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킹 오브 파이터즈 '94 RE-BOUT
1. 개요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4의 리메이크 작품. 2004년 12월 28일에 출시되었다. 플랫폼은 플레이스테이션 2. KOF 맥시멈 임팩트, 더 킹 오브 파이터즈 2003 PS2판과 함께 더 킹 오브 파이터즈 10주년 기념 3대 작품이다. 단, SNK는 실제 개발에 관여하지 않았고, 우키요테이에게 하청을 줘서 리메이크하게 했다.[1]
엑스박스로도 발매될 예정이었지만 발매를 취소하였다. 그런데 유튜브 영상에 가보면 엑스박스판 영상이 있다. 인 더 그루브 2 PS2판이나 하프라이프 드림캐스트처럼 유출판일 듯.[2]
2. 시스템
'''팀 에디트 시스템'''이 생겼다. 95처럼 셀렉트 화면에서 팀 에디트 여부를 결정하는 건 아니고 팀 에디트가 적용된 모드가 따로 추가된 것. 덕분에 팀별 데모와 엔딩밖에 없던 94에 95 이후처럼 에디트팀 전용 엔딩이 추가되었다. 내용은 기존 팀 엔딩을 간소화한 형태.[3] 룰렛 선택 추가는 덤.다만 CPU는 에디트를 하지 않는다.
무한잡기, 헛방 문 슬래셔 후 스톰 브링거, 45 문 슬래셔, 잡기 후 샤이닝 크리스탈 비트 등 94의 버그 상당수가 수정되었다.
원호공격은 화면 뒤에서 대기하던 캐릭터가 삭제되면서 원호공격을 화면 어디서나 호출할 수 있게 되었고 모션도 기존의 뒤에서 라인이동처럼 뛰어드는 모션 대신 00의 스트라이커와 비슷한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초필살기 사용시 암전과 이펙트가 생겼다. 발동시 아주 잠깐 암전이 생기는데 외형적인 변화만 있을 뿐 무적시간이 있는 것은 완전히 94와 같다. 다만 이 암전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가드할 시간이 생겼다는 것이 오묘하다. 그러나 암전시간이 매우 짧아서 다 막아내는 것도 아니다.
94에서 반 버그 수준으로 매우 미세하게 있었던 가드 캔슬을 정식 시스템으로 채용했다. 95처럼 게이지 MAX시 1타 가드 캔슬을 사용 가능하다.96 이후 작품 처럼 히트 수 표기가 추가되어 연속기 연결 유무를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95에 비해 MAX 지속시간이 꽤나 짧아졌다.오리지널 94와 95의 중간 정도.
게임은 크게 3가지 형태로 플레이할 수 있는데 우선 옵션에서 선택할 수 있는 위에서 언급된 변경점이 모두 적용된 '노멀 시스템', 인터페이스와 캐릭터 스프라이트등 굵직한 변경점만 놔두고 나머지(스테이지 포함)는 버그까지도 원작 94 그대로 즐길 수 있는 '네오지오 시스템'이 있다. 한편, 메인 화면의 '네오지오 모드' 를 통해 아예 네오지오판 KOF 94를 플레이할 수 있다.[4]
3. 그래픽
[image]
[image]
94의 도트를 640 X 448 해상도에 맞춰 깔끔하게 다듬었다. 외곽선이 깔끔히 정리되어있고 세부 묘사에서도 에뮬레이터 2XSAI 옵션과는 비교를 불허할 만큼 깔끔하다. 필터를 먹인 상태에서 디테일한 부분만 손봤을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게임에서 크게 위화감이 없다. 이후 98UM도 같은 방식으로 고해상도 도트를 구현하려 했으나 94와 달리 캐릭터가 너무 많아 백지화되었다고 한다.
특히 몇몇 배경은 아예 위치를 바꿨다. 특히 일본 배경은 에사카역 부근에서 삿포로로 바뀌었고, 이탈리아 배경은 아랑전설 2의 앤디 스테이지처럼 움직이는 곤돌라로, 멕시코는 파오파오 카페인 것은 맞는데 그 안에 움직이는 스테이지를 설치해놨다.[5] 브라질 배경은 정글을 날아다니며, 한국 배경은 창덕궁으로 바뀌는 등 다양하게 변화하였다.
94의 스테이지를 리메이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완전히 새롭게 만들다시피한 3D 스테이지는 더 킹 오브 파이터즈 드림 매치 1999 이래 쌓인 SNK의 노하우 덕분에 퀄리티가 좋다. 각 라운드마다 시간대나 기후의 변화까지 볼 수 있다. 같은 스테이지라도 일부는 위치와 각도가 변해 플레이하는 기분이 새롭다. 일부 배경맨도 깨알같이 구경하는 위치나 장소가 변한다. 다만 회피할 때 화면이 잠깐 틀어져서 어지러울 수 있다.
본작의 컬러 에디트는 승리 일러스트와 인게임 컷신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일러스트는 하시모토 히로아키
4. 사운드
기본적으로 94의 AST를 사용하고 있다. OST도 선택 가능.
5. 여담
국내에는 정발이 안된 것도 있어서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팬 서비스로 상당히 멋지게 완성된 작품.여담으로 특유(?)의 연습모드 오타는 여기에도 찾아 볼 수 있는데 연습메뉴의 스테이지 선택에서 브라질이 B'L'AZIL로 표기되어 있다.(...)
10주년 기념으로 KOF 스토리 다이제스트 영상이 수록되어 있다. 오로치편 네스츠편 (한글자막)
6. 등장인물
6.1. 참전 캐릭터
[image]
'''사이슈가 추가되었다.''' 95의 데이터를 가져온 탓에 94에서 모든 캐릭터가 가능한 약공격 판정지속이 없다는 소소한 단점이 있다.
사이슈와 루갈은 별다른 조건 없이 처음부터 선택 가능.루갈의 경우 갓 프레스는 초필살기가 되었고 플레이어블은 대미지가 대폭 하향되었다. 판정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여전히 강력한 캐릭터.
95와 마찬가지로 사이슈와 루갈은 팀 에디트가 없는 팀 플레이 모드에서는 선택할 수 없다.
6.2. 기타 캐릭터
배경의 카메오 캐릭터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등장한다. 당시에 없던 후속작의 캐릭터들이나 SNK 타 격투게임 캐릭터들도 대거 등장한다. 참전 캐릭터는 26명뿐이지만 배경 캐릭터의 볼륨은 KOF 2000의 스트라이커 군단에 비견할 만하다. SNK 격투게임의 캐릭터들의 콜렉션이라고 보면 된다. 심지어 K9999도 나온다![6] 보스 캐릭터들도 등장한다.[7]
[1] 이 우키요테이라는 개발사는 과거 네오지오 포켓으로 메탈슬러그 퍼스트 미션을 SNK로부터 하청받은 바가 있다.[2] 위키에 의하면 2005년 4월부터 이식작업을 했으나 2006년 3월에 취소되었다고 한다. 이유는 불명[3] 정확히는 루갈이 자폭하는 장면에서 끝난다.[4] 옵션의 난이도 설정,시간 설정,파워 게이지 MAX 설정,방어력 설정,게이지 인터페이스 ON/OFF 설정이 그대로 반영된다.[5] 94때 배경이 사진으로 등장한다.[6] 한국맵 배경에서 레오나와 담소를 나누고있다[7] 기스 하워드, 무카이, 이그니스, 오리지널 제로. 모두 '''루갈의 동상으로''' 나온다. 이 중 이그니스는 동상이 아닌 뉴트럴 포즈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