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훈제

 


[image]
桂勳梯
1921년 12월 31일 ~ 1999년 3월 14일

변혁의 물결 속에서 변하지 않는 가치가 있다.

그것은 '''자유'''와 '''평등'''이다.

그리고 그것에 뿌리를 둔 '''민주주의'''의 완성과 '''평화통일'''이다.

그것은 나라의 이상이며 우리의 염원이다.

'''조국'''과 '''민주'''는 고전적일 수 없으며

낡을 수도 변할 수도 없다.

자신이 남긴 메모 中

1. 개요
2. 일생
3. 저서
4.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사회운동가. 한국독립운동, 한국 민주화운동, 통일 운동 등의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본관은 수안(遂安).


2. 일생


KBS 인물현대사 - 어느 저항인의 긴 하루 1편 2편
계훈제는 1921년 12월 31일 평안북도 선천군 심천면 부황동[1]#에서 태어났다. 그는 16살에 민족학교였던 신성중학교에 입학했으며 그 곳에서 민족의식을 키웠다. 그는 처음에는 의사가 되고 싶어 열심히 돈을 모으고 공부하여 상경했지만 색맹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하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열심히 학업을 닦아 1943년 보성전문학교 법과에 입학한다. 대학생이 된 그는 일제의 강제 징집에 저항[2] 하여 임시정부로 가고자 신의주로 떠났지만 체포되어 강제노역형을 선고받았다. 여기서 그는 독립운동 비밀결사 요원들과 접촉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8.15 광복 이후 계훈제는 경성대학 법문학부 정치학과에 편입하였고, 서울대학교 정치학과(경성제국대학의 후신)으로 돌아와서 우익 학생단체에서 활동하며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펼쳤다.[3] 1948년에는 김구, 김규식을 따라서 남북협상을 위해 평양을 방문하기도 했다. 그러다 1950년 폐결핵에 걸려 죽을 고비를 넘기며 9년 간의 투병 생활을 하였다. 그는 병이 회복된 1959년 다시 사회 운동에 뛰어들어 4.19 혁명부터 사회운동가로 활동한다. 4.19 혁명 이후에는 교사들의 노동조합 결성을 도왔고, 학생운동을 조직 및 지원하였다. 박정희 정권 때에는 한일협정 반대투쟁, 월남파병 반대운동, 삼선개헌 반대운동 등의 각종 사회 운동에 뛰어들었다. 10월 유신이 선포되자 '민주수호국민위원회', '민주통일국민회의'에 참여하여 장준하, 문익환과 함께 반유신 민주화운동을 벌였다. 그 일로 1977년에는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한편 1970년부터는 함석헌이 발행하던 <씨알의 소리>에서 편집위원을 맡았다.[4]
계훈제는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당시 2년 정도 도피했으며, 1985년에는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의 부의장을 역임했다. 그는 80년대 벌어진 각종 사회 운동은 물론이고 1987년 6월 항쟁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민주화 이후에는 각종 민중운동 단체에서 활동하다가 1999년 3월 14일 폐병으로 인해 세상을 떠났다. 북한이 사후에 조국통일상을 추서했다.

3. 저서


  • 「외로운 신화」 (2000) - 산문집
  • 「흰 고무신」 (2002) - 계훈제의 자서전. 죽기 직전 투병 생활을 하면서 집필했으나 미완성으로 남았다.

4. 여담


중학교 시절 장준하와 동창이었다. 그래서 그와 친하게 지냈으며, 또한 함석헌, 문익환, 백기완과도 친분이 있었다. 계훈제까지 포함하여 이 5명은 형제와 자식처럼 지냈다는 후문.
본래는 김대중의 둘째 부인 이희호와 사귀던 사이었다. 이희호의 자서전에 따르면, 김대중을 알기 전 서울대학교에 다녔기에 비슷한 시기에 활동하던 계훈제를 알게 되었고 그와 가까이 지내며 결혼할 마음까지 품었단다. 하지만 그가 폐결핵에 걸렸고, 자신도 미국으로 유학을 갔기에 관계가 깨졌다고 한다.[5] 이후 부인 김진주(金眞珠)[6]랑 결혼하였다.
무척 간소한 성품이었다고 한다. 사시사철 옷차림은 흰 고무신에 작업복으로 늘 다녔으며, 일생 동안 단 1번 밖에 구두를 신은 적이 없다고...그날은 바로 장준하결혼식 주례를 선 날이었다 한다. 쉽게 말하면 본 문서 맨 위에 있는 사진의 모습처럼 옷차림을 하였다.
[1] 인근의 고군영리와 함께 수안 계씨 집성촌이다.[2] 자서전에 따르면 그는 자신을 가르치던 선생님이 징용에 걸려 끌려가는 것을 보아야 했고, 한 선배가 자신에게 일본인과 똑같이 되어야 조선사람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 말을 들어야 했단다. 이 때문에 계훈제는 분노하여 징집을 거부하게 된다.[3] 그렇지만 국대안 파동 당시에는 국대안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파동에 대해서는 항목 참고.[4] 당시 그가 편집위원으로 발표한 글 「어느 저항인의 하루」에서 그는 이렇게 썼다. '''"누구 하나 알아주지 않아도 거짓이 지배하는 세상에서는 끝없이 반항했고, 그러다 보니 항쟁으로 일관하며 항자로 지칭하고 자족하는 삶."'''[5] 일각에서는 계훈제와 이희호가 부부 사이였다고 말하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일각에서는 신정아의 자서전 의 '외할머니는 유명 재야정치 인사의 부인'이라는 구절과 연결짓기도 하는데, 참으로 터무니 없는 주장이다.[6] 2018년 10월 24일에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