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명정전

 




'''창경궁 명정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image] '''대한민국 국보 제226호'''
'''창경궁 명정전'''
昌慶宮 明政殿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창경궁)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수량/시설'''
1동
'''지정연도'''
1985년 1월 8일
'''제작시기'''
조선 광해군 8년(1616)
1. 개요
2. 역사
3. 정문
4. 구조
5. 대중 매체에서

[clearfix]

[image]
명정전 정면 사진
[image]
비교적 근거리에서 찍은 명정전


YTN 공식 유튜브의 소개 영상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문정전과 같이 소개한다.

1. 개요


昌慶宮 明政殿
창경궁정전#s-6. 신하들이 임금에게 새해 인사를 드리거나 국가 의식을 거행하는 곳이다.
창경궁의 정문 홍화문으로 입궐했을 때 옥천교를 건너 명정문을 통해 바로 정면에 보인다.

2. 역사


1483년(성종 14년) 옛날 태종이 머물던 수강궁 자리에 대비들을 위해 창경궁을 창건할 때 함께 지었다. 이름은 창건 당시 의정부 좌찬성[1] 서거정이 지었으며 상량문[2]우부승지 김종직이 지었다. 다른 궁궐의 정전과는 다르게 남향이 아닌 동향으로, 이는 풍수지리 및 지형 문제에 근거해 배치한 것이다.[3] 이 때문에 성종은 '임금은 남쪽을 바라보고 정치를 하는데 명정전은 동쪽이니 임금이 나라를 다스리는 정전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그런지 명정전에서 열린 행사는 크게 중요한 국가 행사보다는 규모가 비교적 작은 행사나 왕실의 잔치 등이었다. 명정전에서 즉위식을 가진 왕은 인종이 유일하다. 창경궁에서 왕이 승하해도 창덕궁에서 즉위식을 올리는 것이 보통이었기 때문이다. 창경궁은 창덕궁에 비해서 정치적 기능보다 생활공간으로서의 기능이 컸던 탓이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당시 화재로 불탔고 1616년(광해군 8년)에 중건한 뒤 오늘에 이른다. 즉, 명정전은 '''현존하는 궁궐 정전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따라서 17세기 초 조선 중기 목조 건축 양식을 연구하는데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조선 후기에 명정전을 가장 알뜰살뜰 사용한 임금은 영조다. 영조는 명정전에서 혼례식을 했다. 영조는 정성왕후가 승하하자 66세가 되던 1759년(영조 35년)에 15세 정순왕후를 계비로 맞아들였다.
일제강점기에 창경궁이 유흥 · 여가시설 창경원이 되면서 일제가 명정전 행각을 철거하고 박석을 걷어 벚나무를 심는 등 크게 훼손했다. 8.15 광복 후인 1963년에 문화재관리국에서 보수했고, 1983년 창경원이 창경궁으로 환원되면서 관련 시설을 서울대공원으로 옮긴 이후 복원, 수리 공사를 하여 1986년에 마무리했다.
현재는 내부가 여러모로 '낡고' 잘못된 상태이다. 단청이 많이 벗겨졌으며, 일월오봉병 뒤의 합판이 원래의 모습이 전혀 아니다. 한마디로 여러모로 썰렁하다고나 할까.

3. 정문




4. 구조


  • 다른 궁궐의 정전에 비해 굉장히 규모가 작은 편이다. 애당초 창경궁이 임금이 정식으로 머물 궁으로 지은 게 아니라 창덕궁에 딸린 대비궁으로 지은 것이라 그렇다. 층도 단층에 터 크기 자체도 경복궁 근정전, 창덕궁 인정전보다 훨씬 작으며, 독립된 월대를 가진 다른 정전과 다르게 월대 뒷 편으로 한 쌍의 기둥만 지나면 바로 문정전, 숭문당 등 다른 건물 영역으로 연결 될 정도다.
  • 2단의 석축기단 위에 정면 5칸, 측면 3칸의 1층 전각[4]이다. 양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공포의 짜임새가 견실하고 쇠서[5]의 곡선이 힘차고 예리한 점, 첨차[6]에 풀무늬를 새긴 수법이 세련된 점, 주춧돌에서 공포까지의 지지체(支持體)와 그 위에 얹은 지붕의 균형이 잘 조화된 점 등에서 조선 전기의 건축양식을 잘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몇몇 학자들이 임진왜란 때 불타지 않은 것으로 추정한 적도 있으나 《조선왕조실록》의 기사와 1963년 합각머리 안쪽에서 발견된 묵서명(墨書銘)의 내용이 일치하여, 광해군 때 재건한 것을 확인했다.
  • 외곽을 둘러싸는 16개의 일반 기둥[7]와 내부 전면(前面)에만 배치된 4개의 크고 높은 기둥[8]로 형성되어 있다. 전면과 후면 어칸에는 꽃처럼 창살을 만든 사분합문, 좌우 협칸에는 삼분합문, 그리고 툇칸에는 이분합창이 설치되어 있고, 좌 · 우 툇칸 이분합창의 하부는 회색벽돌로 12단 쌓아 화방벽(火防壁)으로 조성하였다.[9] 좌우 측면 중앙칸에는 삼분합문이 설치되었고, 좌·우 툇칸 이분합창의 하단은 정면을 후면과 마찬가지로 회색벽돌로 12단 쌓았다. 분합문과 창 상부에는 모두 광창[10]을 설치하였으며, 내부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고, 내부 중앙 뒤에 어좌를 설치하였다.출처.
  • 동향을 하고 있는데 앞에 이어지는 명정문, 홍화문과 일직선상으로 맞지 않는다.
[image]
홍화문, 명정문, 명정전의 축

5. 대중 매체에서


경복궁 근정전창덕궁 인정전에 비해 존재감이 약해서 거의 안 나온다고 봐야 할 수준이다.
  • KBS2명성황후》에서 그나마 많이 등장했다. 이 드라마도 원래는 근정전에서 찍을 계획이었으나 당시 보수공사로 촬영이 불가능했기에 어쩔 수 없이 명정전에서 찍은 것이다.(...)
[image]
KBS2 《명성황후》 중에서
  • 그리고 생뚱맞게도 태조 왕건에 등장한다. 다름 아닌 신라 왕궁이 나오는 장면을 여기서 찍었다. 《태조 왕건》 초반부 회차의 엔딩에도 당당하게 장소 협조에 이름을 올렸다.

[1] 議政府左贊成. 의정부에 속해 3의정(영의정, 우의정, 좌의정)을 보좌하는 직책. 오늘의 국회부의장 격이다.[2] 새로 짓거나 고친 집의 내력이나 공사 과정, 일시 등을 적어둔 글.[3] 이는 창경궁 전체 축이 그렇다.[4] 보통 전통 건축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5] 소의 혀란 뜻으로, 한식 목구조 공포에서 보 방향으로 첨차에 직교하여 거는, 끝을 소의 혀 모양으로 장식하여 오려낸 부재를 말한다. 첨차의 뜻은 후술.[6] 공포를 구성하는 나무 부재.[7] 평주(平柱).[8] 고주(高柱).[9] 이것은 창덕궁 인정전도 마찬가지였는데 순종황제의 이어 이후 현재와 같은 머름으로 변했다.[10] 光窓. 어두운 실내를 밝혀주기 위하여 설치하는 창.