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년의 날

 

1. 개요
2. 상세
3. 관련 문서


1. 개요


매년 5월 셋째 월요일로 한국의 법정기념일이자 '''19세가 된 신생 성인들을 장려하고 성인으로서의 책임감을 일깨워주는 목적'''으로 지정된 기념일.

2. 상세


해마다 '''19세가 되는 성인'''[1][2]들을 위한 행사와 성인식 등이 열려지는 편이며 18세 이상의 청소년들을 기준으로 19세 성인으로 격상됨과 동시에 성인이라는 책임감과 자부심을 부여해준다.
1973년 신생 성인이 되는 19세 이상 청소년들의 장려취지를 위해서 대통령령에 따라 국가공인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원래는 4월 20일이었지만 1975년부터 어린이날 다음날인 5월 6일로 변경되었다가 1985년부터 5월 셋째 월요일로 변경되었다.
본래 고려왕조와 조선왕조 때에도 비슷한 의식의 '''성년례(成年禮)'''가 있었다. 이를 '관례'라고 한다.[3] 이 때 성인이 된 남자는 댕기머리 대신 상투를 달아주게 되고 여자는 댕기머리 대신 머리에 비녀를 달아주는 의식을 통해서 성인식을 치루는 전통이 있다.
구한말까지는 집 안 어른들을 모시고 성인식을 치루는 의식이 있었으나 현재는 서구문명의 영향으로 서구식 성인식을 대부분 치르는 편이나 국가청소년위원회와 성균관의 주관으로 1999년부터 성년례를 부활하여 전통 성인식을 거행하고 있다. 성균관 외에도 지방 향교나 서원 등에서 이 전통 관례를 시연하기도 한다.
2000년2001년 사이에 성인이 된 1980년생과 1981년생의 성인은 각각 20세기마지막 성인21세기의 첫 성인이라는 타이틀을 얻기도 했다.
2013년에 민법이 개정됨에 따라 이들 성인들은 1993년생과 1994년생[4]이 함께 성인식을 치르게 되었다.
성년의 날에 받는 세 가지 선물로 향수장미, 키스가 있는데 전부 여자에게만 해당된다. 성인이 되는 날이기 때문에 가족이 개방적인 경우에는 피임도구를 주기도 한다
사실 성인식이란 게 세는나이 같이 나이를 기수로 세던 관습에서 나오던 것이라 서양에선 의미가 없다. 자기의 생일에 맞춰서 성인이 되니까. 자기의 생일에 성인이 되는 기념파티 같은 걸 여는 정도이며 기수처럼 대규모 기념을 하는 곳은 일본 정도이다.
[image]
다만 일본 같은 경우엔 만 나이로 넘어왔음에도 과거의 관습이 일부 남아 1월 둘째주 월요일에 성인의 날(成人の日)을 챙기고 있다.[5] 주로 지방단체에서 관장하며 남자는 정장[6], 여자는 기모노(후리소데)를 입는다. 다만 수험기간이라서[7] 참여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 지나치게 상업화되어서 가기 싫다는 답도 있으며, 후리소데는 워낙 비싸고 성인식 치르는 비용이 높다.
중국에서도 성년례(成年节)란 말이 있긴 한데 주로 일본과 한국의 성년의 날을 설명하기 위해 쓰이는 표현이다.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관례란 유교 개념이 사라졌기 때문. 근데 일본의 행사에 자극을 받았는지 지방에 따라 다시 부활시키는 곳도 있다고.
한국 대학교에서는 어디에서 유래한건지는 몰라도 각지의 캠퍼스 안에 있는 연못/호수에 성인이 되는 사람을 빠뜨리는 악습이 있다.[8] 악습 여부는 둘째치고 물놀이하거나 수영하라고 만든 곳도 아니니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건 사실이며 스마트폰 등을 가지고 있었을 수 있기 때문에 갑자기 사람을 던지면 던진 사람이 배상해야 할 것이니 어쨌든 조심하도록 하자.
한림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신대학교, 순천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진대학교, 원광대학교, 건국대학교, 한양대학교, 부산대학교, 건양대학교, 상명대학교, 경희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계명대학교, 한밭대학교, 세종대학교, 광운대학교, 경남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등 20개 대학교는 성년의 날이 개교기념일에 겹칠 가능성이 있다.
일각에서는 재수생이나 반수생들이 성년의 날을 제대로 즐기지 못한다는 이유로 성년의 날을 11월로 옮기자는 주장을 하고 있으며 실제로 청와대 국민청원에까지 올라오기도 했다. 실제로 5월이면 재수학원은 한창 수업을 하고 6평을 대비할 때다. 반수생도 이때쯤부터 수능 공부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3. 관련 문서



[1] 2013년 7월 1일 민법 개정으로 20세에서 19세로 성년의 기준 나이가 달라졌다.[2] 2021년 기준으론 월드컵둥이인 2002년생들을 의미.[3] 관혼상제의 '관'이 이것이다. 나머지는 혼례(결혼식), 상례(장례식), 제례(제사).[4] 상반기 출생자에 한하며, 1994년 하반기 출생자는 2014년에 1995년생과 함께 성년의 날 축하를 받았다.[5] 그러나 이는 일본 전체가 획일화 된것은 아니고 일부 지역마다 다른 날에 개최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과는 별개로 이 날 자체는 휴일로 지정되어있다.[6] 드물게 남자도 기모노를 입는 경우가 있지만, 이런 경우 양키(양아치, 불량배)로 여겨진다. 실제로도 불량학생들이 그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정장이나 기모노 값이면 거의 신칸센을 여러 번 탈 수 있을 만큼 (도쿄~오사카 구간 신칸센이 15,000엔 정도이다.) 매우 비싸서 일부는 자신의 할아버지아버지가 입던 정장을 물려입기도 하고 (형이 있다면 형이 입던 것을 물려입기도 한다.), 여자는 할머니어머니가 입던 기모노를 물려입기도 한다. (언니가 있다면 언니가 입던 것을 물려입기도 한다.)[7] 센터시험 직전이다.[8] 물론 연못이나 호수가 없는 캠퍼스는 이런 악습같은거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