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과 오사카 비교
1. 개요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인 부산광역시와 사실상 일본 제2의 도시인 오사카부, 이 두 지역은 여러 창작물에서 로컬라이징할 때 높은 확률로 서로 대입되는 편이고, 두 나라의 여행서적 등에서도 서로 '부산은 일본의 오사카와 유사한 점이 많은 도시', '오사카는 한국의 부산 같은 도시'라는 식으로 비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2012년 7월 22일, 2018년에[1] KBS부산방송총국과 NHK 오사카방송국 합작으로 '두 도시 이야기'라는 공동제작 다큐멘터리를 만들기도 했다. 2012년 방영영상.
2. 공통점
- 각국의 제2의 도시이다.
- 출신자들은 수도와 대비되는 사투리를 많이 사용하며, 심지어 양쪽 모두 비구사자도 약간은 따라할 줄 아는 가장 유명한 사투리들이다. 오사카벤과 동남 방언.
- 가벼운 편견에 가깝지만, 각국에서 인식하는 이미지가 비슷하다. 다른지역과 비교했을때 남녀모두 해당하는 특성들로, 직설적이고 성미가 급하며, 소란스럽고, 스스럼없고, 마초스럽고, 무뚝뚝하고 츤데레, 영화나 방송 등에서는 코믹 담당 조연 등.
- 야구에 대한 애정으로도 유명하다. 서로 응원하는 프로야구팀은 부산 롯데 자이언츠, 오사카 한신 타이거즈.[2] 두 팀의 유니폼도 많이 닮아 있는데 흰색 바탕에 가는 검은색 줄무늬였지만 2018년부로 롯데가 유니폼을 변경하여 이러한 공통점은 사라졌다.[3]
- 근처에 천년고도로 유명한 도시(경주시, 교토)와 인구 100만이 넘는 항구도시이자 공업도시(창원시, 고베)가 있다.[4]
- 도시에 삼각주 지형이 있다.[5]
- 바다를 접하고 있는 해양도시다.
- 국토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 최초의 고속철도의 종착점이다.[6]
- 2002 월드컵을 개최한 도시이다.
- 양 도시 모두 영사관이 서로 설치한 곳이 있다.[7]
- 프로축구 팀이 존재한다.[8]
- 둘다 옛 명칭과 현재 명칭이 다르지만, 그 옛 명칭은 지금 일부 행정구로 사용하고 있다. 부산은 동래, 오사카는 나니와.
- 도시철도 면에서도 공통점이 있는데, 1호선인 주황색 노선이 터져나간다. 부산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오사카는 오사카메트로 미도스지선. 또한 두 노선은 모두 도시의 남북 축을 잇는 노선이다.
3. 차이점
- 오사카부의 인구는 약 900만 명에 도시권 경제 규모도 세계 10위 안에 들고 지하철 노선수도 매우 많다. 말이 일본 제2의 도시지 도시 규모로는 인구 340만의 부산은 비교조차 안 되고 인구 950만의 서울과 비슷하다.
- 일본에서 오사카는 8월에 35도 근처까지 육박하는 찜통더위로 유명하지만,[10] 부산은 해안도시라 전반적으로 온화한 편이지만 그냥 눈이 좀 안 온다는 것 외에는 더위에 대해 별다른 인상이 없다.[11] 오히려 더위로 치면 내륙부인 대구가 더 유명하다. 이는 대구, 오사카~교토 지방이 전형적인 내륙의 분지지형[12] 이라 여름철에 쉽게 가열되기 때문.
- 요리의 경우, 한국에서는 서울특별시가 싱겁게, 부산은 짜게 먹는 편[13] 이라는 인식이 있으나, 반대로 일본은 도쿄가 짜게, 오사카(+교토)는 싱겁게 먹는 편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대다수이다. 이에 대해 무인세력이 신규설립한 도시인 도쿄는 활동적인 그들의 습성에 의해 염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는 식사를 제공해야 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또, 이와 관련해 도쿄의 무장이 관서의 유명한 요리사가 내온 싱거운 요리를 질타하고 짠요리를 맛있게 먹자 요리사 왈 "촌뜨기놈..." 이라고 말했다는 일화도 있다. 그러나 일본의 한 방송(월요일부터 밤새기)에서 조사한 결과 관서지방(혹은 서일본)의 음식들이 대체로 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실제로도 오사카~교토의 음식들은 정말 짠 편이다. 다만 앞의 인식이 생긴 이유는 상대적으로 간장을 크게 덜 쓰기 때문에 생긴 편견.
- 도시권의 경제력이나 인구규모는 오사카가 속한 게이한신권이 훨씬 크다. 오사카를 중심으로 하는 게이한신권은 동남권의 2배 이상의 인구와 몇 배는 더한 경제력을 가진다.[14][15]
- 부산은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항만인 부산항을 보유한 항만 도시이지만 오사카의 오사카항은 대체로 일본 내에서의 비중이 떨어진다. 일본에서는 고베가 최대의 항만도시로서 고베항은 아시아 최대의 규모를 자랑했지만 효고현 남부 지진 이후 위축되었고 현재는 게이힌항(도쿄, 요코하마)이 일본 최대 규모의 항만이다.
- 일본의 지역감정은 도쿄 vs 오사카(관동 vs 관서)가 가장 대표적이고 유명하지만 한국의 서울과 부산 사이에는 그런 구도의 지역감정은 약한 편이다.[16]
- 부산의 관문인 김해국제공항은 인근 김해시의 이름을 취하고 있지만 부산광역시 소속이다. 오사카의 이름을 따온 오사카 국제공항은 오사카 시내가 아닌 근교의 이타미 시에 소재하고 있으며 간사이 국제공항 건설 이후는 국내선 전용으로 운영되고 있다. 간사이 국제공항도 오사카 시내가 아닌 근교의 이즈미사노 시 외 2개 시정 소속이다. 다만 부산에서 가덕도 공항 추진에 성공할 경우 이 역시 오사카 국제공항과 비슷하게 국제선만 운영할 가능성이 있다.
- 오사카는 평야와 낮은 구릉지가 많고, 부산은 이름대로 산이 많고 평지가 적다.[17]
- 오사카는 돔구장이 있으나, 부산은 없다.[18]
- 부산은 2002년 아시안 게임을 유치하였으나, 오사카는 아직 유치 계획이 없다.
- 오사카는 등록 박람회인 1970 오사카 엑스포를 유치한 적이 있고 2025년에도 등록 박람회 엑스포 유치에 성공하여 두 번의 엑스포를 개최하는 도시가 된다. 부산은 엑스포를 유치한 적이 없으며, 2030년 유치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19]
- 오사카벤은 만담 등 개그와 엮이는 경향이 강하나 부산 사투리는 그러한 경향이 적다.[20]
- 부산은 해안선을 따라 서쪽의 다대포부터 광안리, 해운대, 송정 등 유명한 해수욕장들을 지나 동쪽의 임랑까지 해변이 늘어서 있으나, 오사카는 해안선 일대가 전부 매립되어 항만부지 및 도시 용지로 개발되어 있어 자연 해변이 없으며, 따라서 부산의 광안리나 해운대 같은 해수욕장도 없다.
- 오사카는 아직도 파나소닉 등 많은 향토 대기업들이 위치하여 있지만 부산은 전형적인 소비도시이다. 사실 부산도 향토 대기업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으나 1980년대 군사독재정권이 동명목재, 국제그룹을 강제로 해체시킨 아픈 역사가 있다.
- 심리적으로 느끼는 거리에서 차이가 좀 있다. 실제로 서울-부산보다 도쿄-오사카가 100km정도 더 떨어져 있지만, 서울에서 부산은 굉장히 먼 도시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고 도쿄에서 오사카는 멀긴 해도 어마어마하게 먼 도시라고 인식하는 경우는 드물다[21] .
4. 관련 문서
[1] 한국 방영일자 기준[2] 다만 한신 타이거즈의 연고지는 오사카가 아닌 이웃 도시 효고현 니시노미야다. 정작 오사카 시를 연고로 하는 팀은 오릭스 버팔로즈지만 임마들은 밉상짓을 엄청 해서(...)[3] 추가로 우승 못 한 기간 동안 포스트시즌에 몇 번 정도 올라간 것도 똑같다. 심지어 결승전에서 준우승한 경력이 있는 것(1995년 한국시리즈, 1999년 한국시리즈, 2003년 일본시리즈, 2005년 일본시리즈, 2014년 일본시리즈)도 같다.[4] 교토도 인구 100만이 넘는다.[5] 다만 부산은 거의 대부분 삼각주가 나중에 부산에 편입된 강서구에 있지만, 오사카는 도시 전체가 여러 개의 삼각주로 구성되어 있다.[6] 부산은 경부고속선, 오사카는 도카이도 신칸센.[7] 부산에는 대만대표부 사무소를 필두로, 일본/중국/러시아는 총영사관을, 미국과 몽골은 일반영사관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반면 오사카에는 부산처럼 대만대표부 사무소(출장소)가 존재하게 되는 것 외에도, 한국/중국/미국/호주/러시아/독일/인도/인도네시아/이탈리아/네덜란드/태국/영국/베트남/필리핀/몽골에는 총영사관을, 파키스탄만 일반 영사관을 운영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그래서 부산에는 6곳, 오사카에는 무려 17곳이 운영된다.[8] 부산에는 부산 아이파크가 있고 오사카에는 감바 오사카와 세레소 오사카 2개의 팀이 있다. 다만 부산광역시처럼 오사카시 하나만 한정하면 오사카시의 축구팀은 세레소 오사카 하나다.[9] 물론 오사카부의 면적은 1,904.99km²로, 770km²인 부산광역시의 2.5배에 달한다는 점은 감안할 필요가 있다. 부산광역시+김해시+양산시 면적보다 더 넓다. 아마 이러한 이유로 오사카시만 빼서 비교하는 경우가 있는 듯. 하지만 한국보다 일본이 국토가 훨씬 넓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일본에서 오사카부의 면적은 한국에서 부산의 면적과 비슷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10] 실제로 2016년 기록을 보면, 6월 10일에 처음 낮기온 30도를 돌파, 9월 초까지 거의 대부분 열대야를 기록했다. 10월 25일에 처음으로 낮기온 20도 미만(19.9도)을 찍었을 정도.[11] 사실 날씨로 따지면 한국에서 가장 좋은 지역에 속한다. 겨울은 가장 따뜻한 편이며 여름도 가장 덜 더운 편이다.[12] 해안선이 있긴 하지만, 시코쿠가 장벽을 치고 있어서 별 의미가 없다.[13] 더운 지역일수록 음식의 부패와 맛의 변질을 막기 위해 향신료를 많이 사용하거나 간을 강하게 치는 편이다. 실제로 평양냉면 문서를 봐도 알 수 있듯이 평안도 등 북부지방의 음식은 간이 매우 심심한 편이며 전라도 등의 남부지방 음식은 맵고 짜기로 유명하다. 평양냉면과 부산 밀면을 비교해 보자.[14] 행정구역상 인구는 오사카부의 인구만 900만 가까이 되므로 오사카는 부산보다 확실히 큰 대도시이다. 오사카를 중심으로 하는 간사이권은 오사카부를 넘어 효고현의 한신칸 지역과 고베, 교토 일대까지 평야 지역으로서 하나의 도시와 같이 연담화되어 있고 막강한 철도 인프라를 통해 밀접한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사카부를 중심으로 한 긴키 지방 지하철 노선수만 해도 60여개 이상이다. 그에 비해 부산을 중심으로 하는 동남권은 부산, 울산광역시, 창원시, 김해시 등의 소속 도시들이 지리적으로 단절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느슨한 도시권을 이루고 있다. 다만 대한민국의 경우 그린벨트 정책으로 인해 연담화된 도시권을 형성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15] 오사카 도시권의 고용중심인 오사카시, 사카이시, 히가시오사카시, 가도마시를 묶을 경우 약 4,200,000명/450㎢의 통계가 나온다.[16] 이는 오사카와 교토를 중심으로 하는 긴키권이 일본의 전통적인 중심지이자 최대의 도시권이었고 도쿄 일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에도 막부 설치 이후로 본격적으로 개발된 지역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일부 교토 사람들은 도쿄 천도를 인정하지 않을 정도다. 그러나 부산은 강화도 조약으로 인한 개항으로 성장한 신흥 도시로서 한국전쟁 당시 임시수도였던 경력을 제외하면 과거 수도로서의 위치를 차지한 적도 없다보니 일본의 동서 지역 감정과 같은 것이 애초에 존재하기 어렵다. 또한 관동과 관서의 인구, 경제규모가 어느 정도 비교가능한 라이벌리를 형성하고 있는데 반해 수도권과 동남권의 인구, 경제규모는 3~4배 이상의 차이가 나고 있다. 당장 인구만 비교해봐도 도쿄도를 중심으로 한 광역권인 일본의 관동지방 인구는 약 4,300만, 오사카부를 중심으로 한 관서지방의 인구는 약 2,200만으로 2배 가량 밖에 차이나지 않지만, 한국 수도권의 인구는 약 2,600만이고 동남권의 인구는 약 800만으로 3배가 넘게 차이난다. 게다가 지방의 인구감소와 수도권 집중화로 이 격차는 더 심해지고 있다.[17] 오사카 자체도 산으로 둘러쌓인 분지라지만, 시내권은 대체로 굴곡이 없는 편이다.[18] 우리나라에 야구 돔구장은 서울에 있는 고척 스카이돔이 유일하다. 소싸움 돔구장이 경북 청도에 있긴 하다.[19] 등록 박람회냐 인정 박람회냐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엑스포가 유치되었다는 특징은 오히려 내륙도시인 대전광역시와 비교되며 어른제국의 역습과 같은 미디어 현지화 사례에서도 알 수 있다.[20] 한국에서 개그와 엮이는 사투리는 충청도 방언과 서남(광주)방언이다. 일본 애니메이션을 현지화할 때 오사카벤을 표준어로 바꾸지 않을 경우, 대개 서남 방언으로 번역하는 경우가 많다.[21] 부산은 한반도 동남쪽 끝, 오사카는 일본 열도의 서남부 중간 정도 위치에 있다. 일본 열도의 면적이 한반도보다 1.7배 정도 넓고, 길쭉한 형태다 보니 도쿄와 오사카에서 영토의 끝이라고 말할 수 있는 곳들까지의 거리는 어마무시하다. 일본 내에서 도쿄-오사카는 서울-부산보단 서울-대구광역시 정도의 심리적 거리를 보인다. 일본 내에서 서울-부산 정도의 심리적 거리를 보이려면 도쿄 기준 히로시마는 넘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