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
[image]
[clearfix]
1. 개요
'''Transformers: Cybertron'''
'''トランスフォーマー ギャラクシーフォース'''
'''Transformers: Galaxy Force'''
'''트랜스포머 갤럭시 포스'''
트랜스포머 사이버트론은 유니크론 트릴로지의 세번째 프랜차이즈이다. 다른 유니크론 트릴로지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해즈브로 와 타카라의 합작으로 제작되었다.
이 시리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애니메이션
- 컬렉터즈 클럽 코믹스
2. 애니메이션
일본의 곤조에서 제작한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이다. '갤럭시 포스'는 일본과 한국에서 방영할 때 사용한 제목이다. 총 분량은 한미일 모두 52화. 유니크론 트릴로지의 마지막 작품이다. 총감독은 카쿠도 히로유키. 감독은 오노 마나부.
전작인 트랜스포머 에너존처럼 인간과 배경은 2D, 트랜스포머들은 3D로 처리했다. 하지만 에너존때와는 비교하는 게 실례일 정도로 CG의 질이 폭풍같은 상승을 거쳤다. 전작이 종이곽(?)같은 외형에 동작도 그냥 몸 전체가 몇 덩어리이고 그걸 움직이는 듯한 느낌이었으나, 이번작은 훨씬 더 진짜같이 좋아진 색감에 실제 금속같은 빛의 반사에 의한 명암, 손가락 하나하나까지 움직이는 정교한 모션 등으로 퀄리티가 훨씬 더 좋아졌다. 물론 전작의 경우도 2D와 3D를 합한 쉘 쉐이딩 기법으로 표현되어 있어서 잦은 작화붕괴로 악명높은 전 전 작 아마다보다 굉장히 많이 줄어들었으니 아마다→에너존→사이버트론 순으로 기술력의 진화(?)를 볼 수 있다.
또한 심리묘사 같은 면에서도 묘사력이 좋아져서 중간에 갈등양상을 기억 지우기, 죽였다 살리기 같은 중간에 흐지부지 끊어먹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갈등양상 하나를 얼마나 오래 끌고 가든 인물들간의 의사소통이나 여러 동기로 반드시 해결을 보는 전개가 되어 훨씬 사실적으로 변했다. 제작진이 전작의 단점을 깨닫고 이번엔 정말 제대로 만들었다고 봐도 될 듯 하다. 때문에 많은 트랜스포머 팬들이 사이버트론(갤럭시포스)를 명작으로 칭하며 좋은 평가를 주고 있다.
또한 이번 작품에서는 '''개별 변신 뱅크신'''의 사용 빈도가 급증했다(로봇 변신 외에 비클/비스트 변형도 뱅크신 적용). 본래 비스트 워즈 세컨드를 시작으로 비스트 워즈 네오, 트랜스포머 카로봇, 트랜스포머 에너존 등. 트랜스포머 아마다를 제외하면 모두 개별 변신 뱅크신이 있지만 이번 작품에서는 거의 매번... 굉장히 길게 들어간다. 평균 20~30초 정도 누구냐에 따라 길이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다른 트랜스포머 작품에 비해 굉장히 긴건 어느 캐릭터나 거의 공통사항. 뱅크신 배경은 오토봇의 경우 붉은 빛이 감도는 보라색, 디셉티콘의 경우 파랑색과 주황색으로 처리했다. 벡터 프라임은 우주공간같은 별도의 전용 배경이, 스커지(플레임 콘보이)는 마치 불길이 피어오르는 듯한 주황색의 전용 배경으로 처리되었다.
다만 이게 단점이라는 평도 존재하는데, 이게 길이가 진짜 길다는 점. 합체신은 같은 다른 트랜스포머 작품들에도 뱅크신이 들어갔으니 그렇다 치더라도, 변신에 시간을 너무 많이 할애하는 거 아니냔 지적이 있는 편. 이런 점과 맞물려서, 미국판에서는 그야말로 '''변신/합체시에 애들이 진짜로 말이 많아졌다'''. 다시말해 뱅크신에다가 자기 이름+구호 외치고 끝인 일본판과 달리 뱅크신에서 대사를 치게 변경된 것. 물론 일본판(과 한국판)에 익숙한 시청자들은 저거 볼 경우 참 정신없을 것 같다(...). 이 긴 변신신 때문에 어떤 사람들은 '''완구 설명서 같은 거 볼 거 없이 본편의 변신신만 봐도 완구 변형방법을 모두 깨우칠 수 있다.'''라고 평하기도 한다.
디지몬 시리즈에 참여한 경력이 있는 제작진이 많이 참여하였기 때문인지 '디지몬 같다'는 평가도 들었지만, 로봇들의 디자인, 품질 높은 완구 등으로 호평도 받았다.
한국에서는 2008년 챔프에서 방영했는데 유니크론 트릴로지 중에서 유일하게 끝까지 방영되었다.[1] 그런데 등장 인물들의 이름을 이상하게 번역해서 '슈퍼 옵티머스 프라임 슈퍼 모드' 같은 괴상한 이름들이 나왔다.(...) 그리고 완구가 제대로 발매되지 않아 아쉬움을 샀다.[2] 그래도 이름이 저럴 뿐이지 전체적인 대사 번역 센스에는 크게 흠 잡을 만한 데가 없다. 개그콘서트의 유행어를 인용해 재미를 주기도 했고, 후반부에는 성우개그도 시전했다. 성우들의 연기력도 좋은 편이다. 특히 디셉티콘쪽은 그 개그스러움이 전혀 훼손되지 않았다(...). 연출은 곽영재 PD[3] 이 작품 뿐만 아니라 예전부터 옵티머스 프라임 역을 많이 맡아왔던 이정구는 훗날 같은 PD가 담당한 레스큐 봇에서도 옵티머스 프라임 역을 맡았다.
한국판 방영시의 영상은 일본판 기준이다. 그러나 명칭 번역시에는 일부는 북미판 이름,[4] 일부는 일본판 이름을[5] 썼으며, 아예 이름을 새롭게 지어버리거나 기존의 이름에서 일부를 지우고 써먹은 경우도 있다.[6] 그리고 북미판 이름을 쓴 모든 트랜스포머들은 이름 앞에 '슈퍼'나 '메가'를 붙였다. 아마 트랜스포머 실사영화를 의식하여 차별화를 위해 붙인 게 아닌가 싶다.
2.1. 갤럭시 포스
사이버트론은 일본에서 갤럭시 포스라는 이름으로 소개되었다. 원래 갤럭시 포스 애니메이션은 이전 시리즈와 이어지는 작품으로 기획되었지만, 어떤 이유에선지 변경되어 독립 세계관으로 떨어져나갔다.
그러나 갤럭시 포스 종영 후 타카라토미는 입장을 바꾸어 '갤럭시 포스는 슈퍼 링크의 10년 이후의 시점을 배경으로 한다'고 말했다. 그래도 스토리상 안 맞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 예를 들어 코비와 로리의 부모님이 트랜스포머의 존재를 믿지 않는 장면. 전작인 트랜스포머 에너존에서는 분명히 트랜스포머는 '''인류에게 공인된 존재'''였다. 여기선 지구가 두 개라도 되는건가...
일본판은 와카모토 노리오(!)를 비롯한 호화로운 성우진으로 호평을 받았다. 겐다 텟쇼, 하야미 쇼 등 초대 애니메이션에 출연했던 성우들 일부도 참여했다.
2.2. 등장인물
- 괄호 안의 이름은 일본판 이름이다.
- 괄호 안의 , 옆에는 한국판 이름으로 ,가 없으면 일본판와 동일하다.
세력, 행성 구분은 포스칩을 기준으로 한다.
2.2.1. 오토봇(사이버트론)
- 사이버트론(세이버트론)
- 총사령관 옵티머스 프라임(갤럭시 콘보이, 슈퍼 옵티머스 프라임)
- 부사령관 제트파이어(드레드록)
- 극지전투사 랜드마인(가드셸) - 비클 모드는 휠 로더.
- 중장항공관 윙 세이버(소닉 봄버, 울트라 제트)
- 전사/무장전사 핫 샷(엑실리온/엑시게이저)
- 기술자/고도기술사 레드 얼럿(퍼스트에이드/퍼스트 거너, 퍼스트에이드/울트라 퍼스트에이드) - 비클 모드는 퍼스트에이드가 SUV 구급차, 퍼스트 거너가 미사일 운반차.
- 기지경비원/기지방위관 스캐터샷(백팩/백길드) - 비클 모드는 둘 다 전차.[7]
- 환경보안원/수신 오버홀/레오브레이커(잭샷/라이거잭, 잭샷/메가 라이거)
- 벨로시트론(스피디아)
- 지구
- 기간티온(기가로니아)
- 기타
2.2.2. 디셉티콘(데스트론)
- 사이버트론(세이버트론)
- 벨로시트론(스피디아)
- 이륜기습병 랜색(가스켓) - 비클 모드는 스쿠터.
- 삼륜강습병 크럼플존/다크 크럼플존(랜드바렛/암바렛, 랜드블릿/다크블릿)
- 사륜공격병 더트 보스(인치 업)-후에 오토봇이 됨. 비클 모드는 몬스터 트럭.
- 애니머트론(애니머트로스)
- 기간티온(기가로니아)
- 메나졸(몰다이브)-후에 오토봇이 됨. 비클 모드는 이중 드릴 전차. 파트너 마이크론은 불불.
- 기타
- 암(闇)수신 네메시스 브레이커(다크 라이거잭, 다크 라이거)
2.2.3. 인간
2.2.4. 기타
- 창조신 프라이머스
2.3. 용어 및 설정
2.4. 주제가
2.4.1. 일본판
오프닝
- 1화 ~ 27화: Call you...너와 나의 미래
- 노래: 카키시마 신지(柿島伸次)
- 28화 ~ 52화: Ignition!
- 노래: CHINO
엔딩
- 1화 ~ 27화: 언제나
- 노래: 잇세이 토모카(いっせいともか)
- 28화 ~ 51화: Growing Up
- 노래: 카키시마 신지(柿島伸次)
2.4.2. 미국판
미국판 주제가의 경우는 '''트랜스포머의 전통이라 할 수 있는 바로 그 곡'''이며, 다른 버전들에 비해 꽤 많이 어레인지된 편으로 기계적 보컬과 일렉트릭 기타로 인해 사이버틱한 느낌이다.. 그리고 시작할 때 다음과 같은 내용의 나레이션이 나온다. 담당 성우는 옵티머스 프라임 역의 게리 척.
우리들의 세계가 위험에 처해 있다. 우리들의 세계와 우주를 구해내기 위해서는, 디셉티콘이 악한 일에 이용하기 전에 네 개의 사이버 플래닛 키들을 찾아내야 한다.
이것이 우리의 임무다!
핫 샷! 제트파이어! 벡터 프라임! 랜드마인! 스캐터샷! 옵티머스 프라임!
트랜스폼! 그리고 출동하라!
Our worlds are in danger. To save them and the galaxy we must find the four cyber planet keys, before the decepticons can used them for evil.
It is our mission!
Hotshot! Jetfire! Vector Prime! Landmine! Scattershot! Optimus Prime!
Transform, and roll out!
2.4.3. 한국판
한국판의 경우는 일본판의 2기 오프닝인 <Ignition!>을 번안했으며, 영상도 그대로 가져다 썼다. 보컬은 김주희. 다만 스토리 진행에 따라 영상이 계속 바뀌는 일판과는 달리 그냥 가장 마지막에 나온 영상[11] 을 사용했다.
엔딩곡의 경우는 일본판의 1기 오프닝 <Call you... 너와 나의 미래>를 번안해서 썼다. 다만 이쪽은 영상을 그대로 안 쓰고 여러장면 편집했는데 성의있게 잘 편집했다. 기존 영상에서 광고같은 것을 제거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더 신기한 것은 이런 사항을 모르고 보면 '''위화감이 별로 없다.''' 보컬은 이형석.
또한 한국판에서도 일본판 주제가가 그대로 나온 적이 있다. 1기 엔딩 <언제나>만 빼면 작품 중간에 주제가가 BGM으로 깔리는 장면은 그걸 무편집으로 내보냈고, 최종회인 52화의 엔딩곡은 번안버전 <Call you... 너와 나의 미래>가 아닌 일본 원어의 <Growing up>을 사용했다.
2.5. 회차 목록
2.6. 참고
일본판의 1, 2화는 편집에 의해 미국판 1화로 합쳐졌고,[12] 일본판의 3~52화는 미국판의 2~51화와 같다. 미국판의 52화는 편집하지 않은 일본판의 2화를 번외편 형식으로 방송했다.
참고로 미국판에서는 대사를 조금씩 손보거나,[13] 장면을 재배치하는 등 유니크론 트릴로지에 맞추려고 노력한 흔적이 돋보였다.
게다가 미국판 51화 후반부에서는 그간 나왔던 아마다와 에너존의 인간 동료들이 재등장하는 장면을 추가하기도 하였다!!! 국내판의 경우 일본판을 그대로 방영하였기에 이 추가장면이 당연히 안 나온다.
3. 코믹스
트랜스포머 컬렉터즈 클럽에 공개된 사이버트론 코믹스들. 기존의 캐릭터는 물론 네메시스 프라임을 비롯해 다른 차원에서 넘어온 캐릭터들 또한 등장한다.
- Balancing Act
- The Dark Heart of Sandokan
- Force of Habit
[1] 트랜스포머 아마다는 SBS에서 방영되었지만 전체 52화 중에서 39화(하필이면 옵티머스가 죽는 화)까지만 방영되었고 트랜스포머 에너존은 아예 방영되지 않았다.[2] 초기 발매 제품은 모두 발매되었으나 후기 발매 예정 제품군은 일부만 발매되고 대부분은 박스샷만 나오고 그쳤다. 그나마도 아예 발매 예정에조차 못들어간 제품이 수두룩하다.[3] 이후 트랜스포머: 레스큐 봇과 트랜스포머 프라임 비스트 헌터즈를 연출하였다.[4] 슈퍼 옵티머스 프라임(옵티머스 프라임/갤럭시 콘보이), 메가 스타스크림/서프림 스타스크림(스타스크림/서프림 스타스크림), 썬더크래커(한미일 세 시리즈 모두 동일하게 썬더크래커), 슈퍼 메트로 플렉스(메트로 플렉스/메가로 콘보이) 등.[5] 마스터 메가트론/마스터 갈바트론(메가트론/갈바트론), 가드쉘(랜드마인), 백샷/백길드(스캐터샷/디펜스 스캐터샷), 엑실리온/엑시게이저(핫샷/디펜스 핫샷), 퍼스트에이드(레드 얼럿), 오토랜더, 인치업, 크로미아, 블렌더, 몰다이브, 프라이머스 등.[6] 전자는 메가 라이거(라이거 잭/레오브레이커), 울트라 드래곤(플레임 콘보이/스커지), 울트라 제트(소닉 봄버/윙 세이버), 다크불릿(암드벌렛/다크 크럼플존)이 있고 후자는 니트로콘(니트로 콘보이/오버라이드), 라이브콘(라이브 콘보이/이백)이 있다.[7] 전차라는 모티브만 같고 세부사항은 완전히 다르다. 일단 일판 기준으로 백길드 쪽이 백팩보다 비클 모드의 덩치가 더 크며, 백팩은 장갑차+전차의 하이브리드 형태인 반면 백길드는 완전한 군용의 다연장 미사일 전차다.[8] 전자는 오토봇일때, 후자는 디셉티콘일때의 직위명.[9] 회차로 따지면 오토봇으로 있는 회차가 훨씬 많은데, 정작 완구는 디셉티콘 라인업에 포함되어 발매되었다.(...) 이는 사실 친구인 랜드마인(가드셸)과 완구 넘버링 번호를 맞추기 위해서이다. 실제로 작중에서는 진영 로고가 팔뚝에 있어 잘 보이지 않으며, 완구는 아예 진영 로고가 붙어있지 않다.[10] 정확히는 배거 288에 약간 어레인지를 가한 형태다.[11] 각 행성의 5대 사령관들의 모습이 제대로 나오고, 마스터 갈바트론과 소닉 콘보이가 나오는 그 버전.[12] 아마다와 에너존의 후속작이라는 설정이 된 만큼,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어진 부분을 싹 쳐냈다.[13] 사이버트론 행성이 프라이머스로 처음 변하는 화에서 벡터 프라임의 대사가 각 판마다 다르다. 일본판은 사신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존재라는 대사가 있었지만 미국판은 유니크론이 언급된다. 애초에 갤럭시 포스에서는 유니크론이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