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수민족
1. 개요
'''소수민족'''(少數民族)은 한 국가 안에서 인구수가 적은 민족들을 말한다.
상대적인 것이므로 나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느 나라에서는 다수민족이라도, 다른 나라나 지역에 따라서는 소수민족이 될 수 있다. 한국에서는 한민족이 절대적 다수민족이지만, 외국에서는 조선족, 재일교포 등은 소수민족으로 분류된다.[1]
이 소수민족의 비율이 상당히 높거나, 이들이 거주하는 국가의 주 민족과 언어, 문화, 혈통, 종교 등의 차이가 크거나 또는 이들이 특정 국가 안에서 분산되어 있지 않고 특정 지역 안에 집중해서 분포하고 그 분포지역이 그 국가의 변방이나 다른 나라의 국경 근처이거나 할 경우 해당 국가는 심할경우 분리주의 문제에 직면하기도 한다. 물론 국가별로 차이가 있지만. 또한 사회정책에서 주류민족보다 보호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며, 사회적 안전망에 취약한 소수민족들의 경우 범죄의 길로 빠지는 경우가 숱하다. 현지 범죄조직의 주류층이 되거나 아예 범죄조직을 결성하기도 한다. [2]
한국은 외국인 인구는 많지만 이들 중 한국 시민권자는 소수이며 국제결혼 이민자 및 혼혈인들에게도 한국의 문화를 교육하는, 단일문화를 지향하는 나라이다. 이런 나라는 한국 인구(5,000만 명) 정도 되는 나라 중엔 꽤나 드물다. 인구의 99%가 벵골계인 인구 1억 6천만의 방글라데시나 여러 아랍 국가들[3] 과 2차 세계대전의 과정에서 소수민족이 크게 줄어든 폴란드[4] , 하나의 이탈리아인로 뭉쳐진 이탈리아[5] 등이 있다.
과거 조선시대 초까지 한반도에도 여진족[6] 등의 소수민족이 있었으나 점차 한민족에 동화되었다. 북한에서는 함경도에 살았던 여진족이 재가승이라는 이름을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다고 한다. 남한만으로 따지면 화교 정도가 소수민족의 입지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아프리카의 여러 국가들은 서구 열강에 의해 그려놓은 국경선 때문에 거의 모든 국가에 소수민족 문제가 있고 그 것이 무력갈등으로 발전해 현세의 지옥이 된 경우가 많다.
중국의 민족 숫자는 56개(한족+55개 소수민족)라고 하는데, 이 숫자는 중공 수립 후의 "민족식별공작"에 의해 소수민족을 분류하면서 얻어진 것이다.[7] 타이완에서는 중국의 소수민족이 몇 개라고 단정지어 말하지는 않는다. 비슷하게 단일문화국가를 유지하는 일본에는 류큐인, 아이누 등의 소수민족이 존재한다.
터키와 그리스, 프랑스는 단일문화국가이면서 국가 내에 다양한 소수민족들이 거주하지만, 공식적으로 소수민족에 대한 통계를 내지 않는다. 소수민족에 대해 주류민족과 구분을 해 차별을 가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EU 차원에서 합의된 사항이다.
몇몇 민족들은 본국에 거주하는 인구보다 타국에 소수민족으로 거주하는 인구가 더 많기도 하다. 몽골족이 다수민족인 몽골의 인구는 몽골족이 소수민족인 중국의 몽골족 인구보다 훨씬 적어서 반도 되지 않는다. 아제리족이 다수인 아제르바이잔의 인구는 이란의 아제리족 인구의 반밖에 되지 않는다. 그 외 특정 국가에 집중되어 있진 않지만, 디아스포라로 인해 아일랜드인, 아르메니아인, 유대인도 해외 거주 동포가 본국보다 많다.
2. 소수민족 일람
전투민족 문서도 참고할 것.
2.1. 동아시아
- 한국:
- 북한
- 재가승: 다만 이들은 소수민족인지 아닌지 논란이 있는 편이다.
- 일본
- 중국: 한족을 제외한 민족들. 자세한 사항은 중국/민족 문서로.
- 동남아시아 공통(태국과 말레이 국가 한정) - 네그리토계 민족 전반
- 베트남 - 참파 크메르, 몽족 등
- 방글라데시 - 줌머인 등 불교계, 비하르인
- 태국
- 미얀마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다야크족[10] , 마두라족.
- 필리핀
- 모로족
2.2. 남아시아/중앙아시아
- 인도 - 미조람, 마니푸르, 메갈라야의 버마계 민족. 니코바르 제도와 안다만 제도 네그리토
- 파키스탄 - 파슈툰, 발루치, 칼라쉬인, 하자라족, 발티인, 와키인
- 아프가니스탄 - 하자라족, 우즈베크, 키르기스, 튀르크멘, 아이마크인, 누리스탄인
- 네팔 - 구르카족, 셰르파 등
- 스리랑카 - 타밀족, 무어인 등
- 방글라데시 - 차크마족, 줌머족, 비하리족
- 중앙아시아 국가들 - 고려인,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 독일계 러시아인, 위구르인, 카라칼파크인, 볼가 타타르
2.3. 중동
- 시리아 - 쿠르드, 드루즈, 아시리아인
- 이란 - 아제르바이잔인(아제리인)[11] , 아랍인, 쿠르드, 아르메니아인, 발루치족, 페르시아계 유대인, 탈리시인 등
- 이라크 - 쿠르드, 아시리아인, 이라크 투르크멘인[12] , 만다야교도, 야지디족 등
- 이스라엘
- 이집트
2.4. 오세아니아
2.5. 아프리카
가장 많이 살고있는 남아공에서는 소수민족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물론 전체 인구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것은 결코 아니지만 남아공은 온갖 인종과 민족이 사는 다인종 다민족 국가이다.
사실 소수민족이라고는 볼수없는 규모다.
2.6. 유럽
- 그리스
- 아르바니테스: 알바니아계 민족으로 중세시대부터 지금의 그리스 지역으로 남하해 거주하기 시작했다. 알바니아어의 토스크 방언과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지만 고어도 많이 남아있고, 그리스어와 터키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서로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 블라키아인: 루마니아어와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는 유목민족으로 북부 그리스 산악지대에 주로 거주한다.
- 트라키아 터키인
- 독일
- 소르브인: 서슬라브 계통의 민족으로 브란덴부르크 주 남부와 작센 주 북동부에 분포.
- 독일 내 덴마크인: 주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에 분포해 있다.
- 스페인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내 크로아티아인, 헝가리인, 슬로베니아인
- 프랑스 - 바스크, 알자스-로렌 독일계, 브르타뉴인, 북아프리카 아랍인
- 발트 3국 - 러시아인, 고려인[14]
- 북극권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북마케도니아 - 크로아티아•보스니아•북마케도니아 내 세르비아인, 보스니아 내 크로아티아인, 북마케도니아 내 알바니아인[15]
-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 헝가리인
- 스위스
- 스칸디바니아 북부
2.7. 유라시아
- 러시아 - 타타르인, 체첸인, 아제르바이잔인, 아르메니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조지아인, 독일인, 중국인[16] , 유대인, 바시키르인, 오세트인, 추바시인, 마리인, 카렐인, 인구시인, 카자흐인, 우즈베크인, 키르기스인, 타지크인, 투르크멘인, 크림 타타르인, 부랴트인, 체르케스인, 고려인, 케트족, 한티인, 만시인, 셀쿱인, 유카기르인, 이텔멘족[17] , 코랴크인, 축치인, 알타이인, 투바인, 칼미크인, 사미족, 가가우즈인, 노가이인, 하카스인, 야쿠트인, 아바르인, 유픽인, 네네츠인, 나나이족, 우데게족, 오르촌족, 에벤키족, 네기달족, 울치족, 니브흐족, 윌타족, 아이누족[18] 등등[19]
- 터키 - 쿠르드, 그리스인, 아랍인, 아르메니아인, 알바니아인, 자자인 등[20]
2.8. 아메리카
- 미국 - 미국 백인 이외의 집단. 사실 미국 백인도 세세하게 파고들면 먼 유럽 조상의 출신지별로 나뉘지만 현대에는 수백년간 섞이고 동화해서 사실상 단일한 미국 백인 문화를 공유하는 상태이며 구분도 거의 하지 않거나 불가능하다. 세세한 구분은 미국인 문서로. 미국 백인 이외의 집단을 통틀어 말할 때는 유색인종(Non-white people/Person of color)으로 묶는다.
- 아메리카 원주민
2.9. 기타
분포 범위가 너무 넓어서 특정 지역에 국한시키기 어려운 민족이 등재되었다.
아르메니아의 인구는 300만 명이지만 정작 미국과 이란, 터키, 아제르바이잔(나고르노 카라바흐 지역) 과 러시아를 포함해 해외 70개국에 거주하는 아르메니아인은 600만 명이 넘어서 세계적으로도 드물게 해외 거주 인구가 본국 인구를 훨씬 초과한 나라다. 해외에 퍼져있는 아르메니아인들의 스테레오타입은 사기 잘 치는 구두쇠이며, 실제로 부자가 많아 미국 정계에도 영향력이 상당히 커서, 잘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서양권에서 유대인에 준하는 위치를 구축하고 있다.
싱가포르를 제외한 동남아시아나 다른 지역에서는 인구가 적으니까 소수라고 볼 수 있다.
인도 이민자들로 이들도 세계 많은나라에 뿌리를 두고 있다. 특히나 영국, 미국, 캐나다권 국가에서는 가장 영향력있는 소수민족이며 그 위력은 유대인 바로 다음 혹은 유대인에 버금간다고한다.
3. 가상의 소수민족
- 강철의 연금술사
- 더 위쳐 시리즈
- 비인간 종족
- 드래곤볼
- 드래곤 에이지 시리즈
- 룬의 아이들
- 메이플스토리
- 우든레프, 카라반
- 베르세르크(만화)
- 슈렉
- 오우거: 말이 좋아 이종족이지 실상은 소수민족이나 다름없다.
- 스타크래프트
- 아르슬란 전기
- 조트족
- 엘더스크롤 시리즈
- 사무라이 디퍼 쿄우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 파이브 스타 스토리
- 폴라리스 랩소디
- 헌터X헌터
- Warhammer 40,000
4. 관련 문서
[1] 현지 명칭은 제각각이나 조선족이나 재일 모두 영어로의 민족명은 Korean이다.[2] 소련 붕괴이후 러시아 정부 이후 시대의 레드 마피아 구성에서 체첸계 마피아가 늘어난것이나, 야쿠자에서 재일한국인계 중역들의 경우를 들수 있다.[3] 이들 국가도 비록 소수민족 비중은 극히 적을지언정 소수민족 존재에 따른 문제가 있다. 북아프리카 일대의 베르베르인이나, 이라크 시리아 일대의 쿠르드족, 아시리아인이 대표적. 아랍인 자체가 베두인, 시리아인, 이집트인, 메소포타미아인, 베르베르인 등 여러 잡다한 민족들이 아랍어를 쓰면서 통합된거기도 하고...[4] 국경선 변화와 홀로코스트로 인한 것이 더 컸다. 벨라루스인과 우크라이나인이 다수를 이루던 동부 지방이 소련으로 넘어가고 유대인들이 홀로코스트로 격감하며 새로 편입된 영토의 독일인들은 독일 본토로 강제이주된 것. 현재 폴란드내에 소수의 독일계, 카슈브계 소수민족이 있기는 하다.[5] 알바니아, 그리스, 독일계와 같은 소수민족들이 있긴 하다. 사실 이들 언어를 쓰는 지역을 제외하면 대체로 언어적 차이는 크지 않으나 오랜기간 동안 각 지역별로 따로 국가를 형성해왔고 현재도 그 영향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에 하나의 이탈리아인이라는 정체성은 약하다.[6] 시대에 따라 숙신, 말갈족, 만주족이라 불리기도 했다.[7] '공작'이라고 하니 뭔가 어감이 거시기해보이겠지만, 중국에서 '공작'은 그냥 '작업' 정도의 의미로 '공작원'이라고 하면 '스태프'를 뜻한다. 대강 한국인의 감각에 맞추자면 '민족식별작업' 정도다. 흔히 생각하는 간첩 성격의 공작원은 간첩 외에 간세(奸细)나 내선(内线) 등으로 표현한다.[8] 주로 하바롭스크와 사할린.[9] 말레이시아어, 인도네시아어와 같은 어족의 언어를 사용한다. 내부에서 차이가 매우 커서 아타얄어와 파이완어의 차이는 이스터 섬과 마다가스카르의 언어 차이보다도 크다.[10]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 걸쳐 살고 있는 민족으로, 매우 사납고 잔인하여 머리 사냥의 풍습을 오랫동안 갖고 있었다. 심지어 21세기에 와서도 다른 민족들을 상대로 이런 일을 벌이고 있다! 출처1, 출처2[11] 아제르바이잔 본국 인구보다 많다.[12] 투르크메니스탄인과는 연관이 있으나 다른 민족이다.[13] 사라 바트만 문서로. 산족과 합쳐서 코이산족이라 불리기도 한다.[14] 소련 시절에 일부 고려인들이 에스토니아나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등에 정착한 경우가 있었다.[15] 테레사 수녀가 바로 북마케도니아 내에 살던 알바니아인 가톨릭교도 가정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이었다. 테레사 수녀가 태어났을 당시에는 오스만 제국령이었다. 참고로 북마케도니아 내 알바니아인의 비중은 25%를 넘었으며, 출산률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16] 2050년까지 이들이 러시아 내 인구에서 2번째로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관측이 나왔다. 중국의 경우 인구 수가 세계에서 제일 많고, 러시아와 우호적인 관계인데다 서로 지리가 붙어있어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일 수도..한국어영어[17] 이들의 분파로 캄차달족이 있는데, 이들은 러시아인들과 혼혈되면서 형성된 종족이다.[18] 일본에 사는 아이누족에 비하면 그 수가 굉장히 적으며 사실상 소멸한 거나 마찬가지다. 사할린 아이누와 쿠릴 아이누 문서로.[19] 국토 넓이가 1위인 만큼 민족 수가 많아서 이 문서에 적지 못한 민족들이 많다.[20] 터키인이라는 개념 자체가 인종적 구분이 아니기 때문에 터키인 내에도 다양한 계열이 섞여있다. 터키인 문서로.[21] 볼리비아에서 각각 백인의 2배 가까이에 달하는 케추아족이나 아이마라족은 소수민족이라기엔 상당히 애매하다. 일단 종족 하나하나씩 따지면 메스티소보다는 약간 적다. 또한 과테말라도 원주민 비중이 매우 높긴 하지만 메스티소보다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