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대한민국/현황
1. 설명
한국에서 벌어진 지진의 현황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다.
2. 전근대
예로부터 지진 관련 기록이 굉장히 많이 남아있으며 이는 한반도 역시 절대 지진에서 안전하지 않다는 역사적인 증거 중 하나다. 신라 혜공왕 15년에 약 100명의 사망자 기록이 있으며 신라에는 도합 40건의 지진이 있었다. 고려사에 지진이 약 150회 이상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지진(地震) 관련 기록은 무려1,899건이다. 중종 시기 498건, 명종 시기 364건, 숙종 시기 236건 등이다. 이러한 기록들 중에서 대표적인 지진들을 표로 실었다. MMI 기준 추정 최대진도 VI 이상인 것만 다룬다.(다만 최대진도 VI는 그 수가 많아서 일부만 실었다.) 추정 규모는 6.0 이상일 경우 '''빨간색/강조체''', 7.0 이상일 경우 '''보라색/강조체'''로 표시했다. 같은 해에 백두산, 한라산 등 국내 화산이나 아소산 등 한반도 주변 화산에서 폭발성 활동이 있었던 경우에는 발생일자 뒤에 ★를, 지진이 일어나기 전 5년 이내에 중국이나 일본에서 M7.0 이상의 대지진이 있었던 경우에는 발생일자 뒤에 ☆를 넣었다. 한반도에서 최대진도'IX(6강) 이상의 지진은 15번있었다. 메르칼리 진도 VIII는 일본 기상청 진도의 5강~6약(5+ ~ 6-), 메르칼리 진도 IX는 일본 기상청 진도의 6강(6+)에 대응된다. 진도 X 이상은 일본식 진도 7에 대응된다.
조선왕조실록 기록 중 몇 가지를 살펴보면 지진에 관한 기록 중 대다수는 '~~에 지진이 있었다'라는 식으로 한 줄 정도 적고 끝나는 경우가 많지만 지진의 규모나 사태의 심각성 등의 이유로 자세하게 서술하는 경우도 있다.
여담으로, 광해군이 계모 인목왕후의 아버지인 김제남을 사사할때도 수원에서 규모 6.3의 지진이 발생했다.
전형적인 지진 묘사. 지진이 일어났을 때 혼란한 분위기를 서술하고 있다.유시(酉時)에 세 차례 크게 지진(地震)이 있었다. 그 소리가 마치 성난 우레 소리처럼 커서 인마(人馬)가 모두 피하고, 담장과 성첩(城堞)이 무너지고 떨어져서, 도성 안 사람들이 모두 놀라 당황하여 어쩔줄을 모르고, 밤새도록 노숙하며 제 집으로 들어가지 못하니, 고로(故老)들이 모두 옛날에는 없던 일이라 하였다. 팔도(八道)가 다 마찬가지였다. - 중종실록 33권, 중종 13년 5월 15일(1518년)
서울에 지진이 일어났는데, 동쪽에서부터 서쪽으로 갔으며 한참 뒤에 그쳤다. 처음에는 소리가 약한 천둥 같았고 지진이 일어났을 때는 집채가 모두 흔들리고 담과 벽이 흔들려 무너졌다. 신시(申時)에 또 지진이 일어났다. - 명종실록 3권, 명종 1년 5월 23일(1546년)
위의 지진은 1643년 7월 25일 울산 앞바다에서 발생한 최대규모 M7.0의 지진에 대한 기록으로, 쓰나미, 토양 액상화, 건물 붕괴 등등의 지진으로 인한 각종 재난이 기록되어 있다.경상감사 장계의 내용이다. 좌도가 안동에서부터 동해·영덕 이하를 경유해 돌아서 김천 각 읍에 이르기까지, 이번 달 초 9일(辛未) 신시(오후 3시-5시), 초 10일 진시(오전 7시-9시)에 두 번 지진이 있었다. 성벽이 무너짐이 많았다. 울산 역시 같은 날 같은 시각에 마찬가지로 지진이 있었다. 울산부의 동쪽 13리 밀물과 썰물이 출입하는 곳에서 물이 끓어올랐는데, 마치 바다 가운데 큰 파도가 육지로 1,2보 나왔다가 되돌아 들어가는 것 같았다. 건답 6곳이 무너졌고, 물이 샘처럼 솟았으며, 물이 넘자 구멍이 다시 합쳐졌다. 물이 솟아난 곳에 각각 흰 모래 1,2두가 나와 쌓였다. - 승정원일기, 인조 21년 6월 9일 및 10일(1643년)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된 한수원의 「원전부지 최대지진 조사․연구」보고서에 등장한 역사지진목록1 도표의 M9.82 수치를 보고 이 지진의 추정 규모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사실이 아니다. 우선 보고서의 수치는 과거 지진의 기록이 아니라 확률론에 기반한 것이며, 실제 발생확률이 거의 없는 경우까지도 상정하여 이같은 높은 수치를 얻었던 것이다. 한수원의 해명
이 기록에서는 무려 지진으로 인한 쓰나미와 산사태를 연상시키는 묘사가 나온다. 이 기록에서 나온 지진이 위에서 말한 양양 지역[30] 규모 7.5급으로 추정되는 지진이다.강원도(江原道)에서 지진(地震)이 일어났는데, 소리가 우레가 같았고 담벽이 무너졌으며, 기와가 날아가 떨어졌다. 양양(襄陽)에서는 바닷물이 요동쳤는데, 마치 소리가 물이 끓는 것 같았고, 설악산(雪岳山)의 신흥사(神興寺) 및 계조굴(繼祖窟)의 거암(巨巖)이 모두 붕괴[崩頹]되었다. 삼척부(三陟府) 서쪽 두타산(頭陀山) 층암(層巖)은 옛부터 돌이 움직인다고 하였는데, 모두 붕괴되었다. 그리고 부(府)의 동쪽 능파대(凌波臺) 수중(水中)의 10여 장(丈) 되는 돌이 가운데가 부러지고 바닷물이 조수(潮水)가 밀려가는 모양과 같았는데, 평일에 물이 찼던 곳이 1백여 보(步) 혹은 5, 60보 노출(露出)되었다. 평창(平昌)·정선(旌善)에도 또한 산악(山岳)이 크게 흔들려서 암석(巖石)이 추락하는 변괴(變怪)가 있었다. 이후 강릉(江陵)·양양(襄陽)·삼척(三陟)·울진(蔚珍)·평해(平海)·정선(旌善) 등의 고을에서 거의 10여 차례나 지동(地動)하였는데, 이때 8도(八道)에서 모두 지진이 일어났다. - 숙종실록 11권, 숙종 7년 5월 11일(1681년)
3. 전근대 이후
1905년[31] 인천관측소에서 기계식 지진계를 도입한 이후로 일제강점기 동안 추가적으로 5개의 관측점을 더 설치해서 총 6개의 관측점을 가진 현대적인 지진관측망을 운영하였다. 그 후 광복과 분단, 한국 전쟁 등 혼란한 사회상을 거치면서 관측이 잠시 중단되었다가, 1963년 3월경부터 다시 관측이 재개되어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에 발생했던 지진 중 유명한 것들은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다.
- 1932년 7월 4일 : 지리산 쌍계사 지진. 규모 M5.1로 부상자는 4명, 사망자는 없었다. 가옥 113동이 피해를 입었다.
- 1944년 12월 19일 : 1944년 신의주 지진. 규모 M6.6-6.8, 진원깊이는 35km, 최대진도 VI(추정). 사망자는 없었으며, 부상자는 3명이었다.
6.25 전쟁 중에도 한반도에 큰 지진이 한번 있었다.
- 1952년 3월 19일 북한 평안남도 강서군[32] 에서 발생한 강서 지진: 한국은 당시 전란 상태여서 러시아나 중국, 일본 쪽의 기록으로만 남아있는데, 이 기록으로 미루어볼때 당시 리히터 규모는 M6.3 정도였다고 하며, 이는 한반도 및 인근지역에서 발생했던 계기지진 중 내륙에서 발생했던 지진으로써는 두번째로 강력하다.(가장 강력했던 것은 후술할 2010년 2월 18일 러시아에서 일어났던 지진) 또한 한국전쟁 휴전 이후에도 1960년 10월 8일과 1977년 3월 9일에 북한 북동부와 접한 러시아 앞바다에서 규모 M6.8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1975년 6월 29일에는 동해상(정확하게는 북한 강원도 고성군 먼바다)에서 규모 M7.4의 지진이 발생했다. #1 #2 게다가 2010년 2월 18일에도 북한의 라선특별시와 불과 25km 정도밖에 떨어져있지 않은 러시아 Lebedinoye 지역에서 M6.7의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다. # 이들 지진은 모두 2016년 발생한 경주 지진보다 0.5~1.0이나 더 높다. 그리고 1960년, 1975년, 1977년, 2010년 지진의 경우 진앙지가 공식적으로 대한민국과 북한의 영토나 영해에 속해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질학적으로 한반도와 같은 지역에서 발생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한반도에서 이 정도 규모의 지진이 언제든지 발생할수 있다는 방증이다.
- 1978년 9월 16일, 규모 5.2의 속리산 지진
- 1978년 10월 7일에 충남 홍성에서 발생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33] 이 지진으로 홍성읍 지역의 건물 50%가 파괴(정확히는 가옥 2,800여 채에 균열이 생겼고, 2명이 다쳤다.)가 되었고 5억여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고, 한국이 지진에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도 이때부터 생겼다. [34][35]
- 그리고 2년 뒤인 1980년 1월 8일 평안북도 의주군 일대서 경주 지진 이전까지 한반도 최대 규모의 지진이었던 의주 지진이 일어났다. 규모는 5.3.
- 1981년 4월 15일 경북 포항시 동쪽 약 65km 해역에서 규모 4.8의 지진이 일어났다.
- 1982년 3월 1일 경북 울진군 북동쪽 약 45km 해역에서 규모 4.7의 지진이 일어났다.
- 1996년 12월 13일 13시 10분 17.3초 강원도 영월군에서 규모 4.5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의 깊이가 20km에 불과해 규모에 비해 진동이 넓게 감지되었다.
- 1997년 6월 26일 03시 50분 21.8초 경북 경주시 동남동쪽 9km 지역에서 규모 4.2의 지진이 일어났다. 공교롭게도 진앙지가 2016년 경주 지진이 일어났던 곳 근처다.
3.1. 21세기
- 2007년 1월 20일 20시 56분 53초 강원도 오대산 일대에서 규모 4.8의 오대산 지진이 일어났다. 이 지진으로 월정사 벽에 균열이 생기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후에도 4차례의 여진이 일어났다.
- 2009년 5월 2일 07시 58분 28초 경북 안동시 서남서쪽 2km 지역에서 규모 4.0의 지진이 일어났다.
- 2014년 4월 1일 04시 48분 35초 태안군 서격렬비도 서북서쪽 100km 해역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일어났다. 즉 5번째로 강한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서울에서도 느낄 수 있었을 정도. 약 4시간 30분 뒤에 같은 곳에서 규모 2.3의 여진이 한 번 더 일어났다.
- 2016년 9월 12일 19시 44분 32초경 경북 경주 남남서쪽 9km 지역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일어났고, 20시 32분 54초경엔 경북 경주 남남서쪽 8km 지역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일어났다.. 경주시에서 발생한 지진은 서울 도심에서도 느껴졌고, 이로 인해 카카오톡과 몇몇통신사들이 서버폭주로 인한 먹통 상태였고 당일 10시 20분자로 복구되었다.[36]
- 2017년 5월 4일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규모 2.2의 작은 지진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바로 다음날인 어린이날 전라남도 구례군에서 규모 3.0의 지진이 발생하였다. 그동안 전라남도 지역은 지진에서 안전하다고 생각되었지만, 이제는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37]
- 2017년 9월 3일 오후 12시 29분경 함북 길주 인근에서 규모 5.7의 지진이 발생했다. 북한의 6차 핵실험에 의한 인공지진이다.
- 2017년 11월 15일 14시 29분 31초에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9km 지역 규모 5.4 지진이 발생했다.#그 이전인 14시 22분쯤에도 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7km 지역에 2.6의 지진이 일어났다. 그 후 14시 32분에 같은 지역에 3.6의 지진이 일어났다. 14시 46분과 52분에 같은 지역에서 규모 2.5, 2.4의 여진이 발생했고, 이후에 15시,15시 3분에 규모 2.8~2.9의 여진이 발생했다. 16시 49분 30초에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8Km 지역에서 4.3의 여진이 발생 했다. 그 여파로 바로 다음 날 시행될 예정이었던 수능이 연기되는 사태까지 발생하였다.
- 2018년 2월 11일 05시 03분 03초 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5km 지역에서 규모 4.6의 지진이 일어났다. 새벽 시간대였지만 인접 지역 주민들이 모두 놀라 깨고 대피하기도 하였다. 대구나 울산에서도 느껴졌으며, 2017년 포항 지진의 여진이다. 그 날 규모 2 이상의 여진이 9차례 발생하였다.
- 2019년 2월 10일 12시 53분 경북 포항시 북구 동북 동쪽 50km 해역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했다.
- 2019년 4월 19일 11시 16분 강원 동해시 북동 54km 해역에서 규모 4.3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사(SBS) 이 지진으로 인해 강원도에서 수정 메르칼리 기준 최대진도 IV(일본 기준 3 ~ 4), 경북에서 III(일본 기준 2), 수도권에서 II(일본 기준 1)을 관측하는 등 동해안 지역에서 규모에 비해 제법 큰 진동을 감지하였다.
- 2019년 7월 21일 11시 4분 경북 상주시 북북서쪽 11km 지역에서 규모 3.9의 지진이 발생했다.기사1 기사2 기사3 이 지진으로 인해 경북 상주시 및 서부 전역, 충북 동부에서 수정 메르칼리 기준 최대진도 IV(일본 기준 3 ~ 4), 대전, 세종 동부, 전북 무주군에서 III(일본 기준 2), 충남 동부, 세종, 경기 평택시, 강원 남부, 전북 북동부, 경남 북부, 대구 북부, 경북 전역에서 II(일본 기준 1)을 관측하였다.
- 2019년 10월 27일 15시 40분 경남 창녕군 남쪽 15km 지역에서 규모 3.4의 지진이 발생했다.
- 2019년 12월 30일 0시 32분 경남 밀양시 동북동쪽 16km 지역에서 규모 3.5의 지진이 발생했다. 1시 44분에 규모 2.1의 여진도 발생했다. 기사
- 2020년 1월 30일 00시 52분 경북 상주시 북쪽 20km 지역에서 규모 3.2의 지진이 발생했다. 기사
- 2020년 4월 27일 11시 07분 10초 전북 장수군 북쪽 17km 지역에서 M 2.8의 지진이 발생했다. 최대 진도는 IV.
- 2020년 4월 30일 7시 13분 13초와 5월 2일 2시 57분 2초에 전남 해남에서 각각 규모 2.4와 2.3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도는 III과 II. 규모와 진도는 낮지만 최근 이 일대의 미소 지진까지 포함하면 38건이나 된다.
- 2020년 5월 3일 22시 07분 14초에 전남 해남 서북서쪽 21km 지역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일어났다. 진도는 최대 lll으로 측정되었으며, 대한민국 기상청 측에서 4월 26일부터 발생한 해남 지진을 한반도 최초의 군발지진(언론에서는 '군집'지진)으로 발표한 바 있다. 기사 이후 본진과 이 지역의 여진(미소지진 포함)까지 합하면 36건이다.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부동리 마을에서만 최근 9일간 56차례의 지진이 일어났다.#1 #2 #3 #4 #5 후에 알려진 것에 따르면 총 400건이 넘는다고 한다(!) #6
- 2020년 5월 11일 19시 45분 06초 북한 강원도 평강군[38] 북북서쪽 37km 지역에서 규모 3.8의 지진이 발생했다. 핵실험으로 일어난 지진이 아닌 자연지진이며, 중부지방 대부분 지역에서 진동이 느껴졌다. 기사 뉴스
- 2020년 5월 27일 19시 23분 28초 경북 김천시 남남서쪽 17km 지역에서 규모 2.8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도는 최대 Ⅲ이라고 하며, 그 후 미소지진 2번이 있었다.
- 2020년 6월 8일 00시 52분 10초 경북 김천시 남남서쪽 17km 지역에서 규모 2.1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도는 최대 Ⅲ이다.
- 2020년 6월 23일 19시 58분 경기 파주시 북동쪽 15km 지역에서 규모2.1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도는 최대 Ⅲ이다. #
- 2020년 8월 1일 1시 15분 경북 예천군 북쪽 13km 지역에서 규모 2.0의 지진이 발생했다. #
- 2020년 9월 2일 19시 43분 전남 진도군 남남서쪽 13km 지역에서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다. #
- 2020년 9월 13일 00시 54분 인천 옹진군 백령도 남남서쪽 35km 해역에서 규모 2.9의 지진이 발생했다. #
- 2020년 9월 20일 1시 22분 충남 공주시 북북동쪽 7km 지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 #
- 2020년 10월 7일 4시 5분 전남 여수시 거문도 남동쪽 16km 해역, 10월 9일 4시 38분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13km 지역, 10월 24일 15시 9분 전남 여수시 거문도 남동쪽 16km 해역에서 규모 2.1의 지진이 발생했다.
- 2020년 10월 25일 19시 10분 전남 진도군 남서쪽 87km 해역에서 규모 2.5의 지진이 발생했다. #
- 2020년 11월 4일 7시 23분 경북 포항시 남구 동남동쪽 43km 해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어 같은 날 16시 50분 같은 지역에서 규모 2.4의 지진이 발생했다. #1 #2
- 2020년 12월 18일 17시 17분 강원 동해시 북동쪽 24km 해역에서 규모 2.7의 지진이 발생했다. 또한 북한을 제외한 국내에서 마지막으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이 일어난지 한 달 정도의 공백기간 후에 일어난 지진이라 매우 이례적이었다. #
- 2020년 12월 23일 21시 28분 경기 파주시 남서쪽 6km 지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 #
- 2021년 1월 14일 08시 17분 충남 태안군 서격렬비도 북북서쪽 30km 해역에서 규모 2.1의 지진이 발생했다. #
- 2021년 1월 19일 03시 21분 전남 목포시 북북서쪽 229km 해역(중국 청도 동쪽 332km 해역, 기상청 제공)에서 규모 4.6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호남, 대전, 수도권등에서 진동을 감지하였다. 이후, 1월 22일 오전 6시경 같은 지역에서 규모 3.2의 여진이 발생했다. #1 #2 여진 기사
- 2021년 1월 24일 06시 23분 전북 군산시 서남서쪽 81km 해역에서 규모 2.1의 지진이 발생했다. #
- 2021년 2월 3일 오후 12시 17분 인천 옹진군 서남서쪽 38km 해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인해 인천에서 수정 메르칼리 기준 최대진도 III(일본 기준 2)의 비교적 약한 진동이 관측되었다. #
- 2021년 2월 10일 19시 28분 인천 옹진군 서남서쪽 38km 해역에서 규모 2.1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인해 인천에서 수정 메르칼리 기준 최대진도 II(일본 기준 1)의 미약한 진동이 관측되었다. 2월 3일 지진의 여진이다. #
- 2021년 2월 15일 18시 59분 전북 군산시 동북동쪽 10km 지역에서 2.5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인해 전북 군산에서 수정 메르칼리 기준 최대진도 IV(일본 기준 3), 충남 서천에서 III(일본 기준 2), 충남 서부와 전북 서부에서 II(일본 기준 1)를 기록하는 등 규모에 비해 굉장히 강력한 진동이 관측되었다. #1 #2
한반도에서 직접 일어난 지진은 아니지만, 한반도와 가까운 일본 구마모토에서 2016년 구마모토 지진이 일어나면서 한반도 대부분 지역에도 상당한 진동이 전해졌다.
게다가 북한 함경북도 동쪽 해상 및 함경북도 북동부 지역과 접한 러시아 프리모리예 지방에서도 M6.0 이상의 강진이 자주 발생하며, 지난 2010년 2월 18일에도 라선특별시와 불과 25km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은 북한-중국-러시아 접경지역에서 M6.7의 강진이 발생한 바가 있다. 다행히도 진원의 깊이가 560km나 되었기에 피해는 없었으니 망정이지, 만약 진앙의 깊이가 얕았더라면 라선특별시, 청진시, 회령시 등 함경북도 지역은 초토화되었을 것이고, 한반도 전역에 걸쳐 강한 진동을 느꼈을 것이다.
4. 별도의 문서가 존재하는 지진 목록
- 779년 경주 지진
- 1643년 울산 대지진
- 1681년 양양 대지진
- 지리산 쌍계사 지진
- 속리산 지진
- 1952년 강서 지진
- 홍성 지진
- 의주 지진
- 오대산 지진
- 2016년 울산 지진
- 2016년 경주 지진
- 2017년 포항 지진
- 2018년 포항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