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자이언트

 


[image]
팀 로고[1]
'''롯데 자이언츠 '''
'''Lotte Giants '''
'''정식명칭'''
'''롯데 자이언츠'''
'''영문명칭'''
lotte giants
'''창단년도'''
1975년 5월 6일 (48주년)
'''프로전환'''
1982년 2월 22일 (42주년)
'''모기업'''
롯데그룹[2]
'''연고지'''
없음[3]
'''구단명 변천사'''
롯데 자이언트(1975년 ~ 1981년)
'''리그 우승'''
5회
'''코리안시리즈'''
2회
1979년, 1981년
'''실업리그 마지막해 구단 프런트'''
(1981년)
'''구단주'''
신격호
'''사장'''
신준호[4]
'''감독'''
박영길
1. 개요
2. 명칭
3. 역대 시즌
4. 프로로의 전환
5. 기타
6. 역대 성적
7. 소속 선수
8. 관련 문서


1. 개요


[image]
1976년 백호기 인터뷰 중 단체 사진
1975년~1981년까지 있었던 실업야구팀이자 프로야구롯데 자이언츠의 모태가 된 팀.[5] 1982년 2월 12일에 롯데 자이언츠로 프로팀으로 재창단 되기 전까지의 팀이었다. '''참고로 한국실업야구팀은 연고지가 없었다.''' 주요 경기는 서울에서 펼쳐졌으며 주요 대도시를 지정해서 몇몇 경기는 지방에서 열리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롯데 자이언트도 연고지가 있지 않았다. 연고지는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준비하면서 생긴것.[6]

2. 명칭


롯데 자이언츠냐, 롯데 자이언트냐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는데, 당시 언론 기사를 찾아보면 두 가지 모두 사용된 명칭으로, 결론적으로 둘 다 맞는 표현이라 할 수 있겠다.
일단 창단 준비 기사에는 둘다 나온다. 다만 영문명은 창단 당시부터 '''Lotte Giants였기 때문에 롯데 자이언츠라고 부르는 것이 맞다.''' 롯데 자이언트라고 부르는 것은 당시 기자들의 착각인 셈.
5월 7일 동아일보에는 롯데, 야구단 창설 별명 자이언츠 감독엔 김동엽씨라는 기사가 나오는데 여기선 '''롯데 자이언츠'''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5월 20일 동아일보에는 롯데 티임 야구협회에 등록. 이 기사에선 "한국실업야구연맹 10번째 가맹팀으로 '''"롯데 자이언트"'''가 19일 정식으로 대한야구협회에 등록을 끝냈다."라고 떠 있으며 7월 20일 일본선수 영입기사에도 "'''롯데 자이언트'''"라고 등장한다. 1977년 기사에도 "롯데 자이언트"라고 언급한 기사가 나온다.
[image] 
1977년 3월 25일 기사
하지만 1976년 기사 중간중간에도 롯데 자이언츠라는 단어들이 자주 나오는 것으로 보아 둘다 혼용해서 썼을 가능성이 있다.77년에는 아예 롯데 자이언츠라고 소개한 기사가 등장한다.
이런 혼합된 용어들이 사용되었지만 원년도에 가장 많이 나온 단어인 롯데 자이언트를 항목 제목으로 표기했다. 일단 나무위키 내에서는 현 롯데 자이언츠와 구분되는 의미로 실업리그 당시는 롯데 자이언트로 표기하고 있다.

3. 역대 시즌



3.1. 1975년


1975년 3월 11일, 롯데제과가 야구단 창단 계획을 대한야구협회에 알려 왔다. 일각에서는 실업야구 창단 추진을 신격호 사장이 했다고 하는데 사실과 다르다. 신격호는 실업 야구단의 프로구단 전환과 연고지에 대해서만 찬성했을 뿐이다.[7][8]
1975년 5월 6일 서울에서 창단식을 가지고 5월 20일 등록을 마침으로써, 대한야구협회에 10번째로 가입했다. 창단 감독은 빨간 장갑의 마술사 김동엽.
실업팀임에도 프로팀을 지향하는 차원에서 팀 이름도 '''롯데 자이언트'''라 짓고, 일본 전지훈련에, 자매팀인 일본의 롯데 오리온스(현 치바 롯데 마린즈) 초청이나 국내 최초의 여성 치어리더 응원단을 만드는 등,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지원을 했다.
[image]
롯데 자이언트의 응원단 롯데 엔젤스(Lotte Angles)

1975년 7월 2일 선수단 구성을 완료했는데 이중 일본 출신의 재일교포 선수가 4명이나 된 것이 특이한 점이다. 닛폰햄 파이터즈의 언더핸드였던 주동식주니치 드래곤즈의 백업포수였던 카나야마(金山),일본 사회인야구 도시대항전팀인 <사이노(西農) 운수>의 에이스 김호선, <산쿄정기(三協精機)>의 외야수 호시야마(星山)이 그들이었다. 그런데 일이 틀어졌는지 주동식과 김호선은 롯데에 입단하는 대신 일본프로야구에서 계속 선수 생활을 했다(...)
1975년 9월 20일에 실업야구 최초로 공개 테스트를 진행##, 광주진흥고의 박창수(투수), 대건고 박홍석(내야수), 전남고 조국현(내야수), 경동고 민경수(내야수), 선린상고 이수희(내야수)등 5명을 뽑기도 했다.
또한 신생팀에 대한 특혜로 1976년에는 대학졸업생 유망주를 싹쓸이(…)하며 팀 전력을 꾸리기 시작해 당시 실업팀들 중 최강의 멤버를 자랑했다.
1975년 롯데 자이언트 원년 멤버
단장
신준호
부장
이영종
감독
김동엽
투수
계형철
(성균관대학교)
남우식
(한양대학교)
김홍곤
(연세대학교)
양한철
(동국대학교)


포수
송종창
(부산고등학교)
손상대
(한양대학교)
카나야마
(재일교포)
박창수
(광주진흥고)
내야수
김정수
(한양대학교)
천보성
(한양대학교)
윤병선
(건국대학교)
황기화
(건국대학교)
김인식
(성균관대학교)
박홍석
(대건고등학교)
조국현
(전남고등학교)
민경수
(경동고등학교)
차영화
-
외야수
김성관
(고려대학교)
정현발
(한양대학교)
호시야마
(재일교포)
이수찬
(선린상업고등학교)

3.2. 1976년


1976년 한해동안 거둔 총 전적은 31경기 20승 3무 8패였다.[9]. 춘계리그 3위, 하계리그/추계리그 우승, 부산시장기 4강의 기록을 세웠다.
자세한 경기내용 및 설명은 롯데 자이언트/1976 참조.

3.3. 1977년


1977년 한해동안 거둔 성적은 57경기 35승 6무 16패를 기록했다.[10] 부산시장기 준우승, 전기 2차 2위, 백호기 4강, 후기 1차 우승, 후기 2차 우승등의 기록을 세웠지만 유독 플레이오프에서 약해 전기 통합 플레이오프 1승 2패로 탈락, 후기 1차 결승리그 1승 2패 탈락, 후기 2차 결승리그 1승 1무 1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자세한 경기내용 및 설명은 롯데 자이언트/1977 참조.

3.4. 1978년


1978년은 조금 주춤했던 해다. 20승 3무 22패를 기록, 전기리그엔 8위였지만 후기리그엔 우승을 차지 코리안시리즈에도 진출했다. 하지만 아쉽게 4위에 그쳤다.
자세한 경기내용 및 설명은 롯데 자이언트/1978 참조.

3.5. 1979년


1979년은 다이나믹 했다. 20승 15패를 기록했고 1차리그 준우승[11], 서라벌기 준우승, 그리고 코리안시리즈 우승까지 시작은 미미했지만 끝은 창대했던 시즌.
자세한 경기내용 및 설명은 롯데 자이언트/1979 참조.

3.6. 1980년


실업시절 최악의 성적을 기록한다. 11승 24패 1무. 백호기 준우승을 제외하곤 부산시장기, 서라벌기 예선 탈락을 기록했고 정규리그에서 승률이 50% 이상이 된 적이 전기 4차리그(2승 2패)와 후기 4차(2승 1무 1패)뿐이었다.
자세한 경기내용 및 성적은 롯데 자이언트/1980 참조.

3.7. 1981년


1981년에는 최우수상을 수상한 최동원[12]과 타격왕 허규옥[13], 그리고 도루왕을 차지한 이해창[14]의 맹 활약에 돋보이는 시즌이었다.
특히나 계약금 3000만원으로 당시 최고금액을 받고 입단한 최동원에게 엄청난 기대를 할수밖에 없었고 그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팀이 기록한 36경기 324이닝중 206이닝을 소화하며 17승 4패를 기록했고 탈삼진도 무려 173개를 기록해 1위를 기록했다.
자세한 내용은 롯데 자이언트/1981항목 참조.

4. 프로로의 전환


프로야구와 관련된 떡밥들이 실업야구 창단과 더불어 나왔으나 이것이 본격적으로 공론화 되기 시작한건 1979년 신격호의 "한국프로야구 추진 계획"이 시작이었다.당시 기사
1982년 2월 22일 프로야구단으로 전환하며 연고지도 부산으로 옮겼다. 원래는 서울 연고가 예정되어 있었고 부산에는 럭키금성이 창단하도록 예정되어 있었으나 럭키금성이 창단 계획을 철회하였고 이후 KBO가 럭키금성을 대신해서 MBC에 창단을 권유했을때 MBC가 서울연고 조건으로 창단을 고집하여 KBO가 롯데를 설득하여 부산연고로 이전하게 하였다. 이때문에 롯데는 비공식적으로 한국 최초의 연고지 이전 팀이라고도 한다.
참고로 프로팀 롯데 자이언츠 창단 감독인 박영길은 실업팀 롯데 자이언츠 마지막 감독으로, 감독 뿐만 아니라 당시 실업팀 구단 관계자들은 그대로 프로팀으로 자리를 옮겨갔다고. 단 선수는 프로 롯데에 계승되지 않고, 연고지 원칙 때문에 묶여서 대부분 각자 자기 연고지의 프로팀으로 갔다. 다만 1982년에는 세계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협회가 일부 우수 선수의 프로 전향을 막았고, 이 선수들 역시 다른 실업 팀으로 이적했다. 이 선수들은 대부분 대회가 끝나고 프로로 전향했다. 특히 부산/경남 지역이 연고지인 최동원은 프로로 전향하면서 다시 롯데로 돌아왔다.

5. 기타


여담으로 KBS 한준희 축구 해설위원이 이 팀 팬임을 2008년 10월 23일 이광용의 옐로우카드에서 직접 인증했다.
롯데 자이언츠 앱으로 티켓을 예매하면 발신자 정보에 이 이름이 뜬다. 후스콜 SMS를 사용한 경우이다. [image]

6. 역대 성적


  • 진한글씨는 정규리그 성적을 나타내며 노란색 칸은 1위한 시즌이다. 풀색 칸은 꼴찌한 시즌을 나타낸다.
년도
성적
순위
1976년
5승 1무 3패
'''춘계리그 공동 3위'''
1패
백호기 전국선수권 예선 탈락
2승 1패
부산시장기 4강
7승 1무 1패
'''하계리그 우승'''
5승 2무 2패
'''추계리그 우승'''
1977년
3승 1패
부산시장기 준우승
5승 1무 4패
'''전기 1차리그 공동 3위'''
7승 1무 2패
'''전기 2차리그 2위'''
3승 1패
백호기 전국선수권 4강
7승 1무 1패[15]
'''후기 1차 우승'''
1승 2패
후기 1차 결승리그 탈락
7승 1무 2패
'''후기 2차 우승'''
1승 1무 1패
'''후기 2차 결승리그 탈락'''
1978년
1패
부산시장기 예선 탈락
7승 2무 11패
'''전기리그 8위'''
1패
백호기 전국선수권 예선 탈락
13승 1무 6패
'''후기리그 우승'''
3패
'''코리언 시리즈 4위'''
1979년
1패
백호기 전국선수권 예선 탈락
6승 2패[16]
'''1차리그 준우승'''
2승 1패[17]
'''2차리그'''
1승 1패
백호기 4강
2승 1패
서라벌기 준우승
1승 4패
'''3차리그 5위'''
2승 3패
'''4차리그 4위'''
4승 4패[18]
'''5차리그 준우승'''
3승
'''코리언 시리즈 우승'''
1980년
1승 3패
'''전기 1차리그 꼴찌'''
1승 3패
'''전기 2차리그 꼴찌'''
1패
부산시장기 예선 탈락
1승 3패
'''전기 3차리그 꼴찌'''
3승 1패
백호기 전국선수권 준우승
2승 2패
'''전기 4차리그'''
1패
서라벌기 예선 탈락
3패
'''후기 1차리그 꼴찌'''
1승 3패
'''후기 2차리그 꼴찌'''
3패
'''후기 3차리그 꼴찌'''
2승 1무 1패
'''후기 4차리그'''
1981년
13승 2패
'''전기리그 우승'''
3승 1무 2패
'''코리언 시리즈 우승'''


7. 소속 선수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선수만 소개. 뒤에 연도는 소속기간으로, 간혹 소속기간 중 공백이 있는 건 군복무 때문.
  • 강만식 : 1981
  • 계형철 : 1976, 1980~1981
  • 김성호 : 1978~1979
  • 김인식[19] : 1976~1977, 1980~1981
  • 김한근 : 1979, 1981
  • 박승호 : 1980
  • 손상대 : 1976~1977, 1981
  • 이해창 : 1979~1981
  • 정영기 : 1980~1981
  • 정현발 : 1976~1981
  • 차영화 : 1976~1981
  • 천보성 : 1976~1977, 1980~1981
  • 최동원 : 1981
  • 최정기 : 1979~1981
  • 허규옥 : 1980~1981

8. 관련 문서



[1] 이 로고는 당시 롯데 오리온즈의 로고를 변형시킨 것이다. 프로전환 후에도 1992년까지 사용되었다가 1993년부터 크고 아름다운 로고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2003년부터 G라는 로고로 변경되었고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2] 창단은 롯데제과에서 주도해서 이루어 졌다.[3] 당시 한국실업야구에는 연고지 개념이 없었다.[4] 前 롯데제과 회장으로 신격호의 동생이다. 원래 신격호가 가장 아끼는 동생이었으나 1990년대 중반 신격호와 양평동 롯데제과 부지 소유권을 놓고 대판 싸우고 난 뒤 롯데우유(현 푸르밀)를 들고 롯데의 울타리를 떠났다. [5] 사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미 롯데는 일본프로야구 롯데 오리온즈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래서 한국에 실업야구단을 손쉽게 창단할 수 있었다.[6] 이때문인지 몰라도 롯데는 출범 당시 서울 연고지를 강하게 원했었다. 물론 서울로 가고싶어하는 기업이야 많았었지만...[7] 물론 실업야구단 창단 자체는 찬성했을 것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그 짠돌이 기업이 야구단 보유를 하진 않았을 테니.[8] 그러나 이미 롯데는 일본프로야구 팀 롯데 오리온즈를 운영하고 있었다. 팀 자체도 일본의 야구 문화를 그대로 가지고 왔다.[9] 시범경기나 친선경기는 제외[10] 후기 1차리그 10번째 경기결과를 알수가 없기에 한경기 결과가 포함되지 않았다.[11] 1차리그 풀리그는 4전전승으로 우승, 결승리그에서 준우승[12] 17승 4패. 다승왕, 최우수신인투수상, 최우수상 수상. 데뷔 첫해 최우수상을 받은건 77년 김재박 이후 처음이다. 그리고 전기리그에서 거둔 13승 2패중 12승을 최동원이 거뒀다.[13] 108타수 42안타 .389[14] 23도루[15] 마지막 경기결과를 알수가 없다.[16] 1차리그 4승(4전 전승) + 1차리그 결승리그 2승 2패[17] 한경기 결과를 알수가 없어 제외[18] 5차리그 3승 2패 5 5차리그 결승리그 1승 2패[19] MBC 출신 前 야구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