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이저우성

 


[image] '''중화인민공화국
贵州省(Guìzhōu Shěng''' (貴州省)
구이저우성 | Guizhou Province

[image]

'''성정부 소재지'''
구이양시 윈옌구 중화베이로 242
(贵阳市 云岩区 中华北路 242)
'''지역'''
시난
'''면적'''
176,110km²
'''하위 행정구역'''
6지급시 3자치주 15구 9현급시 52현 11자치현
'''인구'''
3,611만명
'''인구밀도'''
198명/km²
'''시간대'''
UTC+8
'''한국과 시차'''
1시간
'''서기'''
선이친(谌贻琴)
'''성장'''
류샤오카이(刘晓凯)
'''HDI'''
0.674 (2017)
'''GRDP'''
$2,360억 1,502만 (2019)
'''1인당 GRDP'''
$6,731 (2019)
'''행정구역 약칭'''
'''贵 | 黔'''
'''ISO 3166-2'''
'''CN-GZ'''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3. 출신인물
3.1. 실존 인물
3.2. 가상 인물


1. 개요


구이저우성(귀주성, 贵州省)은 중국 서남부에 위치한 성(省)으로, 면적은 176,110km²[1]로 남한의 약 1.7배이고, 인구는 2015년 기준 3,529만 명[2]으로 캐나다 인구와 비슷하다.
서쪽으로는 윈난성과 접하고 북쪽으로는 쓰촨성, 충칭시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광시 좡족 자치구와, 동쪽으로는 후난성과 접한다.
검(黔, 첸)[3], 귀(贵, 구이)로 줄여부른다. 성도는 구이양이다. 귀주(貴州)라는 이름은 성의 성도이자 중심도시인 구이양의 옛 이름인 귀주(貴州)에서 유래했는데 원래 이름은 구주(矩州) 원나라 대에 '矩(곱자 구)'를 발음은 유사하면서 뜻은 더 좋은 '貴(귀할 귀)'로 표기를 바꾸었고 이후 명나라 대에 정식 행정구역인 귀주승선포정사사(贵州承宣布政使司)를 설치하고 청나라 대에 귀주성으로 개편하면서 귀주성이 되었다.
남서쪽의 윈난성과 같이 소수민족이 많은 곳으로, 인구의 약 40%가 소수민족이다. 구체적으로 한족이 62%, 묘족이 12%, 포의족이 8%, 동족이 5%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지역이 고원 지대이나, 윈난 성보다는 해발고도가 약간 낮아 1,000m 정도이며 카르스트 지형이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 협곡과 석회동굴 등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카르스트 지형에서도 특히 옆동네 광시좡족자치구의 명성에 밀려 관광지로서 인지도는 훨씬 낮은 편이다.
하위 행정구역은 보면 9개의 지급행정구, 88개의 현급행정구, 1,539개의 향급행정구로 이뤄져 있다.
중국에서 1인당 GRDP[4]가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이다. 2016년 기준 1인당 GRDP는 $4,988[5]로 31개 지역[6] 중 29위이다.
참고로 30위가 서쪽의 윈난 성($4,707)이고, 31위 꼴찌가 시베이(西北) 지역의 간쑤성($4,134)이다.
구이저우 성은 2000년부터 시작된 서부대개발 등으로 최근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2015년 10.7%, 2016년 10.5%의 성장을 기록해 2016년 중국 GDP 성장률 6.7%를 훨씬 뛰어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1인당 GRDP가 17,000 달러가 넘는 톈진시, 베이징시, 상하이시는 물론이고, 6 ~ 7천 달러 정도의 중위권과도 여전히 격차가 크다. 2016년 GRDP는 약 1,767억 달러[7]로 31개 지역 중 25위이며, 중국 GDP의 약 1.58%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이라크 정도의 경제 규모이다.
그동안 국내 항공편이 전무했으나, 2016년 5월부터 이곳의 성도인 구이양(贵阳, 귀양)에 대한항공이 주 3회 취항을 확정지으면서 직항으로 방문할 수 있게 되었다. 인천국제공항은 매주 3회, 제주공항은 10월 말까지 주 3회에서 2회로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술로 유명한 마오타이 진이 속해있는 곳이기도 하다. 참고로 마오타이 진은 구이저우에서 성도인 구이양에 이어서 두번째로 잘사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그래서 술 수출 문제 때문에 운남성과 같이 미세먼지가 없는 구역이다.

2. 역사


춘추전국시대 당시에는 중원에서 거리가 멀고 오랑캐로 취급받는 야랑(夜郞)이라는 나라가 구이저우성에서 세를 떨쳤다. 야랑이 어느시기에 건국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적어도 전국시대 당시에는 확고한 국가체계를 갖추웠던 것으로 보이며 중심지는 허장현 일대로 여겨진다.
야랑이라는 나라 자체는 전한 말까지 존속해 있었다. 그러나 중원에서 보기에는 그저 힘 좀 쓰는 오랑캐의 이미지가 강했던 모양으로 야랑 국왕은 야랑국이 큰지 중국이 큰지도 모르고 뻐긴다고 해서 야랑자대(夜郞自大)라는 고사성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는데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이다.
이후 초나라가 검중(黔中)군을 설치하고[8] 중국의 지배에 들어갔지만 이 동네는 산이 많고 또한 소수민족이 많은 지역이었으며 오랫동안 개발되지 않았다.
이 야랑국은 한 무제때 광동성/광시좡족자치구와 북부 베트남에 걸친 남월 원정을 위한 첫 상대로 멸망당했고 멸망한 야랑국에는 장가군, 월수군, 익주군이 설치되었다. 당나라 대에는 검중도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오랫동안 지역 토착세력에 관직을 주는 토사(土司)제도라는 간접적 통치가 시행되었고, 중국에 소화됐다고 할 수 있는 시기는 옆 윈난성과 마찬가지로 원나라명나라 시기부터다. 원나라 때 이 지역에 있던 대리국을 원세조 쿠빌라이 칸이 멸망시키며 중국의 완전한 직접지배 영역으로 편입해 몽골만호부를 설치하고 군을 주둔시켰다. 그리고 유학 교육을 받아야만 토사를 세습할 수 있도록 바꾼 것은 명나라 때부터였다.
중화민국시기 공산당의 대장정 시기 공산군의 경유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1935년 이 성의 도시인 쭌이(遵义)에서 열린 중국 공산당 회의에서 마오쩌둥이 본격적으로 권력을 잡게 되기도 했다.
이후 1949년 11월 쯤에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면서 이 지역까지 점령해 중화인민공화국 구이저우성으로 편입해 오늘날에 이른다.

3. 출신인물



3.1. 실존 인물



3.2. 가상 인물




[1] 중국 면적의 1.83%.[2] 인구밀도 198명/km². 인구 성장률 0.63%.[3] 통일 진나라가 이 지역에 설치한 검중군(黔中郡)에서 유래.[4] 지역 내 총생산[5] PPP 기준 $9,538.[6] 33개 성급행정구 중 특별행정구인 홍콩, 마카오를 제외한 것.[7] 1조 1,734억 위안.[8] 사실 검중은 현대의 구이저우가 아니라 후난성 서쪽 창더에 중심지가 있었다. 삼국지에선 무릉(武陵)으로 나오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