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루왕
[clearfix]
1. 소개
백제의 제4대 국왕이자 건길지.
2. 생애
재위 기간은 39년으로 결코 짧지 않지만 삼국사기를 통해 남겨진 기록이라고는 고작 7줄뿐이다. 그마저도 일식이나 별의 움직임 같은 천문 현상[4] 말고 업적이라고 할만한 건 북한산성[5] 을 축조했다는 기사가 전부다.
그 외에 165년에[6] 다만 같은 해 1월의 일식 기사가 자치통감에 165년의 일로 그대로 등장하는 걸로 봐선 155년보다는 165년으로 보는 게 더 옳아보이긴 하지만, 신라가 신라 건국기로 설정한 시기부터 낙랑군이 망하는 4세기 초 일식 및 월식 기사를 주로 낙랑군에서 입수한 일월식 기사로 채운 정황이 역력하기에[7] 정황으로 봐선 그렇게 보기도 힘들다. 일단 기록상으로는 백제로 도망온 신라의 반역자인 아찬 길선을 돌려보내지 않은 걸 계기로 당시 신라의 왕이었던 아달라 이사금이 군사를 보내 백제를 공격했고, 신라군이 군량이 떨어져 물러나서 막아낸 걸로는 되어 있다. 이 사건에 대해 삼국사기의 저자 김부식은 "나라를 언제 배반할지 모르는 자를 받아주다니 님 바보 아님?"이라는 식으로 혹평했다. 이후 근초고왕 대에 등장한 인물 사기도 백제에서 죄를 짓고 고구려로 망명했다가 다시 백제로 귀순했기에 평가가 틀린 말은 아니다. 적어도 고고학적으로는 백제든 신라든 이 시기에는 각기 한성과 경주에서 벗어나지 못한 시기지만 애초에 아달라 이사금이 재위했던 시기가 165년일 가능성 자체가 대단히 적은 상황인데, 삼국사기상 연대보다는 상당히 후대에 벌어진 일이라고 보는 게 더 맞을 것이다.
3. 기타
-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백제 초기 기록에서 많이 드러나는 문제점이지만 재위 기간이 굉장히 길어 계보에 의심이 있기도 한다. 개루왕 혼자 길면 몰라도 앞뒤로 다들 40~50년 정도씩 재위한다고 써 있는데 계산해보면 아들을 가진 시기나 수명이 부자연스럽다. 특히 다루왕이나 기루왕과 다르게 개루왕은 기록도 거의 없고 기루왕이 태자로 책봉하지 않은채 즉위하는데다가 아들이라고 불리는 고이왕과의 나이차도 심하게 나는 등 이유로 온조왕 직계, 초고왕계, 고이왕계를 모두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가공의 국왕이 아닌가 추측되기도 한다.
- 제21대 왕인 개로왕이 근개루왕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 사람과의 연관성 때문인 것으로 보기도 한다. 실제로는 아닐 가능성이 높지만 기록상 개루왕은 초고왕과 고이왕의 아버지로 기록되어 있는 점과 개로왕이 왕족 중심의 왕권 강화를 시도해서 이와 연관있는 걸로 추측되지만 확실치 않다.[8] 도미 부부 설화 건에서도 개루왕이 등장하지만 시기상 개로왕 시기로 보는 의견이 많다.
- 부여왕 해부루(비류 시조설에 따르면 비류의 아버지인 우태가 해부루의 서손이 된다), 고구려의 제2대 왕인 유리왕(해유류), 고구려의 제3대 왕인 대무신왕(해주류) 등 婁(별이름 루), 留(머무를 류) 등을 왕명으로 쓰는 왕들이 모두 해씨였기 때문에(비류는 流(흐를 유)자를 쓰지만 역시 해씨이다.) 婁를 쓰는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을 모두 마찬가지로 해씨로 보고(해씨는 고구려 국성인 고씨와 동일시되고 부여계 성씨로 추정되며 한성 백제 때부터 활동한 귀족으로 백제 개국공신 해루[9] 도 있다. 후에 해씨는 대성팔족 중 하나가 된다. 해부루 → 우태 → 비류 → 다루왕 → 기루왕 → 개루왕으로 이어지는 소위 해씨 '비류계'로 보기도 한다. 이 경우 다루왕과 '루'자 돌림 왕들은 온조왕과는 다른 왕통이며 후에 초고왕이 즉위함으로써 비류왕계 왕들이 물러나고 다시 온조왕계 왕들의 시대가 열렸다고 본다.(노중국(1988)<백제정치사연구>) 게다가 이후 초고왕이 집권한 후 고이왕이 집권해 초고왕계와 고이왕계가 권력 투쟁을 벌이다 근초고왕 때부터 초고왕계가 집권하는데 고이왕 시기 우씨의 대거 출현과 고이왕을 우태 - 비류계로 해석(천관우(1976) <한국의 국가형성>)(노중국(1988) <백제정치사연구>)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초기 백제를 온조왕계 - 초고왕계, 비류계 - 고이왕계의 권력 다툼으로 볼 수도 있을듯하다.
- 39년간 왕으로 있었지만 기록은 고작 7줄. 책계왕, 사반왕, 계왕, 혜왕 등에 비해 기록이 많은 것처럼 보이지만 재위 기간 대비 기록 수를 대입하면 거의 최고 수준으로 기록이 적은 왕이다. 5년에 한 줄도 안 되니 말 다했다. 게다가 천문 현상을 기록한 것을 제외하면 남는 개루왕의 행적은 재위 5년에서 끝나기에 이후의 긴 공백 동안 어떤 사건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크다. 28년에 길선이 망명했다는 기사는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대조했을 때 실제로는 재위 38년의 일이기 때문. 애초에 존재 자체가 의심받는 왕이니만큼 신라본기의 연표를 따르는 것이 올바르다. 백제의 제2대~제7대 국왕은 결사팔대라는 의혹이 있는데 이에 따르면 개루왕의 기록은 왕명이 같은 개로왕의 것이 된다.
4.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 개루왕 본기'''
一年冬十一月 개루왕이 즉위하다
四年夏四月 한산에서 사냥하다
五年春二月 북한산성을 쌓다
十年秋八月 형혹이 남두를 범하다
二十八年春一月 일식이 나타나다[10]
三十八年冬十月 신라의 아찬 길선이 망명해 오다
三十九年 개루왕이 죽다
[1] 맏아들.[2] 둘째 아들 또는 손자로 추정. 고이왕이 초고왕의 동생이 아니라 초고왕의 동생의 아들이라는 견해도 제법 있어서 이게 사실일 경우 고이왕은 개루왕의 손자가 된다. 초고왕 문서 참고.[3] 삼국사기에서는 고이왕의 동생이라 기술되어있다.[4] 이런 불길한 천문 기록들을 역사적 사건을 은유한 것이라고 해석해보려고도 하는데 결국 결론은 알 수 없다로 귀결된다.[5] 그런데 현재 우리가 아는 북한산성이 아니라 몽촌토성과 풍납토성 북쪽의 아차산성일 가능성도 있다. 구리시 문서 참고.[6] 백제 본기에는 155년이라 되어 있으나 신라 본기에는 165년으로 되어 있다. [7] 낙랑군이 망하는 4세기 초 부분이 꽤 적어지거나 부정확해지며, 일월식 기사는 이후 신라가 독자적으로 천문학적 역량을 키우는 수백 년 뒤로 가야 다시 정확해진다. 김용운 교수의 한국수학사 참조[8]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은 초고왕과 고이왕의 관계가 불확실하다는 점이다. 고이왕이 50년을 재위했는데 초고왕의 동생이라면 70살에 즉위해 120살까지 왕을 했다는건데 만약에 120살까지 왕을 하다가 죽었다는게 사실이라 해도 그 정도면 증손자가 왕위를 이어받아야 한다. 뒤를 이은 책계왕은 고이왕의 아들인데 학계는 이를 토대로 고이왕은 초고왕 동생의 아들이거나, 아니면 아예 초고왕과는 혈연이 꽤 멀었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9] 첨언으로 해루도 별이름 루를 사용하며 십제공신 10명 중 1명이다.[10] 이십사삭윤표 등의 사서와 비교하면 이 날짜는 정확히 개루왕 38년(165년, 을사) 음력 1월 30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