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시 갑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3. 역대 대통령 대선 결과
4. 관련 문서


1. 개요


19대 총선부터 원주시의 선거구가 갑/을로 나누어졌다. 타지에서 원주로 들어오는 관문들이(만종역, 원주역, 서원주역, 원주시외버스터미널, 원주고속버스터미널) 모두 이 선거구 안에 위치해있는게 나름 특이한 점.[1] 혁신도시 비중이 큰 을 선거구와는 달리 원도심에 속하는 지역구여서 보수세가 강했다. 그러나 최근 지정면에 들어선 원주기업도시로 인해 과거보다는 민주당 지지세가 더 강해졌다. 현 국회의원은 10년 만에 복귀한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이광재 의원이다.
[image]
원주시 갑 관할 구역
태장1동, 태장2동, 중앙동, 원인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무실동, 문막읍,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총선
당선자
당적
임기
선거구
13대
함종한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원주시 일원
박경수

횡성군·원성군 일원
14대
원광호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원주시 일원
박경수

횡성군·원주군 일원
15대
함종한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원주시 갑[2]
김영진
원주시 을[3]
16대
이창복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원주시
17대
이계진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18대
2008년 5월 30일 ~ 2010년 4월 30일
박우순

2010년 7월 29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김기선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원주시 갑
20대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
이광재

2020년 5월 30일 ~

2.1. 19대 총선


'''원주시 갑(甲)'''
기호
후보명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선여부
'''1'''
'''김기선'''
'''새누리당'''
'''31,413'''
'''51.43%'''
'''1'''
'''당선'''
2
김진희
민주통합당
26,566
43.50%
2
낙선
6
김대천
국민생각
3,092
5.06%
3
낙선
선거인수
124,479
투표수
61,644
무효표수
573
투표율
49.52%
관할구역 : '''원주시'''(문막읍,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중앙동, 원인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동, 태장2동, 무실동)

2.2. 20대 총선


'''원주시 갑'''
중앙동, 원인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태장1동, 태장2동,
우산동, 무실동, 문막읍,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기선(金起善)'''
'''31,845'''
'''1위'''
'''새누리당'''
'''44.04%'''
'''당선'''
'''2'''
권성중(權成重)
31,711
2위
더불어민주당
43.86%
낙선
'''3'''
김수정(金秀正)
6,448
3위
국민의당
8.9%
낙선
'''4'''
최석(崔石)
2,294
4위
정의당
3.17%
낙선
'''계'''
'''선거인 수'''
133,866
'''투표율'''
54.6%
'''투표 수'''
73,141
'''무효표 수'''
843
'''20대 총선 원주시 갑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김기선'''
권성중
김수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1,845
(44.04%)'''

'''31,711
(43.86%)'''
'''6,448
(8.9%)'''
'''+ 134
(△0.17)'''
'''73,141
(54.6%)'''
'''중앙동'''[4]
55.69%
35.39%
6.88%
△20.30
49.21
'''원·인동'''[5]
48.53%
39.30%
8.79%
△9.23
50.01
'''일산동'''
48.24%
39.19%
9.07%
△9.05
55.49
'''학성동'''
52.50%
36.76%
8.09%
△15.74
52.38
'''단계동'''
42.50%
45.79%
8.56%
▼3.29
53.51
'''우산동'''
45.48%
43.41%
7.90%
△2.07
52.54
'''태장1동'''
44.44%
43.43%
9.74%
△1.01
52.83
'''태장2동'''
45.33%
43.18%
8.67%
△2.15
49.18
'''무실동'''
36.48%
'''51.23%'''
8.53%
▼14.75
53.97
'''문막읍'''
44.24%
42.37%
'''10.87%'''
△1.87
48.25
'''호저면'''
59.04%
33.06%
5.71%
△25.98
56.50
'''지정면'''[6]
61.01%
28.72%
7.84%
△32.29
57.17
'''부론면'''
'''61.79%'''
26.89%
9.86%
△34.90
60.28
'''귀래면'''
61.05%
26.11%
10.16%
'''△34.94'''
'''60.29'''
'''후보'''
'''김기선'''
권성중
김수정
격차

'''거소·선상투표'''
47.35%
35.69%
10.60%
△11.66
'''관외사전투표'''
32.50%
52.27%
10.63%
▼19.77
'''재외투표'''
21.70%
64.15%
6.60%
▼42.45
새누리당의 현역 김기선은 재선에 도전하였고, 더불어민주당에서 권성중, 국민의당에서 김수정, 정의당에서 최석 후보가 도전한다. 1여 3야의 구조라 야권 분열로 인해 여당이 유리할 것으로 보였으나 출구조사는 1.9%p 초접전 차이였다.[7]
결과는 야권분열로 인해 새누리당 김기선 후보가 '''134표''' 차이로 정말 간신히 당선되었다. 20대 총선에서 부평구 갑, 전주시 을 다음으로 표차가 가장 적은 지역구였다.
권성중 후보는 무실동에서 1,998표, 단계동에서 317표, 사전투표에서 1,159표 차이로 승리하였으나, 나머지 읍면동을 모두 김기선 후보가 승리하면서 김기선 후보가 당선증을 받게 되었다. 권 후보 입장에서는 매우 아쉬운 부분.
한편 원주시 을에서는 350표 차 초접전으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2.3. 21대 총선


'''원주시 갑'''
중앙동, 원인동, 일산동, 학성동, 단계동, 태장1동, 태장2동,
우산동, 무실동, 문막읍,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귀래면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광재(李光宰)'''
'''45,224'''
'''1위'''
'''더불어민주당'''
'''48.56%'''
'''당선'''
'''2'''
박정하(朴正河)
38,299
2위
미래통합당
41.13%
낙선
'''7'''
이강범(李康範)
473
5위
우리공화당
0.50%
낙선
'''8'''
정상균(鄭上均)
489
4위
국가혁명배당금당
0.52%
낙선
'''9'''
권성중(權成重)
8,631
3위
무소속
9.26%
낙선
'''계'''
'''선거인 수'''
152,303
'''투표율'''
61.73%
'''투표 수'''
94,018
'''무효표 수'''
902
'''21대 총선 원주시 갑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광재'''
박정하
권성중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5,224
(48.56%)'''

'''38,299
(41.13%)'''
'''8,631
(9.26%)'''
'''+ 6,925
(△7.44)'''
'''94,018
(61.73%)'''
'''중앙동'''[8]
38.52%
54.05%
5.99%
▼15.53
59.83
'''원·인동'''[9]
44.58%
45.88%
7.38%
▼1.30
55.27
'''일산동'''
43.77%
45.89%
9.26%
▼2.11
60.24
'''학성동'''
41.38%
50.11%
7.31%
▼8.73
62.77
'''단계동'''
45.60%
42.66%
'''10.68%'''
△2.94
60.22
'''우산동'''
43.77%
45.77%
9.55%
▼2.00
58.95
'''태장1동'''
48.67%
42.23%
7.92%
△6.44
59.38
'''태장2동'''
46.67%
42.13%
10.01%
△4.55
55.73
'''무실동'''
52.71%
37.14%
9.52%
△15.57
62.55
'''문막읍'''
48.22%
43.03%
7.54%
△5.19
55.40
'''호저면'''
37.90%
53.98%
6.64%
▼16.09
64.17
'''지정면'''[10]
'''56.68%'''
32.25%
10.33%
'''△24.42'''
58.03
'''부론면'''
34.48%
'''60.05%'''
4.05%
▼25.57
'''67.10'''
'''귀래면'''
35.48%
56.58%
6.38%
▼21.09
66.78
'''후보'''
'''이광재'''
박정하
권성중
격차

'''거소·선상투표'''
49.60%
29.36%
18.25%
△20.24
'''관외사전투표'''
58.09%
30.60%
10.29%
△27.49
'''재외투표'''
66.26%
22.89%
8.43%
△43.37
더불어민주당에서는 20대 국회 비례 의원인 심기준이 이 곳으로 출마 할 생각이었으나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의원직 상실형을 선고 받은 후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후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가 원주 갑 출마를 선언하였다. 박우순 예비후보와 지난 20대 총선에서 이 지역구에 출마해 낙선했던 권성중 예비후보가 출마를 준비중이었는데, 권성중 예비후보가 이광재 전 지사의 출마에 반발해 탈당하여 무소속 출마를 선언하였다. 경선은 박우순, 이광재의 2인으로 진행됐고, 결국 이광재 전 지사가 공천을 받으며 국회 재입성을 노리게 됐다.
미래통합당에서도 현역 의원 김기선을 컷오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고###, 결국 김기선은 불출마를 선언했다. 당 내에서 이광재 상대로 패배한다는 여론조사가 나왔기 때문이었다. 이후 당은 2016년에 김기선에게 밀려 경선탈락한 박정하 전 청와대 대변인을 전략공천했다.
여론조사에서는 민주당 이광재 후보가 제법 넉넉한 차이로 앞서나가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정작 당일 출구조사 결과에서는 오차범위 내 접전으로 나타났다. 개표 초반에는 한동안 미래통합당 박정하 후보가 앞서는 상황도 전개되었으나 도심지역 투표함이 개봉되자 이광재 후보가 역전한 후 격차를 벌려 당선에 성공했다. 국회 입성은 개인으로서는 무려 12년만.
갑, 을에서 모두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원주시는 경합지에서 민주당 우세로 변했다. 춘천시와 함께 수도권과 생활권이 밀접하게 연결되면서, 강원도의 다른 시, 군 지역보다는 수도권과 가까운 성향을 공유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19년부터 지정면에 기업도시 입주로 인해 젊은 층이 많이 유입된 것도 민주당에 큰 이점으로 오게 되었다. [11] 또한 이광재 후보의 평판도 플러스 요인이 되었다.
원주시의 경우 경강선 연장, 원주역 이전으로 인한 원도심 소외, 지지부진한 기업도시/혁신도시 발전과 군부대 이전 등 별의 별 골치아픈 현안이 얽혀있는데, 아예 텃밭으로 만들것인지, 다시 경합지로 변모할 것인지는 이광재 의원의 지역구 관리 실력이 얼마나 발휘되느냐에 달려있다 볼 수 있다.

3. 역대 대통령 대선 결과



3.1. 18대 대선


'''원주시'''
원주시 일원
'''정당'''


'''후보'''
'''박근혜'''
'''문재인'''
'''득표수'''
'''105,702'''
75,943
'''득표율'''
'''57.96%'''
41.64%
'''순위'''
'''1위'''
2위
'''계'''
'''선거인 수'''
251,375
'''투표 수'''
182,937
'''무효표 수'''
565
'''투표율'''
72.77%
'''18대 대선 원주시 개표 결과'''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박근혜'''
'''문재인'''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5,702
(57.96%)'''

'''75,943
(41.64%)'''
'''+ 29,759
(△16.32)'''
'''72.77%'''
'''중앙동'''
'''71.22%'''
28.16%
'''△43.06'''
66.55
'''원·인동'''
61.49%
38.22%
△23.27
69.55
'''개운동'''
61.67%
38.05%
△23.62
75.68
'''명륜1동'''
60.53%
38.99%
△21.54
74.31
'''명륜2동'''
56.77%
42.84%
△13.93
72.22
'''단구동'''
54.80%
44.90%
△9.90
73.13
'''일산동'''
62.65%
37.01%
△25.64
70.96
'''학성동'''
65.68%
33.98%
△31.70
70.91
'''단계동'''
57.56%
42.02%
△15.54
72.98
'''우산동'''
60.55%
39.19%
△21.36
69.49
'''태장1동'''
58.60%
41.08%
△17.52
72.27
'''태장2동'''
60.14%
39.53%
△20.61
71.15
'''봉산동'''
62.78%
36.86%
△25.92
73.64
'''행구동'''
56.07%
43.71%
△12.36
75.99
'''무실동'''
52.66%
47.08%
△5.58
72.73
'''반곡·관설동'''
50.56%
'''49.05%'''
△1.51
73.47
'''문막읍'''
56.71%
42.89%
△13.82
68.72
'''소초면'''
65.96%
33.59%
△32.37
71.91
'''호저면'''
67.35%
31.99%
△35.36
74.31
'''지정면'''
68.29%
30.13%
△38.16
'''76.11'''
'''부론면'''
71.21%
28.23%
△42.99
74.72
'''귀래면'''
69.30%
29.89%
△39.41
75.63
'''흥업면'''
55.92%
43.62%
△12.30
68.15
'''판부면'''
57.79%
41.52%
△16.27
69.61
'''신림면'''
66.04%
33.56%
△32.48
73.97
'''후보'''
'''박근혜'''
'''문재인'''
격차

'''국외부재자투표'''
39.72%
59.68%
▼19.96

'''국내부재자투표'''
47.62%
51.48%
▼3.86


3.2. 19대 대선


'''원주시'''
원주시 일원
'''정당'''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득표수'''
'''77,495'''
50,750
45,776
13,797
14,406
'''득표율'''
'''38.10%'''
24.95%
22.50%
6.78%
7.08%
'''순위'''
'''1위'''
2위
3위
5위
4위
'''계'''
'''선거인 수'''
273,858
'''투표 수'''
204,233
'''무효표 수'''
838
'''투표율'''
74.58%
'''19대 대선 원주시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
격차
투표율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7,495
(38.10%)'''

'''50,750
(24.95%)'''
'''45,776
(22.50%)'''
'''13,797
(6.78%)'''
'''14,406
(7.08%)'''
'''+ 26,745
(△13.15)'''
'''74.58%'''
'''중앙동'''[12]
32.28%
34.99%
20.29%
4.91%
6.91%
▼2.71
74.97
'''원·인동'''[13]
32.11%
30.65%
23.71%
5.78%
6.94%
△1.46
66.89
'''개운동'''
32.92%
30.08%
23.16%
6.81%
6.54%
△2.84
73.61
'''명륜1동'''
39.05%
25.59%
20.96%
6.45%
7.24%
△13.46
'''79.38'''
'''명륜2동'''
37.89%
25.72%
22.90%
6.15%
6.62%
△12.17
73.63
'''단구동'''[14]
39.62%
22.75%
22.54%
7.16%
'''7.43%'''
△16.87
72.35
'''일산동'''
34.07%
30.35%
22.75%
5.76%
6.59%
△3.72
70.59
'''학성동'''
33.74%
31.56%
21.95%
6.01%
6.21%
△2.18
73.73
'''단계동'''[15]
36.51%
25.65%
22.76%
'''7.44%'''
7.17%
△10.86
72.75
'''우산동'''[16]
35.06%
27.78%
23.20%
6.54%
6.94%
△7.28
72.21
'''태장1동'''
35.56%
26.24%
24.35%
6.59%
6.52%
△9.32
72.31
'''태장2동'''[17]
33.24%
26.92%
25.18%
6.77%
7.34%
△6.32
69.09
'''봉산동'''
32.99%
32.38%
22.35%
5.48%
5.95%
△0.61
71.50
'''행구동'''
38.08%
27.87%
21.59%
6.10%
5.84%
△10.21
75.77
'''무실동'''[18]
42.93%
20.78%
21.60%
6.97%
7.27%
△21.33
75.48
'''반곡·관설동'''[19]
'''46.49%'''
17.51%
21.16%
7.22%
7.31%
'''△25.33'''
75.67
'''문막읍'''[20]
35.68%
26.92%
23.61%
5.81%
7.37%
△8.76
67.34
'''소초면'''[21]
28.79%
34.09%
25.25%
5.79%
5.36%
▼5.30
67.28
'''호저면'''
27.94%
40.34%
21.06%
4.60%
4.64%
▼12.40
70.92
'''지정면'''
27.61%
38.75%
23.23%
4.05%
5.38%
▼11.14
72.18
'''부론면'''
22.96%
'''43.12%'''
26.70%
3.67%
3.00%
▼20.16
71.93
'''귀래면'''
23.65%
40.99%
'''27.87%'''
2.89%
3.41%
▼17.34
72.22
'''흥업면'''[22]
35.78%
26.99%
22.67%
6.85%
7.03%
△8.79
73.13
'''판부면'''
34.67%
28.26%
23.73%
6.38%
6.15%
△6.41
65.66
'''신림면'''
28.13%
39.37%
22.26%
5.32%
4.15%
▼11.24
71.72
'''후보'''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격차

'''거소·선상투표'''
37.73%
18.29%
30.31%
7.58%
3.62%
△7.42

'''관외사전투표'''
46.02%
14.03%
20.65%
9.37%
9.32%
△25.37

'''재외투표'''
'''64.47%'''
4.94%
13.80%
4.33%
12.36%
△50.67


4. 관련 문서



[1] 원주공항은 이름과 달리 횡성군에 위치해 있다.[2] 문막읍, 호저면, 지정면, 부론면, 중평동, 일산동, 학성1동, 학성2동, 단계동, 우산동, 태장1동, 태장2동[3] 소초면, 귀래면, 흥업면, 판부면, 신림면, 원인동, 개운동, 명륜1동, 명륜2동, 단구동, 봉산1동, 봉산2동, 행구동, 무실동, 관설동, 반곡동[4] 중앙동 · 평원동 · 학성동(일부)을 관할하는 원주의 구도심[5] 원동 + 인동을 관할하는 동네[6] 원주기업도시가 생기기 이전이였다.[7] 김기선 45.7%, 권성중 43.8%[8] 중앙동 · 평원동 · 학성동(일부)을 관할하는 원주의 구도심[9] 원동 + 인동을 관할하는 동네[10] 원주기업도시가 있는 동네[11] 지정면에서 이광재 후보의 득표율이 제일 높게 나왔다.[12] 중앙동 · 평원동 · 학성동(일부)을 관할하며, 중앙로원주역, 제1군수지원사령부가 있는 원주의 구도심[13] 원동 + 인동을 관할하는 동네[14] 군부대가 있는 동네. 원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동이다.[15] 원주버스터미널이 있는 원주의 신도심[16] 우산동 · 가현동을 관할하며, 상지대학교가 있는 동네[17] 제1야전군사령부가 있는 동네[18] 원주시청이 있는 원주의 신도심[19] 반곡동 + 관설동을 관할하며, 강원혁신도시가 있는 동네[20] 경동대학교 메디컬캠퍼스가 있는 동네[21] 제36보병사단원주공항, 제8전투비행단이 있는 동네[22]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및 강릉원주대학교, 한라대학교가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