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와이번스/선수단
1. 감독ㆍ코칭스태프
2. 현역 선수
2.1. 투수
2.2. 포수
2.3. 내야수
2.4. 외야수
3. 군입대 선수
※ 상무 : 상무 피닉스 야구단 소속, 현역 : 일반 군복무, 사복 : 사회복무요원 근무
4. 역대 타자 주전
그 포지션의 최고 기록은 '''볼드'''체.
4.1. 포수
4.2. 1루수
4.3. 2루수
4.4. 3루수
4.5. 유격수
4.6. 외야수
5. 역대 선발투수 로테이션
'''순서는 시즌 종료 당시 기준.'''
6. 역대 마무리 투수
- 마무리 투수로 5회 이상 등판하여 3세이브 이상을 기록한 선수만 기입해 주세요.
- 마무리 직책을 완전히 이임한 경우 취소선을 그어주시고, 집단 마무리의 경우 등판이 빨랐던 순서대로 적어주세요.
7. 역대 선수
7.1. 프랜차이즈 스타 및 레전드
7.2. 프랜차이즈
7.3. 올드 멤버
- 가내영 (18)
- 가득염 (30)
- 강병규 (1): 다만 SK 입단 후의 이야기는 흑역사에 가깝다.
- 강성우 (12)
- 강혁 (11)
- 강희석
- 권명철 (61)
- 김강석 (44 - 4)
- 김경기 (00): 미스터 인천이라 불렸던 사나이. 다만 실질적 전성기는 태평양 돌핀스 말기~현대 유니콘스 초기인 1994~1998년 정도다.
- 김경태 (17)
- 김기덕 (30)
- 김기태 (10): 선수단을 휘어잡았던 보스. 사실 전신격 팀인 쌍방울 레이더스에서도 선수단을 이끄는 보스였다.
- 김기현
- 김도현
- 김동건 (6 - 5)
- 김동수 (2)
- 김동엽 (38)
- 김민식 (24)
- 김민준
- 김민재 (14)
- 김상진 (31)
- 김상현 (27)
- 김성래 (9)
- 김성민 (내야수)
- 김성민 (투수) (28)
- 김성훈 (29 - 61)
- 김선섭 (23)
- 김영수 (34)
- 김원형 (16): 와이번스 소속 투수 중 최다승(134승) 2위 투수.[37]
- 김재현 (7): 와이번스 V1의 주역. 와이번스가 배출한 최초의 한국시리즈 MVP.
- 김재현 (54 - 67 - 8)
- 김정남 (44)
- 김정수 (67 - 46)
- 김종헌 (57)
- 김충민 (44)
- 김태균 (5 - 6)
- 김태한 (28)
- 김호 (5)
- 김희걸 (51)
- 남윤성
- 노수광 (17)
- 모창민 (13)
- 문광은 (41)
- 박경완 (26): SK 왕조의 굳건한 안방마님.
- 박계원 (5)
- 박계현
- 박승욱 (2 - 7)
- 박윤
- 박재용 (27)
- 박희수(47)
- 박재홍 (62): 인천야구의 원조 아이돌 스타.
- 박정배 (32)
- 박정현 (21)
- 박정환 (6)
- 박주언 (28)
- 박진만 (7)
- 박진석 (29)
- 박재상 (1 - 11 - 7): SK 최초의 원클럽맨.
- 박희수 (47)
- 배영섭 (23)
- 백청훈 (46)
- 봉민호
- 서창만
- 성영재 (17)
- 손지환
- 손차훈 (4)
- 송재익 (4)
- 신윤호 (30)
- 신승현(김명완) (39)
- 심성보 (35)
- 안경현 (33)
- 안재만 (17)
- 안정광 (31)
- 안치용 (35 - 23)
- 엄정욱 (55)
- 양용모 (26)
- 양현석
- 여건욱 (49)
- 오승준 (17)
- 오상민 (34)
- 위재영 (68 - 18)
- 유재웅 (20)
- 유현승 (11)
- 윤강민
- 윤길현 (51)
- 윤석민 (5)
- 윤재국 (8)
- 윤희상 (38 - 66 - 19 - 66)
- 이대수 (3 - 9): 최후의 SK 창단멤버.
- 이동수 (12)
- 이명기 (17)
- 이민호 (3)
- 이상백 (25)
- 이상열 (59)
- 이상훈 (47)
- 이성우
- 이승진 (55)
- 이승호 (20): 와이번스 초대 에이스이자 와이번스가 배출한 최초의 신인왕.
- 이승호 (37)
- 이영욱 (25)
- 이용훈 (34)
- 이재영 (19 - 16)
- 이진석
- 이진영 (10 - 35)
- 이창욱 (18)
- 이한진 ( 21)
- 이홍구 ( 24)
- 임성헌 (51)
- 임경완 (19)
- 임훈 (9 - 11)
- 장재중 (2)
- 전준호(투수) (61)
- 전유수 (43 - 31)
- 정경배 (6 - 9)
- 정근우 (8)
- 정대현 (1 - 21)
- 정상호 (42)
- 정우람 (57)
- 제춘모 (18)
- 조경환 (44)
- 조규제 (18 - 21)
- 조동화 (10 - 1)
- 조영민 (9)
- 조원우 (36 - 9)
- 조웅천 (41)
- 조인성 (44)
- 조중근 (30)
- 조재호 (34)
- 조진호
- 조한욱
- 진해수 (39 - 37)
- 전병두 (28): 와이번스 팬들이 가장 안타깝게 생각하는 아픈 손가락
- 채종국 (30)
- 채종범 (33): 창단 초창기 투수 파트의 라이징 스타가 이승호였다면 야수 파트의 라이징 스타는 채종범이었다.
- 채태인 (00)
- 최동수 (32)
- 최민재 (24)
- 최상덕 (19)
- 최승준 (10)
- 최익성 (22)
- 최정민 (53)
- 최정용
- 최태원 (7): 철인. 와이번스의 초대 주장.
- 추성건 (40)
- 하지호
- 허도환 (34 - 16)
- 홍명찬 (51 - 5)
7.4. 흑역사
- 강병규 - 등번호 1번이라는 특혜와 에이스 대우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부진한 성적[38] 을 얻은 데 이유가 따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 위대한 - 영입되었으나 퍽치기로 인해 방출.
- 이상훈 - 해당 항목 참조.
- 루크 스캇 - 최악의 먹튀용병, 카리대를 능가하는 천하의 개쌍놈. 카리대는 부상을 숨기고 온 사기꾼이라면 스캇은 유리몸+고액연봉에 강한 에고로 감독과 언쟁을 벌이며 팀 케미스트리까지 해쳤다.
- 조조 레이예스 - 2014년도 루크 스캇과 함께 팀 커리어를 깎아 먹은 외국인 선수로 방출 이후 SK로고를 총으로 쏘고 이를 자랑삼아 찍은 사진을 트위터에 올린 것으로 SK팬들에게 못을 박게 되었는데, 이 사건에 대해 추후 사과를 하긴 했다. 해당 항목 참조.
- 대니 워스 - 트레이 힐만 감독과 휴스턴 애스트로스에서 함께 뛴 인연이 소개되면서 기대를 모았지만 시범경기 때부터 어깨 염증을 호소하다 결국 3경기만 뛰고 방출됐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 먹튀놈이 나가면서 추천해 새로 데려온 용병 타자가 인천 테임즈라는 것.
- 강승호 - 2018시즌 트레이드로 LG에서 이적해와 19시즌 내야의 중심자원으로 점찍어졌으나 음주운전으로 2019시즌 내야진이 꼬이게 되는데 한 몫했다.
- 닉 킹엄 - SK 와이번스의 카리대. 2020시즌 큰 기대를 모으며 SK 와이번스에 입단했으나, 2경기만에 팔꿈치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었다. 그 이후로 통증의 원인조차 제대로 규명하지 못한채로 의료관광[39] 소리를 듣다가 뒤늦게 방출되었다.
8. 역대 주장
9. 역대 외국인 선수
- USA : 미국
- DOM : 도미니카 공화국
- VEN : 베네수엘라
- NLD : 네덜란드
- JPN : 일본
- PRI : 푸에르토리코
- CAN : 캐나다
[1] 조정호에서 개명.[지명]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지명타자로 주로 출전[2] 1루수로도 많이 출전[3] 지명타자 출전 포함.[4] 지명타자 출전 포함.[5] 2017시즌에는 주로 외야수로 출전했었다.[6] 2007년은 유격수로 출전.[7] 2루수와 유격수를 오가며 출전.[8] 쌍방울에 신고선수로 입단하였고, SK가 쌍방울 선수단을 영입하고 새로 구단을 창단하면서 동시에 이적하였다.[9] 2016년부터 2루수 포지션으로 보직 변경[10] 코너내야수로도 많이 출전[11] 코너내야수로도 많이 출전[12] 한국에서의 시즌 이후 멕시코에서 한 시즌을 더 뛰고 은퇴를 한 것으로 보인다.[13] 2008년은 1루수로 주로 출장.[14] 2005, 2006년은 외야수보직으로 주로 지명타자로 출장,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주로 지명타자로 출장하면서 중간중간 1루수에도 출장하였다.[15] 쌍방울에 신고선수로 입단하였고, SK가 쌍방울 선수단을 영입하고 새로 구단을 창단하면서 동시에 이적하였다.[16] 2006, 2009년 제외[17] 주보직은 외야수지만 중간중간 우익수, 좌익수로 나오고, 대개 지명타자로 출전했었다. 그러나 2020년 부진으로 인해 주로 2군에 머물렀다.[18] 2018시즌부터 1루수로 선발 출전하고 있다.[19] 주보직은 외야수지만 중간중간 좌익수로 나오고, 대개 정의윤과 번갈아가며 지명타자로 출전하고 있다.[20] 롯데로 트레이드[21] 왼쪽 중지 중수골 기저부 선상골절로 인한 시즌아웃[22] 시즌 중 상호 보직 교체[방출] A B C D E F G H [23] 마무리로 보직 변경[24] 오른쪽 새끼손가락 중수골 골절로 인한 시즌아웃[불펜행] A B C D 부진으로 인한 불펜행[25] 시즌 초 다이아몬드의 출산 휴가로 인한 대체 선발[26] 팔꿈치 뼛조각 제거 수술로 인한 시즌아웃[2군행] [27] 시즌 초 정대현의 팔꿈치 부상으로 인한 임시 마무리[28] 왼쪽 어깨 염증으로 인한 시즌아웃[29] 부진으로 인해 셋업맨으로 보직 변경[30] 부진으로 인해 계투로 보직 변경[31] 부진으로 인해 계투로 보직 변경[32] 한국시리즈 한정[33] 부진으로 인해 셋업맨으로 보직 변경[34] 오른쪽 어깨 극상근 손상으로 인한 시즌아웃[35] 현대의 프랜차이즈 레전드지만, SK의 스타이기도 하고 인천야구 팬들이 아끼는 선수라는 점에서 SK의 프랜차이즈로도 간주된다. 상징성으로 보면 영구결번도 가능한 선수.[원클럽] A B C D E F G 원 클럽 플레이어[36] LG의 프랜차이즈 레전드지만, SK의 스타이기도 하고 SK의 우승에 큰 몫을 해내었다는 점에서 양팀의 프랜차이즈로도 간주한다.[로컬] A B C 로컬 보이[37] 2019년 이전까지는 김원형이 최다승 투수였다. 그러나 김광현이 2019년 17승을 거두면서 최다승 투수 자리에 오르게 됐다.[38] 11경기 2승 2패 방어율 8.44에 그쳤다.[39] 아프다는 선수가 여자친구와 함께 SNS 업데이트는 자주하였다.[40] 원래 2008년 주장은 이호준이었으나 무릎 부상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시즌 소화가 어려워지자 김원형을 주장으로 재선임했다.[41] 구단 역사상 최초의 2년 연속 주장[42] 전 세계 프로리그에서 유일하게 사이클링 홈런을 기록했다. SK 시절은 아니고 1998년에 미국 더블 A에서[43] 현재 네덜란드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일하고 있는 그 사람 맞다.[44] 2016년 NC 다이노스 에릭 테임즈가 기록을 경신하기 전까지 외국인 선수 중 최다 연속 안타 경기수(18)의 기록을 가지고 있던 선수이다.[45] 우리가 흔히 아는 그 약쟁이 아님.[46] 13년 1월 7일, 구단에 개인사정으로 인한 선수은퇴의사를 밝혔다. 2016년 10월 4일 사망.[47] 팔 부상으로 인해 방출[48] 방출후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49] 어깨 통증으로 인해 방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