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국

 

1. 開國
1.2.1. 개요
1.2.2. 서기와의 환산 방법
2. 開局
3. 蓋國
3.1. 개요
3.2. 같이보기


1. 開國


나라를 엶, 즉 나라를 세운다는 뜻으로, 건국(建國)과 같은 뜻이다.
쇄국의 반대말이기도 하다.

1.1. 신라 진흥왕 때의 연호


'''신라의 연호'''
건원
建元
(536 ~ 550)

'''개국'''
開國
(551 ~ 568)

대창
大昌
(568 ~ 572)
이전에 법흥왕 때부터 사용한 건원에 이어 551년부터, 대창(大昌)으로 연호를 바꾼 568년까지 사용했다.
551년은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이 한창 진행되던 시점으로, 경상도 지역 국가이던 신라가 한반도 중부를 차지해 삼국시대 후반부의 주도권을 쥐기 시작하는 시기라는 점에서 개국이라는 의미의 연호를 채택한 것으로 보이며, 혹은 진흥왕이 고작 7살의 나이로 즉위했고 재위 초기에 지소태후섭정이 있었다는 점에 착안해서 진흥왕이 10대 후반이 되는 551년부터 친정이 시작되었기에 이런 연호를 채택하지 않았나라고 추정하는 설도 있다.
그러나 반면 태후의 섭정은 즉위 초기에만 한정됐고 이미 친정을 시작한 상태였다고 보기도 한다. 원사료 삼국사기금석문이나 섭정의 끝이 언제인지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기 때문이다.

1.2. 조선 고종 때의 기년법


'''고종'''
'''光緒'''}}}
'''광서''']][1]
{{{-2 1895~1896

개국}}}1895~1896'''

'''建陽'''}}}
'''건양''']]
{{{-2 1896~1897

1.2.1. 개요


조선 고종 연간에 청나라에 대한 사대관계를 청산하고 갑오개혁을 진행하면서 기존의 중국 연호 광서를 버리고, 그 의미가 심플하게도(...) 조선 왕조가 개창된 해인 서기 1392년을 원년으로 하는 개국기원을 도입하였고, 서기 1894년(개국 503년)부터 전면적으로 사용하였다.
즉, 사실 개국기원은 '''동양의 전통적인 방식의 연호와는 다르고, 엄밀히 말하면 기년법의 일종'''이다. 둘 다 큰 틀에서 기년법이라는 점이 공통적이긴 하되, 전통적인 연호는 해당 연호를 제정한 임금 때에만 쓰고 그 임금이 다른 연호로 바꾸거나[2] 아예 사망, 퇴위한 이후에는 원칙적으로 쓸 수 없지만 개국기원은 언제나 사용해도 된다.[3] 즉, 서력기원예수의 탄생으로 여겨지는 시점[4]을 기점으로 잡아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연도를 표기할 수 있듯이. 개국기원을 사용하면 역시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연도를 표기할 수 있다. 이에 조선에서도 중국식 연호를 버리고 신식 기년법을 사용하고자 하였으나, 그리스도교에서 유래한 서력기원유교 사상이 강하던 조선에서 사용하는데 아무래도 거부감이 있었으므로, 그 대체재로 등장한 것이 개국기원이다.
더구나 사실 '''개국기원을 1894년 처음 사용한 것도 아니고, 이전에도 사용되었음'''이 문헌을 통하여 확인된다. 당장 1876년에도 “대조선개국 485년”이라고 표기된 서한을 일본에 보낸 사실이 있고, 이때 이후로도 청나라를 제외한 외국을 상대로 한 외교문서에는 개국기원을 사용하여 연도를 표기하여 왔다. 1894년부터 개국기원을 썼다는 말은, 같은 해 7월 군국기무처에서 모든 공문서에 개국기원을 쓰자는 의안을 상신하고 고종이 이를 윤허하면서 본격적으로 중앙과 지방의 공문서에서 일제히 개국기원을 쓰기 시작하였다는 것일 뿐이고, 건양이나 광무와 같은 일세일원 방식의 중국식 연호를 도입하여 칭원하면서 이를 선포하거나 기념하는 성대한 의식을 치른 사실도 없다. 개국기원의 전면적인 도입은 청나라 연호를 버린다는 의미가 컸던 행정적 조치이자, 예전부터 자체적으로 써 오던 방식을 좀 더 공식화한 것일 뿐이다.
서기 1896년양력을 도입하면서 '건양'(建陽)이라는 연호를 도입하였으나, 이후에도 간혹 칙령 등에서 개국기원이 사용된 사실이 있다.

1.2.2. 서기와의 환산 방법


  • 서기 $$x$$년은 개국 ($$x-1391$$)년이다.
  • 개국 $$x$$년은 서기 ($$x+1391$$)년이다.

1.3. KBS 대하드라마 개국


개국(드라마)

2. 開局


1. 방송국이나 우체국 따위가 사무소를 설치하여 처음으로 업무를 시작함.
2. 바둑의 대국(對局)을 시작함.

3. 蓋國



3.1. 개요


기원전 6세기 이전 고대 중국인들이 한반도의 소국을 지칭하던 이름. 춘추전국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산해경 해내북경에서 등장한다. 산해경에 개국이 거연(鉅燕) 남쪽에 있다고 하는데, 거연은 중원의 동북쪽 구석에 있다고 쓰여있다.
한강이남의 여러 부족 국가들을 통틀어 부르던 진국(辰國)과 동일하다는 설이 있지만 확실치 않다. 진나라는 고조선과 비슷한 시기에 한반도에 존재했던 국가로, 삼한(三韓)이라고도 한다.
고구려 대무신왕이 정복한 개마국(蓋馬國)으로 볼 수도 있다. 현도군 서개마현, 개마고원 등 한반도 북부에 위치했던 것으로 보인다. 해(解), 개(蓋), 개(皆)는 Hae, Khae, Khay 등의 음차로 보기도 한다.
한편, 주서북사에서는 마한의 다른 명칭으로 개마한(蓋馬韓)이라는 명칭이 제시되는데 이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3.2. 같이보기



[1] 독자적 연호가 아닌 청나라 광서제의 연호다.[2] 일세 일원제 도입 이전에는 한 임금이 여러 연호를 만들었다. 일세 일원제 도입 이후에는 대체적으로 한 임금이 재위기간 중 하나의 연호만을 만들었다.[3] 개국기원의 원년 이전 시점의 경우에는 개국전 등과 같이 쓸 수 있다.[4] 디오니시우스가 예수의 탄생시점으로 추론한 때가 서력기원 원년인데, 예수는 실제로는 이 시점보다 3~4년 전쯤에 태어났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