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운상/아트 부문
1. 개요
'''アート部門'''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뛰어난 활동을 보인 SF 아티스트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운상의 한 부문.
1979년 시상식부터 시작했다.
2. 수상자 목록
'''굵은 글씨'''로 되어있는 것은 수상자, 나머지는 후보자들이다.
2.1. 1970년대
- 제10회 (1979년) 카토 나오유키[a]
2.2. 1980년대
- 제11회 (1980년) 오라이 노리요시
- 제12회 (1981년) 야스히코 요시카즈
- 제13회 (1982년) 나가오카 슈세이[1]
- 제14회 (1983년) 아마노 요시타카
- 제15회 (1984년) 아마노 요시타카
- 노나카 노보루
- 츠루타 이치로
- 초 진세이
- 우에하라 토오루
- 요코야마 코우
- 카토 나오유키
- 츠노다 스미오
- 아라이 소노코
- 나가오카 슈세이
- 제16회 (1985년) 아마노 요시타카
- 제17회 (1986년) 아마노 요시타카
- 제18회 (1987년) 사토 미치아키[2]
- 제19회 (1988년) 스에미 준
- 사토 미치아키
- 마나베 조지
- 요코야마 코우
- 사타케 미호
- 카토 나오유키
- 요리미츠 타카시
- 카토 히로유키 & 고토 케이스케
- 제20회 (1989년) 카토 히로유키 & 고토 케이스케[3]
2.3. 1990년대
- 제21회 (1990년) 미치하라 카츠미[4]
- 제22회 (1991년) 요코야마 에이지[5]
- 제23회 (1992년) 시로 마사무네
- 제24회 (1993년) 미즈타마 케이노죠[b]
- 마츠바구치 타다오
- 나카무라 료
- 히로키 마후유
- 요시나가 카즈야
- 요네다 히토시
- 타무라 시게루
- 카토 히로유키 & 고토 케이스케
- 제25회 (1994년) 요네다 히토시[6]
- 마츠바구치 타다오
- 요시나가 카즈야
- 스에미 준
- 무라카미 미츠노부
- 하세가와 쇼지
- 하라다 다이자부로
- 제26회 (1995년) 미즈타마 케이노죠[b]
- 제27회 (1996년) 야마다 아키히로
- 제28회 (1997년) 카이다 유지[7]
- 제29회 (1998년) 미즈키 시게루
- 제30회 (1999년) 아카이 타카미
2.4. 2000년대
- 제31회 (2000년) 츠루타 켄지
- 제32회 (2001년) 츠루타 켄지
- 제33회 (2002년) 테라다 카츠야
- 제34회 (2003년) 신카이 마코토
- 제35회 (2004년) 니시지마 다이스케[9]
- 제36회 (2005년) 신카이 마코토
- 제37회 (2006년) 무라타 렌지
- 제38회 (2007년) 아마노 요시타카
- 마스다 미키오
- 이와고 쥬료쿠
- 사사이 잇고
- 카토 료유
- 고토 케이스케
- 타나카 히카루
- 제39회 (2008년) 카토 나오유키[a]
- 제40회 (2009년) 카토 나오유키[a]
2.5. 2010년대
- 제41회 (2010년) 카토 나오유키[a]
- 제42회 (2011년) 카토 나오유키[a]
- 오이시 마사루
- 나카무라 타케시
- 이와고 쥬료쿠
- 나카가와 유케이
- 호시노 카츠유키
- 타케오카 미호
- 제43회 (2012년) 와시오 나오히로
- 호시노 카츠유키
- 테라다 카츠야
- 스즈키 야스시
- 마스다 미키오
- 유라 카이리
- 토미야스 켄이치로
- 파블로 우치다
- 니시지마 다이스케
- 카토 나오유키
- 제44회 (2013년) 츠루타 켄지
- 스즈키 야스시
- 파블로 우치다
- 케카이 코타키
- coco
- 요네다 히토시
- 와시오 나오히로
- 이와고 쥬료쿠
- 제45회 (2014년) 카토 나오유키[a]
- 제46회 (2015년) 미즈타마 케이노죠[b]
- 제47회 (2016년) 오라이 노리요시
- 제48회 (2017년) 카토 나오유키[a]
- 스즈키 야스시
- 시라이시 유코
- 호시노 카츠유키
- 카이다 유지
- 타마키 노조무
- 이와고 쥬료쿠
- YOUCHAN
- 제49회 (2018년) 나가노 노리코[11]
- 스즈키 야스시
- 호시노 카츠유키
- 카와나 준
- HR-FM
- 시라이시 유코
- 하야미 라센진
- 토리시마 덴포
- 제50회 (2019년) 카토 나오유키[a]
2.6. 2020년대
[a] A B C D E F G H 加藤直之. 애니메이션 《우주전함 야마토》 등의 메카 디자인에 참여했으며, 소설 《은하영웅전설》과 《구인 사가》, 일본어판 《스타십 트루퍼스》 등의 삽화를 맡은 아티스트.[1] 長岡秀星. 우주와 SF를 주제로 한 여러 음반 커버를 그린 아티스트. Electric Light Orchestra의 《Out of the Blue》, The Sylvers의 《New Horizons》의 커버 등을 그렸다.[2] 佐藤道明. 애니메이션 《라제폰》, 《에어리어 88》 등의 메카 디자인에 참가했으며, 소설 《마계도시 〈신주쿠〉》 등의 삽화를 맡은 아티스트.[3] 加藤洋之 & 後藤啓介. 아티스트 콤비로 소설 《오라 배틀러 전기》와 일본어판 《이계의 집》 등의 삽화를 맡았다.[4] 道原かつみ. 《은하영웅전설》의 만화판 등을 그린 아티스트.[5] 横山えいじ. 잡지 《SF 매거진》에서 장기간 SF 개그 만화를 연재하고, 카지오 신지의 소설 등에서 삽화를 맡은 아티스트.[b] A B C 水玉螢之丞. 애니메이션 《브리가둔 마린과 메란》과 《마오유우 마왕용사》의 캐릭터 원안 등을 맡은 아티스트.[6] 米田仁士. 게임 《제나두 시나리오 2》와 《소드 월드 RPG》 등의 삽화를 맡은 아티스트.[7] 開田裕治. 건프라 시리즈의 박스 아트 100여점을 그렸고, 게임 《대마계촌》의 커버 아트 등을 그린 아티스트.[8] 위의 "요시나가 카즈야"와 동일인물.[9] 西島大介. 만화 《세계의 끝과 마법사》 등을 그린 아티스트.[10] 위의 "카토 히로유키"와 동일인물[11] 永野のりこ. 여러 SF 만화를 그린 아티스트.[12] シライシユウコ. 소설 《세기말 하모니》 등의 삽화를 맡은 아티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