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서준

 



'''유서준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SK 와이번스''' 등번호 90번'''
류효용
(2013)

'''유서준
(2014)
'''

남지훈
(2017)
''''''SK 와이번스''' 등번호 67번'''
윤중환
(2014)

'''유서준
(2015)
'''

박세웅
(2016~2017)
''''''SK 와이번스''' 등번호 16번'''
이재영
(2012~2015)

'''유서준
(2016)
'''

이석재
(2017)
''''''SK 와이번스''' 등번호 54번'''
세든
(2015~2016.6.22.)

'''유서준
(2017)
'''

하성진
(2018~2019)
''''''SK 와이번스''' 등번호 5번'''
박성한
(2018)

'''유서준
(2019)
'''

윤석민
(2020)
''''''SK 와이번스''' 등번호 2번'''
임재현
(2018~2019)

'''유서준
(2020)
'''

박성한
(2021~)
''''''SK 와이번스''' 등번호 7번'''
정현
(2019.5.20.~2020)

'''유서준
(2021~)
'''

현역


<colbgcolor=#ff0000> '''SK 와이번스 No.7'''
<colcolor=#ffffff> '''유서준
劉瑞峻 / Yoo Seojun'''
'''생년월일'''
1995년 12월 4일 (29세)
'''국적'''
[image] 대한민국
'''출신지'''
[image] 경기도 김포시
'''신체'''
178cm, 75kg, A형
'''학력'''
사우초 - 양천중 - [image] 성남고
'''포지션'''
내야수, 외야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4년 2차 2라운드 (전체 18번, SK)
'''소속팀'''
SK 와이번스 (2014~)
'''등장곡'''
케이윌 - 말해! 뭐해?
'''응원가'''
Arabesque - Hello Mr. Monkey[1][2]
'''병역'''
사회복무요원 (2017.07~2019.06.21)
'''연봉'''
3,000만원 (3.2%↓, 2021년)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2.2. 프로 시절
2.2.1. 2015 시즌
2.2.2. 2016 시즌
2.2.3. 2017 시즌
2.2.4. 2019 시즌
2.2.5. 2020 시즌
2.2.6. 2021 시즌
3. 플레이 스타일
4. 여담
5. 연도별 주요 성적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K 와이번스 소속의 내야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성남고 출신의 내야수로 빠른 발과 좋은 컨택 능력이 장점이었다. 고3 시절 성적은 16경기에 나와 타율 .362에 1홈런 12타점 14도루로 스카우팅 리포트에는 공, 수, 주 3박자를 모두 갖춘 선수라고 평가했으나 내야수와 외야수를 오고 가느라 수비 기본기는 떨어지는 편이었다. 하지만 가진 잠재력 자체는 뛰어난 선수로 평가받아 2014년 드래프트에서 김하성을 뽑을 기회가 있었음에도 2라운드 전체 18순위의 높은 순번으로 SK 와이번스의 유니폼을 입게 된다.

2.2. 프로 시절


[image]
입단 후 계속 2군에만 머물러 있었다. 동기인 넥센 히어로즈 김하성이 유서준보다 낮은 순번에도 불구하고 두 자릿수 홈런을 치며 15시즌 1군 주전 유격수 자리를 꿰찬데 비해 계속 2군에만 머물러 있자 SK 와이번스 갤러리 등지에서 종종 소환 당해 까이는 신세가 되었다.
따라서, 김하성을 뽑을 기회가 충분히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3라운드에는 뜬금 없이 박민호를 뽑는 등으로, SK 팬들을 아연실색하게 만들었을 정도.

2.2.1. 2015 시즌


2년차가 되자 프로무대에 적응했는지 비록 2군이지만 63경기에 나서 3할 타율과 28개의 도루를 기록하고 있었다.
8월 3일 김연훈이 손가락 부상으로 말소되자 대신 콜업됐다. 데뷔 후 첫 1군 콜업. 빠른 발을 이용한 대주자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8월 4일 한화 이글스전에서 9회 최정의 대주자로 기용돼 1군 데뷔전을 치렀다.
8월 13일에 LG전에서 입단 동기 이진석과 함께 데뷔 첫 안타를 기록했다.
8월 21일 경기에서 데뷔 첫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렸다.
대주자나 백업 내야수로 종종 모습을 비췄으나 8월 31일에 1군 엔트리에서 제외됐다.
9월 11일 인대 손상으로 말소된 박진만 대신 콜업되었다.
9월 17일 윤희상이 등록되며 말소됐다.

2.2.2. 2016 시즌


2016년부터는 '''16'''번을 단다. 다만 16번이 김원형 코치의 이미지가 강한지라...
개막 엔트리에 포함됐으나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4월 3일 박종훈이 등록되며 말소됐다.
4월 20일 콜업됐다가 5월 1일 김동엽과 함께 말소되었다.
6월 28일 1군 엔트리에 등록되었다. 그리고 그 날 kt와의 경기에 대타로 출장하였으나 결과는 삼진.
시즌 후 상무 야구단에 지원했지만 최종 합격자 명단에 들진 못했다.

2.2.3. 2017 시즌


육성선수로 전환되었고 2군 17경기에서 타율 0.361(36타수 13안타) 5홈런 12타점 3도루 8득점 OPS 1.284를 기록하다가 7월 13일 사회복무요원으로 입대하였다. 부상으로 상무에 탈락했기 때문에 사회복무요원으로 대신하게 되었다고.

2.2.4. 2019 시즌


6월 21일에 소집해제되면서 팀으로 복귀했다. 영상 등번호는 박성한의 상무 입대 이후 공번이었던 5번.
3군에서 몸과 체력을 만들고 있으며 안상현, 최준우, 최경모 등 젊은 1.5군급 내야수들이 미필인 상태인지라 일단 유격수로 실험을 거칠 것이라고 한다.#
8월 18일 NC전에서 7번 2루수로 올 시즌 2군 첫 경기를 치뤘고 4타수 2땅볼 2뜬공을 기록했다.
퓨쳐스리그에서는 주로 대타로 출장하고 있으며, 2루수와 3루수, 유격수를 소화하고 있다. 9월 26일 기준 13타수 3안타 1도루 기록 중.
2군에서 총 11경기에 나와 타율 0.294(17타수 5안타) 5득점 2도루 3볼넷 3삼진 출루율 0.429 장타율 0.412를 기록했다.
시즌 후 호주에서 열리는 마무리 캠프에 참가했다.

2.2.5. 2020 시즌


2020년 7월 3일, 채태인의 대주자로 처음 출전했다. 그 다음날엔 선발로 나섰지만 3타수 무안타로 부진했다.
그러나 7월 4일 7회 채태인의 대주자로 출전하고 9회 2루타를 쳐 '''오랜만에 안타를 치게 되었다.'''
그리고 9월 3일, 1군에서 말소되었다. 기사에 따르면 외야수 전향을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 성남고 재학 시절부터 준족으로 유명했고, 팀에 김강민의 뒤를 이을 젊은 우타 외야수가 없다는 상황[3] 등이 겹치면서 외야수로 전향하는 듯.

2.2.6. 2021 시즌



3. 플레이 스타일



4. 여담


  • 아직 무명에 가까운 선수이기 때문에 이렇다 할 별명은 없지만 SK 와이번스 갤러리 등에서 종종 언급될 때에는 서언이 동생으로 불리기도 한다. 게다가 김하성을 거르고 유서준을 뽑았다는 점 때문에 김거유로 불리기도 한다 (...) [4]
  • 이병훈 해설위원의 차남인 이용하와는 고등학교 동창이었다고 한다.
  • 위에 서술했듯이 김하성을 거르고 뽑았다고 김거유라고 종종 놀림을 당한다. 팀 선배 류거이처럼 거른 선수만큼은 아니여도 팀의 주전을 꿰차서 프랜차이즈 선수로 남을지는 본인에 달렸다.

5. 연도별 주요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삼진
출루율
장타율
wRC+
2014
SK
1군 기록 없음
2015
17
12
.083
1
0
0
0
0
5
3
1
3
.154
.083
-45.6
2016
8
7
.000
0
0
0
0
0
0
0
0
4
.000
.000
-133.8
2017
군복무 (사회복무요원)
2018
2019
1군 기록 없음
2020
28
24
.250
6
1
0
1
2
10
1
1
7
.280
.417
75.1
<color=#373a3c> '''KBO 통산'''
(3시즌)
53
43
.163
7
1
0
1
2
15
4
2
14
.200
.256
7.2

6. 관련 문서


[1] 오 오오 오 오 와이번스 유서준 x4 안! 타! 유서준![2] 하이라이트까지 사용하는 박건우와 달리 도입부만 사용한다.[3] 단순히 젊은 외야수로만 보면 2020년에 신인으로 데뷔한 최지훈이 잘 해주고 있다. 하지만 최지훈은 유서준과 달리 좌타이며, 게다가 대졸 미필이라 병역을 해결하기 위해 이탈이 불가피하다. 그래도 상무에서 복무 중인 김규남이 우타 외야수라 김규남이 전역하면 뎁스가 조금이나마 보강될 것으로 보인다.[4] 여담으로 팀 선배로 류거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