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의 손자

 

'''현자의 손자'''
賢者の孫
Kenja no Mago

'''장르'''
이세계 전생, 판타지
'''작가'''
요시오카 츠요시
'''삽화가'''
키쿠치 세이지
'''번역가'''
최승원
'''출판사'''
[image] 엔터브레인카도카와
[image] 디앤씨미디어
'''레이블'''
[image] 패미통 문고
[image] L노벨
'''발매 기간'''
[image] 2015. 08. 29. ~ 발매 중
[image] 2017. 01. 10. ~ 발매 중
'''권수'''
[image] 13권 + 외전 2권, 스핀오프 1권
[image] 8권
1. 개요
2. 줄거리
3. 발매 현황
5. 설정
5.1. 국가
6. 비판
7. 미디어 믹스
7.1. 코믹스
7.2. 애니메이션
7.2.1. PV
7.2.2. 주제가
7.2.3. 회차 목록
7.2.4. 평가
8. 기타
9. 바깥 고리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이세계 전생·판타지 라이트 노벨. 작가는 요시오카 츠요시, 삽화가는 키쿠치 세이지.[1] 어느 날 사고로 죽은 청년이 마법이 있는 이세계로 환생해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2. 줄거리


사고로 죽었을 청년이 갓난아기의 모습으로 이세계에서 환생! 구국의 영웅 「현자」 마린 월포드에게 거둬진 그는 신이라는 이름을 받는다. 손자로서 마린의 기술을 흡수해가며 놀라운 힘을 얻게 된 신이었지만, 그가 열다섯 살이 되자 할아버지는 이렇게 말했다.

'''"상식을 가르치는 걸 깜빡했구만!"'''

이런 이유로 신은 상식과 친구를 얻기 위해 알스하이드 고등 마법학원에 입학하게 되는데─. 《규격 외》 소년의 파격적인 이세계 판타지 라이프, 여기서 개막!


3. 발매 현황


'''1권'''
'''2권'''
'''3권'''
[image]
[image]
[image]
'''상식 파괴의 신입생'''
'''전대미문의 신영웅'''
'''사상 최강의 마법사 집단'''
'''[image] 2015년 08월 29일
[image] 2017년 01월 10일'''
'''[image] 2015년 11월 29일
[image] 2017년 04월 10일'''
'''[image] 2016년 02월 29일
[image] 2017년 11월 10일'''

'''4권'''
'''5권'''
'''6권'''
[image]
[image]
[image]
'''천하무쌍의 마왕 강림'''
'''광란노도의 삼국 회담'''
'''위풍당당한 사도 탄생'''
'''[image] 2016년 07월 30일
[image] 2018년 03월 10일'''
'''[image] 2016년 11월 30일
[image] 2018년 11월 10일'''
'''[image] 2017년 03월 30일
[image] 2019년 04월 10일'''

'''7권'''
'''Extra Story'''
'''8권'''
[image]
[image]
[image]
'''호용 무쌍의 영웅 재림'''
'''전설의 영웅들의 탄생'''
'''유희연악의 영웅 탄생제'''
'''[image] 2017년 10월 30일
[image] 2019년 07월 10일'''
'''[image] 2017년 11월 30일
[image] 미정'''
'''[image] 2018년 03월 30일
[image] 2020년 08월 12일 '''

'''Extra Story 2'''
'''9권'''
'''SP'''
[image]
[image]
[image]
'''장자의 영웅'''
'''경천동지의 마인 습래'''
'''아가씨 분투기'''
'''[image] 2018년 07월 30일
[image] 미정 '''
'''[image] 2018년 12월 29일
[image] 미정'''
'''[image] 2019년 04월 30일
[image] 미정'''

'''10권'''
'''11권'''
'''12권'''
[image]
[image]
[image]
'''불요불굴의 마왕님'''
'''일기당천의 신영웅'''
'''합연기연한 동료들'''
'''[image] 2019년 06월 30일
[image] 미정'''
'''[image] 2019년 10월 30일
[image] 미정'''
'''[image] 2020년 03월 30일
[image] 미정'''

'''13권'''
'''14권 '''
''''''
[image]
[image]
[image]
''' '''
''' '''
''' '''
'''[image] 2020년 09월 30일
[image] 미정'''
'''[image] 2021년 03월 30일
[image] 미정'''
'''[image] 미정
[image] 미정'''
일본의 소설가가 되자에서 연재되다가 서적판이 패미통 문고 레이블로 2015년 8월 29일 발매됐다.
한국어판은 L노벨 레이블로 2017년 1월 10일 발매됐다. 번역가는 최승원.

4. 등장인물




5. 설정


  • 마력
이 세계의 어디에나 있는 존재. 공기나 다름없는 존재라 모든 동물과 사람이 무의식적으로 몸을 움직일 때 마력을 쓰고 있다. 오히려 마력을 사용할 수 없다면 생명 활동에 지장을 초래한다. 그래서 작은 불씨를 내거나 음료수를 만들어 내는 일 정도는 누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진공파를 만들어 내거나 하는 일은 그 이상의 마력 제어를 할 수 없으면 무리라고.
이 세계의 마법은 의지에 담긴 이미지를 통해서 마력을 제어하여 구축되는데, 기본적으로 이미지만 확실하다면 마법은 무영창으로 성립된다. 하지만, 제어할 수 있는 마력량이 부족하거나, 이미지가 확실하지 않다면 마법은 성립되지 않는데, 이 경우 영창을 통해서 이미지를 보다 확연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영창으로 본인의 마법실력을 상승시켜서 마법을 사용하는게 가능하다. 다만, 주인공은 영창을 엄청나게 쪽팔려 하는데, 일반 마법사들의 주문은 그야말로 중2병 주문의 절정을 달리기 때문. 그래도 신도 작중에서 본인의 이미지 만으로는 확립하지 못하는 특수한 주문에 한해서 영창을 사용했으며, 이 영창을 실험한 결과물은 밤하늘에 가득 찬 구름을 모조리 치워버리는 위력을 발휘했다고 한다.
  • 마석
세계의 마력이 어떤 영향을 받아 결정화된 존재. 즉, 마력 결정이라 할 수 있다. 신 월포드의 추측에 따르면 마력의 질을 변용시키지 않고 결정화하는 것으로 생성된다고 한다. 생성조건은 다량의 마력이 고온고압을 받을 것. 자연계에서는 화산이나 단층으로 고온고압을 받는 지역에서 다량의 마력이 오랜 세월 서서히 결정화하여 생성되며, 신은 본인의 마력 컨트롤로 마력을 고온고압으로 압축해서 생성할 수 있다.
동물들이 마력 조절에 문제가 생기면 마물이 된다. 소형, 중형[2], 대형, 재해급[3] 등으로 나뉜다. 작중에서는 일반적인 초식 동물들[4]도 슈트롬에 의해 거대화해서 재해급으로 분류된 적이 있다. 그 외에도 슈트롬의 실험에 의해 보통 개체들보다 거대해지고 강력한 초재해급 마물들[5]도 여럿 탄생했다.
참고로 일반 동물에 비해 마물에게서 채취한 소재는 마법부여에 있어 효과가 더 높게 부여된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증오, 질투 같은 어두운 감정이 일정 한도를 넘으면 마인이 된다. 마인이 되기 전 원래 갖고 있는 마력이 얼마나 되냐에 따라 마인이 된 후의 차이가 엄청난 모양이다. 카트의 경우 재해급보다 조금 세다고 했고, 카일 매클린은 마린과 막상막하의 실력을 자랑했던 사람답게 나라가 멸망할 정도의 마력을 자랑했다. 슈투름이 만든 양산형 마인들 같은 경우는 전직 군인이나 마물 헌터는 얼티메이트 매지션즈와 비등비등한 엄청난 실력을 자랑했지만, 평민들이 원판인 경우 재해급보다 약하고 대형 마물보다는 세다고 보여진다.[6] 다만, 정상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존재인 만큼, 생식능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확히는 마인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는 마인이 아니라 평범한 인간. 이 사실을 알게 된 슈트롬은 마인에게 미래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절망하여 세계를 부수려고 하고 있다. 인터넷 연재판에서 추가로 밝혀진 정보로는 상처를 입어도 자연치유에 맡길 수밖에 없다. 정확히는 시실리나 신의 이미지를 이용한 치유마법으로도 상처의 회복이 불가능.

5.1. 국가


  • 알스하이드 왕국
주인공과 히로인들이 살고 있는 나라. 귀족은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매우 바람직한 사상을 가졌지만 처음부터 그런 것은 아니었는지 국왕들이 몇 대에 걸쳐서 개혁 작업을 해왔다고.[7] 이 나라의 왕족이나 귀족은 영지 경영 따위로 수입은 많지만 국민이나 영민의 생활에 대해서의 책임이 매우 무겁다고.[8] 과로로 쓰러진 사람도 있다고 하니 말 다했다. 이런 이유로 귀족의 당주는 매우 힘들기 때문에 모두 되고 싶어하지 않아한다.[9] 노예제도 존재하지 않는다.
시실리의 아버지가 재무국의 관리관이듯이 이 나라의 귀족들은 각자 영지를 가지고 있지만 모두 왕도에 살고 있고, 관공서에서 근무하고 있다. 이유는 건국 당시, 건국 즈음에 공적이 있던 사람이 각지에 영지를 받아 귀족이 되었지만, 반란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의사 표시를 위해서 가족을 왕도에 살게 했다. 그리고 영지는 대관(관리)에게 맡기고, 자신은 국정의 요직을 맡아, 일년의 반 이상을 왕도에서 지내는 생활을 하게 되었다. 이것은 강제는 아니고 귀족들이 자주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 같다. 왕도에 가족을 살게 하지 않아도 죄는 아니지만, 다른 귀족의 비난이 강해진다고 한다. 이 시스템은 일본의 산킨코타이 제도와 상당히 유사하다.
교육 기관은 초등학원, 중등학원, 고등학원의 3종류가 있다. 말 그대로 초등학원은 초등학교, 중등학원은 중학교, 고등학원은 고등학교로 치면 된다. 6, 3, 3인 교육기간도 똑같은 모양이다. 보통은 중등학원까지 교육을 받지만 고등학원은 15살까지의 중등 교육이 끝난 사람 중에서 특히 우수했던 사람을 더욱 단련하기 위한 고등교육 기관이라고.[10] 학원은 실력주의기 때문에 귀족으로서의 힘을 휘두르지 못하게 철저히 막고 있다. 의무교육이 실시되고 있는지는 불명.
  • 구 블루스피어 제국=현 마인령
작중 등장하는 국가들 중에서 최대의 쓰레기 국가. 알스하이드 왕국과는 정 반대되는 컨셉의 국가로 귀족이 아닌 평민들은 인간대접도 못 받는 수준이다. 제도는 이 현상이 특히 더 심해서 같은 제국민조차 제도에 살지 않으면 멸시했다고 한다. 더구나 이런 성향을 교회가 더욱 부추기고 있었으니...[11] 작중에서는 블루스피어 제국, 알스하이드 왕국, 엘스 자유 상업 연합국, 이스 신성국 4개 나라를 묶어서 4대 대국이라고 불렀는데, 이따구 쓰레기 국가가 어떻게 대국이 됐는지... 헤럴드 폰 리치몬드가 황제가 된 경위와 더불어서 이 작품 최대의 수수께끼다. 오구의 추측으로는 "제국은 뿌리가 되는 나라가 정복 전쟁을 하면서 커진 나라인데, 패전국의 국민을 노예로 부리던 것이 시간이 갈수록 심해진 것 같다. 반란이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평민들은 어떤 교육도 받지 못해서 지혜도 힘도 없는 사람들이 반란을 성공시킬 수 있을리가 없다. 마물 헌터는 예외적으로 평민들이 힘을 가질 수 있는 몇 안되는 직업이지만 이상한 낌새가 보이면 가족들이 몰살당하기 때문에 꼼짝도 못했다"는 것이 제국이 이지경까지 썩어버린 원인이라는 것이다.
올리버 슈투름, 즉 올리베이라 폰 스트라디우스는 이런 현실을 개혁하려고 노력했지만 그를 질투한 귀족들의 음모로 임신한 아내가 비참하게 죽고 말았다. 이 원한으로 그나마 양식 있는 귀족이었던 올리베이라까지 완전히 타락해서 마인으로 각성, 영지민들을 모조리 몰살시켜버렸다. 그 뒤 알스하이드 왕국에 실험을 위해 들어왔다가 발각되어 빠져나온 뒤, 황제 헤럴드가 전쟁을 일으키도록 현혹해서 왕국 vs 제국 간 전쟁에서 제국군이 죽어나가는 사이 자신은 마물을 풀어 제도민들을 모두 죽이고, 간신히 돌아온 패잔병들과 헤럴드까지 죽였다. 그리고 제국의 각지에 있는 영지를 고립시켜 평민들을 굶겨죽이면서 영지를 빠져나오는 이들은 모두 죽였다. 그리고 굶어죽어가던 평민들의 원한을 귀족들에게 풀도록 하여 모든 귀족을 죽이고 남은 평민들은 마인으로 만들었다. 그렇게 블루스피어 제국은 완전히 망했다. 자세한 사항은 등장인물 문서의 올리버 슈투름 문단을 참고.
  • 스이드 왕국
알스하이드 왕국과 구 블루스피어 제국에 국경을 접한 국가. 제일 먼저 마인들의 습격을 받았지만 얼티메이트 매지션즈가 급행해서 도와준 덕분에 국가가 멸망하지 않고 살아났다.
  • 카난 왕국
이 사람보다 더 많은 국가. 그만큼 양고기의 소비가 많다. 마물화한 양들의 털과 이불, 의복 등 각종 가공품들을 파는 것이 주요 수입이다. 양모제품이 주요 수입이다보니 국가 양양가[12]란 사람들이 있으며, 마물화된 양을 잡을 수 있는 것은 이 사람들뿐이란다.
  • 쿠르드 왕국
곡물, 특히 보리의 대생산지. 식량 자급률 300%. 그 남아도는 곡물을 판매하는 것이 주요 국가 수입. 그 덕에 보리가 싸서 빵의 종류가 풍부하고 맛도 좋다. 세계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빵의 발상은 대부분 쿠르드 왕국에서 나왔다고. 옛날부터 비옥한 토지가 널렸는데 인력이 부족해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반강제로 제한되어있었다. 하지만 메리다가 트랙터와 콤바인을 개발해서 전 국토가 농경지가 됐다고 한다. 덕분에 예외적으로 마린보다 메리다가 더 인기 있다. 두 번째로 마인들의 습격을 받았지만 마침 얼티메이트 매지션즈가 나라를 순회 중이어서 역시 살았다.
  • 이스 신성국
이 세계에서 유일한 종교인 창신교의 총본산인 나라.[13] 교황 예카테리나가 통치하고 있으며 풀러 대주교라는 바보의 뻘짓[14]에 국가가 멸망할 뻔 했지만 신이 풀러를 사형시키는 것으로 봐줘서 국가가 존속하게 됐다. 담 왕국의 형님 격.[15]
이스라고 하는 것은 과거에 존재한 성직자의 이름이라고 하며, 수백 년 전에 평민을 괴롭히고 있던 제국 같은 나라가 있어, 압정에서 국민을 구하기 위해서 그 나라에서 분투했지만 최종적으로는 처형되었다. 그러나 이스의 처형 후 남겨진 국민들이 총궐기하여 그 나라를 전복시키고, 나중에 창립한 나라는 이스를 건국의 아버지로 추앙하여 창신교가 그 주도권을 잡고 창신교 교황이 국가원수가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덧붙여서 이스 신성국 성립 전에는 담 왕국이 창신교의 총본산 역할을 했었다. 때문에 담 왕국은 이스의 속국이나 마찬가지다. 마인령 공략 작전 최종 조정 회의에서 마키나 대주교가 담 왕국의 군 대장인 랄프 포트만을 랄프 군이라고 부르고, 랄프는 마키나를 마키나 님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이 관계가 잘 드러난다. 문제는 어느 세계나 그렇듯, 랄프 포트만이나 풀러처럼 종교의 힘을 믿고 날뛰는 놈들이 있다는 것.
  • 담 왕국
이스 신성국 성립 전에 담 왕국에 창신교 총 본산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 이스는 담 왕국의 정신적인 상위국이다. 창신교의 군 사령관이자 창신교의 광신자 랄프가 신의 '신의 사자', 시실리의 '성녀'란 이명에 "왜 창신교의 신자가 아닌 것들이 신의 사자, 성녀라고 불리냐. 반드시 그놈들보다 큰 공을 세워서 교황 예하가 성녀, 신의 사자란 이명을 재고하게 만들겠다"란 이유로 마인을 독단으로 습격한다는 뻘짓[16]에 차지하는 마인령을 공략해서 얻는 영토가 반으로 줄어버렸다. 그 책임을 지고 국왕이 아들에게 양위를 했지만 그 아들이 디세움, 예카테리나, 아론의 스승인 메리다에게 "평민인 주제에 국가원수를 셋이나 마음대로 부리다니! 암여우다!"란 말도 안 되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다, 총사령관인 히이로 카툰도 뭔가 말도 안 되는 계획을 꾸미고 있는 낌새가 나오고 있다. 마인 문제가 일단락 되면 뭔가 사고를 칠 것 같은 느낌이 매우 심하게 든다.
  • 엘스 자유 상업 연합국
돈이 최고라는 자본지상주의 국가. 아무리 자본지상주의라지만, 최소한의 도덕은 있는지 블루스피어 제국처럼 막장은 아니다. 오히려 상당히 안정적인 편에 속한다. 세계에서 유일한 공화제 국가로 왕족도 귀족도 없고 상인들이 권력을 쥐고 있으며 메리다의 제자인 아론 제니스가 대통령으로 있다. 마인령 공략 작전이 끝나면 그 부흥[17]을 엘스에 맡긴다는 연합군 참전 조건 덕분에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여러모로 미국이 모티브인 듯.
바다 너머에 다른 대륙도 있는 것 같지만 아직까진 다른 대륙이 있다는 사실만 언급됐다. 또한 만화판에서 그려진 지도에는 같은 대륙에 다른 나라들이 더 있는 것처럼 그려졌지만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단, 연재본에서도 '''국가 회담'''에 ''''모든 국가가 모인 것은 아니지만\''''이라고 언급되는 점을 고려하자.

6. 비판


지금까지 한국에 출판되었던 양판소 먼치킨 이고깽 소설의 '''레퍼토리와 클리셰는 모두 때려 박았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매우 전형적인 양판소 먼치킨, 이고깽물이다.'''
그 때문에 맛폰 타로, 데스마 지로와 함께 현자 사부로라는 멸칭으로 불린다. 어차피 개성도 없어서 밋밋한 주인공인데 이름 대충 부르는 게 낫지 않냐는 이유.
첫 번째 문제점으로는 정석이어도 너무 정석적으로 치우친 전개방식이다. 전형적인 악당에 소설책 권당 후반부를 보지도 않고 초반부~중반부만 봐도 적어도 '누구 때문에 나중에 이러한 일이 벌어진다'라고 예측이 가능하다.
두 번째는 긴장감이 없는 전개이다. 일단 주인공인 신 월포드가 어릴 적부터 전생의 기억을 지녔다는 것과 자신을 거둔 대마법사 멀린 월포드의 영재교육, 멀린 월포드의 미친 인맥을 통한 영재교육까지 합쳐져서 1권 초반부터 비교도 안 되는 능력을 지니게 된다. 이 때문에 밸런스가 심각하게 무너지는데 작중에서 주인공 일행 12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다 늙은 멀린, 메리다를 빼면 재해급에도 쩔쩔 맬 정도로 도대체가 싸움에 도움이 안 되며, 심지어는 적인 마인마저도 전체의 3분의 2가 주인공 일행한테 순살당할 수준이며 보스를 포함한 나머지도 신이 마음만 먹으면 일격에 처리가 가능하다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다. 말이 세계의 위기지 실제로는 땅이 황폐화되는 걸 막기 위해 힘을 아껴두는 상황이라 별로 긴장감이 없다.
그리고 작중에서 온갖 억지로 신을 띄워준다. 신은 현대의 물건을 만들어 판매해서 돈을 벌어들이는데 이게 구체적인 방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그냥 부여마법을 통한 능력의 부여로 가볍게 해결해버린다. 그런데 이것은 신의 재능도 뭣도 아니고 단순히 한자를 이용해서 부여에 필요한 글자수를 줄인 덕에 가능한 일이며, 나중에는 공방의 사람들에게 이런저런 기능을 넣어서 만들어달라고만 하고 본인은 제작에 일절 참여하지도 않는다. 그런데도 작중에서는 이걸 '신의 재능이 뛰어나다' 한 마디로 정리한다. 그리고 신을 제외한 다른 얼티메이트 매지션즈는 신이 준 마도구 덕분에 간신히 상급 마인과 방어전이 가능할 수준인데[18] 신은 혼자서 공격과 방어 전부가 가능하며 회복마법은 성녀인 시실리 이상이고 마음만 먹으면 마인 전원을 일격에 전멸시키는 게 가능하다. 이걸 보고 사람들이 신의 사자라고 부를 수준이니 말 다했다. 한마디로 이것저것 따져보면 설정을 잡으려고 하는 편인데, 이게 결국 다 '주인공 띄워주기'를 정당화하는데 소모되어버린다는 이야기다.
더구나 신은 생각이 너무 없는 게, 전생에 사회 생활을 한 회사원이고 전생해서 기억을 전부 가져갔음에도 불구하고 상식이 전혀 없다. 너무 상식이 없어서 물건 사고 팔 줄도 모를 지경. 게다가 주변 사람들이 벙쪄있는 것을 보고도 자신의 힘이 대단하다는 생각을 전혀 못 하고 게이트를 이용한 자신의 능력의 위험성도 생각하지 못 하며 자신의 마법의 파괴력을 보고도 이 정도는 누구나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그 정도가 아무나 가능하면 세상은 진작 멸망했다. 신이 그냥 처음부터 이세계에서 태어나 자란 것도 아니고, 분명히 지구에서 평범한 회사원으로 살다가 전생했고 그 기억도 고스란히 가지고 있는데 정작 누구나 알아챌 법한 상황에서도 눈치 없는 모습을 보인다.[19] 이런 식으로 신의 능력을 띄워줄 때는 온갖 핑계로 띄워주다가 능력을 제약해야할 때는 신을 바보로 만들면서까지 제약한다는 이상한 전개가 진행된다.
상기한 이유로 독자들은 주인공인 신에게 전혀 감정이입이 되지 않고, 오히려 적에 해당되는 올리버 슈투름과 마인들에게 공감이 가게 된다. 블루스피어 제국이 매우 악의 축으로 묘사된데다 슈투름을 포함한 마인들의 불쌍한 사연까지 공개되다보니까 이렇게 되는 것.
요약하자면 주인공을 너무 강하게 설정한 나머지 악당들의 위험도를 체감할 수가 없고, 따라서 자연히 마인들에게 공감이 간다는 것. 이것 때문에 '''주인공이 안 나와야 재밌다'''란 얘기까지 나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때문에 이 작품을 처음 접해본 사람들은 80년대 소설을 보는 거 같다거나 긴장감이 너무 없어서 재미없다는 혹평을 한다.

7. 미디어 믹스



7.1. 코믹스


'''1권'''
'''2권'''
'''3권'''
[image]
[image]
[image]
'''[image] 2016년 11월 26일
[image] 2018년 03월 10일'''
'''[image] 2017년 02월 26일
[image] 2018년 07월 10일'''
'''[image] 2017년 04월 25일
[image] 2018년 09월 10일'''
'''4권'''
'''5권'''
'''6권'''
[image]
[image]
[image]
'''[image] 2017년 07월 25일
[image] 2019년 04월 10일'''
'''[image] 2017년 10월 24일
[image] 2019년 08월 10일'''
'''[image] 2018년 02월 02일
[image] 2020년 03월 10일'''
'''7권'''
'''8권'''
'''9권'''
[image]
[image]
[image]
'''[image] 2018년 07월 03일
[image] 2020년 06월 10일 '''
'''[image] 2018년 10월 04일
[image] 2021년 03월 10일'''
'''[image] 2018년 12월 29일
[image] 미정'''
'''10권'''
'''11권'''
'''12권'''
[image]
[image]
[image]
'''[image] 2019년 03월 29일
[image] 미정'''
'''[image] 2019년 04월 25일
[image] 미정'''
'''[image] 2019년 09월 10일
[image] 미정'''
'''13권'''
'''14권'''
'''15권'''
[image]
[image]
[image]
'''[image] 2020년 02월 04일
[image] 미정'''
'''[image] 2020년 07월 10일
[image] 미정'''
'''[image] 2020년 10월 10일
[image] 미정'''
'''16권'''
'''17권'''
'''18권'''
[image]
[image]
[image]
'''[image] 2021년 02월 10일
[image] 미정'''
'''[image] 미정
[image] 미정'''
'''[image] 미정
[image] 미정'''
카도카와 코믹스 · 에이스에서 연재되고 있다. 작화는 오가타 슌스케[20][21]가 맡았다. 기존 소설의 비판점을 다듬고 내용을 변형한 흔적이 보인다. 예를 들어 적인 마인들의 능력을 좀 더 부각시켜서 풀러 대주교가 납치를 시도한 게 마인들의 부추김에 의한 것이라거나 하는 식으로 바꾸었다.

''' Extra Stroy'''
'''Extra Stroy 2'''
'''Extra Story 3'''
[image]
[image]
[image]
'''[image] 2019년 03월 30일
[image] 미정'''
'''[image] 2020년 02월 04일
[image] 미정'''
'''[image] 2020년 10월 10일
[image] 미정'''
외전 Extra Story의 코믹스가 연재 중이다. 작가는 시미즈 케이스케.

''' 현자의 손자 SP'''
'''현자의 손자 SP2'''
''''''
[image]
[image]
[image]
'''[image] 2020년 02월 04일
[image] 미정'''
'''[image] 2020년 10월 10일
[image] 미정'''
'''[image] 미정
[image] 미정'''
스핀오프 현자의 손자 SP의 코믹스가 연재 중이다. 작가는 니시자와 슈우지.

7.2. 애니메이션


'''현자의 손자'''
賢者の孫

작품 정보 ▼
'''원작'''
요시오카 츠요시(吉岡 剛)
'''캐릭터 원안'''
키쿠치 세이지(菊池政治)
오가타 슌스케(緒方俊輔)
'''감독'''
타무라 마사후미(田村正文)[28]
'''시리즈 구성'''
타카하시 타츠야
'''캐릭터 디자인'''
사와이리 유키(澤入祐樹)[29]
'''총 작화감독'''
'''메인 애니메이터'''
이토 코지
요네다 마사루(米田 紘)
'''몬스터 디자인'''
아오키 신페이(青木慎平)
'''마법진 디자인'''
오오타 미야코(太田 都)
'''미술 감독'''
미야케 마사카즈(三宅昌和)
'''미술 설정'''
미야케 사오리(三宅早織)
카미가키 유키코(上垣由起子)
'''색채 설계'''
시게토미 에리(重冨英里)
'''촬영 감독'''
사토 아츠시(佐藤 敦)
'''3D 감독'''
오가사와라 츠토무(小笠原 努)
'''편집'''
타기가와 미치(瀧川三智)
'''음향 감독'''
츠치야 마사노리(土屋雅紀)
'''음향 효과'''
카와다 키요타카(川田清貴)
'''음향 제작'''
글로비전(グロービジョン)
'''음악'''
오오타니 코우(大谷 幸)
'''음악 제작'''
에이벡스 픽처스
'''애니메이션 제작'''
SILVER LINK.
'''제작'''
현자의 손자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19. 04. 10. ~ 2019. 06. 26.
'''방송국'''
[image] AT-X / (수) 23:30
[image] 애니맥스 코리아 / (토) 00:30
'''편당 방영 시간'''
24분
'''화수'''
12화
'''국내 심의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언어, 주제)
'''관련 사이트'''
,
}}}
2018년 9월 20일 TV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반응은 충공깽. # 그런데, 잘 살펴보면 사실 출판사인 패미통 문고에서 출판하는 판타지 라이트 노벨 중엔 애니화할 만한 게 이것 외엔 없는 것도 사실이다. 대부분 애니화하기에는 출판분량이 너무 짧거나 인기가 모자라는 식으로, 이세계는 스마트폰과 함께를 애니화한 HJ문고[22] 데스마치에서 시작되는 이세계 광상곡을 선택한 후지미 판타지아 문고도 이와 비슷한 상황[23]이었던 걸 생각하면, 제작사 입장에서는 무난한 선택이라고 볼 수 있다.
PV 공개된 뒤의 반응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의외로 고퀄이라며 놀랐단 반응도 종종 보인다. 허나 액션씬에서 작붕이 벌써부터 보인다.
2019년 4월부터 6월까지 총 1쿨로 방영되었다.

7.2.1. PV



티저 PV

메인 PV
애니맥스 PV

7.2.2. 주제가


  • 오프닝 테마 Ultimate☆Magic(アルティメット☆MAGIC)

  • 작사: 히로세 유키(廣瀬祐輝), 카네코 마유미(金子麻友美)
  • 작곡: 히로세 유키
  • 편곡: 쿠시타 마인(久下真音)
  • 노래: i☆Ris
오프닝인데도 영상에서는 엔딩 같은 분위기가 풀풀 풍기는 게 특징이다. 그나마 3화에서 사용된 오프닝부터는 영상에 나오는 가사 이외의 모든 자막에 효과를 부여하면서 조금이나마 오프닝 같은 분위기로 바뀌었다.
다만 국내 방영판 오프닝에서는 초반에 타이틀이 나오는 장면에 화면처리가 조금 어색해서, 메리다와 멀린의 손을 잘 보면 어설프가 편집한 티가 나며, 신이 손을 벌리는 장면[24]이 생뚱맞게 보인다.
  • 가사[25]:
    [ 펼치기 · 접기 ]
    일본어
    해석
    '''ぶっ飛ばせ常識を
    未知の世界へ行こう

    目を開けたら 広がるBrand New World
    冒険も 挑戦も
    自分次第です
    見たことない色の世界なら
    大胆に 斬新に
    塗り替えてみよう
    (Nothing) 何もしないよりも
    (Trying) 何かやらかしちゃえ!
    イメージは (Make it!)
    明確に (Do it!)
    答えは近くにある
    ハチャメチャなMAGICでいいじゃない
    規格外だって問題ないさ (Did I do something wrong?)
    やらかしたらとりま sorry! (I’m sorry)
    君に本気(マジ)でいいじゃない
    とびきりの笑顔が見たい (Yes!)
    正解なんて作ればいいだけさ (いつだってそう)
    究極の未体験みせてあげるずっと'''

    気が付いたら 惹かれ合うPure Heart
    運命も 共鳴も
    感じちゃうよね
    描いていた未来より現実(いま)は
    幻想も 想像も
    超えるリアリティー
    (Crying) 落ち込んだら次は
    (Smiling) 笑顔が待っている
    法則は (Run it!)
    ひとつじゃない (Go it!)
    不確定なエネルギー
    デタラメなMAGICでいいじゃない
    奇想天外は想定内さ (Did I do something wrong?)
    やりすぎてもとりまsorry! (I’m sorry!)
    いつも本気(マジ)でいいじゃない
    輝いてる姿見せてよ (Yes!)
    解釈なんてきっと自由だから (なんだってそう)
    限界な不完全それは可能性さ

    想像も閃きも 常識さえも
    やってみなきゃわからない
    転んだ数だけ 生まれるアルゴリズムから
    君だけの魔法 見つけよう

    ハチャメチャなMAGICでいいじゃない
    規格外だって問題ないさ (Did I do something wrong?)
    やらかしたらとりま sorry! (I’m sorry)
    君に本気(マジ)でいいじゃない
    とびきりの笑顔が見たい (Yes!)
    正解なんて作ればいいだけさ (いつだってそう)
    究極の未体験みせてあげるずっと

    '''I use magic for you
    I always need your magic
    I use magic forever'''

    '''날려버려 상식을
    미지의 세계로 가자

    눈을 뜨면 펼쳐지는 Brand New World
    모험도 도전도
    내 나름이에요
    본 적 없는 색의 세계라면
    대담하게 참신하게
    다시 칠해봐요
    (Nothing) 아무것도 하지 않기 보다는
    (Trying) 뭐라도 저질러버리자!
    이미지는 (Make it!)
    명확하게 (Do it!)
    해답은 가까이에 있어
    엉망진창인 MAGIC으로 괜찮잖아
    규격외라도 문제 없잖아 (Did I do something wrong?)
    저질러버렸다면 일단 뭐... sorry! (I’m sorry)
    너에게 진심이더라도 괜찮잖아
    특출난 미소가 보고 싶어 (Yes!)
    정답 같은 건 만들면 될 뿐인걸 (언제나 그래)
    궁극의 미체험 보여줄게, 계속'''

    정신차려보면 서로 끌리는 Pure Heart
    운명도 공명도
    느껴버리는걸
    그려뒀던 미래보다 현실(지금)은
    환상도 상상도
    넘어가는 Reality
    (Crying) 좌절했으면 다음은
    (Smiling) 미소가 기다려
    법칙은 (Run it!)
    하나가 아냐 (Go it!)
    확정되지 않은 에너지
    터무니 없는 MAGIC으로 괜찮잖아
    기상천외라고 상정했으니까 (Did I do something wrong?)
    너무 저질러버렸으면 일단 뭐… sorry! (I'm sorry!)
    언제나 진심이더라도 괜찮잖아
    빛나는 모습 보여줘 (Yes!)
    해석같은 건 분명 자유니까 (뭐든지 그래)
    한계라는 불완전, 그건 가능성이야

    상상도 영감도 상식조차도
    해보지 않으면 몰라
    넘어진 횟수만큼 태어나는 알고리즘에서
    너만의 마법, 찾아보자

    엉망진창인 MAGIC으로 괜찮잖아
    규격외라도 문제 없잖아 (Did I do something wrong?)
    저질러버렸다면 일단 뭐... sorry! (I’m sorry)
    너에게 진심이더라도 괜찮잖아
    특출난 미소가 보고 싶어 (Yes!)
    정답 같은 건 만들면 될 뿐인걸 (언제나 그래)
    궁극의 미체험 보여줄게, 계속

    '''I use magic for you
    I always need your magic
    I use magic forever'''


}}}
  • 엔딩 테마 압도적 Vivid Days(圧倒的 Vivid Days)

  • 작사: 오다 아스카
  • 작곡: 토마루 료타(都丸椋太)
  • 노래: 요시 나나미(吉七味。)
6화 엔딩은 3D 모델링을 사용한 MMD 계통의 영상으로 되어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해당 아티스트는 버츄얼 유튜버이기 때문. 7화에서는 엔딩 영상이 따로 없고, 본편 끝날 때 엔딩곡을 삽입곡 삼아서 흘려보낸 걸로 처리했다.

7.2.3. 회차 목록


'''회차'''
'''제목'''[26]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世間知らず、王都に立つ
세상 물정 모른 채 왕도에 왔다

타카하시 타츠야
타무라 마사후미
(田村正文)

사토 카오리
(佐藤香織)
미즈사키 켄타
(水崎健太)

日: 2019.04.10.
韓: 2019.04.13.

하이라이트
제2화
常識破りの新入生
상식을 깨는 신입생

이마다 아카네
(今田 茜)
후나코시 마유미
(船越麻友美)
코토부키 무로우
(寿 夢龍)
모리모토 아키에
(森本明慧)

日: 2019.04.17.
韓: 2019.04.20.

하이라이트
제3화
緊急事態発生!
긴급사태 발생!

잣파 고
타무라 마사후미
호리우치 유야
(ほりうちゆうや)

사토 카오리
혼다 소이치
(本田創一)
시게쿠니 히로코
(重国浩子)
후나코시 마유미
미즈사키 켄타

日: 2019.04.24.
韓: 2019.04.27.

하이라이트
제4화
黒幕の名は
흑막의 이름은

후쿠다 준
(福田 潤)

고미 신스케
(五味伸介)

사와이리 유키
사토 카오리
미즈사키 켄타
후나코시 마유미
히사마츠 사키
(久松沙紀)
아오키 마리코
(青木真理子)
마츠우라 사토미
(松浦里美)

日: 2019.05.01.
韓: 2019.05.04.

하이라이트
제5화
破天荒な新英雄
파천황 신영웅

니시타 마사요시
(西田正義)

이베 유시
(伊部勇志)

이마다 아카네
코토부키 무로우
히사마츠 사키
나가이 리나
(永井里奈)
아키타 히데토
(秋田英人)
마에하라 카오루
(前原 薫)

日: 2019.05.08.
韓: 2019.05.11.

하이라이트
제6화
開戦と合同訓練
개전과 합동훈련

와타나베 신이치
타무라 마사후미
이베 유시

사토 카오리
사와이리 유키
후나코시 마유미
미즈사키 켄타

日: 2019.05.15.
韓: 2019.05.18.

하이라이트
제7화
合宿に行こう!
합숙에 가자!

타카하시 타츠야
타무라 마사후미
이베 유시
사토 카오리
미즈사키 켄타
이마다 아카네
이노우에 미카
(井上美香)
타무라 마사후미

日: 2019.05.22.
韓: 2019.05.25.

하이라이트
제8화
星空の誓い
밤하늘의 서약

카와무라 켄이치
타무라 마사후미
미즈사키 켄타
히사마츠 사키
시게쿠니 히로코
우에니시 마야
(上西麻耶)
사토 카오리
사와이리 유키
타무라 마사후미

日: 2019.05.29.
韓: 2019.06.01.

하이라이트
제9화
孫と魔道具と婚約披露
손자와 마도구와 약혼발표

잣파 고
니시타 마사요시
타무라 마사후미

호리우치 유야
사와이리 유키
사토 카오리
이마다 아카네
미즈사키 켄타
야마모토 츠키호
(山本月穂)
타무라 마사후미

日: 2019.06.05.
韓: 2019.06.08.

하이라이트
제10화
滅亡する帝国
멸망하는 제국

니시타 마사요시
고미 신스케
사와이리 유키
고미 신스케
사토 카오리
미즈사키 켄타
히사마츠 사키
타카노 나오
(髙野菜央)
시게쿠니 히로코
타무라 마사후미

日: 2019.06.12.
韓: 2019.06.15.

하이라이트
제11화
史上最強の魔法師集団
사상 최강의 마법사 집단

타카하시 타츠야
니시타 마사요시
타무라 마사후미

이베 유시
사토 카오리
미즈사키 켄타
히사마츠 사키
마에지마 히로시
(前嶋弘史)
키노시타 유미코
(木下由美子)
타카노 나오
야마모토 츠키호
김정남
(金正男)
쿠도 코세이
(工藤公聖)
타무라 마사후미

日: 2019.06.19.
韓: 2019.06.22.

하이라이트
제12화
そして、世界へ…
그리고 세계로 ...

타무라 마사후미
미즈사키 켄타
히사마츠 사키
사토 카오리
야마모토 츠키호
타카노 나오
타무라 마사후미

日: 2019.06.26.
韓: 2019.06.29.

하이라이트

7.2.4. 평가


너무나도 전형적이고 틀에 박힌 이세계물이기에 나오자마자 저평가를 받고 있다. 단, 이 작품이 처음 나올 때만 해도 그리 큰 문제는 아니였다, 애니화가 이세계물 클리셰 문제점 이후 진행된 점도 한 몫. 같은 클리셰덩어리 이세계물이라고 해도 최근에 제작되고 있는 건 흥미로운 주제를 하나씩이나 캐릭터 하나로 밀고 가는 경향이 있었으나 이 작품은 매력적인 캐릭터나 매력적인 특징 하나없는 무미건조한 양산형의 느낌이 강하다.
방송한 내용만 보면 '''[ 악당이 등장 > [[소드 아트 온라인/비판|신이 몇번 부딪혀 싸워본 뒤 쉽게 이긴다]]. > 조연들이 어떻게 한 거냐며 물어본다 > 신은 별 거 아닌 거라고 설명한다 > 모두 신을 칭송한다.]''' 이 라인만 반복하고 있다.
BGM 처리도 문제다. 3화 마지막에서 병사들이 새로운 영웅 탄생이라며 신의 이름을 부르는데 상황과 맞지 않게 심각한 BGM이 나오고 있다.
원작 라노벨 자체가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작품이다보니 미디어 평가도 마찬가지로 좋지 못하다.
다만 그것과는 별개로 데스마치이세계 스마트폰과는 달리 액션신은 상당히 공을 들여서 만들어낸 티가 보이며, OP나 ED는 고평가받고 있다. 3화에서 오프닝에 나오는 스탭롤 연출이 조금 변경되었는데, 초반에 옛날 RPG 게임을 흉내낸 부분 한정으로 텍스트 폰트가 RPG 게임용 폰트인 건 덤. 6화 엔딩은 순수하게 3D 모델링으로 만들어진 영상.
1화는 오프닝만 나오며, 2화는 엔딩만 나온다. 둘 다 나오는건 3화 이후가 될 것으로 추정. 또한 제작진들이 가공의 문자 만들기가 힘든 건지, 숫자는 거울대칭으로 만들어놨고, 글자는 알파벳을 살짝 꼬아놓은 게 전부다. 당연히 단어는 영어…이기는 하지만, 부여마법이나 일반 단어는 영어 단어를 쓰고 있는데, 마법진에 사용되는 문자는 일본어의 라틴어 표기법이다(...). 예를 들어서 A파트와 B파트가 교체되는 아이캐치 부분의 마법진 문자는 A파트 끝 부분에서는 "A파트 수고했습니다(A PART OTUKARESAMADESITA)", B파트 시작 부분에서는 "B파트 시작한다고(B PART HAJIMARUYO!)"라고 써 있다.
캐릭터 원안을 담당한 게 원작 일러스트레이터와 코믹스 작가인 덕분에, 원작에 얼굴이 나오지 않은 캐릭터는 전부 코믹스판의 이미지를 기준으로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2화에 나오는 왕립 고등마법학교 접수원과 교사들.
매 화의 엔드 카드 대신 나오는 영상은 그 에피소드의 한 장면을 일부나마 마개조한 MAD 영상이다. 기본적으로는 그 에피소드의 특정 장면에, 신스틸러가 될 행동을 한 캐릭터를 합성으로 끼워넣는 방식.
5화에 죠죠서기가 나왔다.
8화에는 클로드 영지의 온천 에피소드일 텐데, 리텐하임 리조트편에 속하는 해변 에피소드 - 매직 배구(에어볼) - 가 뒤섞였다.
11화는 코믹스 기준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나[27] 미리아제스트가 스이드 왕국 공격에 같이하며 이걸 올리버 슈트름이 '''자신에게는 말 없이 이런 재미있는 일을 꾸민다'''며 스이드 왕국 인근 공중에서 지켜보는 내용은 애니메이션에만 등장한다. 정황상 1쿨로 끝내야 해서 급전개 및 오리지널 전개를 섞는 듯. 다만 12화에서는 슈트롬은 결국 지켜보기만 하고 떠났으며 코믹스대로 마인들을 물리치고 각국의 동맹서한의 전달을 위해 각국을 돌아다니는 원작 에피소드로 돌아갔다. 2기의 여지를 남겨두되 스토리적으로는 깔끔하게 스이드 왕국편으로 1기를 종료했다.
판매량은 890장. 그냥 망했다.

8. 기타


  • 소설가가 되자에 올려진 이 작품 작화의 업로드 속도가 굉장히 느리기로 유명하다. 최저 2달은 기다려야 한다.
  • 초판 한정으로 1권 표지랑 같은 일러스트가 새겨진 카드지갑을 동봉하였다.
  • 2017년 4월 10일에 나온 정발본 2권의 H를 연상시키는 일러스트 한 장이 삭제되었다.
  • 2019년 3월 25일, 포항 북구 모 중학교에서 3학년 학생이 오전 도덕 교육 시간때 몰래보다가, 해당 시간 교사한테 꾸지람을 받고 창피받아 다음 교시에 갑자기 옥상으로 올라가 자살한 사건이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2019년 포항 중학생 자살 사건 문서를 참고할 것.

9. 바깥 고리



[1] GIGA의 에로게 시리즈인 팀 발드해드의 BALDR 시리즈 중 <발드 포스>부터 <마테리얼 브레이브>까지의 작품의 원화와 라이트 노벨 <마요치키!>, <창구의 라피스 라줄리> 삽화 담당이다.[2] 양 등이 있음.[3] 호랑이, 사자, 곰, 늑대(처음에는 중형이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서 재해급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지능이 높아서 상당히 골치 아프다).[4] 사슴, 코뿔소 등.[5] 작중 등장한 종으로는 늑대, 악어, 코뿔소, 사슴.[6] 다만 평민 출신의 마인 같은 경우에는 주인공 일행들이 일격필살로 처리해버리니 실력 추정이 힘들다.[7] 203화에서 밝혀진 바로는, 몇대 전의 왕이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고 선포했었다고 한다. 당연히 귀족들의 반발이 존재했으나 이 왕은 엄청난 마법실력을 지니고 있어서 실력으로 그 반발을 눌러버렸다고. 신이 이 이야기를 듣고는 에이 설마... 하며 뭔가 감을 잡은 직후, 다른 일화를 물어봤다가 쌀을 엄청나게 찾아다녔다라는 일화를 듣고는 이 세계 전생자 진짜 많잖아!라고 태클걸었다.[8] 영지 경영 상태의 사찰도 있는데 만약 부조리한 증세 따위로 백성을 괴롭히고 있으면 영지 몰수, 작위 박탈에 형벌이 내린다.[9] 시실리의 오빠 로이스가 차기 당주로 결정되자 형제나 사촌들이 환호성을 질렀다고 한다.[10] 마법학원, 경제에 대해서 배우는 경법학원, 기사학원 세 종류가 있다. 졸업한 후에 나라를 위해 몇 년간 봉사해야 된다는 등의 의무 조항이 없는 굉장히 자유로운 분위기. 기사학원, 마법학원 학생 간의 사이가 매우 나쁘다. 기사학원은 당연히 몸을 단련하는 것이 메인이라서 마법이 젬병이고, 마법학원은 당연히 반대다. 이 때문에 기사학원생은 마법학원생을 콩나물이라고 하고, 마법학원생은 기사학원생을 근육뇌라고 헐뜯는다고. 물론 토니나, 율리우스 등 몇몇 예외는 있지만...[11] "우리들은 신의 자식이며, 신은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행동을 솔직하게 보고하고 교회에 기부하면 그 행동은 모두 용서된다" 같은 터무니 없는 것을 가르치고 있었다. 어떤 나쁜 일을 해도, 솔직히 말하고 돈만 바치면 용서받는다는 것. 그 때문에 귀족들은 자신의 행동은 무엇을 해도 신에게 용서되는 행위라고 착각하고, 평민들에게 무엇을 해도 좋다고 생각하게 되어 버렸다. 그리고 그 액수는 교회 관계자가 멋대로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귀족과 극도의 유착관계를 맺고 있었다.[12] 말 그대로 양치기. 하지만 평범한 양치기의 이미지와는 동떨어져 있는 강력한 전사들인데, 언제 마물화한 양을 때려잡아야 할 상황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 사실 실제 양치기들도 맹수로부터 양을 지키기 위해 높은 전투력을 필요로 하긴 했지만.....[13] 창신교는 이 세계를 만들었다고 여겨지는 창조신을 숭배하는 종교로, 선행을 베풀면, 죽은 뒤 창조신 아래에 갈 수 있다는 종교다. 덧붙여서 신의 이름은 없다. 어느 나라나 도시에도 교회가 있어, 관혼상제를 도맡고 있다.[14] 마인령 공략작전의 큰 틀을 짜는 삼국회담에서 자신의 노리개로 삼겠다고 시실리를 납치하려고 했다. 보통 납치도 문제인데 세계의 명운을 결정하는 중요한 회의에서 타국의 요인을 납치 시도? 정신이 있는 놈인가?[15] 이스 신성국 성립 전에 담 왕국에 총 본산이 있었기 때문에, 현재 이스는 담 왕국의 정신적인 상위국이다.[16] 3마리가 달아나서 알스하이드 왕국이 위험에 처하게 됐다.[17] 생산시설, 거주 시설, 기타 등등.[18] 게다가 11대 5로 수적으로도 우세한 상황이었다. 이유는 신과 달리 이들은 마도구에 마력을 주입해 방어함과 동시에 공격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19] 이는 어디까지나 초반에만 해당되는 부분이다. 신은 판타지 세계에 왔지만 그 세계 최강 현자인 할아버지 밑에서 수련을 했었고 집을 떠나기 전까진 할아버지가 그렇게 대단한 인물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그렇기에 이세계의 상식을 전혀 모르는 상태였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일인 것이다. 이후에 생각보다 다른 사람들의 수준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게된다.[20] 대표작 중에서는 콥스파티 Another Child가 있다. 오가타 슌스케의 특유 그림체와 연출이 비슷하여 알아보기 쉽다.[21] 그래서인지 11화에서 좀 고어한 연출이 나오기도 했다.[22] 실제로 이 작품 제작 당시 인기 좀 있는 작품들은 대부분 1~2권 출판 상태였고 4권 이상의 작품은 문제가 좀 많았는데 후속으로 고른 작품의 퀄리티와, 다른 작품의 수준이 후속작보다 조금 나은 정도였다는 것(똑같은 피바다 살인귀들이 나오는 작품이 꽤 됐었다)을 생각하면 첫 선택이 무난했던 편(...).[23] 단 이쪽은 좀 미묘하긴 한데, 쓸만한 작품은 대부분 애저녁에 애니화가 되었기에 인기있던 애니화 작품의 후속작을 내놓는다는 선택지도 있었다. 그럼에도 신규 작품 홍보를 위해 애니화를 진행하다 보니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이것밖에 없었던 것.[24] 일본판에서는 이 장면에서 앞의 단어(현자의)보다 작게 되어 있던 손자가 커지면서 현자의가 작아지는 장면이 나온다.[25] 볼드체가 TVA 사이즈.[26] 국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7] 신이 만든 방어마도구를 마인이 가로채서 쓰는 장면부터, 이걸 마리아와 오그가 해결하는 장면은 코믹스에 나오는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