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엔트 급행
1. 개요
[1]
Orient Express
유럽에서 운행되었던 유명한 열차. 벨기에 회사인[2] 국제 침대차 회사(CIWL)가 운영했다. 일반적으로 파리와 이스탄불 간을 운행한 열차였는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노선 조정이 많았고, 이 이름을 사용하는 노선도 몇 가지가 있었다.
2. 역사
1882년 조르주 나켈마케르가 파리 동역 - 빈 간 호화 열차 여행인 '빛나는 호화 기차(Train Eclair de luxe)'에 손님들을 초청한 것이 시초로 꼽힌다. 그 해 10월 딱 한 번 운행된 이 열차는 그 자신의 회사에서 운행할 열차의 전신격이었다.
이후 1883년 6월 5일, 파리 - 빈 간의 정기 운행이 시작되었다. 그 해 10월, 노선이 연장되어 부다페스트와 부쿠레슈티를 경유하여 루마니아의 지우르지우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여기서 열차를 갈아타고 불가리아의 바르나에 도착하면, 배로 갈아타고 이스탄불까지 이동하는 구조였다. 1885년에는 부다페스트를 출발해 이스탄불까지 직행하는 노선이 개업했다. 이후 1889년 노선 조정이 이루어져 6월 1일부터 파리-스트라스부르-뮌헨-빈-부다페스트-부쿠레슈티-이스탄불까지 직행하는 노선이 완성되었다.
벨 에포크가 끝나고, 제1차 세계대전이 벌어지자 물론 이 열차도 멀쩡하진 못했다. 그야말로 1차대전의 주요 격전지를 꿰고 다니는 노선 구성 탓에 운행할 생각도 못 했고, 덕분에 1918년까지 운행이 중지되었다. 전쟁 이후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고, 1919년 파리에서 출발하여 이탈리아 - 스위스 국경의 심플론 터널[3] 을 경유하여 밀라노, 베네치아, 베오그라드를 거쳐 이스탄불로 향하는 심플론 오리엔트 급행이 추가로 개업했다. 1930년 아를베르크 터널을 거쳐 취리히, 인스브루크를 경유하는 아를베르크 오리엔트 급행이 개업하였다. 아를베르크 오리엔트 급행의 경우는 이스탄불 뿐만이 아니라 아테네로 향하는 노선도 있었고, 서쪽으로는 칼레를 거쳐 런던까지 연계되었다. 이 시기가 오리엔트 급행의 전성기.
제2차 세계대전은 사실상 오리엔트 급행을 몰락으로 밀어넣었다. 전쟁통에 호화 침대열차가 굴러다닐 여념이 없었음은 물론이고, 전후 철의 장막이 유럽에 드리워져 국제열차 운행이 곤란해진 것이다. 1962년 오리지널 오리엔트 급행과 아를베르크 오리엔트 급행이 운행을 중지했고, 심플론 오리엔트 급행만 남아서 직행 오리엔트 급행으로 이름을 바꾸고 파리 - 베오그라드 간을 매일 운행하면서 이스탄불 및 아테네 노선의 운행 빈도는 떨어졌다.
1971년에는 원 운영사였던 CIWL사가 영업을 철수하면서 오리엔트 급행열차는 각 나라의 평범한 국철차량으로 운행하게 되었으며, 1977년 5월 19일 파리발 이스탄불행 열차가 마지막 출발을 하였고, 5월 22일에는 이스탄불발 열차를 끝으로 직행 오리엔트 급행은 이스탄불 직통운전을 중지. 전설의 동방행 호화 침대열차는 막을 내렸다.
1977년 이스탄불 직행이 폐지되면서 오리엔트 급행의 역사가 끝났다고 생각하지만 이름과 열차는 계승되었다. 오리엔트 급행이라는 이름을 유지한 채 파리 동역 - 부쿠레슈티 북역간 정기 여객운행을 하였으며, 독일 및 동유럽권에서는 급행열차(D-Zug)를 뜻하는 D라는 기호가 열차번호에 붙여서 D262/263 오리엔트 익스프레스 열차로 운행되었다. 상술하였다시피 일반 국철차량으로 운행하였으며 고속철도와 항공교통의 점진적인 발전으로 이 시기부터 오리엔트 급행은 화려함이라기보다는 느리고 불편한 초장거리 근성열차의 이미지가 되었다.
1991년엔 부다페스트 ~ 부쿠레슈티 북역간 정기운행이 폐지되어 오리엔트 급행열차의 종착역은 파리 - 부다페스트로 축소되었다. [4]
한 일본인이 영상으로 기록한 1997년 파리 동역의 D263 오리엔트 급행열차의 동영상을 참고하면,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 각 나라의 국철 객차와 침대차가 섞여있고, 차량 또한 모든 칸이 부다페스트까지 가는 것이 아니라 프랑스 국내선인 스트라스부르행, 독일 슈투트가르트행, 오스트리아 빈 서역행, 헝가리 부다페스트행으로 나뉘어서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럽철도 장거리열차의 일반적인 운영방법이다.)
2001년에는 빈 - 부다페스트간 운행이 폐지, 파리 - 빈으로 운행구간이 축소됨과 동시에 열차등급도 바뀌었는데, 1990년대 유럽철도의 열차 등급 조정으로 생겨난 유로나이트열차로 명칭이 바뀌어서 EN 262/263열차가 되었다. 공교롭게도 1882년의 첫 열차와 같은 노선이 된 셈이다.
2007년 파리 - 스트라스부르 간 LGV 고속선의 개업으로 스트라스부르 - 빈으로 운행이 축소되면서 역사와 전통이었던 262/263열차의 번호를 잃고 EN264/265열차로 변경되었다. 단축되는 파리~낭시~스트라스부르 구간은 스트라스부르역에서 연계되는 TGV를 이용하도록 안내하였으며, 이 시기에 프랑스 국철 차량이 편성에서 빠지고 열차 운영은 온전히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OBB)가 담당하게 되었다.
2008년 12월엔 EN 468/469로 열차번호가 변경되었다.
영상은 2009년 9월에 촬영된 EN468 오리엔트 익스프레스 스트라부스행 열차이다. 후미에 다른열차와 도색이 확연히 구별되는 헝가리 국철(MÁV) 침대차가 4량 달려있는데, 이 열차는 EN408 Danubia (프랑크푸르트 - 카를스루에 - 빈 - 부다페스트)이다. EN468/469 오리엔트 급행열차와 EN408/409 Danubia 열차가 함께 조성돼서 운행되며 독일 카를스루에(Karlsruhe)에서 분기하는 형태였기 때문. 영상 끝부분을 보면 카를루스에 역에서 EN408열차가 분리되었기 때문에 5량편성으로 종착역인 스트라스부르를 향해 달려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고속철도와 저가항공의 발달은 유럽에서 야간열차의 채산성을 악화시켰고, 이윽고 2009년 8월에는 유로나이트 오리엔트 급행열차의 폐지예정이 공표되었다. 2009년 12월 11일 EN 468편이 빈을 떠나 스트라스부르까지 마지막 여행을 떠났고, 2009년 12월 12일 EN 469편 스트라스부르발 빈행 열차를 끝으로 운행을 중지하였다. #마지막 열차인 EN469편의 행선판
영상 맨 마지막에 EN469편 빈행 마지막 오리엔트 급행열차가 독일 울름 중앙역을 떠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전광판에 빈/부다페스트라고 뜨는 이유는 상술했다시피 EN409 Danubia와 함께 조성되어 운행했기 때문이며 편성 후미에 헝가리 국철 소속의 침대차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열차는 12월 13일 오전 6시 40분에 빈 서역에 도착했으며, 2009년 12월 14일 시간표부터 오리엔트 급행이라는 이름의 정규열차 명칭은 유럽철도시각표에서 사라지게 되었고, 동시에 오리엔트 급행의 126년 역사가 끝났다.
영국 가디언 지에서 마지막 EN 469편 승차기를 기사로 송고하였고, NHK에서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여 방영하기도 했다.
3. 관광열차
1971년 원 운영사였던 국제 침대차 회사 (CIWL)가 오리엔트 급행 영업에서 철수하면서 CIWL사의 차량 또한 철수하였는데, 이때 이 차량들을 사들여서 호화열차 시절의 오리엔트 급행열차를 복원 재현한 관광열차가 존재한다.
3.1. 노스텔지 이스탄불 오리엔트 급행 (NIOE)
1976년에 스위스 취리히에 있는 회사가 CIWL의 1920~1930년대의 객차를 사들여서 옛 호화열차 시절의 이스탄불행 오리엔트 급행열차를 복원하여 관광열차로 운행하였다. 명칭은 노스텔지 이스탄불 오리엔트 급행 (Nostalgie Istanbul Orient Express, NIOE)
1981년에 실제로 파리~이스탄불간 옛 오리엔트 급행을 따라 운행한 적이 있으며, 1988년엔 일본 후지 TV 개국 30주년 기념사업으로 JR 각사 및 히타치[5] 의 협력을 받아 일본까지 운행하기도 했다. 그 당시 오리엔트 급행의 일본 전국투어 요금은 1인당 888,000엔(약 888만원)이였다. 참고로 일본 전국투어 시기가 1988년도이니, 대단히 비싼 여행상품이라고 볼 수 있다.
1988년 9월 7일 파리 리옹역에서 NIOE 오리엔트 급행 도쿄행 열차가 실제로 출발했는데, 당시 파리 리옹역 출발 안내 표시기에는 오리엔트 익스프레스 도쿄행이라는 안내가 표시되었다. 도쿄행 오리엔트 급행열차는 당시 서독, 동독, 소련과 중국을 거쳐 홍콩까지 운행 뒤, 홍콩에서 일본 도쿠야마항까지 배로 운송되었으며, 도쿠야마에서 일본 기존선에 대응하는 협궤 대차로 교환이 이루어졌다. 1988년 10월 18일 마침내 도쿄역 9번 승강장에 도착하였다. 이후 일본 전국 투어 열차로 사용되었으며, 1988년 12월 31일 운행을 마치고 1989년 1월에 선박편으로 독일 함부르크 항으로 반환되었다.
이벤트는 당연히도 스폰서인 후지TV에서 영상화되었다.
- 화려한 모험으로의 출발 -파리-도쿄 18000km에 도전- (1988. 9. 15 #)
- 사상최초! 화려한 모험의 여행 -사랑과 감동의 18000km- (1988. 10. 19 #)
- 오리엔트급행 SL 이야기 -폭주! 유라시아횡단을 연출한 전설의 증기기관차- (1988. 11. 16 #)
- 오리엔트익스프레스 '88 안녕히! 오리엔트급행 (1988. 12. 25, #1 #2 #3 #4 #5)
3.2. 베니스 심플론 오리엔트 급행 (VSOE)
공식 홈페이지
1977년 CIWL의 객차를 사들이고 1982년에 운행을 시작한 관광열차로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과거 파리~베니스간을 운행하던 심플론 오리엔트 급행열차를 모티브로 하였다. 과거 호화열차 시절을 충실히 재현하였기에 열차 이용 가격 또한 만만치 않으며, 드레스 코드가 있어서 남성은 턱시도, 여성은 드레스를 준비해야 열차에 승차할 수 있다.
원래 오리엔트 급행을 직접 계승한 유로나이트 468/469열차는 상술한 것처럼 2009년에 폐지되었지만, VSOE는 민간에서 운영하는 관광열차이기 때문에 현재도 운행하고 있다.
4. 기타
- 철도 애호가인 불가리아의 국왕 보리스 3세(재위 1918~1943)가 직접 운전하기도 했다. 물론 불가리아 국경 내부 구간에서만.
- '오리엔트 익스프레스'라는 명칭 자체는 현재 프랑스국철이 가지고 있는 상표로 남아있다.
오리엔트 급행열차를 주제로 한 연주곡도 있다. 런던출신 작곡가 필립 스파크(Philip Sparke)가 작곡. 도쿄 코세이 윈드오케스트라가 연주했다.
5. 대중문화에서의 등장
5.1. 드라큘라(1897)
오리엔트 급행이 등장하는 작품은 많은데, 의외로 알려진 중 가장 일찍 오리엔트 급행의 이름이 언급된 것은 브람 스토커의 1897년작 소설 드라큘라. 드라큘라 백작이 루마니아로 도망치기 위해 배를 탈 동안 주인공 일행은 한 발 앞서 도착해서 기다리기 위해 오리엔트 급행을 탔다는 언급이 있다.
5.2. 오리엔트 특급살인(1934)
하지만 무엇보다 오리엔트 급행을 무대로 한 작품으로 가장 유명한 것은 애거서 크리스티의 오리엔트 특급살인일 것이다. 다만 원제는 오리엔트 급행에서의 살인(Murder on the Orient Express)인데 이걸 오리엔트 특급살인이라고 번역을 해 버리는 바람에, 어감은 좋지만 졸지에 급행(Express)이 특급(Limited Express)으로 격상되는 일이 벌어졌다(...).[6]
5.3. 라스트 익스프레스(1996)
6. 관련 문서
[1] 영상은 오리엔트 특급살인 1974년판 영화장면 중 하나이다.[2] 지금은 프랑스 소속이다.[3] 1906년부터 1982년 조에츠 신칸센 시미즈 터널 개통 전까지 약 19km에 달하는 길이로 세계에서 가장 긴 터널 타이틀을 쥐고 있었다.[4] 단, 1990년 후반까지 부정기적으로 부쿠레슈티행 열차가 운영되었다.[5] 타이틀 스폰서 노릇과 함께 일본 재래선의 협궤 운행을 위한 대차 교체 작업을 맡았다. 덧붙여 해당 대차의 스펙 관계로 일본 국내 운행은 95km/h로 제한되었는데, 여기에 맞춰 국내 운행시 열차의 등급 또한 급행 취급이 되었다.[6] 다만 우리나라에선 어차피 특급은 과거 새마을호 같은, 특별히 고급인 급행으로, 급행은 전철처럼 싼 급행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지라 작중 열차의 묘사를 볼 때 오히려 '특급'이란 번역이 더 어울릴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