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 버스 119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image]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119번
기점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오산리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군자역)
종점행
첫차
06:20
기점행
첫차
05:00
막차
23:20
막차
22:00
평일배차
60분~70분
주말배차
80분~150분
운수사명
경기고속
인가대수
11대[1]
노선
오산리차고지 - 능골 - 신현리 - 태재고개 - 장안타운 - 효자촌 - 새마을연수원 - 이매역 - 야탑역 - 성남시청 - 모란역 - 태평역 - 가천대역 - 복정역 - 장지역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광진구청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역 → 능동사거리(군자역) → 아차산역 → 구의사거리 → 이후 역순

2. 개요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에서 군자역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0년대 이전부터 광주시에서 잠실역을 운행하던 17-1번 좌석버스가 번호만 변경된 노선이다.[2]
  • 2000년대 초반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4년 12월 30일, 잠실역 회차에서 현재의 군자역 회차로 변경되었다.
  • 운행거리 과다 및 교통정체로 인한 배차간격 미준수를 이유로 2008년 3월 16일에 '광주시내 - 능골' 구간이 '오산리차고지 - 능골' 구간으로 단축, 변경되었다. 기존 구간은 17-1번이 대체한다. 광주시 공지사항

4. 특징


  • 노선 선형이 아주 좋다. 특히 어린이대공원역/아차산역을 지나 분당 서현역에 이르기까지 단 한 번도 좌·우회전 없이 그대로 직진한다. 물론 그 이후의 구간에서도 심하게 굴곡진 곳이 없어 장거리 수요도 적지 않다.
  • 게다가 신현리 - 분당신도시 - 모란, 성남 - 잠실역, 서울시내 이동수요 등 구간수요도 아주 많다. 야탑역 이후 9403번과 이동경로가 별 차이가 없어[3] 분당신도시 북부에서 잠실역으로 갈 때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모란역,야탑역에서 율동공원으로 갈때 서현역,수내역과 장안타운을 거쳐가는 17번과 다르게 연수원입구, 서현중학교를 거쳐 곧바로 율동공원으로 가기 때문에 17번보다는 이 노선을 타이밍 맞춰 타보자.17-1번도 모란역,야탑역-율동공원 구간은 이 노선과 같은 코스로 운행하지만 배차간격이...
  • 자양동에 위치한 KD 운송그룹 본사 앞을 지나는 유일한 KD그룹 노선이기도 했다.[4] 이후 성수1가에 새 사옥이 완공되어 이 타이틀은 2016번으로 넘어갔다.
  • 평일에는 배차간격이 60분 간격으로 더 늘어났다 (코로나 영향) . [5] 버스가 20분이 넘도록 안 오면 기다리지 말고 다른 수단을 타는 것이 여러모로 좋다. 만약 서현중학교 이북 구간에서 20분이 넘도록 안 오면 그냥 바로 서울버스나 지하철 혹은 다른 서울행 경기도 노선을 타자. 이매역~복정역, 잠실역까지는 수인분당선, 8호선과 완벽히 겹치기 때문에 3216번 등을 타면 알아서 군자역 회차 구간으로 이동하니 복정역 이후 구간에서 20분 내로 오는 경우에는 그냥 이 노선을 타고 20분이 넘어가면 바로 303번, 3216번 등을 타자.[6]
  • 2011년부터 전차량 모두 저상버스로 운행하고 있었으나 2016년 4월에 일반 차량이 투입되었다. KD 운송그룹에서 유일하게[7] 2006년 3월식 BS120CN을 운행했는데, 2대 있었으나 1대가 폐차 후 말소되었다가 운행 대수를 다시 복구하며 116번에 있던 2016년 3월식 NEW BS106 신차를 가져와 이 노선에 투입시키게 된 것이다. 이후 2016년 11월에 다시 116번으로 이동하며 전 차량 저상이 되었다.
  • 2017년에 구형 BS110CN 대차분으로 NEW BS110 신차가 3대 투입되었다.[8] 119번에서는 거의 7년만에 신차 출고소식 이었고, KD 운송그룹에서 흔치 않은 초저상버스 출고를 보여주었다.[9] 요즘 KD 운송그룹은 장거리 노선이라는 이유로 일반버스를 뽑아서 운행하는데, 300번이나, 3-1번, 60번 등과 같이 성남, 광주권의 KD 운송그룹 저상버스 최다 보유 노선이기도 하다.[10] 신차 투입 후 남아있던 구형 BS110CN 차량을 추가로 대차하며 60번 출신 NEW BS110이 한 대 투입되었다.
  • 2019년 10~11월에도 2008년식 BS110CN F/L 대차분으로 NEW BS110 신차가 4대 투입되었다. 119번이 광주시로부터 전 차량 저상버스 투입을 조건으로 보조금을 받고 운영하는 노선이다보니 대차분 차량도 계속해서 저상버스를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앞으로도 전 차량 저상버스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 G1300번을 개통하며 17대에서 15대로 2대가 감차되었다. 그러나 이미 인가 대수를 안지키고 있던 상황이기 때문에 운행에 실질적인 영향은 없다. 2016년에는 인가 대수를 17대를 지키면서 운행하였으나 2016년 11월에 한 대 있던 NEW BS106이 116번으로 이동하고, 2016년 12월 27일에 BS120CN 폐차로 인해[11] 15대로 감차되었던 상황이다. 이후 구형 BS110CN 한 대가 추가로 말소되며 2017년 6월 이후로 14대로 운행하다가 2008년식 BS110CN 3대가 말소되면서 현재는 11대로 운행한다.
  • 2020년 발생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수요 급감의 사유로 한두대씩 감차되더니 평일 기준 4대로만 운행중이다.

5. 연계 철도역



[1] 주말에는 6~7대로 운행.[2] KD 운송그룹에서 운행하는 11X번대 노선은 거의 다 좌석버스였다. 111번, 114번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3] 원래는 9403번이 차병원 경유였으나 야탑역 경유로 변경[4] 그나마 2009년 7월부터 2011년 1월까진 2225번도 있어 2225번이 운행하는 동안은 유일하지 않다가 2225번 폐선 이후 다시 유일해졌다.[5] 주말에는 최소80분, 많이 벌어지면 150분까지도 벌어지므로 사전에 어플을 통해 확인하고 이용할 것.[6] 그리고 303번은 배차가 매우 짧지만, 서울어린이대공원 정문 쪽은 구의동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7] 경기도 계열사 한정[8] 이 차량들은 서울 대원여객 주문분 차량이라 차량 내부를 보면 서울 간선도색 흔적이 남아 있다. 또한 이 차량은 성남시내버스에서도 10대 정도 가져갔다.[9] 2016년에 가스보조금 지급 재개되고 처음으로 초저상버스가 들어간 노선은 평안운수 35번이다.[10] 참고로 이 노선과 60번은 올 저상이다.[11] KD 운송그룹의 마지막 BS120CN이었다.[12] 광진구청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