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투 칸

 

[image]
Batu Khan, 생몰년(1205~1255), 재위기간(1242~1255).

1. 개요
2. 생애
3. 평가
4. 대중매체에서


1. 개요


몽골인들은 바투[1]를 '''생 칸(Сайн хаан)'''이라 불렀는데, '''좋은 임금'''[2]이라는 의미이다.

2. 생애


칭기즈 칸의 첫째 아들인 주치의 아들이다 (즉 칭기즈 칸의 손자). 장자가 아버지로부터 가장 멀리에 있는 땅을 물려받는 몽골의 전통에 따라 주치는 칭기즈 칸으로부터 가장 먼 곳인 러시아 초원 지대에 자리잡게 되었다. 주치가 죽자 칭기즈 칸은 주치 울루스의 영지를 주치의 아들들이 물려받게 하였고, 주치의 여러 아들들 중 둘째인 바투가 통치권을 계승하였다(첫째는 몸이 약했기에 동생인 바투가 계승하는 것을 지지했다).
바투의 영토는 세메이, 악몰린스크, 투르가이, 오랄, 아다지, 호라즘 왕조 본토를 포함하였고, 또한 킵차크인들의 땅부터 볼가 강 서쪽의 정복지인 제베수부타이의 서방 원정으로 획득한 드넓은 초원지대를 포함하였다. 즉 몽골 제국의 서북쪽 끝으로 유럽과 가장 가까운 유목제국이 되겠다.
칭기즈 칸이 사망 당시, 주치 울루스는 몽골 제국의 서북쪽 볼가강 유역을 점유하고 있었으며 약 4,000명의 군대가 있었다. 이 주치 울루스는 주치의 첫째 아들[3]과 둘째 아들 바투[4]에게 승계되었다. 우구데이 칸 시절 초반에 바투는 주로 대 전선에서 싸웠으며, 금 제국을 멸망시킨 이후 서방 원정군의 사령관이 되었다.[5] 1235년 바투, 구유크, 몽케, 수부타이 등이 이끄는 10만 이상의 대규모 몽골군이 서방원정을 위해 집결하였고 1236년 볼가강을 넘어 러시아를 침공하였다. 이 서방원정군은 1240년까지 러시아에 난립하던 공국들을 개발살내고 다녔다.[6]
러시아를 침공하던 도중 주치의 혈통 문제가 뇌관으로 작용하면서 칭기즈 칸의 다른 손자들(구유크로 대표되는 우구데이계와 차가타이계)과 다툼이 벌어지게 된다. 단, 같이 왕따 당하던 툴루이계와는 친했다. 결국 사촌들[7]에게 욕을 보인 바투는 빡쳐서 우구데이 칸에게 일러바쳤다. 바투의 보고를 받은 우구데이 칸도 빡쳐서 구유크 등을 소환해서 씨족 간에 분쟁을 일으킨 죄를 물어 갈궜다.
러시아의 생존자들은 헝가리로 도망쳐서 몸을 의탁했는데, 바투는 이들을 추격하는 동시에 갈 수 있는 한 서쪽 끝까지 정벌하기로 결심하였다. 몽골군은 폴란드, 헝가리를 넘어 오스트리아까지 정찰을 한 뒤 군세를 셋으로 나누어 동유럽을 침공하였다. 바투는 1242년까지 헝가리, 폴란드 등 동유럽을 침략하다가 우구데이 칸이 1241년 12월 죽고 이 소식이 전해지자 황급히 군대를 물러 돌아갔다.
몽골군이 동유럽에서 철수한 이후 수부타이 등은 쿠릴타이에 참여하기 위해 바로 몽골 초원으로 돌아갔지만 바투는 볼가 강 유역에 남아 미적거렸다.[8] 이 때문에 구유크는 1246년이 되어서야 대칸위에 오를 수가 있었다.[9] 구유크와는 계속 사이가 안 좋아서 바투는 몽골 제국 본대와는 따로 놀면서 킵차크 칸국을 세웠다.[10] 이때 바투의 영지는 러시아, 이란, 캅카스 등을 망라했다.
구유크 칸과의 사이는 갈수록 안 좋아졌는데, 결국 구유크 칸은 바투가 이란과 캅카스에 임명한 지방관을 자기 사람으로 바꾸는 한편 1248년 바투를 몽골 초원으로 소환하기에 이르렀다. 구유크의 진의를 의심한 바투는 대규모 군대를 모아 서서히 몽골 초원으로 이동했고 구유크도 군대를 이끌고 서쪽으로 나아갔다. 하지만 구유크가 갑자기 죽음으로써 내전까지 이르지는 않았다.
구유크 칸이 사망한 후에 바투는 칭기즈 칸 일족의 큰 어르신으로서 제국의 차기 대칸을 결정하는 데 있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비록 정통성은 우구데이계에 있었지만 바투는 그럴 생각이 없었다. 1250년 바투는 자신의 영토에서 쿠릴타이를 소집해서 자신과 사이가 좋고 몽골 제국 내에 세력이 미약한 툴루이계의 몽케를 대칸으로 올렸다. 그리고 저항하는 우구데이계와 차가타이계를 힘으로 찍어눌러버리면서 '대칸 옹립자'란 별명을 얻게 되었다.[11] 몽케도 제 성질대로 하면 대칸이 된 이후 반독립적 칸인 바투를 족쳤어야 했는데, 손도 못 댔다고 한다. 이후 바투는 서쪽에 대한 정복을 계속하며 자신의 칸국에 대한 지배력을 공고히 하였다.[12][13]

3. 평가


몽골 전승에 의하면 현명하고 온화한 칸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러시아의 전승에는 지옥에서 올라온 무자비한 폭군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 원정을 책임진 장수였으니 어찌보면 당연할지도.. 실제 당시 동유럽에서 몽골군의 악명은 자자했는지 바투가 한 러시아 귀족의 아들을 잡고 금발벽안의 모습에 반해 어루만졌는데, 그가 바투의 손을 치자 분노해서 죽였다는 얘기도 있다. 당대의 러시아 시문학에서는 우리는 열심히 싸웠는데 하느님의 군대에게 이길 수는 없었다는 식으로 묘사하고 있다.
그러나 무시무시한 이미지와는 다르게 의외로 '''군사적 능력은 시원찮은 면이 많았다'''. 기실 원정군에서 바투는 얼굴마담 격이고 실제로 부대를 지휘한 건 칭기즈 칸 이래의 개국공신이자 백전노장 '''수부타이'''일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토르조크 전투에서는 2주나 허비하고도 못 이겨 수부타이 불러와서 이기고[14] 코젤스크 전투에서는 7주를 허비하고 병력도 4천 명이나 잃었는데 그런데도 못 이겨 다른 부하의 도움을 받아서야 겨우 이겼다. 지옥에서 올라온 공포의 대왕...이 아니라 허당(?) 바투.
심지어 모히 전투에서는 수부타이가 세운 작전을 무시하고 멋대로 나섰다가 팔합독이라는 본인이 신임하는 장수가 전사했다.[15] 본인도 이게 엄청 충격이었는지 구하러 온 수부타이에게 졌으니 돌아가자고 했다가 수부타이의 단호한 모습에 포기하고 수부타이 덕에 어찌저찌 이긴 후에는 분했는지 괜히 수부타이에게 "니가 늦게 와서 이렇게 된 거잖아!" 라고 화풀이했다. 수부타이도 못 참겠는지 또 바투에게 "대왕께서 제 말 안 들어서 이런 건데 왜 제 탓입니까?" 라고 반문하는데 바투는 할 말이 없었는지 수부타이 덕분에 이긴 거 맞다고 인정하고 데꿀멍한다. 그러면서도 수부타이는 바투의 패배를 미끼 삼아 헝가리군을 쓸어버린다. 이러한 사례들을 보면 군사적 측면에서는 빈 말로도 명장으로 불러 줄 수 없는 편.
다만 바투가 군사적 능력은 딸려도 총사령관으로서의 상황 판단력만큼은 좋았다는 의견도 있는데, 원균처럼 답없는 내부의 적 수준까진 아니라 자존심이 상해도 '''본인 능력이 딸리는 걸 인정하고 지휘권을 사실상 수부타이에게 넘겼기 때문'''. 덕분에 당시 몽골군들은 큰 패배를 당한 기록도 그다지 없고 동유럽까지 진출하며 세계 최강 명성을 쌓아올린다.
실제 바투는 군사적 능력보단 '''정치적 능력을 더 주목'''해야 하는데, '사인 칸'이라는 별명이나 구유크 사후 후계 문제에 적극 개입하며 몽골 제국 내에서 주치가의 영향력을 확대한 점, 킵차크 초원 지역에서 몽골의 지배권을 굳게 다진 점 등을 종합해 보면 정치력이 결코 모자란 인물은 아니었다. 실제 바투와 이후 바투 후손들의 행적을 보면 바투는 성공한 편이다. 그가 세운 킵차크 칸국도 다른 칸국들처럼 혼란이 좀 있기는 했지만 우구데이 칸국 1310년 멸망, 차가타이 칸국 1370년 멸망, 일 칸국 1355년 멸망을 기록한 것에 비해 킵차크 칸국은 무려 1502년까지 지속되었고, 그 후신 국가들은 대부분 16세기 중반에 멸망했지만 크림 칸국은 19세기까지 지속되었으니 어찌보면 최후의 승자다. 본가도 몽골제국 - 원나라 - 북원 등으로 이어지다가 17세기에 결국 대칸 자리가 청나라에 넘어간 것과 비교하면 참 질기게도 살아남은 셈.
다만 바투가 그렇게도 악명이 높은 다른 이유가 있다면 '''무자비한 학살과 약탈''' 때문일 것이다. 실제로 수부타이와는 달리 잘 싸우지는 못했지만 바투는 꼭 정복한 곳마다 무자비하게 짓밟고 다녔다.

4. 대중매체에서


[image]
'''징기스칸 4 일러스트'''
징기스칸 4에서는 주치의 아들로 조금 늦게(1207년 생) 등장. 이 때도 74/91/72의 꽤 우수한 무장이었지만 PK추가시나리오 3에서는 더욱 능력치가 82/96/83으로 올라가고 특기 연사까지 추가되어서 완전 전투괴물로 변신. 역사처럼 동유럽으로 파견해서 폭주하듯이 유럽 도시들을 함락할 수 있다. 다만 아버지 주치와 마찬가지로 초기 충성도가 낮기 때문에 영주를 바꾸고 연회로 충성도를 올려두자. 플레이어가 고려를 할 경우 바투가 영주로 있는 사마르칸트는 고려에서 멀긴 하지만 가도가 깔려 있기에 이규보나 먼저 고려의 장수로 빼냈을 가능성이 높은 야율초재를 간첩으로 보내서 바투를 빼낼 수 있다.
영화 퓨리어스에서 등장. 300 크세르크세스 처럼 이상한 복장으로 등장.
국내 온라인 게임 천하제일상 거상에서 바투의 이름을 딴 바투세트라는 아이템이 존재한다. 거상 내 몽골지역 내의 왕의무덤이라는 던전에서 드랍하는 아이템이며, 민첩성의 스탯을 어마어마하게 올려주는 아이템.

[1] '용감하여 상대가 없는 사나이'라는 뜻의 몽골어라는데, 용사를 뜻을 가진 '바가투르/바토르'와 동일한 듯 하다.[2] 몽골어에서 "생(Сайн)"은 "좋은", "잘", "Good"이라는 뜻이다. 몽골어 첫 인사인 "Сайн байна уу"도 "잘 지내시죠?"라는 뜻이다. 서양 군주풍 별명으로 치면 '선량왕(善良王)' 쯤 되겠다.[3] 흰색 올다.[4] 황금 올다(졸로타야 올다, 金帳, Golden Horde) - 칭기즈 칸의 씨족들은 황금씨족이라 불리는데 그중 칭기즈 칸의 첫째 아들인 주치의 계승자인 바투의 올다는 황금올다라 불렸다.[5] 사실 바투는 명목상 총사령관이었고 실제로는 수부타이가 지휘했을 것으로 짐작된다.[6] 그나마 가장 북쪽에 있던 노브고로드 공국만이 살아남긴 했지만 얘네도 몽골 앞에서 버로우타고 꺠갱해야 했으며 살아남은 것 마저도 바투의 큰 실책으로 인해 겨우겨우 보존한 것이다.[7] 우구데이의 아들 구유크가 가장 적대적이었다. 일반적으로 사촌들이 혈통 때문에 바투에게 모욕을 주었다고 추측하나, 김호동 교수의 경우에는 사촌들이 서방원정에서 바투가 보여준 무능에 열받아서라 추측했다. 그러나 원정 이전부터 구유크 및 우구데이와 차가타이계 사촌들과는 사이가 매우 나빴고, 이들에 대한 보고에서 우구데이가 바투의 손을 들어준 것은 단순한 무능 때문은 아닐 것이다.[8] 바투와 그의 부관들은 유럽원정을 계속 진행하고 싶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하지만 원정대의 실질적인 지휘자였던 수부타이는 바투에게 다소 협박에 가까운 말을 하면서까지 귀환을 주장했고 결국 그의 의견에 따라 철수를 선택했다. 대신 타협책으로 귀환길을 발칸반도를 경유하는 길로 잡아 약탈전을 계속 수행했다. 추정이지만 바투가 원정을 더 하고자 한 이유는 이후 킵차크 칸국의 일을 생각해보면 자신의 기반을 더 만들기 위함일지도 모른다.[9] 구유크 칸이 대칸에 오를 때 바투는 형제들을 보내 주치 일족을 대표하게 했다.[10] 바투도 구유크 칸의 시대에는 데꿀멍 중이었고 몽케 칸 이후의 일이라 믿어진다. 다만, 바투의 생전에는 주치 울루스 내부에서만 칸을 자칭했고, 외부에서는 '아카'를 칭했던 것 같다. [11] 우구데이 사후 일족의 연장자는 차남 차가타이로, 주치와 사이가 나쁘던 차가타이의 지원 하에 구유크는 대칸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다. 그러나 차가타이가 사망한 이후 구유크까지 사망하자 칭기즈 칸의 손자들 중에서 바투가 가장 연장자로 올라섰다. 한편 차가타이 사망 시에 구유크가 차가타이가 지명한 후계를 무시하고, 자기 마음대로 다른 사람을 후계로 올리면서 차가타이 가문과도 사이가 나빠졌었다. 또한 칭기즈 칸 사망시에 몽골 초원과 대부분의 몽골인들을 상속받은 툴루이는 우구데이의 압박 속에 사실상 이러한 권리들을 대부분 강제로 빼앗겼었으며, 툴루이의 아내 소르가그타니 베키는 우구데이의 아들과 강제로 결혼을 강요당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정 속에서 우구데이 가문이 다음 대칸 지위를 유지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12] 칭기즈 칸이 분배한 영역에 따르면 서아시아는 차가타이 칸국에서 담당하여야 했지만, 몽케는 자신의 동생 훌레구를 총지휘관으로 임명하여 사실상 강탈해 버렸다.[13] 앞서 바투도 우구데이가 파견한 우구데이/차가타이/툴루이 가문의 군대를 자신의 수중에 넣었는데, 훌레구도 몽케 사후 지휘하던 타 가문의 부대들을 자신의 예하에 잡아두었다.[14] 정작 수부타이는 그걸 3일만에 해낸다.(...) [15] 다만 수부타이와의 합동 작전 자체의 난이도가 높았기 때문에 바투는 수부타이의 명령을 무시한 것이 아니라 돌격 타이밍을 잘못 잡은 것이며, 따라서 바투의 졸전을 어느 정도 참작할 여지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