 것이었다. 그러다 보니 양면 인쇄도 불가능하고 책도 지나치게 커지고 두꺼워져 읽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보수적인 학교 운영진들은 그대로 강행했다. 그러던 와중 샤를 바르비에(Charles Barbier)라는 군인이 야간에 사용할 수 있는 군사 암호용으로 개발을 시도하였던 야간 문자를 파리 맹인 학교에 소개하였고, 이를 착안하여, 12개의 점과 선으로 구성되어 감지하기 복잡하였던 야간 문자 대신 6개의 점과 선을 이용하는 점자를 최초로 고안하였다. 12개의 점으로 구성된 점자는 감지하기에 너무 길어서 시각 장애인들에게 보편화되지 못했지만, 그에 비해 브라유의 점자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 훨씬 편리했다. 웃기게도 바르비에는 이런 브라유를 별로 좋지 않게 봤는데, 비시각장애인이었던 그로서는 맹인들이 점자를 만들어 책을 읽을 필요성을 못 느꼈기 때문.
하지만 브라유의 점자가 '''비장애인들이 봤을 때 무슨 의미인지 알아보기 어렵다는''' 말도 안되는 이유로 그의 생전에 공식적으로 채택되지는 못했고[2] 보수적인 학교 교장에 의해 점자악보와 관련된 자료를 제외한 점자 관련 자료가 모두 불타는 등의 수난도 겪어야 했다[3] 습기 차고 눅눅한 학교에서 오랫동안 산 데다가 점자 개발 당시 과로를 해 건강이 좋지 않았던 브라유는 당대 불치병인 결핵에 시달리다가 1852년 1월 6일 43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세상을 떠난 지 불과 2년 후인 1854년 브라유의 점자는 그 가치를 인정받아 정식으로 채택되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뜻에서 사망한 지 한 세기가 지난 1952년 6월 22일 프랑스의 역사적 위인들이 안장된 파리 팡테옹으로 유해가 이장되었다.

3. 점자 필기구


  • 점자판: 야간 문자를 찍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받침판인 점판, 점자를 규격에 맞게 찍게 해 주는 점관, 종이에 점자를 찍는 점필로 구성되어 있다.
  • 점필 : 손잡이 끝이 뭉특한 송곳과 유사한 형태다. 점자를 찍을 때에는 시지의 중간 마디에 걸치고 시지로 눌러 찍는다.
  • 점자타자기: 점자를 빠르고 균일하게 찍기 위해 고안되었다. 종이의 밑에서 위로 올라오며 찍는 상판식과 그 반대인 하판식 타자기로 구분된다.
점자세상의 '점자 관련 기구'를 참조.
점자를 점자판이나 하판식 점자타자기를 이용하여 손으로 찍을 때는 종이에 뒷면에 찍기 때문에 읽을 때 바로 읽힐 수 있도록 좌우반전한 형태로 찍게 된다. 예로 a를 찍으려면 4점 위치에 찍는다.

4. 종류


전세계의 모든 점자는 한국, 일본, 룩셈부르크의 것을 제외하고 모두 브라유가 만들고 다듬은 라틴 알파벳 점자(당시의 프랑스어 점자) 체계를 따른다. 그 나라에 문자가 있고 없고 상관없이 라틴 알파벳 점자에서 각 나라의 언어에 있는 음소를 더할 뿐이다. 룩셈부르크만 특이하게도 8개의 점을 사용하여 룩셈부르크어를 표기하하고 있다.
점의 번호를 부르는 방식은 좌상단을 1점, 좌중단을 2점, 좌하단을 3점, 우상단을 4점, 우중단을 5점, 우하단을 6점으로 정하고 모든 돌출되어 있는 점을 1부터 6의 순서로 부르고 있으며 이것은 전세계 공통이다.
다양한 문자 및 기호에 대응할 수 있으며 컴퓨터 코드를 한 칸으로 표기할 수있게 6점 점자의 아래에 점 2개를 추가하여 가로 2점, 세로 4점의 8점 점자를 사용하기도 한다. 8점 점자의 점을 부르는 방식은 좌상단을 1점, 좌중상단을 2점, 좌중하단을 3점, 좌상단을 4점, 좌중상단을 5점, 좌중하단을 6점, 좌하단을 7점, 우하단을 8점으로 정하고 모든 돌출되어 있는 점을 1부터 8의 순서로 부르는 방식이다.

4.1. 라틴 알파벳 점자 및 숫자 점자


묵자
Aa
Bb
Cc
Dd
Ee
Ff
Gg
Hh
Ii
Jj
점자










묵자
Kk
Ll
Mm
Nn
Oo
Pp
Qq
Rr
Ss
Tt
점자










묵자
Uu
Vv
Ww
Xx
Yy
Zz

대문자표

점자









묵자
1
2
3
4
5
6
7
8
9
0
점자










위 표에는 대문자와 소문자가 같이 올라 있지만 대문자표를 전치해야 대문자가 된다.
대문자단어표(⠠⠠)도 있으며 이것은 '이후부터 칸을 띄기 전까지 모두 대문자이다'를 나타내는 부호이다.
숫자 점자는 만국 공통이며 숫자표()를 전치하여 표기한다.
상기한 대로 대부분 언어의 점자 체계의 기반이 되었다.
diacritic이 붙은 글자도 대부분 공용한다. 또한 언어마다 diacritic이 다르지만 점자를 공유하는 사례도 많다. 예외로 é는 스페인어를 제외하고 1~6점을 모두 찍지만, 스페인어의 é는 타 언어의 è와 같이 1점과 5점을 찍지 않는다.
참고로 로마자는 숫자를 알면 쉽게 외울 수 있다. 가령 1과 a는 동일하고, 2와 b는 동일하다. 그리고 0은 j와 동일하다. k는 1의 점자에 3점을 추가한 것. l은 2의 점자에 3점을 추가한 것. t는 0의 점자에 3점을 추가한 것. u는 다시 1의 점자에 3, 6점을 추가한 것. z는 5의 점자에 3, 6점을 추가한 것이다. w는 건너뛰고 그 다음 x가 3의 점자에 3, 6점 추가다. 프랑스에서 거의 안 쓰이는 w 하나만 따로 외우면 된다.

4.2. 한글 점자


항목 참조 훈맹정음으로도 해당 문서로 연결된다.

4.3. 영어 점자


옛날에는 영어권 국가들이 각기 다른 점자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1991년에 통일된 영어점자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13년간의 연구 끝에 통일영어점자(Unified English Braille, UEB)가 나오게 된다. 자세한 규정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년에 번역된 한국어 번역본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2020년에 나온 통일영어점자 해설서 한국어 번역본도 있다.
통일영어점자에서 좀 나아지긴 했지만 약자가 더럽게 많다. 읽고 쓸 때는 편하지만 외우려면 고생 좀 한다.

4.4. 일본어 점자


점자가나


⠢⠃

⠰⠀



⠐⠟⠀
⠺⠐⠕

⠙⠀

⠳⠣
⠎⠀

⠲⠀⠀
한점자
⢰⣄⡂

⢄⠆
⢆⣠
⢠⠀



⠠⡶







⢤⠀⠀
묵자(墨字)


ウィ






(そだ


(
(しき

(


4.4.1. 연혁


한자와 가나문자의 모양으로 뚫린 판을 대고 종이에 새기는 방식이었다. 그이후 1880년대 미국 퍼킨스 맹학교를 통해 점자를 도입했다. 그러나 일본어를 표기할 때 너무 길어져 불편함을 호소하여 적당한 점자 체계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마침, 이 시기에는 일본어 표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논쟁과 한자를 폐지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어 가나문자를 바탕으로 한 점자 체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1890년 11월 1일에 도쿄맹아학교 교사 이시카와 구라지(石川倉次)에 의해 점자가나가 고안되었다.[출처] 이후 1898년에 요음부호와 촉음부호가 추가된 채로 1901년 관보에 고시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일본어 점자는 기본적으로 가나 전용이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한자를 중시하는지라 시각장애인들도 제한적이나마 한자 생활이 가능하게끔 만든 한점자(漢点字, 1969년에 고안됨.)라는 것도 존재한다. 이 점자 체계는 표현 가능한 글자 수를 늘리기 위해 가로 2점, 세로 4점의 8점 점자로 돼 있다. 한점자는 일반적인 8점 점자와 점의 번호를 부르는 방식이 다르다. 보통, 6점 점자에서 좌하단인 3점 밑에 7점, 6점 점자에서 우하단인 6점 밑에 8점이지만, 한점자에서는 6점 점자에서 좌상단인 1점 위에 0점, 6점 점자에서 우상단인 4점 위에 7점으로 부르고 있다. 한점자를 만든 단체와 별개의 단체에서 컴퓨터 입력을 겸할 목적으로 고안한 1972년에 6점 한자(6点漢字), 즉 6점 점자로 된 한자도 고안되어 있는데 일본어 위키백과에 언급만 하고 문서는 아직 작성돼 있지 않을 정도로 마이너한 것이다. 심지어 6점 한자를 사용하여 작성하지 말 것을 권고할 정도이다.
점의 번호를 부르는 방식
07
14
25
36
14
25
36
78
한점자
일반적 8점점자

4.4.2. 표기법


점자 오십음도
행 \ 단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あ행
묵자





점자





か행
묵자





점자





さ행
묵자





점자





た행
묵자





점자





な행
묵자





점자





は행
묵자





점자





ま행
묵자





점자





や행
묵자





점자





ら행
묵자





점자





わ행
묵자





점자





기타
묵자





점자





부호
명칭
점자
묵자
탁점)(だく(てん)


반탁점((はん(だく(てん)


개요음표((かい(よう(おん(; 개요음부)

(없음)
개요탁음표((かい(よう(だく(おん(; 개요탁음부)

요반탁음표((よう(はん(だく(おん(; 요반탁음부)

합요음표((こう(よう(おん(; 합요음부)

합요탁음표((こう(よう(だく(おん(; 합요탁음부)

외국문자표()

외국어시작표()

외국어종료표()

고리점(((てん; 구점)


모점((とう(てん; 독점)


물음표(((もん(; 의문부)


느낌표((かん(たん(; 감탄부)


가운뎃점((なか(てん; 중점)


말줄임표()
⠐⠐⠐

제1낫표

「 ~ 」
제2낫표

제1괄호((だい(がっ()
⠶ ~ ⠶
( ~ )
제2괄호
⠰⠶ ~ ⠶⠆
점자가나가 고안될 당시인 19세기에는 히라가나가타가나를 용도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지 않고 가타카나만을 사용하여 표기했음을 반영하여 히라가나가타카나를 구별하지 않는다. 하지만 한점자에서는 가타카나 시작표(⢰⣄ 4-5-6점, 2-3-6점)와 가타카나 종료표( 3-5-6점)를 사용하여 구별한다.
아래 표와 같이 탁점과 반탁점은 전치하여 표깋한다. 절대 후치하여 표기하지 않는다.
행 \ 단
あ단
い단
う단
え단
お단
が행
묵자





점자
⠐⠡
⠐⠣
⠐⠩
⠐⠫
⠐⠪
か゚행
묵자
か゚
き゚
く゚
け゚
こ゚
점자
⠠⠡
⠠⠣
⠠⠩
⠠⠫
⠠⠪
ざ행
묵자





점자
⠐⠱
⠐⠳
⠐⠹
⠐⠻
⠐⠺
だ행
묵자





점자
⠐⠕
⠐⠗
⠐⠝
⠐⠟
⠐⠞
ば행
묵자





점자
⠐⠥
⠐⠧
⠐⠭
⠐⠯
⠐⠮
ぱ행
묵자





점자
⠠⠥
⠠⠧
⠠⠭
⠠⠯
⠠⠮
요음은 다음 표와 같이, 'い단 가나 + 작은 や행 가나', 'う단 가나 + 작은 わ행 가나'의 방식이 아닌 '개요음표, 개요탁음표, 요반탁음표 + あ단, う단, え단(특수음), お단 가나', '합요음표, 합요탁음표 + あ단, い단, え단, お단 가나'의 방식으로 표기한다.
개요음
행 \ 단
や단
ゆ단
え단
よ단
か행
묵자
きゃ
きゅ
きょ
점자
⠈⠡
⠈⠩
⠈⠪
が행
묵자
ぎゃ
ぎゅ
ぎょ
점자
⠘⠡
⠘⠩
⠘⠪
さ행
묵자
しゃ
しゅ
しょ
점자
⠈⠱
⠈⠹
⠈⠺
ざ행
묵자
じゃ
じゅ
じょ
점자
⠘⠱
⠘⠹
⠘⠺
た행
묵자
ちゃ
ちゅ
ちょ
점자
⠈⠕
⠈⠝
⠈⠞
だ행
묵자
ぢゃ
ぢゅ
ぢょ
점자
⠘⠕
⠘⠝
⠘⠞
な행
묵자
にゃ
にゅ
にょ
점자
⠈⠅
⠈⠍
⠈⠎
は행
묵자
ひゃ
ひゅ
ひょ
점자
⠈⠥
⠈⠭
⠈⠮
ば행
묵자
びゃ
びゅ
びょ
점자
⠘⠥
⠘⠭
⠘⠮
ぱ행
묵자
ぴゃ
ぴゅ
ぴょ
점자
⠨⠥
⠨⠭
⠨⠮
ま행
묵자
みゃ
みゅ
みょ
점자
⠈⠵
⠈⠽
⠈⠾
ら행
묵자
りゃ
りゅ
りょ
점자
⠈⠑
⠈⠙
⠈⠚
합요음
행 \ 단
わ단
うぃ단
うぇ단
うぉ단
あ행
묵자

うぃ
うぇ
うぉ
점자

⠢⠃
⠢⠋
⠢⠊
か행
묵자
くぁ
くぃ
くぇ
くぉ
점자
⠢⠡
⠢⠣
⠢⠫
⠢⠪
が행
묵자
ぐぁ
ぐぃ
ぐぇ
ぐお
점자
⠲⠡
⠲⠣
⠲⠫
⠲⠪
특수음 すぃ, ずぃ, てぃ, とぅ, でぃ, どぅ, ツァ행, ファ행 등도 일반적 요음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한다.
묵자
점자
묵자
점자
묵자
점자
イェ
⠈⠋
スぃ / スィ
⠈⠗
シェ
⠈⠻
ずぃ / ズィ
⠘⠗

행 \ 단
ア단
イ단
ウ단
エ단
オ단
ア행
묵자



イェ

점자



⠈⠋

サ행
묵자

すぃ / スィ

シェ

점자

⠈⠗

⠈⠻

특수음 テュ, デュ, ヴ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묵자
점자
テュ
⠨⠝
デュ
⠸⠝

⠐⠉
조사 'は'와 'へ'는 'わ'와 え로 소리나는대로 표기한다.
お단 + う 장음과 う단 장음에서 뒤의 う를 장음부호로 대체한다. 단 'ウウウウ'와 같은 경우에는 마지막 가나만 대체한다.
~, - 등이 장음으로 쓰인 경우에도 장음부호로 대체한다.

4.4.2.1. 띄어쓰기 규칙

구점(句点; 。)의 뒤에 두 칸, 독점(点; 、)의 뒤에 한 칸의 공백을 둔다. 이는 구점과 독점을 공백으로 대체 표기한 데에서 기인한다.[출처]
한점자를 사용하여 한자와 가나(문자)가 섞인 문장으로 표기할 때에도 문장부호 뒤를 띄어쓰기 한다. 구점과 합요탁음점( 2-5-6점), 독점과 외국문자표( 5-6점), 물음표(의문부)와 합요음점( 2-6점), 느낌표(감탄부)와 ゑ( 2-3-5점)의 점형이 같아 혼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운뎃점이 띄어쓰기 대신, 직함과 사람 이름, 내지는 고유명사의 호칭·특징과 해당 고유명사를 구분하기 위해 쓰였을 경우에는 공백으로 대체한다.
이외 띄어쓰기 규칙은 이 사이트에 첨부된 PDF 문서 참고.

4.4.3. 예시


점자가나
⠧⠑
⠐⠡

⠐⠕

⠐⠕
⠞⠀

⠷⠀
⠇⠩

⠳⠀
⠭⠩
⠹⠒
⠎⠀


⠔⠀
⠃⠂

⠇⠀
⠁⠑⠄





⠐⠐⠐
⠲⠀⠀
한점자



⠠⡢

⠠⡢





















⠠⠠⠠
⢤⠀⠀
묵자
(ひら
(
(




(

(にく


(ふく
(すう

(
(

(いっ
(

(あらわ







출처 : 디시위키, 일본어/문자 및 발음

4.5. 중국어 점자


⠀⠀⠝⠔⠆⠍⠥⠆⠺⠂⠛⠊⠁⠐⠀⠙⠔⠛⠫⠀⠛⠲⠞⠲⠀⠏⠮⠭⠀⠙⠀

⠊⠀⠅⠢⠀⠌⠱⠀⠌⠁⠀⠱⠥⠆⠐⠆

Nàmùwéijī, dàjiā gòngtóng péiyǎng de yì kē zhīshi zhī shù。

 纳木维基,大家共同培养的一个知识之树。

중국어도 점자는 표음 문자이다. 하긴 꼴랑 점 6개 가지고 그 많은 한자를 다 표현하면서 제대로 읽을 수 있게 만드는 게 애초에 불가능하다. 표준중국어의 경우 중화인공(中華人共)에서는 한어병음(1954년 제정 당시에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의 변형)을 기반으로 한 점자를 사용하고, 중화민국에서는 주음부호를 기반으로 한 점자를 사용하며 두 체계는 서로 호환이 거의 안 된다. 광동어 점자 또한 표음 문자이다.
중화인공의 한어병음 점자는 기본적으로 로마자 점자와 같지만, 몇 가지 차이가 있다. 운모 er을 제외한 r이 j 자리에, 성모 ch가 q 자리에 가 있고, j가 g에, q가 k에, x가 h에 흡수되어 있으며, g-j, k-q, h-x는 뒤따르는 운모가 i/ü(u로 대체)(로 시작하는 것)인지를 보고 구분한다.
표기법 상으로는 중화인공의 점자에서 주음부호 표기법이, 중화민국의 점자에서 한어병음 표기법이 섞여 있다. 중화인공의 점자에서는 설첨음교설음 뒤에 뒤따르는 공운모 i를 표기하지 않지만 중화민국의 점자에서는 이 i를 운모 er과 같은 ⠱으로 표기한다. 또 중화인공의 점자에서는 운모 ong과 ueng을 ⠲으로 통합 배당해 놓고 있다.

4.6. 기타 나라 점자


이 외 다른 외국어는 그 나라에서 사용하는 규정을 따른다. 자세한 내용은 각 나라의 점자 규정을 참고하면 된다. 한국점자규정 부록에는 몇몇 국가의 문자와 문장부호 일람표가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볼 수 있다. 더 많은 국가의 점자 일람표가 필요하다면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4.7. 점자 악보


악보를 읽을 수 없는 시각장애인 음악가들을 위한 점자 악보도 있다. 기존의 오선지 악보 대신 음표 등 각종 음악 기호들을 점자로 표현한 것이다. 악보 항목을 참조하라.

4.8. 국제음성기호 점자


음성학과 음운론을 공부한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국제음성기호(IPA) 점자#도 있다.

4.9. 수학식/화학식 점자


수학식, 화학식 점자 등도 있다. 그렇지만 이공계 점자의 경우 그 한계가 너무 심한 편인데 예를 들어 수학식 점자의 경우 분수식을 표현할 때 본격적으로 난감해지기 시작한다. 분수를 표현하는 점자를 분모나 분자의 식의 길이에 따라 계속 찍어야 되며 점자로 표현하는 경우 일반적인 글자를 적는 경우에도 보통 문자보다 많은 길이를 차지하게 되는데 이런 식으로 분자 식을 쓰게 되면 하나의 공식을 읽는 데에 엄청난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점자 수학 점역). 이 사이트에서 한 번 수능 문제에 나오는 공식 등을 시험해보자. 적어도 3배가 넘는 길이가 되어버림을 알 수 있다. 이렇기 때문에 수능 수학 영역에서 중증(과거의 3급 이상) 시각장애 수험생에게 비장애인 수험생의 1.7배인 170분의 시간을 주는 것이다.

5. 유사품


  • 라피그래피
점자와 유사하게 '라피그래피'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점자로 글자 모양을 만든 것이다. 점자를 따로 배우지 않아도 비시각장애인들이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시각장애인들과 비시각장애인들 간의 소통을 위해 만들어졌다. 일반 점자에서 화살표 등 일부 기호를 표기하는 방법으로도 쓰인다.
  • 문 문자
윌리엄 문 박사가 만든 문 문자(Moon type)는 짧은 곡선 및 직선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으로, 미국에서는 의외로 널리 쓰였다고 한다. 물론 지금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 피쉬본(Fish Bone)
당뇨병을 앓는 시각장애인을 위하여 고안된 양각 부호다.
  • 지점자
헬렌 켈러처럼 시각장애인이면서 동시에 청각장애인인 사람들의 경우 아주 특별한 의사소통 방법이 필요하다.[4] 일본의 경우 이런 장애인의 손가락에다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점자를 찍어 말을 거는 방법이 고안돼 있는데 이것을 지점자(指点字, 일본어 발음으로는 유비텐지)라고 한다.

6. 기타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한글은 메이저 문자 중 창제 시기와 창제자, 창제 목적이 밝혀진 유일한 문자'라는 속설의, 대표적인 반례다. 해당하는 문자에는 다름아닌 이 점자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점자가 아니더라도 키릴 문자태국 문자 역시 이에 해당한다.
유니코드에도 8점 점자가 배당되어 있다. 점자가 배당된 영역은 U+2800부터 U+28FF까지 총 256자이며, 이 중 6점 점자는 U+2800부터 U+283F까지 64자로 충분히 표현 가능하다. 폰트에 따라 점이 찍히지 않은 자리는 빈 동그라미(○)로 표시되거나 아예 비워져 있는 경우도 있다.
안타깝게도 시각장애인들 중에서도 점자를 읽을 수 있는 사람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일단 시각장애인 중 그래도 글씨가 도움이 되기는 하는 경증 장애(과거의 4급 이하)가 절대다수다. 대부분의 중증 시각장애인들은 빈곤과 교육 기회의 차별 등으로 아예 학습이나 문화 향유의 기회를 포기해 버린다. 기술 발전에 따라 오디오북, 보이스웨어와 같이 점자보다 더 효율적인 대체 수단도 등장하여 점자 사용 인구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며, 미래에 이 문자의 운명이 어떻게 될지도 알 수 없는 지경이다. 아무튼 현재 한국에서 점자 독해가 가능한 시각장애인은 6%에 불과하다.
최근에는컴퓨터의 화면에 나오는 정보를 점자로 전달해주는 출력장치인 점자 디스플레이와 텍스트 파일 수정, 보이스웨어, 인터넷, mp3 등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점자정보단말기의 개발이 활발하다. 다만 가격이 최소 400만원대에서 시작하며 최신 제품은 500만원을 호가하여 대부분 교육기관에서만 점자에 능통한 시각장애인에게만 임대 형태로 빌려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디어에서는 컴퓨터 해커들을 다룬 1992년 영화 스니커즈의 해커팀 시각장애인 팀원(배우는 데이비드 스트라탄)이 점자정보단말기를 사용한다.
유니코드 점자로 아스키 아트를 만들기도 한다. #

[1] 여담으로 송곳(awl)에 눈을 찔린 것이 글자가 비슷한 부엉이(owl)로 오역되어, 브라유가 부엉이에게 습격을 당해(?!) 실명했다고 잘못 소개되는 경우가 있다.[2] 그런 것도 있겠지만 당시 프랑스혁명 등으로 인해 민족주의가 본격화되던 시기였는데, 이 때 민족어인 프랑스어의 중요성 역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던 마당에 본래의 프랑스어 글이 아닌 점으로 구성된 문자를 사용하겠다고 하니 당시 정부나 국민들이나 정서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랬기에 루이 브라유는 여러 가지 발명품을 개발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점자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알파벳 모양으로 점자가 찍히는, 즉 점자로 a를 입력하면 a 모양의 도트가 구성되어 찍히는 발명품까지 개발하였을 정도였다. 지금의 점자 타자기의 전신 정도.[3] 단, 브라유가 파리 맹인 학교 시절 고안했던 악보용 점자는 학교 측에서도 계속해서 사용했다. 당시 브라유는 학교에서 미술 및 음악 교사로 일했다.[출처] A B 시각장애인의 문자형성과 발달, 이완우 나사릿대 점자문헌정보학과 교수[4] 헬렌 켈러의 경우 얼굴과 입술에 손을 대서 의사 표현을 하는 타도마법(Tadoma method)이라는 방식을 썼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현재 미국에서는 거의 도태된 방식이고, 현재는 그보다는 장애인 손바닥 위에다 수어의 알파벳 기호를 전달하는 방식(Tactile signing)이 이용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