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화순군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3. 나주시·나주군, 곡성군·화순군 (13)
4. 나주시·나주군, 화순군 (14)
5. 나주시, 보성군·화순군 (15·16)
6. 나주시·화순군 (17~20)


1. 개요


나주시 선거구와 보성군·화순군에서 화순이 떨어져 나와 17대 총선부터 나주시·화순군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광주의 영향을 받는 나주 표심이지만 의외로 무소속도 많이 당선된 지역구이다. 하지만 화순군의 민주당 지지율이 전남 내에서 특히 높은 편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신정훈 의원이다.
전라남도의 선거구 중에서 유일하게 내륙에 있는 선거구이다.
[image]
나주시·화순군 관할 구역
나주시 일원[나주], 화순군 일원[화순]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역대 '''나주시, 화순군'''의 국회의원
대수
당선자
당적
임기
선거구
제13대
이재근

1988년 5월 30일~1992년 5월 29일
'''나주시·나주군'''
홍기훈
곡성군·'''화순군'''
제14대
김장곤

1992년 5월 30일~1996년 5월 29일
'''나주시·나주군'''
홍기훈
'''화순군'''
제15대
정호선

1996년 5월 30일~2000년 5월 29일
'''나주시'''
박찬주
보성군·'''화순군'''
제16대
배기운

2000년 5월 30일~2004년 5월 29일
'''나주시'''
박주선

보성군·'''화순군'''
제17대
최인기
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나주시·화순군'''
제18대

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제19대


2012년 5월 30일~2014년 6월 12일[1]
신정훈

2014년 7월 31일~2016년 5월 29일
제20대
손금주

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
제21대
신정훈

2020년 5월 30일~

3. 나주시·나주군, 곡성군·화순군 (13)



3.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color=#373a3c> '''나주시·나주군'''
(나주시 일원, 나주군 일원)
1
한갑수
15,092
2
민주정의당
19.69%

'''2'''
'''이재근'''
'''57,451'''
'''1'''
'''평화민주당'''
'''74.97%'''
<color=#373a3c> '''당선'''
3
김장곤
4,083
3
무소속
5.32%

'''계'''
'''선거인 수'''
96,940
'''투표율'''
80.6%
'''투표 수'''
78,145
'''무효표 수'''
1,519
<color=#373a3c> '''곡성군·화순군'''
(곡성군 일원, 화순군 일원)
1
구용상
16,174
2
민주정의당
21.38%

'''2'''
'''홍기훈'''
'''56,582'''
'''1'''
'''평화민주당'''
'''74.80%'''
<color=#373a3c> '''당선'''
3
기대웅
1,739
3
신민주공화당
2.29%

4
양동희
1,140
4
한주의통일한국당
1.50%

'''계'''
'''선거인 수'''
93,311
'''투표율'''
82.3%
'''투표 수'''
76,809
'''무효표 수'''
1,174

4. 나주시·나주군, 화순군 (14)



4.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나주시·나주군'''
(나주시 일원, 나주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나창주
21,580
2
민주자유당
32.48%

'''2'''
'''김장곤'''
'''36,285'''
'''1'''
'''민주당'''
'''54.62%'''
<color=#373a3c> '''당선'''
3
김덕영
7,876
3
통일국민당
11.85%

4
이계대
690
4
신정치개혁당
1.03%

'''계'''
'''선거인 수'''
86,649
'''투표율'''
78.3%
'''투표 수'''
67,835
'''무효표 수'''
1,404
'''화순군'''
(화순군 일원)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구용상
10,310
2
민주자유당
26.72%

'''2'''
'''홍기훈'''
'''23,118'''
'''1'''
'''민주당'''
'''59.93%'''
<color=#373a3c> '''당선'''
3
박판석
993
4
무소속
2.57%

4
조병수
4,151
3
무소속
10.76%

'''계'''
'''선거인 수'''
51,220
'''투표율'''
76.4%
'''투표 수'''
39,114
'''무효표 수'''
542

5. 나주시, 보성군·화순군 (15·16)



5.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나주시'''
(나주시 일원)
1
최인기
21,881
2
신한국당
34.59%

'''2'''
'''정호선'''
'''32,817'''
'''1'''
'''새정치국민회의'''
'''51.88%'''
<color=#373a3c> '''당선'''
3
박기수
736
4
통합민주당
1.16%

4
나창주
7,813
2
무소속
12.35%

'''계'''
'''선거인 수'''
85,013
'''투표율'''
77.4%
'''투표 수'''
65,761
'''무효표 수'''
2,514
'''보성군·화순군'''
(보성군 일원, 화순군 일원)
1
이용식
23,774
2
신한국당
33.00%

'''2'''
'''박찬주'''
'''45,531'''
'''1'''
'''새정치국민회의'''
'''63.20%'''
<color=#373a3c> '''당선'''
3
정인환
1,724
3
통합민주당
2.39%

4
김길곤
1,008
4
자유민주연합
1.39%

'''계'''
'''선거인 수'''
103,270
'''투표율'''
72.7%
'''투표 수'''
75,089
'''무효표 수'''
3,052

5.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나주시'''
(나주시 일원)
1
김대현
952
5
한나라당
1.64%

'''2'''
'''배기운'''
'''29,325'''
'''1'''
'''새천년민주당'''
'''50.55%'''
<color=#373a3c> '''당선'''
4
나창주
10,661
3
무소속
18.37%

5
이재근
17,073
2
무소속
29.43%

'''계'''
'''선거인 수'''
82,758
'''투표율'''
71.8%
'''투표 수'''
59,446
'''무효표 수'''
1,435
'''보성군·화순군'''
(보성군 일원, 화순군 일원)
1
정인환
932
4
한나라당
1.20%

2
한영애
28,709
2
새천년민주당
37.00%

'''4'''
'''박주선'''
'''46,484'''
'''1'''
'''무소속'''
'''59.92%'''
<color=#373a3c> '''당선'''
5
박판석
1,451
3
무소속
1.87%

'''계'''
'''선거인 수'''
106,489
'''투표율'''
74.3%
'''투표 수'''
79,131
'''무효표 수'''
1,555

6. 나주시·화순군 (17~20)



6.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나주시·화순군'''
(나주시 일원, 화순군 일원)
1
원종열
1,146
4
한나라당
1.31%

2
배기운
16,563
3
새천년민주당
18.98%

3
문두식
32,382
2
열린우리당
37.1%

4
구봉우
477
5
자유민주연합
0.55%

'''5'''
'''최인기'''
'''36,708'''
'''1'''
'''무소속'''
'''42.06%'''
<color=#373a3c> '''당선'''
'''계'''
'''선거인 수'''
136,519
'''투표율'''
65.1%
'''투표 수'''
88,883
'''무효표 수'''
1,607

6.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나주시·화순군'''
(나주시 일원, 화순군 일원)
'''1'''
'''최인기'''
'''50,502'''
'''1'''
'''통합민주당'''
'''74.15%'''
<color=#373a3c> '''당선'''
2
김창호
4,715
3
한나라당
6.92%

3
이광웅
602
5
자유선진당
0.88%

4
전종덕
10,469
2
민주노동당
15.37%

6
김재곤
1,819
4
평화통일가정당
2.67%

'''계'''
'''선거인 수'''
132,756
'''투표율'''
52.0%
'''투표 수'''
69,080
'''무효표 수'''
973

6.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color=#373a3c> '''나주시·화순군'''
(나주시 일원, 화순군)
1
문종안
2,558
3
새누리당
3.38%

'''2'''
'''배기운'''
'''39,887'''
'''1'''
'''민주통합당'''
'''52.73%'''
<color=#373a3c> '''당선'''[2]


-
사퇴[3]
통합진보당
-
6
최인기
33,188
2
무소속
43.88%

'''계'''
'''선거인 수'''
128,755
'''투표율'''
61.7%
'''투표 수'''
79,484
'''무효표 수'''
3,851

6.4.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나주시·화순군'''
(나주시 일원, 화순군 일원)
1
김종우
9,935
2
새누리당
22.20%

'''2'''
'''신정훈'''
'''27,932'''
'''1'''
'''새정치민주연합'''
'''62.42%'''
<color=#373a3c> '''당선'''
5
강백수
6,879
3
무소속
15.37%

'''계'''
'''선거인 수'''
130,346
'''투표율'''
34.6%
'''투표 수'''
45,145
'''무효표 수'''
499

6.5.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나주시·화순군'''
(나주시 일원, 화순군 일원)
1
김종우(金種祐)
4,149
3
새누리당
4.67%

2
신정훈(辛正勳)
39,246
2
더불어민주당
44.22%

'''3'''
'''손금주(孫今柱)'''
'''45,350'''
'''1'''
'''국민의당'''
'''51.10%'''
<color=#373a3c> '''당선'''
'''계'''
'''선거인 수'''
138,385
'''투표율'''
65.1%
'''투표 수'''
90,142
'''무효표 수'''
1,397

6.6. 제19대 대통령 선거


'''19대 대선 나주시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color=#373a3c> 바른정당
<color=#373a3c> 정의당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color=#373a3c> 유승민
<color=#373a3c>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3,967
(61.76%)'''

'''1,448
(2.03%)'''
'''21,011
(29.51%)'''
'''1,484
(2.08%)'''
'''2,686
(3.77%)'''
'''+ 22,956
(△32.25)'''
'''80.17%'''
'''동 지역'''[4]
61.11%
1.98%
30.90%
1.85%
3.51%
△30.21
76.17
'''읍·면지역'''[5]
58.37%
1.87%
34.95%
1.12%
2.40%
△23.42
75.24
'''혁신도시'''[6]
'''68.86%'''
2.22%
20.07%
3.29%
5.27%
'''△48.79'''
'''84.56'''
'''19대 대선 화순군 개표 결과'''
'''득표수
(득표율)'''
'''25,867
(59.68%)'''

'''770
(1.77%)'''
'''13,832
(31.91%)'''
'''727
(1.67%)'''
'''1,662
(3.83%)'''
'''+ 12,035
(△27.77)'''
'''79.96%'''
'''읍 지역'''[7]
60.21%
1.58%
31.55%
1.72%
4.10%
△28.66
78.29
'''면 지역'''[8]
57.37%
2.03%
35.39%
0.91%
2.50%
△21.98
75.49

6.7.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나주시·화순군'''
나주시 일원[9], 화순군 일원[10]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정훈(辛正勳)'''
'''75,586'''
'''1위'''
'''더불어민주당'''
'''78.81%'''
'''당선'''
'''7'''
안주용(安柱龍)
18,751
2위
민중당
19.51%
낙선
'''8'''
조만진(趙萬鎭)
1,578
3위
국가혁명배당금당
1.65%
낙선
'''계'''
'''선거인 수'''
151,368
'''투표율'''
65.3%
'''투표 수'''
98,815
'''무효표 수'''
2,900
현직 국회의원인 손금주 의원은 국민의당을 탈당한 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했다. 하지만 당내 경선에서 신정훈에게 밀려 탈락했다.
민중당에서는 안주용씨가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실질적으로 가장 큰 경쟁자 위치인 민생당에서 후보를 내지 않았고 배당금당을 빼면 민주당 vs 민중당 양자대결이 되었기 때문에(...) 전국 최고 득표율 당선자를 배출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구 중 하나다. 다른 유력후보는 전국 최고 보수 선거구이면서 친야 무소속 후보조차 없는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국가혁명배당금당의 조만진 후보는 청소년 강간이라는 충격적인 전과로 논란이 되었다(!)
여담으로 셋다 전과가 화려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최종적으로 신정훈 후보가 78.8%라는 압도적인 지지율로 당선되었다. 대통령 지지세를 타고 호남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6~70%대 득표율을 가볍게 기록한 상황이라(심지어 상대 후보가 시원찮은 지역구는 80%대도 나왔다.) 그렇게 돋보이지는 않지만, 그래도 엄청나게 높은 지지율인 것은 사실. 출구조사 때부터 압승이 예상되었고 시골 지역구 특성상 개표도 빠르게 진행되어 매우 신속하게 당선 유력이 되어, 개표 시작한 지 3시간도 안 되어 후보들 중에서는 가장 먼저 당선 인터뷰를 하는 진풍경을 보여주었다. 다만 당선 확정은 이개호 의원이 조금 더 먼저 되었다.
[나주] 송월동, 영강동, 금남동, 성북동, 영산동, 이창동 (이상 舊 나주시), 빛가람동, 남평읍,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다도면, 봉황면 (이상 舊 나주군)[화순] 화순읍, 능주면, 한천면, 춘양면, 청풍면, 이양면, 도곡면, 도암면, 이서면, 동복면, 백아면, 사평면, 동면[1]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2]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3] 민주통합당 배기운 후보와 단일화 합의[4] 송월동, 영산동, 금남동, 성북동, 영산동, 이창동 (구 나주시)[5] 남평읍,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다도면, 봉황면 (구 나주군)[6] 빛가람동 일대[7] 화순읍[8] 능주면, 한천면, 춘양면, 청풍면, 이양면, 도곡면, 도암면, 이서면, 북면, 동복면, 남면, 동면[9] 송월동, 영강동, 금남동, 성북동, 영산동, 이창동, 빛가람동 (舊 나주시)
남평읍,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다시면, 문평면,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다도면, 봉황면 (舊 나주군)
[10] 화순읍, 능주면, 한천면, 춘양면, 청풍면, 이양면, 도곡면, 도암면, 이서면, 동복면, 백아면, 사평면, 동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